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06:59:34

동광양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xt-align:left"
대한제국 선포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 행정구역
서울 양동출장소 · 양서출장소
경기 개성시 · 개풍군 · 고양군 · 과천군 · 교동군 · 교하군 · 남양군 · 남양주군95 · 동탄면 · 마전군 · 미금시95 · 반월면 · 부천군 · 부평군 · 북포천군 · 삭녕군 · 서울시 · 송탄시95 · 시흥군 · 안산군 · 양근군 · 양성군 · 양주군 · 양지군 · 양천군 · 연백군 · 영평군 · 오포읍 · 옹진군 · 음죽군 · 일산구 · 장단군 · 적성군 · 죽산군 · 지평군 · 태안읍 · 통진군 · 평택군95 · 풍덕군
강원 간성군 · 강원도 · 금성군 · 김화군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 평강군 · 평해군
충북 문의군 · 연풍군 ·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안군 · 청원군 · 구 청주시 · 청풍군
충남 결성군 · 공주군95 · 노성군 · 대덕군 · 대천시95 · 덕산군 · 면천군 · 목천군 · 보령군95 · 비인군 · 서산군95 · 아산군95 · 연기군 · 연산군 · 온양군 · 온양시95 · 은진군 · 정산군 · 직산군 · 천안군95 · 한산군 · 해미군 · 홍주군
전북 고부군 · 고산군 · 김제군95 · 만경군 · 무장군 · 옥구군95 · 이리시95 · 익산군95 · 전라북도 · 정읍군95 · 정주시95 · 태인군
전남 광산군 · 광양군95 · 광주시 · 나신면 · 나주군95 · 낙안군 · 돌산군 · 동광양시95 · 선도면 · 송정시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 지도군 · 창평군
경북 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대구시 · 문경군95 · 선산군95 · 순흥군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榮川郡) · 영천군(永川郡)95 · 영풍군95 · 예안군 · 울도군 · 월곡면 · 점촌시95 · 진보군 · 풍기군 · 풍서면 · 하양군 · 현풍군
경남 거제군95 · 김해군95 · 동래군 · 마산시 · 밀양군95 · 부산시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언양군 · 영산군 · 울산군95 · 울산시 · 울주구 · 웅상읍 · 웅천군 · 원량면 · 장승포시95 · 장유면 · 진양군95 · 진해군 · 진해시 · 창원군95 · 구 창원시 · 충무시95 · 칠원군 · 통영군95
제주 남제주군 · 대정군 · 북제주군 · 정의군 · 제주도(濟州島) · 제주도(濟州道) }}}}}}}}}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1=본 틀에 대한제국 선포(1897년 10월 12일) 이후 폐지된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2=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2=대한제국 선포부터 광복(1945년 8월 15일) 전까지 폐지된 행정구역 가운데 현재 휴전선 이남에 위치했던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3=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3=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행정구역을 원칙적으로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4=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4=단 광복 이후 6.25 전쟁 전까지 38선 이남에 위치했으나 휴전 후 북한 치하에 들어간 경우와 일부 영역을 수복했으나 인접 시군에 편입시켜 휴전선 이남에 실효지배하는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한해 등재한다.,
토론주소5=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5=명칭 변경 사례를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6=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6=폐지된 행정구역의 소속 도(道)는 폐지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단 제주도에 소재했던 행정구역에 한해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으로 표기한다.,
토론주소7=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7=폐지된 행정구역이 행정구역 명칭과 단위가 같은 행정구역으로 다시 설치된 경우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8=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8=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폐지된 동명의 행정구역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9=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9=폐지된 동·읍·면은 원칙적으로 등재할 수 없다. 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0=YouthfulTangibleDryClam, 합의사항10=1995년 이전에 폐지된 읍·면이라도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1=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1=1995년 후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이라도 군 전체가 시로 승격하면서 관할 읍·면이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없다.,
토론주소12=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2=1995년 이후에 군이 폐지되고 해당 지역에 동명의 새로운 시를 설치한 경우 이전의 군을 틀에 등재하지 않는다.(따라서 틀에서 경기도 광주군을 제외한다.),
)]
파일:동광양시 시기.svg
동광양시(1989~1995)의 시기
전라남도 폐지된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동광양시 CI.svg 동광양시
東光陽市
Tonggwangyang City[1]
}}}
시청 소재지 중동 1313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10
면적 61.38㎢
인구[2] 52,492명[3]
현재 인구 88,122명[4][5]
인구밀도[통합이전] 855.19명/㎢
마지막 시장 윤원보 (관선)
마지막 국회의원

김명규[7]
상징 <colbgcolor=#4482d0><colcolor=#ffffff> 시화 장미
시목 은행나무
시조 갈매기
지역전화 0667(현재 061)
존속기간 1989년 1월 1일 ~ 1994년 12월 31일

東光陽 / Donggwangyang
1. 개요2. 역사3. 통합 이후 현재4. 교통

[clearfix]

1. 개요

전라남도 광양시에 소재하는 포스코 광양제철소의 배후 지역에 있었던 도시. 현재 광양시의 동(洞) 지역은 전부 구 동광양시 지역에 속한다. 공장 근로자들이 사는 주택과 광양시청을 포함한 각종 관공서, 그리고 상업시설이 들어선 광양의 신 시가지이며[9], 전통 시가지인 광양읍과는 산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있다. 그리고 전라남도의 마지막 시 승격 지역이다.

2. 역사

원래는 광양군 골약면[10]과 태금면 그리고 옥곡면 지역으로, 1981년 태금면의 금호도에 포스코 광양제철소 건설이 시작되고 이 지역이 제철소 배후단지로 개발되었다. 1986년에는 예비 시청인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11]가 들어서 광양군청으로부터 이 지역의 관할권을 위임받았고, 1987년에는 옥곡면 광영리를 골약면에 편입하고 여천시 묘도동 일부도 편입하여 광양지구출장소 관할에 두었다. 얼마 안 가 1989년에 광양출장소 일원을 관할하는 전라남도 동광양시가 출범하면서 이 지역이 광양군과 분리되었고, 이후로 시 이름을 따 이 지역을 '동광양'이라고 불렀다.

이후 1995년 1월 1일부로 광양군 도농통합되어 분리된지 6년만에 다시 통합 광양시로 출범하였으며, 통합 광양시청[12]과 각종 관공서들은 동광양에 유치했다.

3. 통합 이후 현재

동광양 일대는 현재 중마동, 골약동, 금호동, 태인동, 광영동 5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중 중동 마동 일원인 중마동을 중심으로 관공서, 상업지구, 학교, 주택 등이 밀집해있다. 골약동은 옛 골약면 중 중마동 지역을 제외한 곳으로, 자연부락을 중심으로 주거지가 구성되어있으며 광양항과 그 배후 시설이 조성되었다. 금호동은 옛 태금면 중 금호도에 해당하며, 섬의 남쪽을 간척하여 광양제철소를 건설하였고 원래 섬 쪽에는 제철소와 같이 만든 사원주택과 학교가 있다. 태인동은 옛 태금면 중 태인도에 해당하며, 주거지는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고 주거지 반대편에는 제철소의 배후 산업단지가 조성되었다. 광영동은 옛 옥곡면 광영리 지역으로 금호도 원주민 이주단지가 조성되었으며 동광양 개발 초기에 상업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4. 교통

교통시설로는 버스 터미널로 중마버스터미널이 있으며, 철도는 제철소, 광양항과 접속되는 광양제철선만 부설되어 있다. 남해고속도로 동광양IC가 있으며, 옥곡IC도 가까이 있다. 태인동에서는 진월IC 하동IC로도 편리하게 접속된다.

[1] 폐지 당시 표기법 기준 [2] 광양군과 통합 전 [3] 1994년 [4] 2024년 2월 [5] 현재 광양시의 동지역 중 동부지역. 동해시보다 약간 적으나 인구밀도는 동광양이 압도적으로 높다. [통합이전] 1994년 기준 [7] 동광양시·광양군 선거구 [8] 한국도로공사는 자사 요금소 이름에 '동-', '서-', '남-', '북-'이 들어갈 경우 영어 East, West, South, North로 표기한다. [9] 물론 그때 기준으로 신시가지이지 세월이 많이 흐른 지금은 더 이상 아니다.(...) [10] 1983년 2월에 태금면이 떨어져나가는 바람에 골약면이 골약읍으로 승격되는것이 무산되었다. 당시에도 골약면은 읍으로 승격할 인구를 넘겼었다. 만약 이 지역이 시가 안되었으면 인구 6만명의 읍이 되었을 것이다. 여담으로 1977년 통계연보의 따르면 당시 인구는 약 14000명 정도 됐었다고 한다. [11] 금당쇼핑(현재 몰오브광양)의 북동쪽에 위치했다. 시 승격 직전인 1988년 12월까지 사용했으며 여기서 시승격 행사를 열었었다. 그 다음날에 현재 광양시청 자리로 이전. 지금은 은행이 들어섰다. [12] 동광양시 시절부터 사용했고 1988년 말쯤에 완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