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07:16:30

호우총

신라 왕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혁거세왕릉(오릉)

파사왕릉(오릉)

지마왕릉

일성왕릉

아달라왕릉(배동 삼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미추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내물왕릉
황남대총(소수설)

황남대총(소수설)

황남대총(다수설)

황남대총(소수설)

천마총(소수설)

천마총(통설)

법흥왕릉

진흥왕릉

진지왕릉

진평왕릉

선덕여왕릉

진덕여왕릉

무열왕릉

문무대왕릉(대왕암)

신문왕릉

효소왕릉

성덕왕릉

효성왕릉

경덕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원성왕릉(괘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헌덕왕릉

흥덕왕릉

희강왕릉

민애왕릉

신무왕릉

문성왕릉

헌안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헌강왕릉

정강왕릉

현재 소재 파악 불가

효공왕릉

신덕왕릉(배동 삼릉)

경명왕릉(배동 삼릉)

경애왕릉

경순왕릉
수장급 능묘

대릉원( 금관총 · 금령총 · 봉황대 · 서봉총 · 식리총 · 천마총 · 호우총 · 황남대총)
금척리 고분군 · 서악동 고분군
구정동 방형분 · 김유신장군묘 · 김인문묘 · 김양묘 · 설총
}}}}}}}}}}}}


파일:hEgtBOyW_400x400_nobg.png 경주시의 관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F5765> 경주 시내 경주읍성 동궁과 월지 국립경주박물관( 성덕대왕신종) 첨성대& 동부 사적지대, ‧ 대릉원( 천마총, 황남대총) ‧ 노서 ‧ 노동동 고분군( 봉황대, 금관총, 서봉총, 호우총), ‧ 경주 월성 분황사 월정교 일정교 황룡사지 황리단길 ‧ 경리단길 ‧ 계림 ‧ 교촌마을 ‧ 최씨고택 ‧ 금장대
북부 유교문화권 양동마을 옥산서원 ‧ 운곡서원
송화산 김유신장군묘 태종무열왕릉 ‧ 서악동 고분군
소금강산 백률사 소금강산 탈해왕릉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남산 남산 나정 망덕사지 배동 삼릉 오릉 포석정 서출지 배동 삼릉 용장사곡 삼층석탑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 지암곡삼층석탑 ‧ 탑곡마애조상군 ‧ 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 ‧ 미륵곡석불좌상
낭산 사천왕사지 선덕여왕릉 ‧ 능지탑지 ‧ 최지원 독서당 ‧ 황복사지 3층석탑
토함산 토함산 불국사( 다보탑, 석가탑) 석굴암 원성왕릉(괘릉) ‧ 토함산자연휴양림
배반동 효공왕릉 수오재
동해안 감은사지‧ 봉길대왕암해변‧ 문무대왕릉 이견대 경주 양남 주상절리 ‧ 나정고운모래해변 ‧ 오류고아라해변
보문관광단지 보문관광단지 경주월드( 캘리포니아 비치) ‧ 신라밀레니엄파크 경주세계문화엑스포( 경주타워, 중도타워, 솔거미술관) ‧ 강동리조트 강동워터파크 경주화백컨벤션센터 (HICO)‧ 명활성 보문호반길 ‧ 경주동궁원 ‧ 경주버드파크 ‧ 힐튼호텔 경주
교통 경주역 경주고속버스터미널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기타 골굴사 기림사 ‧ 화랑의 언덕 ‧ 흥덕왕릉 진덕여왕릉 진평왕릉 ‧ 장항리 사지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밑줄 표시.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21e1f,#fff>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221e1f,#fff>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남산 일원 |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 불곡 마애여래좌상 |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 칠불암 마애불상군 |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 배동 삼릉 | 일성왕릉 | 정강왕릉 | 지마왕릉 | 경애왕릉 | 포석정지 | 서출지 | 나정
계림 | 월성 | 내물왕릉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대릉원 | 오릉
황룡사지 | 분황사 모전석탑
명활성
※ 관련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512호
<colbgcolor=#315288> 경주 대릉원 일원
慶州 大陵園 一圓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 261 등
분류 유적건조물/무덤/고분군
면적 602,314㎡
지정연도 2011년 7월 28일
건축시기 신라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colbgcolor=#000> 경주역사유적지구
Gyeongju Historic Areas
Zones historiques de Gyeongju
<colcolor=#fff> 국가·위치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경상북도 경주시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976
등재연도 2000년
등재기준 (ii)[1], (iii)[2] }}}
1. 개요2. 발굴 경위3. 주요 출토 유물

[clearfix]

1. 개요

壺杅塚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고분군에 위치한 대형 고분이다.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이름이 새겨진 청동 호우(그릇)이 발견되어 호우총으로 이름 지었다.

2. 발굴 경위

1945년 일제가 패망하고 광복을 맞이한 후 처음으로 일본인 고고학자들이 아닌 한국인들의 손으로 발굴한 신라 고분이다. 일제강점기 고고학은 철저하게 일본인 학자들 위주였기 때문에 광복 시점에서 한국인 중에는 전문가가 전무했다. 그래서 시범적으로 호우총을 발굴한 것이라 한국 고고학사에도 의미가 크다.

신라의 전형적인 돌무지덧널무덤으로 금동관[3]과 금귀고리, 목걸이, 환두대도, 토기 등과 함께 청동제 호우(그릇)가 출토되었는데, 밑바닥에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시호가 새겨졌고 만주에 있는 광개토대왕릉비에 쓰인 정보와 일치해[4] 당시 고구려 신라의 교류가 활발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해당 호우명 그릇에는 연꽃 문양이 새겨져 있어 불교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신라 유물이기도 하다.
파일:호우명 그릇.png
호우명 그릇과 탁본.

이 그릇은 광개토대왕의 장례로부터 한 해가 지난 415년에 장수왕이 선왕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5] 바닥에 새겨진 글자는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으로 '을묘년(415년)에 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을 기념하여 만든 그릇 10개'[6]라는 뜻이다. 한마디로 광개토대왕의 제사를 위해 만든 제기인데, 어째서 신라로 흘러들어갔는지는 불명.

KBS 역사추적에서는 신라 내물 마립간의 아들 복호가 볼모로 잡혀있을 때 장수왕으로부터 하사받아 신라로 가져왔다고 추정했다. 이기환 기자는 복호가 고구려에서 신라로 귀국한 시기가 그릇 제작 3년 후인 418년이므로 이때 가져왔고 호우총이 복호의 무덤이라고 주장했다. #

위에 적힌 #자를 두고 광개토대왕을 상징하는 심볼이라고 해석하는 주장도 있으나 아직까지는 밝혀진 것이 없다. 백제 등 다른 국가 유물들[7]에서도 #같이 의미를 알 수 없는 기호들이 등장한다. 이를 20년 동안 연구한 여호규 한국외대 교수[8]에 따르면 운수대통, 대길 정도의 의미를 가진 것이라고 추측된다. #

3. 주요 출토 유물


[1]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2]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 [3] 순금 금관보다는 격이 약간 낮다. [4] 광개토대왕릉비에 적힌 시호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 호우명 그릇에 적힌 시호는 '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으로 거의 동일하다. [5] 즉 광개토대왕릉비와 마찬가지로 광개토대왕 생전이 아닌 장수왕 재위기에 제작한 것이며, 시험에서 이를 이용한 함정 문제가 출제되기도 했다. [6] 마지막의 '十'자를 공백을 채우기 위한 의미 없는 글자로 보기도 하지만, 태왕릉 출토 청동방울에 '신묘년호태왕릉조령구십육(辛卯年好太王陵造鈴九十六)'이라는 비슷한 구조의 명문이 새겨져 있음을 참고하면 호우명 그릇의 '십'은 '구십육'과 마찬가지로 그릇을 주조한 개수를 나타내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7] 대표적으로 백제의 초기 수도인 위례성으로 추정되는 풍납토성에도 #이 새겨진 토기들이 잔뜩 발굴되었다. [8] 고구려사 전문가이며, 해당 기호에 대한 최초의 단독논문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