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21e1f,#fff>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221e1f,#fff> | <colbgcolor=#fff,#1c1d1f><colcolor=#373a3c,#ddd> 남산 일원 |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 불곡 마애여래좌상 |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 | 칠불암 마애불상군 |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 배동 삼릉 | 일성왕릉 | 정강왕릉 | 지마왕릉 | 경애왕릉 | 포석정지 | 서출지 | 나정 | |
계림 | 월성 | 내물왕릉 |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
대릉원 | 오릉 | |||
황룡사지 | 분황사 모전석탑 | |||
명활성 | |||
※ 관련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
}}}}}}}}} |
1. 개요
8세기 ~ 9세기 경 경상북도 경주시 남산의 삼릉계곡에서 만들어진 통일신라시대 석조 불상. 현재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72-6에 소재 중이며, 대한민국 보물 제666호로 지정되어 있다.2. 내용
불상 높이 142㎝, 대좌 높이 96.7㎝, 총 높이 2.38m.
경주 삼릉계곡의 삼릉계 제6사지에 위치한 8세기~9세기 경 통일신라 시대의 석조 불상으로, 화강암을 조각하여 만들어졌다.
|
1910년 경의 모습[1] (1차 복원 전). 사진 출처 |
정확히 언제 이렇게 됐는지는 알 수 없으나 일제강점기 때 처음 발견되었을 당시에 이미 불상이 크게 손상되어 있었다. 광배의 경우 크게 파손되어 윗부분이 3분의 1 정도 결실된 상태로 방치되어 있었고, 몸통 또한 우측이 상당 부분 파손되었고 얼굴 또한 코 밑에서 턱까지 완전히 박살이 난 채로 참수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숭유억불 차원에서 유학자들이 불상을 끌어낸 후 목을 치는 일이 다반했는데 이 불상 역시 그때 변을 당했던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
|
1920년 경의 모습 (1차 복원 후). | 2차 복원 전. |
이후 일제에 의해 주변에 흩어져 있던 광배 파편과 불두를 모아 접합시켜 복원된다. 당시 복원 직후의 사진을 보면 광배의 상단부가 조각나 드문드문 붙여져 있고, 불두의 하관 부분이 아예 망실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후 1970년대 이전 누군가 이 신라시대 불상을 복구를 하려고 했는데 굉장히 엉성하게 작업을 해 버렸다.[2] 턱 부분을 대충 시멘트로 발라 머리 윗부분과 몸체를 이었고, 기존에 대좌 위에 올려놓았던 광배도 조각내 불상 뒤의 축대를 쌓는 데 썼는데 차라리 손보지 않음만 못한 수준이 되어 남산의 훌륭한 불상에 먹칠을 하고 만 것이다.
그렇게 잘못 복원된 상태로 방치되던 중, 1999년 들어 경주시에서 남산 종합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이 불상의 재복원을 추진하게 되었다. 이후 2006년 열암곡 석불좌상 등과 함께 복원이 확정되었고, 2007년 주변의 발굴조사와 함께 불상의 해체가 시작되어 2008년 불상의 2차 복원이 완료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없어진 광배 윗 부분을 복원했고, 불두의 하관 역시 통일신라 시대의 다른 불상을 참고해 새로 조각하여 현재 상태가 되었다.[3]
이 불상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어 석가불로 추정되며, 결가부좌를 하고 있다. 아래의 연화대좌는 크게 상·중·하대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대석은 넓직한 1장의 자연석이며, 상면 중앙에 8각의 각형 2단굄을 장식하고 중대석을 떠받쳤다. 중대석은 8각이며, 각 면에 안상(眼象)이 음각되어 있고, 상대석은 연화좌로서 8각의 각형 1단 받침을 갖추었다. 각 연판 안에 꽃무늬를 다시 장식하여 화사하게 처리하였으며, 연화대좌 위에는 광배가 꽂혀 있다. 광배는 통일신라 시기 흔히 제작되던 주형거신광[4]으로, 머리 부분의 두광과 몸 부분의 신광이 화염문·초엽문 등으로 꾸며져 있다.
이 불상은 머리와 몸을 따로 조각하고 이후 합치는 방식인 별조(別造)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이는 2007년 해체조사 때 발견된 사실인데, 두 개의 돌을 사용하여 머리와 몸을 따로 만들고 홈을 파 철 막대를 박아 서로 연결한 것이다. 이 방식은 통일신라시대 이후 조각된 석조 불상에서 종종 보이는 방식으로, 이렇게 제작된 불상들은 대부분 머리가 유실되어 있거나 후대에 접합한 경우가 많다.
환조(丸彫)에 가까울 만큼 양감을 강조한 이 불상은, 같은 장소에서 발견되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약사여래좌상과 양식이 비슷하지만, 힘이 줄어든 옷주름 선, 섬세하고 미려한 장식적인 무늬의 광배와 대좌 등을 통해 볼때 그보다는 좀 더 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불상의 제작 연대는 8세기 ~ 9세기로 추정하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1,200~1,300여년 전에 만들어진 한국의 석조 불상으로, 신라인들의 불교문화 및 석조공예술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며, 또한 일제강점기 당시 한국이 처했던 문화재 수난사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이에 1980년 6월 11일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 두산백과 :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 한국어 위키백과 :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 답사여행의 길잡이 2 - 경주 : 경주 삼릉계 석불좌상
- 답사여행의 길잡이 2 - 경주 : 삼릉골 석불좌상
4. 보물 제666호
삼릉계곡의 왼쪽 능선 위에 있는 이 석조여래좌상으로 화강암을 조각하여 만들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큼직한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자리잡고 있다. 얼굴은 원만하고 둥글며, 두 귀는 짧게 표현되었다.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의 옷주름선은 간결하고 아름답게 표현되었다. 허리는 가늘고 앉은 자세는 안정감이 있다. 대좌(臺座)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었는데, 상대에는 화려한 연꽃무늬를 조각하였으며, 8각 중대석은 각 면에 간략하게 눈모양의 안상(眼象)을 조각하였다. 하대는 단순한 8각대석으로 되어 있다.
8각의 연화대좌에 새겨진 연꽃무늬와 안상을 비롯하여 당당하고 안정된 자세 등으로 보아 8∼9세기에 만들어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큼직한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자리잡고 있다. 얼굴은 원만하고 둥글며, 두 귀는 짧게 표현되었다.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의 옷주름선은 간결하고 아름답게 표현되었다. 허리는 가늘고 앉은 자세는 안정감이 있다. 대좌(臺座)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었는데, 상대에는 화려한 연꽃무늬를 조각하였으며, 8각 중대석은 각 면에 간략하게 눈모양의 안상(眼象)을 조각하였다. 하대는 단순한 8각대석으로 되어 있다.
8각의 연화대좌에 새겨진 연꽃무늬와 안상을 비롯하여 당당하고 안정된 자세 등으로 보아 8∼9세기에 만들어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보인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1]
조선고적도보에 수록된 사진이다.
[2]
민간의 비전문가가 임의로 복원한 것으로 추정되며, 기도의 대상으로 삼기 위해 대강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 불상 말고도 민간에 의해 잘못 복원된 불상들이 여럿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익산 연동리 석조여래좌상이 있다.
[3]
불두의 복원은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 안계리 석조석가여래좌상, 장항리 석조여래입상, 경주박물관 소장 용장계 석불좌상, 영지 석불좌상 등을 참고했다.
[4]
舟形擧身光, 서양배 모양의 전신을 감싸는 광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