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18:42:18

과천시/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과천시
파일:과천시 CI_White.svg 과천시 행정구역 변천사
과천군 군내면
(果川郡 郡內面, 1896)
시흥군 과천면
(始興郡 果川面, 1914)
과천시
(果川市, 1986)

1. 개관2. 시대별 역사
2.1.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2.2. 고려2.3. 조선
2.3.1. 구한말 당시의 과천군 산하 행정구역
2.4. 일제강점기2.5. 대한민국
2.5.1. 대한뉴스 영상자료
3. 관련 문서

1. 개관

과천이라는 지명은 조선 시대 당시 과천현에서 유래되었는데 1914년 일제에 의해 시흥군에 흡수당했다. 이때의 과천현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부(노량진, 사당동, 동작동, 흑석동), 서초구 대부분[1], 관악구 남현동과 경기도 과천시 전역, 그리고 안양시 군포시의 대부분을 점하고 있었다. "겁많은 선비는 ( 과거시험 보러갈 때) 과천부터 긴다"라는 속담처럼 서울의 관문으로 여겨지나 그 과천이 지금 과천이 아니라는게 함정. 물론 인덕원- 선바위- 남태령길을 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말이다.[2][3] 조선시대에는 과천현감은 평안(평양)감사, 나주목사와 함께 지방관으로서 3대 요직 중 하나였다고 한다.

옛 과천군은 남태령 고개를 기준으로 남, 북으로 갈라져있었지만 조선후기 시흥행궁 건설 이전까지 남부지방에서 서울(한양)으로 가는 주요 길목에 있던 고을이었기에 남태령 이북이 다른 고을로 분리 합병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사실 한강 건너편에 있는 용산구도 고려 초기까지엔 과천(과주)의 일부였다.

공무원 시험 한국사 강사들이 조선시대 군현의 예시로 과천현을 빗대는 경우가 많은데, 공시족의 성지인 노량진이 과천현 소속이었기 때문.

2. 시대별 역사

2.1. 삼국시대 ~ 남북국시대

백제가 건국된 이래로 백제 영역이었으나 백제 시대의 지명은 남아있지 않다. 고구려 장수왕 때부터 율목군(栗木郡)이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며, 이 시기의 과천은 동사힐(冬斯肹)[4]이라고도 불렸으며, 율목이라는 명칭은 과주, 과천의 어원이 되었다. 사실 율목이라는 단어는 '밤나무 열매[]'라는 의미로 읽힐 수 있다.

신라 진흥왕이 차지한 후 통일신라에서 한주에 속했으며 신라 경덕왕이 율진군(栗津郡)으로 개칭했다. 율진의 진(津)은 노량진 내지는 용산 한강진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원래의 과천 영역뿐만 아니라 곡양현(지금의 서울 영등포권 및 경기 광명시)[5], 공암현(지금의 서울 강서구, 양천구 및 영등포구의 양화동), 소성현(제물포, 관교동을 비롯한 지금의 인천광역시 남부 및 시흥시 북부)을 속현으로 두고 있었다.

하지만 이들 속현들은 이후에 고려 과주현으로 강등되면서 앞서 언급한 곡양현, 공암현, 소성현은 수주(지금의 인천 부평)의 속현이 되었다.

2.2. 고려

과주(果州)로 불렸는데 지금의 서울 용산구 일대도 과주에 속했다[6]. 후에 용산구 일대가 부원현이라는 이름으로 떨어져나갔다가 남경(한성부, 서울의 전신)에 편입되었다. 나머지 지역은 그대로 쭉 과주. 고려 성종 때에는 '부림'이라 불리기도 했는데, 부림동의 '부림'이 바로 이것.

2.3. 조선

141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과천(果)으로 명칭이 바뀌었다.[7] 조선초기에 인근의 금천현(지금의 영등포, 금천, 광명)과 합병하여 '금과현'이 되기도 했다가 관아 위치 등이 문제가 되어 몇 년이 지나지 않아서 도로 과천현으로 환원된 흑역사가 있다(...).

정미사화의 발단이 된 양재역 벽서사건이 벌어진 고을이기도 하다.

과천현의 진산(鎭山)은 관악산이었다.[8] 현재의 안양시 석수동, 박달동은 원래 시흥군 소속이다. 군포시 대야동 일대는 1906년에 광주군에서 안산군[9]으로 편입되었고, 의왕시 일대는 광주군 소속이었다.

2.3.1. 구한말 당시의 과천군 산하 행정구역

파일:Gwacheon-Hyeon_Eupji_1899.gif
과천현읍지에 나온 1899년 과천군 지도.

2.4. 일제강점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xt-align:left"
대한제국 선포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 행정구역
서울 양동출장소 · 양서출장소
경기 개성시 · 개풍군 · 고양군 · 과천군 · 교동군 · 교하군 · 남양군 · 남양주군95 · 동탄면 · 마전군 · 미금시95 · 반월면 · 부천군 · 부평군 · 북포천군 · 삭녕군 · 서울시 · 송탄시95 · 시흥군 · 안산군 · 양근군 · 양성군 · 양주군 · 양지군 · 양천군 · 연백군 · 영평군 · 오포읍 · 옹진군 · 음죽군 · 인천시 · 일산구 · 장단군 · 적성군 · 죽산군 · 지평군 · 태안읍 · 통진군 · 평택군95 · 풍덕군
강원 간성군 · 강원도 · 금성군 · 김화군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 평강군 · 평해군
충북 문의군 · 연풍군 ·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안군 · 청원군 · 구 청주시 · 청풍군
충남 결성군 · 공주군95 · 노성군 · 대덕군 · 대전시 · 대천시95 · 덕산군 · 면천군 · 목천군 · 보령군95 · 비인군 · 서산군95 · 아산군95 · 연기군 · 연산군 · 온양군 · 온양시95 · 은진군 · 정산군 · 직산군 · 천안군95 · 한산군 · 해미군 · 홍주군
전북 고부군 · 고산군 · 김제군95 · 만경군 · 무장군 · 옥구군95 · 이리시95 · 익산군95 · 전라북도 · 정읍군95 · 정주시95 · 태인군
전남 광산군 · 광양군95 · 광주시 · 나신면 · 나주군95 · 낙안군 · 돌산군 · 동광양시95 · 선도면 · 송정시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 지도군 · 창평군
경북 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내동면 · 대구시 · 문경군95 · 선산군95 · 순흥군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榮川郡) · 영천군(永川郡)95 · 영풍군95 · 예안군 · 울도군 · 월곡면 · 점촌시95 · 진보군 · 풍기군 · 풍서면 · 하양군 · 현풍군
경남 거제군95 · 김해군95 · 동래군 · 마산시 · 밀양군95 · 부산시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언양군 · 영산군 · 울산군95 · 울산시 · 울주구 · 웅상읍 · 웅천군 · 원량면 · 장승포시95 · 장유면 · 진양군95 · 진해군 · 진해시 · 창원군95 · 구 창원시 · 충무시95 · 칠원군 · 통영군95
제주 남제주군 · 대정군 · 북제주군 · 정의군 · 제주도(濟州島) · 제주도(濟州道)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1=본 틀에 대한제국 선포(1897년 10월 12일) 이후 폐지된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2=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2=대한제국 선포부터 광복(1945년 8월 15일) 전까지 폐지된 행정구역 가운데 현재 휴전선 이남에 위치했던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3=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3=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행정구역을 원칙적으로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4=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4=단 광복 이후 6.25 전쟁 전까지 38선 이남에 위치했으나 휴전 후 북한 치하에 들어간 경우와 일부 영역을 수복했으나 인접 시군에 편입시켜 휴전선 이남에 실효지배하는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한해 등재한다.,
토론주소5=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5=명칭 변경 사례를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6=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6=폐지된 행정구역의 소속 도(道)는 폐지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단 제주도에 소재했던 행정구역에 한해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으로 표기한다.,
토론주소7=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7=폐지된 행정구역이 행정구역 명칭과 단위가 같은 행정구역으로 다시 설치된 경우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8=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8=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폐지된 동명의 행정구역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9=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9=폐지된 동·읍·면은 원칙적으로 등재할 수 없다. 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0=YouthfulTangibleDryClam, 합의사항10=1995년 이전에 폐지된 읍·면이라도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1=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1=1995년 후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이라도 군 전체가 시로 승격하면서 관할 읍·면이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없다.,
토론주소12=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2=1995년 이후에 군이 폐지되고 해당 지역에 동명의 새로운 시를 설치한 경우 이전의 군을 틀에 등재하지 않는다.(따라서 틀에서 경기도 광주군을 제외한다.),
)]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일제강점기 경기도의 폐지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고시치노키리.svg
과천군
果川郡
Kasen County
}}}
파일:1913년의 과천군.png
1913년의 과천군 관할 구역
<colbgcolor=#062861><colcolor=#ECCD7A> 상위 행정구역 경기도
폐지 이후 시흥군
[clearfix]
현 과천시 지역의 역사만 따져보면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과천군이 폐지되면서 시흥군에 편제되었다. 이때 군내면이 과천면으로 개칭되었고, 이와 함께 구 과천군 동면 중 현재의 주암동 지역이 과천면에 편입되었다.

동작구 일부, 관악구 남현동, 서초구 일대의 역사는 서울특별시/역사, 영등포구/역사, 시흥군 문서를, 안양시, 군포시의 역사는 안양시, 군포시, 시흥군 문서를 보면 된다.

2.5. 대한민국

파일:1975 서울특별시_개발제한구역도.jpg
1975년 서울특별시 개발제한구역도. 정부과천청사가 들어선 원도심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과천시 행정구역의 92%가 그린벨트로 규제되었다.

1986년 1월 1일 과천면이 바로 과천시로 승격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10] 사실 1963년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면서(1991년 해제) 정부과천청사 건설 계획 이전까지는 고양군 신도읍과 함께 잠정적인 서울 편입 예정지로 지정된 그린벨트 지역이자 '남서울 계획'에 속한 지역으로 취급되었다.[11] 과천시내에 서울특별시 관할의 서울대공원 렛츠런파크 서울이 이전해온 것도 이와 관련 있다.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 편입되어 과천 토박이들은 서울 편입에 대한 기대를 가졌지만, 1970년경 과천시 일대가 그린벨트로 묶이는 바람에(...) 같이 서울시 도시계획구역에 속했으면서 대부분의 지역이 그린벨트로 묶이지 않은 광명시 북부(이쪽은 아예 개봉대단지 건설로 본격 베드타운화 시작)와 다르게 개발이 지지부진했다. 당시의 서울시 도시계획 관련 지도나 문서를 보면 정부청사 건설 이전의 과천 일대는 공업지대나 주거지대가 아닌 자연녹지로 계획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문제 때문인지 광명시와 다르게 서울통화권이 아닌 안양통화권으로 편입되었다.

1979년에는 경기도 과천지구 지원사업소가 설치되어 정부과천청사를 조성하기 시작했다. 1982년 5월에 일부 정부기관이 이전했다.

사실 지금의 과천시에 정부과천청사가 건설된 것은, 북한의 안보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강남 개발계획(속칭 '남서울 계획')과 맞물려서 그런 것이다. 만일 한반도가 분단되지 않았거나 인천상륙이후 북진통일 성공했더라면 지금의 과천시 일대는 그저 안양시의 일부로 남았을 가능성이 컸을 것이다.[12]

1985년 8월에 시흥군 과천면의 안양통화권(0343)에서 서울통화권(02)으로의 변경이 이루어졌고[13] 1986년에 과천면이 과천시로 승격되었다. 1991년에는 과천시가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구역에서 분리되어 과천시 도시계획구역이 신설되었다.

2023년 5월 1일 행정구역조정으로 인해 갈현동 북부지역이 원문동에 편입되었다.

2.5.1. 대한뉴스 영상자료

1958년 10월, 이승만 대통령이 관악산을 답사했다. #

1978년 6월, 박정희 대통령이 경기도 시흥군 과천면 갈현 1리[14]에서 모내기를 도왔다. #

1982년 3월, 전두환 대통령이 서울대공원 건설 현장을 시찰했다. #

1982년 7월, 전두환 대통령이 과천 정부 제 2청사 신축현장을 시찰했다. #

1986년 8월, 전두환 대통령이 국립현대미술관 준공 및 개관행사에 참석했다. #

3. 관련 문서


[1] 내곡동을 행정동으로 하는 3개 법정동인 내곡동, 염곡동, 신원동을 제외한 서초구 전역이었다. [2] 참고로 문제의 인덕원이 있는 안양시에서 편찬한 안양시지에서는 안양시가 옛 금천현과 과천현의 결합이라고 적고 있다. [3] 다만 정조 때 남태령길(과천군쪽)이 아닌 시흥동( 시흥군쪽) 경유 길이 별도로 개설되었다. 이 길이 현재의 시흥대로- 경수대로와 선형이 비슷하다. [4] 해가 하늘에 솟아오른다는 뜻의 ‘돋-’과 마을을 가리키는 고구려말 ‘홀’이 합쳐진 말을 음차한 것으로 보인다. 즉 해 뜨는 동네라는 뜻이다. [5] 이 지역이 조선시대의 금천현( 시흥현) 일대이다. [6] 같은 시기에 금주( 조선 시대의 시흥)도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로 편입된 여의도 일대까지 관할했었다. [7] 먹물을 아끼려고 주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은 중소군현의 이름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주(州)에서 점 3개 때내고 천(川)으로 바꾼 것. 이때 부나 목으로 지정되지 않았으나 명칭이 주(州)로 끝나는 모든 군현의 주(州)를 산(山)이나 천(川)으로 고치는 조치가 이루어졌는데, 오늘날 명칭이 산이나 천으로 끝나는 시군의 이름 대다수가 이때 생겨난 것이다. 다른 사례로 인천(현 시흥북부 포함, 부평-계양-부천 제외)과 금천(지금의 서울 영등포+경기 광명+안양 석수동, 박달동)도 같은 이유로 명칭이 각각 인주, 금주에서 인, 금으로 변경되었다. [8] 시흥현의 진산이 관악산이 아니냐고 질문할 수 있겠으나, 시흥현의 진산은 관악산 바로 옆에 붙어있는 삼성산이었다. [9] 이후 수원군 → 화성군으로 갔다가 1995년에 군포로 편입. [10] 때문에 과천 시내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대부분이 비닐하우스 천지인 농촌 풍경이다. 그린벨트로 묶여 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11] 과천, 고양 신도와 함께 잠정적인 서울 편입 예정지였던 광명시 북부는 과천, 고양 신도와 다르게 평야지역은 그린벨트에 편입되지 않았다. [12] 참고로 과천시 승격 당시에 안양시에서 반대했다고 한다. [13] DDD 지역번호 체계 본격 도입 이후로 유일하게 서울통화권으로 편입된 사례다. 똑같이 02를 쓰는 광명시의 경우는 DDD 지역번호 체계가 아직 자리를 잡지 않던 시절에 서울통화권으로 편입된 지역이었고, 그 시기에는 서울통화권 준가입지역에 전화가 신설되면 그 장소가 서울전화로 편입되는 식이었다. 다만, 주암동 장군마을일대는 애초부터 서울통화권(02)이다. [14] 현 지식정보타운 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