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1:56:24

OVA

OAV에서 넘어옴

1. 일본 애니메이션의 오리지널 비디오 애니메이션 줄임말
1.1. 명칭1.2. 특징과 역사1.3. 여담1.4. 목록
2. TRPG 룰 시스템

1. 일본 애니메이션의 오리지널 비디오 애니메이션 줄임말

Original Video Animation

텔레비전 방영이나 영화관 상영 등을 하지 않고 비디오 DVD 등의 매체로만 판매되는 애니메이션을 말한다. 한마디로 스핀오프라고 해도 무방하다. 보기 드물게 LD로만 나왔던 OLD 애니메이션도 존재하는데, 바로 가이낙스에서 제작한 불꽃의 전학생. 서양에서는 주로 OAV라고 한다.

반다이 비주얼의 와타나베 시게루(渡辺 繁) 프로듀서가 개발한 상법이다. 와타나베는 비디오 대여점에 가서 시장 조사를 하다 의외로 애니메이션이 인기가 많아서 대여율이 높다는 걸 알았다고 한다. TV 방영을 안 하고 비디오 대여나 판매만 해도 돈이 되겠다는 생각으로 이 비지니스를 만들었다고 한다.

그 외에 대부분의 야애니 또한 TV나 영화관 상영은 꿈도 꿀 수 없기에 OVA 형태로 제작된다. 비슷한 개념으로 극장 개봉 없이 바로 출시되는 비디오를 OV 혹은 V시네마라고 부르는데 야쿠자 영화나 에로영화가 주로 출시되며 요즘에는 특촬물도 V 시네마가 자주 나온다. OVA는 애니메이션에 한정해서 지칭하는 표현인데 그냥 비디오로만 나온 영상물을 전부 OVA라고 잘못 부르는 사람들도 은근히 많다.

사실 야애니와 일반 OVA는 2000년대 전까지는 의외로 수위 면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경우도 많았는데, 성기 및 성행위 묘사가 있냐 없냐 정도로만 야애니 판정을 매겼을 정도로 심의가 널널했기 때문이다.[1] 그래서 일반 애니메이션과 야애니의 제작인원도 당시에는 큰 차이가 없었고, 심하면 일반 OVA가 오로지 성행위 묘사만 빼고 야애니를 능가하는 강도높은 묘사를 선보일 정도로 막나가는 경우도 많았다. 특히 잔인성 수위는 일반 OVA 쪽이 야애니보다 훨씬 더 막나갔던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제노사이버 허계의 마수가 있다.

일본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미국 애니메이션도 인기 시리즈의 OVA를 내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도 계속 나오고, TV판 만큼이나 밥줄인 시리즈가 바로 스쿠비 두 시리즈 야채극장 베지테일. 다만 OVA라는 용어는 안 쓰고 “direct to video", "direct to DVD" 등의 용어를 쓴다. 극장 상영이나 TV 방영 없이 VHS/DVD로 출시되었다는 의미.

1.1. 명칭

OVA는 약어이며, 시대 및 지역에 따라 들어가는 단어 및 구성이 약간씩 달라져 아래처럼 표기가 여러개다. 뜻하는 건 모두 같으니 어떤 걸 쓰던 사용자 자유. 참고로 넓은 의미로는, 원작이 존재하지만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및 극장판과는 다른 미디어 매체로 전송되는 것들 또한 OVA로 부른다.

1.2. 특징과 역사

애니메이션에 거액을 지불하는 걸 마다하지 않는 마니아층을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을 만든 후, 직접 판매하여 수익을 얻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TV나 극장 상영에 비하면 적은 투자금 및 빠른 자금 회전이 매력인 유통 방식이다. OVA는 작화가 좋은 작품이 많아 돈이 많이 들어갔다고 오해하기 쉬운데 OVA가 작화가 좋은 건 돈이 아니라 시간이 풍부해서이다.[3][4] TV 애니메이션이나 극장 애니메이션은 스케쥴에 따른 납기가 있으나 OVA는 특별히 그런 게 없고 퀄리티를 올리기 위해서라면 연기를 해도 큰 손해가 없기 때문에 작업 스케쥴이 너그러웠다. 그럼 시간을 들여서 천천히 좋은 그림을 그려 제출해내면 작화에 문제가 생기지 않았다. 애니메이터는 대부분 월급을 받아가면서 일하는 게 아니라 그려내는 그림 당 단가를 받기 때문에 제작기한 늘어난다고 해서 인건비가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OVA는 주로 그림은 잘 그리는데 손이 느린 애니메이터, 본업이 따로 있고 부업으로 애니메이터를 하는 사람들이 주로 활동하였으며 이들은 OVA 비지니스가 축소되어서 많은 고충을 토로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TVA나 애니메이션 본편만으로는 별 수익이 없다. TVA란 마치 30분짜리 광고 같은 느낌으로 진행되는거라 실제 수익은 스폰서 회사가 취급하는 장난감, 피규어, 책, 음반 같은 상품의 판매로 얻는다. 하지만 OVA는 비디오 판매 자체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TVA와는 달리 잘 팔리게끔 오랜 시간과 돈을 들여 완성한 뛰어난 작화와 자극적인 내용이 일반적이다. 반대로 물리 상품들은 잘 안나오는데, 보통은 나와봐야 소량으로 생산되는 개러지 키트( 레진이나 소프트 비닐) 정도다.

스폰서 없이 작품 판매 수익만으로 돈을 벌어야 하므로 가격이 상상을 초월한다. 30분 정도 분량의 OVA 한 편당 그때(1980년대) 돈으로 대개 1만엔, 즉 10만원 정도였다. 7천엔 정도일 경우 아주 싼 OVA였다.

최초의 작품은 토리우미 히사유키 오시이 마모루가 공동 감독 한 1983년작 달로스. 달로스의 경우에는 원래 TV 방영용으로 제작을 진행하다가 TV 방영이 무산되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필름을 비디오 테이프로 팔았던 것인데 예상 외의 성공을 거두면서 우연찮게 OVA 시장을 개척하게 된다. 1권만으로 1만개를 판매하고 4권 전권 2만개 출하라는 히트를 기록, 판매만으로 제작비를(1억엔 추정)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게 되며 OVA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탄생시키게 되었다. 달로스는 세일즈용 비디오 업계에서도 1만엔을 상회하는 가격을 6800엔으로 낮춘 것도 화제가 되었고 이것이 성공의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OVA는 TVA의 같은 긴박한 제작비, 빡빡한 윤리규제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극장판과 같은 충분한 제작기간에 극장판에 드는 홍보비를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는 여러 장점등으로 인해 90년대 후반까지 애니메이션 비즈니스의 축으로 자리잡게 된다. 실패 부담이 적으면서도 표현의 자유를 보장 받을 수 있었기에 실험작을 제작하거나 인기 원작을 애니메이션 화 하기에도 좋은 플랫폼이었다. 스튜디오 피에로를 비롯한 제작사들은 1985년을 전후하여 OVA의 제작분량을 늘려나가기 시작한다.

이렇게 OVA는 TVA 비즈니스가 불투명해질때 생겨난, 오로지 판매 수익에 걸어야 하는 도박같은 비지니스로 버블경제와는 별 관련이 없다.[5] 굳이 버블경제와의 연관성을 찾자면 당시 일본 내에서 '잉여자본이 넘쳐흐르던 덕분에 수익이 보장되지 않는 문화상품이 거액의 투자를 받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며, '폭발적인 소득 증가 덕분에 상대적으로 고가인 문화상품에 기꺼이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소비자층이 두터워진 것'이 아니냐고 할 수는 있겠으나, 이렇게 되면 '경제적 여유가 충분한 호황기에는 모든 분야의 문화산업이 성장하기 쉽다'는 차원의 문제이지, OVA라는 특정한 사업 모델의 발전과 버블경제의 관계로 설명할 문제는 아니게된다. 그래도 어떻게든 연관성을 찾아보고 싶다면 버블로 인한 '초 호황기였기에 OVA와 같이 도박성이 강한 사업 모델까지도 투자를 받기 유리하지 않았겠느냐'(=잉여자본이 넘쳐흐르는 상황이 아니었다면 TVA로 낼 수 없는 작품은 그냥 제작을 포기하게 되었을 것이다) 고 말할수는 있겠지만, 여기까지 오면 맞냐 틀리냐를 따지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애매한 문제라 "뭐 그렇게 생각할수도 있겠네" 이상의 판단은 도저히 힘들다. 예를 들어, 나름 그럴싸한 설명이기는 하지만 상기된 것처럼 그러면 '왜 버블이 시작되던 시기에 오히려 TVA에 대한 투자가 줄었느냐?'는 반론에는 전혀 대응하기 힘들다. 박리다매도 불가능했으며 '애니메이션 왕국 일본이니까 많이 팔렸겠지'같은 생각과 달리 판매량은 대체로 1만개 수준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고작 애니메이션 1편에 어떻게 그만큼 돈을 쓰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당시는 마땅히 엔터테인먼트도 없었고 집에 VHS 데크를 갖출 정도의 매니아 층이라면 크게 문제는 되지 않는 가격 선이었다.

그러나 달로스가 최초 30분 6800엔이라는 가격을 제시한 것과는 달리 시장이 정착되자 가격이 1만엔 전후를 오갔으며, 이에 따라 제작비도 상승하여 결국 가격이 문제가 되고 말았다. 그래서 88년의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OVA에서는 전 6권 제작, OVA에 CM을 넣는 등 파격적인 시도를 통해 가격을 4800엔까지 낮추기도 하였다. 이런 시도는 27만 개라는 판매량으로 이어지며 OVA 구성과 가격의 새로운 표준으로 정립되었다.

OVA는 1995년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대히트로 심야 애니메이션 시스템이 정착하면서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한다. 제작위원회 덕분에 리스크도 줄어들었기 때문에 OVA에만 매달릴 필요가 없어졌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제작 공정이 발전한 것도 심야 애니메이션 발전에 일조하게 된다. 물론 세일즈 자체가 없어진 건은 아니고 오히려 고가의 DVD나 블루레이가 5만장 이상 팔리는 정도로 성장하던 시절도 있었다. 2005년을 전후하여 애니메이션의 제작 편수와 판매 매상고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며 정점을 찍게 되고 하강하게 되는데 이 시기를 일본에서 애니메이션 버블기(アニメバブル)라 칭한다.

지금은 제작위원회 시스템이 완전히 정착했기 때문에 이전과 같은 자주 제작형 완전 신작 OVA 같은 것은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 안도 마사히로 감독이 크라우드 펀딩으로 제작한 Under the dog 같은 사례가 있긴 하나 역시 사정은 다르다. OVA가 더 좋은 비즈니스 모델로 진화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이미 심야 애니메이션 시스템이 정착해 OVA로만 해야할 이유도 없어졌고 유튜브 넷플릭스의 성공으로 제작 배포의 제약도 사라졌기 때문이다. 넷플릭스 같은 경우는 OVA 수준으로 납기를 오래 줘서 장시간에 걸쳐 만들어내는 OVA 방식의 애니메이션을 만들기도 했다. 해외 애니메이션 사이트에서는 이러한 애니를 스케줄에 시달리는 TV 애니메이션과 동일 선상에 놓고 평가하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며 ' WEB 애니메이션', ' ONA'라고 부르기도 한다.[6]

단순히 세일즈 판매만으로 수익을 확보해야 했던 이전 OVA와 달리 우주전함 야마토 2199, 기동전사 건담 UC 같은 실질 OVA와 마찬가지의 제작환경에서 제작된 애니메이션을 인터넷에서 동시 VOD 배포를 하거나 극장에서 선행 시사를 개최하는 등 다채롭게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사실 심야 애니메이션은 내 돈내고 전파를 사서 방송하는 30분짜리 광고에 불과하기 때문에 TV방영 없이 충분한 인지도만 확보되었다면 헬싱 OVA, 스트라이크 더 블러드 같이 오직 판매용만으로도 여유롭게 제작되는 작품들도 존재한다.

1.3. 여담

애니플러스를 제외한 대한민국 애니 방송국에서는 이런 OVA의 수입과 편성을 상당히 꺼린다는 카더라가 있다. 편수가 짧아 편성을 날로 먹긴 힘들고, 대체로 OVA 작품들은 수위가 또 장난 아닌 데다,[7] 타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애니들에 비해 판권값도 비싼 편이라 '후속작'이라도 좀 꺼린다는 듯. 개국 초기에 영화 채널을 표방했던 대원방송 애니박스와 광고가 별로 없던 개국 초창기 투니버스와 초창기 애니맥스에서는 온갖 OVA와 극장판 애니메이션을 틀어주기도 했었다. 근래에 심의 강화와 수익성 문제로 인해 TV에서 거의 보기가 불가능해진 상황이다. 물론 2010년대 이후에도 OVA 더빙방영을 극소수이긴 하지만 하긴 한다. 그게 바로 애니박스에서 방영된 이토 준지 컬렉션의 후속작인 토미에 컬렉션 OVA인데, 정작 그보다 고작 1년 전에 같은 방송국에서 방영된 최유기 외전은 자막방영만 했고, 1년 후 바로 정식 TVA인 최유기 리로드 블래스트를 더빙방영하는 것으로 넘어간 걸 보면 같은 OVA인 데다가 같은 19세 등급인데 차이가 있는 걸 보면[8] 계륵에 가까운 존재라는 게 대한민국 방송국의 OVA 취급 상황이기는 하지만 어쨌든 결론은 심의 강화, 수익성 문제, 판권 계약의 복잡성 문제 이 세 가지가 큰 문제라는 게 중론인 건 변함없다.[9] OVA 더빙까지 동봉된 걸 볼 수 있는 방법은 대한민국 내에서는 미라지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발매되는 더빙작들뿐이다. 가장 대표적인 게 원펀맨 토라도라!. 이런 특징 때문에 한국에선 OVA 중 유명한 게 매우 적다.

반면 서양 특히 미국에서는 딱히 일본 장편 TV 애니메이션을 틀어주는 방송국도 없어서 [10] 애니메이션 팬들은 비디오 대여점으로 애니를 보는 게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OVA나 극장판 애니메이션으로 일본 애니메이션을 접하는 경우가 많았다. 같은 돈이면 짧은 시간에 완결되고 영상미가 뛰어난 OVA와 극장판을 보는 게 나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1세대 양덕후들에게 좋아하는 추억의 작품을 물어보면 OVA를 많이 거론한다.

' 파이오니아 LDC'[11]를 비롯해 과거 OVA로 유명했던 유통사가 2010년대 기준으로 대부분 파산해버린 상황이기 때문에 2000년대 이전의 OVA는 저작권이 소멸하거나 꼬여서 DVD, BD 발매가 안 되거나, 그냥 막 굴러다니는 경우가 많다. 이는 OVA 비지니스가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제작사보다는 유통사를 중심으로 돌아갔기 때문이기도 한데 제작사는 작품이 안 팔렸을 때 발생하는 손해의 리스크를 유통사에게 넘기고 작품의 제작비만 넘겨받는 대신 작품의 저작권을 유통사에게 위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유통사가 망해 저작권이 공중에 붕 떠버린 작품이 많다. 키타쿠보 히로유키는 자신이 만든 OVA가 통으로 다 떠다니는데 어찌할 방법이 없다며 니코니코 동화 사장에게 직접 항의하기도 했다. 네기시 히로시는 이러한 상황을 안타까워 하며 저작권이 공중에 뜬 OVA의 저작권 문제를 해결하는 사업을 하겠다고 한다.

PPV, OTT 같은 새로운 유통 방식이 생겨나면서 OVA란 분류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서양 애니메이션 사이트를 보면 TV 스페셜을 OVA로 분류하는 경우도 많이 보인다. 극장판보다 짧은 단편, 중편 애니를 OVA로 분류하는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

반면 특촬물 쪽은 여전히 OVA와 비슷한 스핀오프를 자주 내고 있다. 이것이 하이퍼 배틀 DVD나 V 시네마/V 시넥스트. 요즘은 극장판이나 V시네마/V시넥 쪽의 경우 극장에서 선행 공개 후 블루레이 등으로 공개하고 단편 쪽은 TTFC같은 공식 인터넷 사이트에서 공개한다.

1.4. 목록

2. TRPG 룰 시스템

OVA (Open Versatile Anime): the Anime Role-Playing Game. Wise Turtle Publishing에서 발간했으며, 비슷한 TRPG 시스템인 BESM과 같이 일본 애니 스타일을 재현하는 게 주특기인 시스템이다. BESM이 3판에서 d20 시스템을 도입하다가 과도하게 무거워져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린 반면, OVA는 계속 룰을 적절히 가볍게 유지한 결과 소수의 팬층만 갖고도 현재까지 지원되고 있다. 평가는 대체로 좋은 편이다.

작가의 결단으로 정해진 스탯이 따로 없고 겁스로 치면 장점과 단점이 스탯의 역할까지 겸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같은 장점은 최대 +5까지, 단점은 -3까지 얻을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캐릭터를 생성할 때 장점과 단점의 보너스/페널티 합이 5 이내여야 한다. 그리고 특정 행위를 판정할 때 해당 상황에 적합한 장점과 단점을 죄다 때려박아 아래 판정하게 된다.

주요 판정법 6면체 주사위를 2+(해당 장점 전부)+(해당 단점 전부) 개수만큼 굴려 가장 크게 나온 값이 결과값 (즉 보통은 6) 취급을 받되, 같은 값이 여럿 나오면 그것들끼리 더해 뭉쳐 한 값으로 취급해 최종 결과 판정에 반영한다. 예를 들어 10개를 굴려 1, 2, 2, 3, 3, 3, 4, 4, 5, 6 결과가 나오면 최종 결과는 가장 큰 값인 3끼리 더한 9가 된다. 단점의 페널티가 장점의 보너스보다 커질 경우엔 우선 장점과 단점의 합이 -1이면 주사위를 하나만 굴리게 되며, -2부터는 주사위 개수가 다시 하나씩 늘어나되 모든 주사위를 굴려 가장 낮은 값을 택한다. 이 경우 같은 값이 여럿 나와도 더하지 않는다.

기초 시스템이 확립된 1판은 2005년에 나왔으며, 룰을 적절히 필요한 만큼 손질한 최신 판본인 2판은 킥스타터 모금에 성공한 뒤 2015년 전반기에 나왔다. 단 종이책(25.00$, 세금제외)의 경우 소량 인쇄한 만큼 쉽게 구할 수 있는 pdf(15.00$)와는 달리 주문인쇄를 하거나 현지 TRPG 서점에 우연히 비치되어 있기를 바랄 수 밖에 없다(사실 현재 대부분의 소형 TRPG 출판사는 대개 이렇다).
[1] 1980년대까지는 심지어 저녁 시간대에 편성되는 TV 애니메이션에도 가슴 노출 등이 아무런 검열 없이 심심찮게 나오는 정도였다. [2] ODA로도 혼용된다. [3] 옛날 TV 애니메이션이 한 명의 연출가와 한 명의 작화감독이 1회를 담당할 때 납기 시간은 대략 1달이었다. OVA는 짧으면 2개월에서 4개월이 걸리며 자이언트 로보 같은 작품은 년 단위로 시간을 쓰기도 했다. 작화가 극장판 급인 자이언트 로보 THE ANIMATION 같은 경우도 그렇게 많은 돈이 들어가진 않았다고 한다. [4] 안노 히데아키 감독은 OVA 초기엔 돈을 많이 들인 작품도 많았지만 천사의 알 트와일라잇 Q 같은 작품이 실패하고 저예산으로 만든 기동경찰 패트레이버가 성공하면서 OVA의 투자금이 확 줄었다고 한다. # 평론가 오구로 유이치로 BIRTH의 실패도 이유라고 하기도 했다. [5] 버블 경제의 덕을 봤다면 애시당초 달로스가 TVA로 방영되었어야 하는 것이 타당하며, 버블 이전에도 TVA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것도 설명할 수 없다. [6] WEB은 일본과 한국에서 주로 쓰고 ONA는 서양에서 주로 쓴다. [7] 이 때문에 원래 7세 이상이었던 것이 15세 이상이 되는 애니가 꽤 있었다. [8] 사실 최유기 burial도 있는데 이건 방영 자체조차도 안 했다. [9] 실제 신동식 피디가 현역일 때는 익셀리온 작업시에는 편수도 짧은 주제에 작중에 노래 부르는 씬이 있어서 제작비 생각부터 났다고 하거나 웨딩 피치 OVA를 작업할 때는 역시 편수도 짧은 편인데 출연도 얼마 하지 않으면서 성우가 베테랑인 통통을 캐스팅할 때 그냥 전속으로 떼우기엔 기존 캐스팅이 너무 반응이 좋으니까 바꾸기엔 또 난감해서 통통을 살리고 더 비중없는 남자 캐릭들과 역시 잘 나오지도 않는 사루비아의 캐스팅을 변경했었어야 했다고 한 적이 있다. 엘하자드 때도 전속 성우들이 전부 프리가 돼서 제작비가 올라가는데, 시청자들은 캐스팅 변경을 잘 원하지 않으니까 그대로 살려야 해서 힘들었다고 피시통신 시절에 글을 쓰기도 했다. [10] 미국에서 일본 애니메이션을 제대로 방송하기 시작한 건 1990년대 후반이었다. 그 전에는 틀어줘도 미국용으로 로컬라이징한다고 작품을 난도질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로보텍이나 볼트론 같이 로컬라이징이 잘 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TV 애니메이션은 별로 인기를 끌지 못했다. [11] 현재는 유니버설 픽처스에 인수되어 NBC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재팬으로 존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