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22:51:38

NHK 종합 텔레비전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6d6d6><tablebgcolor=#ffffff,#1c1d1f>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지상파 방송국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운영 주체 방송국
공영 · 공공
NHK TV 종합 · 교육
라디오 제1방송 (종합) · 제2방송 (교육) · FM (음악)
민영방송
닛케이 신문 TV 방송망: TXN (종합)
방송국: 테레비 도쿄 ( 간토 / 키국) · 테레비 오사카 ( 간사이 / 준키국)
라디오 라디오 닛케이 ( 단파)
마이니치 신문
([[TBS 홀딩스|{{{#ffffff TBS 홀딩스}}}]])
TV 방송망: JNN (종합)
방송국: TBS 테레비 ( 간토 / 키국) · MBS ( 간사이 / 준키국)
라디오 방송망: JRN
방송국: TBS 라디오 ( 간토) · MBS 라디오1) ( 간사이)
아사히 신문 TV 방송망: ANN (종합)
방송국: 테레비 아사히 ( 간토 / 키국) · ABC 테레비 ( 간사이 / 준키국)
라디오 ABC 라디오1) ( 간사이)
요미우리 신문 TV 방송망: NNN ( 뉴스) · NNS (기타)
방송국: 닛폰 테레비 ( 간토 / 키국) · 요미우리 테레비 ( 간사이 / 준키국)
라디오 RF 라디오 일본 ( 간토 / 요코하마 소재 독립국)
후지산케이
(산케이 신문)
TV 방송망: FNN ( 뉴스) · FNS (기타)
방송국: 후지 테레비 ( 간토 / 키국) · 간사이 테레비 ( 간사이 / 준키국)
라디오 방송망: NRN
방송국: LF 닛폰 방송2) ( 간토) · OBC ( 간사이)
기타 방송대학3)
TV 독립방송협 · 민교협
라디오 QR 분카 방송2) 4)
JFN ( FM 도쿄 / FM 오사카)
JFL ( J-WAVE / FM 802)
MegaNet ( InterFM897 / FM Cocolo)
친목단체: 화요회 · 전국 FM 연합
기타: 공동체 라디오
각주 1) JRN, NRN 동시 가맹.
2) NRN 공동 키국
3) 간토 지역에서 지상파 송출
4)후지산케이 소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V 지상파 채널
[[NHK 종합 텔레비전|
파일:NHK G 로고.svg
]]
[[NHK 교육 텔레비전|
파일:NHK E 로고.svg
]]
위성 채널
[[NHK BS|
파일:NHK BS 로고.png
]]
[[NHK BS 프리미엄 4K|
파일:NHK BSP4K 로고.png
]]
[[NHK BS8K|
파일:NHK BS8K 로고.svg
]]
라디오 중파방송 FM방송
[[NHK 라디오 제1방송|
파일:NHK 라디오 제1방송 로고.svg
]]
[[NHK 라디오 제2방송|
파일:NHK 라디오 제2방송 로고.svg
]]
[[NHK-FM|
파일:NHK-FM 로고.svg
]]
국제방송 TV 단파방송
[[NHK 월드 JAPAN|
파일:NHK 월드 JAPAN 로고.svg
]]
[[NHK 월드 프리미엄|
파일:NHK 월드 프리미엄 로고.png
]]
[[NHK 월드 라디오 일본|
파일:NHK 월드 라디오 일본 로고.svg
]]
(북미 제외 전세계)
기타 OTT 제작사
[[NHK+|
파일:NHK+ 로고.svg
]]
[[NHK 엔터프라이즈|
파일:NHK 엔터프라이즈 로고.svg
]]
폐국
[[조선방송협회|
파일:조선방송협회 로고.png
조선방송협회]]
[[JSTV|
파일:JSTV 로고.webp
]]
[[TV JAPAN|
파일:TV JAPAN 로고.png
]]
관련 문서
프로그램 목록 · 지역 프로그램 목록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2800><tablebgcolor=#fff,#1f2023> 파일:NHK G 로고.svg NHK 종합 텔레비전
NHK総合テレビジョン
}}}
<colbgcolor=#ff2800> 약칭 NHK総合テレビ(NHK 종합 테레비)
NHK総合(NHK 종합)
NHK G
국가
[[일본|]][[틀:국기|]][[틀:국기|]]
개국 1953년 2월 1일
호출부호 JOAK-DTV (도쿄)
방송망 NHK 네트워크
채널 NHK G
채널
번호
ATV 1 '''
도쿄
'''
DTV 27 '''
도쿄
'''|1, 3 '''
가상
'''
방송
품질
화질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2800,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HD 1080/60i)][1],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2800,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486-line)][A]
1-seg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2800,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240/15p(QVGA))]
음향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2800,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2 AAC)],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2800,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FM EIAJ MTS 스테레오)][A][4]
운영/소속 일본방송협회
링크 파일:NHK G 로고.svg NHK 종합 텔레비전

1. 개요2. 특징3. 현재 방송 프로그램
3.1. 뉴스3.2. 토크, 와이드방송3.3. 드라마3.4. 다큐멘터리, 교양, 버라이어티3.5. 음악3.6. 애니메이션
4.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 공영방송 NHK의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

EPG에 표시되는 로고와 방송 중 화면 오른쪽 위에 표시되는 워터마크는 NHK G로, G는 영어로 '종합'을 뜻하는 general을 의미한다. 하지만 NHK G라고 그대로 읽는 사람은 없고 종합 테레비 또는 '종합'이라고만 한다.[5] 일본 사람이 NHK라고만 말하면 이 채널을 말한다.

종합(総合, 총합)의 '종'자가 모을 종()이 아니라 거느릴 총()인 이유는 일본 상용한자에 모을 종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2. 특징

'종합'이라는 간판에 걸맞게 온갖 장르의 프로그램을 다 방송한다. 여러가지 채널이 있는 BBC KBS1 KBS2로 분리되어 둘 다 종합편성 채널이지만 편성 장르에 차이를 두는 KBS와는 달리 NHK는 지상파 TV방송이라고 해봐야 종합과 교육 두 개 뿐이기 때문에 교육방송스러운 내용이 아닌 나머지 장르는 모두 종합 채널에서 방송한다. 정규 편성 프로그램 이외에도 이따금씩 프로야구 스모 등의 스포츠, 국회중계 등을 한 채널 안에서 죄다 방송해야 하기 때문에 정규 편성 프로그램의 결방이 잦다.[6] 당연히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도 편성하지만 외국 드라마와 영화, 심야 애니메이션 정도를 빼면 민방에 비해 수위가 크게 낮거나 장년층 이상 취향에 맞추기 때문에 젊은층 사이에서 시청률은 크게 낮은 편이며, 타 민방에 비해 편성비중도 낮은 편이다. 1960년대에 시청률 조사를 시작한 이래 1980년대 중반까지는 시청률 부동의 1위 채널이었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는 민방과 엎치락 뒤치락 하고 있다.

다만 애니메이션은 주로 NHK 교육 텔레비전이나 NHK BS 프리미엄에서 방송하기 때문에 주 1~2회 정도나 편성될 정도로 찬밥 신세다. 그러다 2016년 4분기 신작인 3월의 라이온을 기점으로 종합 채널에서도 심야 애니메이션 제작을 조금씩 늘려 가더니 급기야 2018년 3분기에는 기존 1, 2기가 MBS 테레비에서 방송되었던 진격의 거인 3를 이어받는다!

KBS 1TV처럼 상업 광고는 일체 하지 않고 가끔 프로그램 사이에 1~2분짜리 프로그램 예고를 한다. 그런데 이마저도 거의 하지 않고 한 프로그램이 끝나면 바로 다음 프로그램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이건 KBS 1TV도 마찬가지. 뉴스 후에는 무조건 다음 방송으로 바로 넘어간다.

가정이나 학교에서 방재교육을 할 때 재해가 일어나면 일단 TV 켜고 NHK에 채널을 맞춰두라고 교육할 정도로 지진은 물론 화산분화와 호우, 폭설, 강풍, 용오름(竜巻)[7] 등의 기상재해 및 대형사고 등의 상황에서 재난방송을 적극적으로 실시한다. 민방에서는 방송권역 내에 있는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한 경우에만 긴급지진속보를 전하지만 NHK는 일본 전역에 대해 긴급지진속보를 전한다. 2005년 후쿠오카 지진 때 같이 흔들렸던 경남지방에서 NHK를 틀어놓은 경우가 있었다고 하더라[8] 또, 다른 채널에서 자막으로만 진도 정보를 내보내는 정도의 규모의 지진에도 NHK 혼자 방송 끊고 지진 관련 속보를 30분 이상 내보낸다. 특히 동일본 대지진 당시에는 15초만에 긴급지진속보가 방송되고, 1분 20초만에 정규방송을 중단하고 특별뉴스를 개시했는데, 도쿄 기준으로 지진파가 뉴스센터 방송 시작 15초 후 도쿄에 도착했다. 당시 영상을 보면 자동방송 개시 이후 국회 중계 카메라가 흔들리는 게 보인다.[9]

종합 채널이지만 시청을 위해선 지상파와 별도의 수신계약이 필요한 NHK BS NHK BS 프리미엄 4K의 홍보와 프로그램 예고를 하고 있다.[10]

의외로 아침방송에 강하다. 일본인들 사이에서도 '평소에 NHK 따위를 누가 보냐'는 인식이 있긴 하지만 아침시간대의 간판 프로그램인 ' NHK 뉴스 오하요 닛폰'이 있기 때문.[11] 이 프로는 5시부터 8시까지 방송되는 아침 뉴스프로인데, 출근길 직장인들에게 유용한 맞춤정보를 방영해주기 때문에 정보창구로서 틀어놓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아침뉴스에서 익히 볼 수 있는 '뉴스 시작 직후 날씨 예보 편성'이나 '수도권 교통정보' 같은 포맷이 다 여기서 나왔다. 그리고 오하요 닛폰이 끝난 후에는 ' 연속 TV 소설' → 생활·정보 프로그램인 아사이치(あさイチ)로 넘어가서 시청자들을 점유하는 구조이다.

2024년 노토반도 지진으로 인해 노토반도 지역의 방송망이 피해를 입어, 2024년 1월 10일부터 한시적으로 가나자와 방송국 방영분을 BSP에서 쓰던 위성 103번 채널으로 릴레이 방영중이다.

3. 현재 방송 프로그램

3.1. 뉴스

3.2. 토크, 와이드방송

3.3. 드라마

3.4. 다큐멘터리, 교양, 버라이어티

3.5. 음악

3.6. 애니메이션

4. 여담

소재지ㆍ가청권역 방송국 네트워크
홋카이도 홋카이도 방송 JNN
아오모리현 아오모리 방송 NNN
센다이 방송국(미야기현) 도호쿠 방송 JNN
도야마현 기타니혼 방송 NNN
주쿄광역권 도카이 테레비 FNN
돗토리현 · 시마네현 니혼카이 TV 방송 NNN
도쿠시마현 시코쿠 방송
후쿠오카현 규슈 아사히 방송 ANN
가고시마현 미나미니혼 방송 JNN

[1] 1440Χ1080(4:3). FHD도 당연히 지원하나 한국처럼 모든 프로그램에 FHD 1080i를 적용하는 건 아니고 일부 프로그램만 1920Χ1080(16:9) 사이즈로 제작하고 있다. [A] 1953년 2월 1일 ~ 2011년 7월 21일. 대지진의 영향을 받은 도호쿠 3현(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은 8개월 뒤인 2012년 3월 31일까지 송출했다. NTSC-J 방식의 486-line/59.94㎐ 컬러 텔레비전 방송은 1957년 12월 28일 도쿄에서 먼저 시험방송을 시작해 1960년 9월 10일 도쿄, 오사카에서 본방송을 개시했으며 이후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A] [4] 아날로그 음성다중 시험방송은 1969년 12월 21일에, 스테레오 시험방송은 1970년 8월 9일에 개시해 1982년 12월 17일부터 본방송을 시작했다. 디엠파시스 값은 75μs였으며, 스테레오로 제작되지 않은 프로그램은 종전처럼 모노럴 사운드로 방송되었다. [5] 화면 상단에도 띄워 주므로 모를 수가 없다. [6] 가끔 스포츠 중계 중에 긴급하게 뉴스를 방송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스포츠 중계를 교육채널로 넘긴다. [7] 일본에서는 토네이도 급의 초특급 돌풍이 불때 이 단어를 쓴다. 둘다 같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그냥 강풍과 토네이도는 급이 다르다. [8] 당시 KBS 1TV에서 지진관련 자막 띄운 게 지진발생 20분 후였는데 NHK는 이미 헬기띄워서 운행 중지한 신칸센 옆 선로에 대피해 있는 사람들을 생방송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9] 뉴스센터 전환 이후에도 아나운서는 침착하지만 '지금 도쿄 시부야의 스튜디오가 심하게 흔들립니다' 라고 하고, 카메라 뒤에서는 진동 때문에 스태프들이 당황스러워하는 소리까지 들린다. [10] 참고로 NHK 수신료에서 위성 수신 계약(지상파 수신 계약 포함)은 지상파 수신 계약에 비해 2배가량 비싸다. [11] 우리나라에 비슷한 프로그램의 예를 들자면, KBS 뉴스광장+ 모닝와이드로 생각하면 된다. 국가기간 방송사이기 때문에 일본 공항, 항만, 역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출도착 로비의 대합실에 틀어놓는 경우가 많다. TV가 여러 대 있으면 NHK+민방 조합으로 틀어 놓기도 하고. 단 나리타 국제공항에서는 NHK World Japan채널을 틀어 놓는 경우도 있다. [12] 07시 45분 이후 지역국별 방송 [13] 07시 30분 이후 권역별 방송 [14] 07시 30분 이후 특집 or 인터뷰 여기에서 [15] 수도권 한정으로 방송되는 프로그램으로, 수도권 뉴스는 물론이고 도움이 되는 알짜 생활정보까지 발굴해 내는 프로그램. 18시대 각 도도부현별 프로그램도 비슷한 내용이다. [16] 수도권 네트워크를 송출하는 마에바시국(군마), 도치기국 및 홋토 간사이를 송출하는 교토국, 와카야마국, 오쓰국(시가), 고베국(효고), 나라국은 18시 30분부터 자체방송, 홋토 뉴스 홋카이도(삿포로발)를 송출하는 홋카이도 지역 방송국은 6시 40분부터 개별 방송 진행 후 6시 55분부터 다시 삿포로발 홋토 뉴스 홋카이도 방송 [17] 저녁 6시부터 10분간 전국 뉴스 송출 후 지역별 방송 시작 [18] 18시 10분까지 수도권 네트워크를 방영한다. [19] 마룻토를 송출하는 쓰국(미에 현), 기후 방송국 및 로쿠이치! 후쿠오카를 송출하는 기타큐슈국은 6시 30분 이후 개별 방송 [20] 로컬 프로그램으로 각 지역별로 지역별 뉴스가 송출. [21] 간사이 지역은 평시 토요일에 6시 05분부터 홋토 간사이세터데이 방영 [22] 일부 지역은 토/일 6시 53분~55분 전국 기상정보 방영 X [23] 각 지역별 자체 방송 [24] 약 10분간 하나의 뉴스를 정해 시청자들이 알기 쉽게 해설해주는 프로그램이다. NHK 해설주간들이 무작위로 출연. [25] 전날 BS1 방송분 [26] 국가간 제1공영 교류협력 협약이 있기 때문에 각 국가의 대표 방송끼리는 뉴스화면 등을 공유한다. BBC, NHK, KBS, CCTV, VTV 등. 다만 프랑스는 TF2, 독일은 ZDF, 필리핀은 ABS-CBN이 들어와 있다. [27] 현 다큐 인사이트의 전신. [28] 한국으로 치면 열린음악회와 비슷하나, 우타콘은 전신 프로그램들을 포함하면 5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 [29] KBS 전국노래자랑과 거의 같은 포맷이나 생방송으로 진행된다. 제2차 세계대전 직후부터 방송되었다. [30] 간혹 오전 0시 35분 ~ 1시에 1작품 추가 편성되는 분기도 있다. [31] 2016년 10월부터 2018년 3월까지는 매주 토요일 오후 11시 ~ 11시 25분 편성. [32] 간사이 지역 한정으로 35분 늦은 오전 0시 45분 ~ 1시 10분 편성(2018년 4월부터 2019년 4월까지는 40분 늦은 오전 0시 50분 ~ 1시 15분 편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