眼 눈 안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目,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ガン, (ゲン)
|
||||||
일본어 훈독
|
まなこ, め
|
||||||
-
|
|||||||
표준 중국어
|
yǎ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眼은 '눈 안'이라는 한자로, 신체 부위인 ' 눈'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눈 |
음 | 안 | |
중국어 | 표준어 | yǎn |
광동어 | ngaan5 | |
객가어 | ngién[1], ngián[2] | |
민북어 | ngǎing | |
민동어 | ngāng | |
민남어 | gán[文] / géng[白] | |
오어 | nge (T3) | |
일본어 | 음독 | ガン, (ゲン) |
훈독 | まなこ, め | |
베트남어 | nhãn |
유니코드에는 U+773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月山日女(BUAV)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目(눈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艮(괘이름 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보통 눈 자체를 가리킬 때는 目(눈 목)보다 眼을 더 많이 쓴다.
3. 용례
3.1. 단어
- 두정안( 頭 頂眼)
- 안경(眼 鏡)
- 안과(眼 科)
- 안구(眼 球)
- 안목(眼 目)
- 안압(眼 壓)
- 안약(眼 藥)
- 안정(眼 睛)
- 안정(眼 精)
- 개안( 開眼)
- 나안( 裸眼)
- 벽안( 碧眼)
- 별안간( 瞥眼 間)
- 심미안( 審 美眼)
- 안동(眼 同)
- 양안( 兩眼)
- 점안( 點眼)
- 착안( 着眼)
- 풍안( 風眼)
- 형안( 炯眼)
- 혜안( 慧眼)
3.2. 고사성어/ 숙어
- 무안인( 無眼 人)
- 백안( 白眼)
- 안고수비(眼 高 手 卑)
- 안공사해(眼 空 四 海)
- 안광지배(眼 光 紙 背)
- 안명수쾌(眼 明 手 快)
- 안목소시(眼 目 所 視)
- 안비막개(眼 鼻 莫 開)
- 안중무인(眼 中 無 人)
- 안투지배(眼 透 紙 背)
- 안하무인(眼 下 無 人)
- 천리안( 千 里眼)
- 청안( 靑眼)
- 현인안목( 賢 人眼 目)
3.3. 인명
- 데이간( 泥眼)
- 도쿠간류 마사무네( 獨眼 流 政 宗)
- 센겐 요시코( 千眼 美 子)
- 유겐마간( 幽 玄 魔眼)
- 유노마에 오토메( 湯 前 音眼)
- 이와모토 코간( 岩 本 虎眼)
- 타나카 간다무( 田 中 眼 蛇 夢)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 目(눈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