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13:55:05

Ki-43 하야부사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육·해군 항공병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육군
항공대
단좌 전투기 Ki-27,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 Ki-87, ◈ Ki-88, ◈ Ki-94, ◈ Ki-98, Ki-100, †ⓩ Ki-162, ◈ⓩ Ki-200 슈스이, ◈ⓩ Ki-201 카류, †ⓩ Ku-4
복좌 전투기 Ki-45 토류, ◈ Ki-83, Ki-102, ◈Ki-93
폭격기
습격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BR.20 치코냐, Ki-21, Ki-30, Ki-32,
Ki-48, Ki-49 돈류, Ki-51, Ki-67 히류, † Ki-91
자살 공격기 Ki-115 츠루기
훈련기 Ki-9, Ki-6, Ki-17, Ki-55, Ki-54, Ki-79, Ki-86
정찰기 Ki-16, Ki-36, Ki-46
해군
항공대
<colbgcolor=#2f4f2f> 함재기 <colbgcolor=#2f4f2f> A 함상
전투기
A5M, A6M 제로센, A7M 렛푸,† 20시 갑전투기,† N1K3-A 시덴 카이 二
B 함상
공격기
B5M, B5N, B6N 텐잔, B7A 류세이
C 정찰기 C3N, C5M, C6N 사이운,▼ D4Y1-C
D 함상
폭격기
D1A, D3A, † D3Y 묘조, D4Y 스이세이
E 수상정찰기 E2N, E7K, E9W, E10A, E13A, E14Y, E15K 시운, E16A 즈이운
F 수상관측기 F1M, F1A
G 육상공격기 G3M, G4M, G5N 신잔, G8N 렌잔, † G10N 후가쿠
H 비행정 H6K, H8K, H11K 소우쿠
J 국지전투기 J1N 겟코, J2M 라이덴, †J3K 17시 국지전투기, ◈ J4M 센덴, ◈ J5N 텐라이, ◈ J6K 진푸, ◈ J7W 신덴, †ⓩ J7W2/J7W3 신덴 카이, ◈ⓩ J8M 슈스이, ◈ⓩ J9Y 킷카, ▼ N1K-J 시덴, ▼ N1K2-J 시덴 카이, ▼ N1K3-J 시덴 카이 一, ▼ N1K4-J 시덴 카이 三, ▼† A7M3-J 렛푸 카이
K 훈련기 K5Y, K9W 코우요, K10W, K11W 시라기쿠, ▼ A6M2-K, ▼ M6A1-K 난잔
L 수송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DC-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L2D, L3Y, L4M, ▼ H6K-L, ▼ H8K-L 세이쿠, ▼ H11K-L 소우쿠, ▼ G5N2-L 신잔 카이
M 특수공격기
MX 특수활공기
MXY-7 오카, ◈(제식명 불명)N 토카, M6A 세이란, D4Y4 스이세이
N 수상전투기 N1K 쿄후, ▼ A6M2-N
P 폭격기 P1Y 긴가
Q 초계기 Q1W 토카이, Q2M 타이요, †Q3W 난카이
R 육상정찰기 R2Y(세이운, 케이운), ◈ⓩ R2Y2 케이운 카이, ▼ J1N1-R
S 야간전투기 ◈S1A 덴코, ▼ J1N-S 겟코, ▼ P1Y1-S 바야코, ▼ P1Y2-S 쿗쿄, ▼ D4Y2-S 스이세이
<colbgcolor=#000000> 노획 항공기 파일:소련 국기.svg LaGG-3-8, I-16, 투폴레프 SB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F2A 버팔로, P-40, B-17(D/E), P-51C, F4U 콜세어, F6F 헬캣, 커티스 BT-32, CW-21, DB-7, 마틴 139
파일:영국 국기.svg 호커 허리케인, 브리스톨 블렌헤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로부터 수입한 기체 하인켈 72, A7He, AxHe, 하인켈 He 119, 융커스 Ju 87 슈투카, 메서슈미트 Bf 109E-7, 포케불프 Fw 190A-5, 메서슈미트 Me 210 A2, 메서슈미트 Me 410, ⓩ 메서슈미트 Me163, †ⓩ 메서슈미트 Me 262, † 포케불프 Ta 152, † 융커스 Ju 390, † V2 미사일
글라이더, 무동력기, 미사일 Ki-147, † Ki-148, † MXY8 아키구사
◈ 시제, 프로토타입 / † 페이퍼 플랜, 수입 실패 / ⓩ 제트 혹은 로켓 엔진 장착기 / ▼ 타 목적 기체를 유용함
국지전투기: 일본군이 운용했던 본토 방어 및 폭격기 요격 전용 전투기. 요격기 문서 참조.
※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거나 이 틀에 기재되지 않은 일본군의 항공병기 전체 목록은 일본 항공병기 설계안 문서 참조.
연합군(특히 미국)이 대전기의 일본 항공기를 지칭할때 사용했던 코드에 대해서는 연합국 코드명 문서 참조.
템플릿:일본 제국의 항공병기를 참조해 주세요. 전반적인 내용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Nakajima_Ki-43.jpg
陸軍 一式戦闘機 キ43 隼
1. 개요2. 제원3. 개발사4. 배치 및 활약5. 여담6. 사용 국가7. 미디어 등장8. 둘러보기

1. 개요

Ki-43 비행 영상
일본 제국 육군 제2차 세계 대전에 운용했던 전투기로 공식명칭은 육군 1식 전투기였으며 연합국 코드명 오스카(Oscar)이다. A6M이 당대 일본군 해군 전투기의 상징이었다면 하야부사는 육군이 제로센에 맞서 내세울 수 있는 전투기였다. 육군에서 부여한 명칭인 ' 하야부사'는 송골매의 일본어 발음.

2. 제원

Ki-43 2형 乙 (キ43-II乙)

전장: 8.92m
전폭: 10.84m
전고: 3.27m
주익면적: 21.4m²
익면하중: 121kg/m²
자체중량: 1,910kg
전비중량: 2,590kg
엔진: 나카지마 사카에 복열 14기통 공랭식 성형엔진, 공칭 1,150마력
최대속도: 530km/h(고도 4,000m)
항속거리: 1,760km
무장: 기수 상면에 12.7mm Ho-103 기관총 2정 (탄약 250발)||

3. 개발사

중일전쟁무렵 일본 육군의 주력기는 1937년 최종 경합에서 승리하여 배치된 나카지마 비행기(이하 나카지마 사)에서 제작한 육군 97식 전투기 Ki-27이었다. Ki-27은 일본군 육군이 최초로 채택한 저익단엽 전투기로 중일전쟁에서 꽤 활약했지만 고정식 랜딩 기어를 채택했을 정도로 기술적으로는 미흡한 부분이 많았다. 일선에서의 평가는 꽤 좋은 편이었으나 언제까지 Ki-27 수준에 만족할 수는 없었으므로 채택이 끝난 직후 바로 차기 전투기 사업을 진행했다.

보통 차기 전투기 사업은 공고를 내고 여러 업체들이 제작한 시제기들이 경합을 벌여서 가장 우수한 항공기를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인 절차였다. 하지만 Ki-43은 이러한 절차없이 그냥 Ki-27을 제작한 나카지마사에 시속 510km, 항속거리 800km 조건을 주고 전적으로 맡겨버리는 형태로 진행됐다. 의뢰를 받은 나카지마사는 1939년 초에 마침내 시제기를 완성하여 시험비행에 성공시켰다. 하지만 이 때 제작된 시제기는 기존 주력기인 Ki-27에 비해 기동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시험비행에 참여한 조종사들은 온갖 악평을 늘어놓기 시작했고, 육군에서도 이를 근거로 신형 전투기 채택을 거부했다.

이 문제로 나카지마사는 한동안 골머리를 앓을 수 밖에 없었는데 결국 주익을 재설계하고 일명 "버터플라이 플랩"[1]이라 불리는 공중전 플랩을 장착하면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 버터플라이 플랩은 공중전시 주익 아랫면의 작은 플랩을 펼쳐서 주익의 양력을 증가, 저고도 기동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조종사들의 입맛에 딱 맞는 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그 결과 차기 전투기로 채택되는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

4. 배치 및 활약

이렇게 하야부사의 양산과 배치가 결정된 것은 1941년 4월로 이 때가 황기 2601년이었으므로 '육군 1식 전투기'란 공식적인 명칭이 붙게 됐다. 여기에는 해군의 제로센이 1940년에 양산되어 0식 함상 전투기가 됐으니 육군에서는 해군보다 더 최신 전투기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1식 전투기로 붙였다는 설도 있다. 어찌됐든 기동성 향상 문제로 양산이 좀 늦어졌던 까닭에 태평양 전쟁 초기에는 아직 제대로 배치되지 못한 상황이었고, 이로 인해 개전 초기 일본군 육군의 실질적인 주력기는 Ki-27이었다.

이 무렵 일본의 남방작전에 대항하고 있던 연합군의 주력전투기는 F2A 버팔로였다. 당시 연합군은 본토가 오락가락하던 영국의 사정과 전쟁준비가 미처되지 않은 미국의 사정이 겹친 것도 있고, 일본의 항공기술력을 얕잡아보고 있었기에 이 정도 기체면 쌈싸먹고도 남을거라 판단했다. 물론 개전 초기 주력이던 Ki-27을 상대로는 어떻게든 해볼 수 있었을지 모르나 신예기 Ki-43에게는 역부족이었고, 동남아 지방에 배치된 연합군 조종사들의 실력도 중일전쟁에서 경험을 쌓은 일본군 조종사들에 비하면 형편없었기 때문에 그야말로 탈탈 털리고 말았다.

다만 당시 육군에서는 신형 전투기의 존재 자체를 극비에 붙였기 때문에 연합군은 물론이고 일본 내부에서도 그 존재가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황이었다. 반면 해군에서 운용하던 제로센은 이미 대외적으로 인지도가 올라간 상태였고, 결정적으로 하야부사는 제로센에 비해 약간 가냘프게 생겼다는 점을 제외하면 쉽게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하게 생겨먹은 특징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연합군은 Ki-27이 아닌 저익단엽기를 보면 죄다 제로센으로 보고해버렸고, 이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일이지만 연합군을 상대로 완벽한 연막을 치게 되는 효과를 얻었다.(...)

하지만 라이벌(?)인 해군의 제로센에 사람들의 찬사가 쏟아지고, 약이 바짝 오른 육군은 결국 1942년 공식적으로 하야부사의 존재를 공표하고 제로센 못지 않은 맹활약을 펼친 기종이라면서 대대적인 선전을 하기 시작했다. 이런 이유로 중국전선이나 동남아 전선 초창기, 일본 해군이 작전하지 않은 곳에서 그 유명한 플라잉 타이거즈같은 부대에서 교전하고 격추시킨 일본 단엽 전투기는 보고와는 달리 제로센이 아니라 하야부사일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 통칭 '카토 하야부사 전투대' 로 유명한 64전대는 지상 레이더와 숙련된 조종사를 앞세워 항복하는 날까지 영국 및 미국의 신예기와 전투하면서 대등한 킬레이쇼를 달성했다.

또한 미군 등의 전투기에 비하면 방어력이나 생존성에서 한 수 아래로 일본기 일반의 방어력과 내구성 부족의 평가에서 벗어날 수 없겠지만, 그래도 원샷 라이터로 악명을 날린 해군기들과 비교하면 조종석 보호장치와 같은 기본은 갖췄을 정도로 신경은 썼다. 그런데 이렇게 최소한의 기본을 갖출 수 있었던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도조 히데키가 강력히 주장한 결과였다고 한다. 또 해군기들처럼 '장대한 항속거리'에 목숨거느라 아무 안전설비도 없이 익내 연료탱크를 달고다니는 상태는 아니었으니 그나마 나았을지 모른다.

물론 기본적으로 제로센과 비슷한 시점에 등장한 기종이고, 엔진기술이 받쳐주지 않는 채 경량화를 통한 고기동성을 추구한 방향도 비슷하기에 전쟁 중반 이후로 넘어가면 이미 성능으로는 시대에 뒤쳐진 전투기가 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공중전 플랩 등을 통해 저속선회전에서는 여전히 우위를 점할 수 있었고 '그래도' 제로센에 비해서는 튼튼한 기체였기에 위험성은 존재하는 기종이었다. 이에 연합군 조종사들은 "하야부사와 저속 선회전하면서 놀면 안된다"란 소리를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어야 했다.

그러나 '30구경 2정 → 30구경 1정 + 50구경 1정 → 50구경 2정'의 소소한 화력은 전쟁 내내 발목을 잡는 요인이었다.

물론 하야부사가 개발되던 시점엔 다른 나라의 전투기들도 30구경급 기관총 같은 무장을 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하기는 했다. 하지만 또한 동시에 전금속제 단익기의 시대가 되며 갈수록 견고해지는 항공기를 상대로 30구경급 화기만을 믿기는 부족하다는 인식도 확산되던 시기이다. 그 결과 이미 1930년대 말이 되면 12.7~13mm 급 중기관총이나 20mm급 기관포도 전투기용 무장으로 속속 채택되던 시기이다. 이를 염두에 두지 않은 탓에 하야부사는 내내 화력부족 문제에 시달려야 했다. 이러한 하야부사의 화력문제는 원래 일본군이 경전과 중전 믹스 개념을 채택하여 장거리 폭격기의 호위전투기로 적 전투기를 주로 상대할 것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경전투기 하야부사와, 적 폭격기를 요격하는 고화력 중전투기 Ki-44 쇼키란 투톱 체계를 구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개전하고 나니 전투기조차도 갈수록 튼튼해진 탓에, 이 투톱 체계는 당초 생각한 것과 달리 신나게 삽질한 격이 되고 말았다. 그나마 전쟁 초반 싸웠던 F2A 버팔로같은 경우는 다수 형식이 방탄판이나 방탄유리, 자동방루 연료탱크 등을 장비하지 않은 상태였기에[2] 이런 소소한 화력도 이빨이 먹혔는지 모르지만 전쟁 중,후반부에 마주칠 전투기들은 빼고라도 P-40이나 F4F 와일드캣만 되어도 버거운 무장인 것은 틀림없다.

일례로 전쟁 초기부터 하야부사와 (제로센인줄 알고) 전투를 벌였던 플라잉 타이거즈가 일격이탈 전법과 함께 즐겨 사용했던 것이 바로 '헤드온 대결'이었다. 이는 P-40이 하야부사에 대해 기체의 방어력이나 내구도로도 우세할 뿐 아니라, 화력면에서도 우세하기 때문에 활용되었고 또 나름 재미를 본 것. 그런데 사실 공랭식 엔진 전투기와 수랭식 엔진 전투기가 헤드온으로 싸우면 '원래는' 공랭식 엔진인 쪽이 유리해야 한다. 단 적기의 엔진에 쉽게 타격을 줄 만큼의 화력을 가지고 있기만 하다면 말이다. 그러나 기본 맷집도 빈약한데다 (특히 초기형)이라면 7.7mm 두 정 혹은 7.7mm와 12.7mm 1정씩을 쏘고 있을 하야부사에 대해, 애초 맷집도 더 좋은데다 그 2배를 넘는 화력 - 12.7mm 2정에 7.62mm 4정을 퍼붓는 플라잉 타이거즈의 P-40B의[3] 대결이라면 하야부사가 공랭식 엔진이라는 것은 별 상관도 없어진다. 그냥 더 많이 쏘고 더 많은 피탄을 버틸 수 있는 쪽이 유리한 싸움이 될 뿐이고 이런 전투라면 P-40이 더 유리해진다.[4] 이는 결국 하야부사의 맷집도 맷집이지만 (어차피 이는 일본기 대부분의 공유사항인데다, 제로센 등에 비하면 하야부사는 그보다는 나은 편이었으니) '펀치력' 부족에서 기인한다.[5]

그 후에도 하야부사는 최대 12.7mm Ho-103 기관총[6] 2정이라는 소박한 무장만 지닌 채 방어력, 화력, 기동성에서 한 수준 이상 더 강력한 연합군 전투기들을 상대해야 했다.

아무튼 이 상황에서도 좀 더 효율적인 공격을 위해 '12.7mm 고폭탄' 같은 것도 사용했다.[7] 이는 앞서 말했듯 12.7mm급 화기치고는 약간 약한 탄을 사용해서 일반적인 철갑소이탄 등을 사용했을 때의 관통력이나 파괴력이 다소 낮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같은 브레다 12.7mm×81SR탄을 사용하던 이탈리아군도 '12.7mm 고폭탄' 같은 걸 사용한 적이 있다.) 하지만 역시 고폭탄을 사용하기엔 너무 작은 구경의 화기라 큰 효과는 보지 못했다. 게다가 당연히 장갑방호 부위에 대한 관통력은 철갑탄이나 일반탄보다 미미했다. 그럼에도 화력부족을 조금이라도 벌충하기 위해 많은 기체들이 종종 탄약전부를 이 탄종으로, 혹은 고폭탄과 소이탄으로 채워 운용하기도 했다.

그나마 대전 후반에 Ho-5[8]라는 나름 적절한 성능을 가진 20mm 기관포가 개발되어 하야부사의 기수에 장착될 수 있었으나 이 때는 이미 전세가 기울어 이 기관포 장착형은 몇 기 생산되지도 못했다.

(그런데 애초 주익에 무장탑재가 가능하게 설계했으면 이런 고생을 할 일도 없었을 것 같지만...)

5. 여담

대중들의 인식에서 제로센에게 밀린다. 사실상 제로센이 해군 함상전투기의 상징을 넘어서 구 일본군 항공기의 상징으로 인식되는지라 본 위키에서의 항목도 비교적으로 부실해보인다.

플라잉 타이거즈를 이끌었던 클레어 셰놀트는 '제로센과 싸웠다고 믿고 있었지만 사실은 주로 하야부사와 싸운' 플라잉 타이거즈의 전투경험을 바탕으로 '셰놀트 보고서'를 작성, 미 육군과 해군에 제출한다. 보고서는 '격투전에 말려드는 것을 최대한 회피하고, 대신 붐앤줌의 일격이탈 전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등을 골자로 하는 '대 제로센 대응전술'을 제안한다. 이는 이후 미군의 '대 제로센 전술' 수립의 기틀이 된다. 그러나 조금 과장해서 말하자면 이는 하야부사와의 전투를 제로센과 싸운 것이라 헷갈린 '착각'에서 출발한 대 제로센 전술이었던 셈. 하지만 미군은 이 '착각을 바탕으로 만든 대 제로센 전술'을 통해 정말로 제로센의 초반 우세를 꺾는데 성공했다. 이는 하야부사와 제로센이 모두 경량화로 요구성능을 달성한 저속선회전 위주의 전투기라서 혼동하더라도 문제가 없을 만큼 전투 특성이 흡사했던 탓이라 하겠다.

육군은 이미 구식기가 된 하야부사를 대체하기 위해 Ki-61 히엔 Ki-84 하야테 등 신형 전투기를 개발했지만, 대전말 매우 열악한 일본의 자원 및 공업사정 등으로 인해 일선에 배치된 신형전투기들은 어딘가 한 군데씩 사소하지만 치명적인 문제를 지닌 경우가 다수였다. 그 때문에 신형 전투기를 몰아보고 나서 심하게 데인 경우가 많아서 그나마 신뢰성이 보장되는 하야부사를 끝까지 버리지 못했고 결국 전후까지 운용됐다. 버마의 64전대 이야기.

그 영향으로 일본이 패망한 직후에도 남아있는 기체들이 상당했으며, 동남아시아에 방치된 하야부사는 인도네시아 공군이 사용했고, 프랑스 북베트남, 즉 월맹군과의 전투에서 전리품으로 노획한 기체를 쓰기도 했다.[9] 일본에도 비행 가능한 기체가 상당히 남아있다고 한다.

가토 하야부사 전대로 유명한 64전대의 경우 Ki-84를 운용하던 50전대와 사이가 틀어지기도 했다. Ki-84 조종사들이 일격일탈 전술로 한두번 치고 빠지면 약이 바짝 오른 스핏파이어 무리들과 Ki-43만으로 교전하는게 쉬운 일이 아니었다고...그런데 일본 패망 이후 64전대는 영국 공군과 항복협상 당시 영국군의 호의로 스핏파이어를 몰아볼 기회가 있었는데 당시 전대장이던 미야베 소좌가 몰고 싶은 사람은 손들라고 했더니 전대원 모두가(...) 손들어서 결국 최고참 조종사에게 기회를 줬다는 일화가 있다.

6. 사용 국가

6.1. 아시아

6.1.1. 동아시아

6.1.1.1. 일본 제국
6.1.1.2. 중화민국 국민정부
파일:rocaf_01_ki43_P-5017.webp
중화민국 공군 노획 Ki-43 "P-5017번기"
일본군으로부터 소수의 하야부사를 노획하였으며, 훈련용으로 사용하였다.
6.1.1.3. 중국
파일:PLAAF-Ki-43-2-400x300.jpg
동북항공학교의 중국공농홍군 소속 Ki-43
도합 8기 이상의 하야부사를 항공기 정비창에서 노획하여 동북항공학교 소속으로 편제하여 임시로 사용하였다.
6.1.1.4. 북한
파일:external/img.wp.scn.ru/82_1.jpg
8.15 광복 이후 북한이 각지 비행장에 남아있던 일본군 군용기를 정비, 재도색하여 6.25 전쟁 당시 운용했다고 한다.[10] 그 중 미림 비행장에 방치되어있던 Ki-43-III을 평양 사람들이 위 사진처럼 재도색하고 정비했다는데, 결국 나는 것은 실패했다고 하는 등[11] 정상적인 전력으로 운용되지는 못한듯 하고, 소련에서 Yak-9을 받은 뒤로 전량 교체해버렸다. 2015년 전투비행술 경기대회에 하야부사가 관측되었다고 하는데, 해당 기체는 하야부사보다는 Yak-18 훈련기일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하야부사는 남북한 통틀어서 유일하게 운용된 일본 노획제 전술기이다.[12]

6.2. 유럽

6.2.1. 동유럽

6.2.1.1. 소련
파일:Ki-43.jpg
모스크바 대조국전쟁 중앙 박물관 소장 소련 공군 노획 Ki-43
만주 작전 시기 소수의 Ki-43을 노획하였다. 현재는 대조국전쟁 중앙 박물관에 1기가 정태 보존 중.

7. 미디어 등장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ki_43_1.png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ki_43_2.png 파일:ki_43_3_otsu.png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ki_43_2_late.png 파일:Ki-43-III ko(TW).png
Ki-43-I Ki-43-II Ki-43-III ✪Ki-43-II Ki-43-III갑
워 썬더에서 Ki-43 하야부사는 일본 육군 항공대 2랭크와 3랭크, 중국 공산당 2랭크에 배치되어 있는 전투기로 공통적으로 뛰어난 기동성과 랭크 대비 적절한 비행 성능을 자랑한다. 첫째 사진은 Ki-43-1으로 7.7mm 기관총 2정을 사용하지만 개수시에 12.7mm 기관총 2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둘째 사진은 Ki-43-2 모델로 개수 없이 기본으로 12.7mm 기관총 2정을 탑재하였다. 비행 성능과 기동성은 제로센과 동급이거나 그 이상이며, 12.7mm Ho-3 기관포는 공대공 탄띠 탑재시, 무려 고폭소이탄을 사용할 수 있어서 구경 상관없이 고폭탄이 제대로 꽂힌다면 폭격기도 분해시킬 수 있는데다가 셋째 사진의 Ki-43-3 모델은 안그래도 좋은 하야부사에 20mm 기관포 2문을 탑재하여 워 썬더 하야부사 계열 중에서 가장 강력한데, 비행 성능, 기동성, 화력의 3박자가 잘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마지막 사진은 미군이 노획한 모델로 은장 도색과 미 항공 마크가 외관상 특징이다. Ki-43-2 하야부사 모델로 미 육군 항공대 소속이며 비행 성능과 기동성 그리고 화력은 다를 바가 없으나 이 전투기를 운용할 경우 추가 라이언 포인트 및 연구 경험치 등과 같은 프리미엄 혜택을 부여받는다.
파일:KI43.jpg
일본 육군항공대 1티어 무료 전투기 Ki-43 오스카
파일:KI43 P.jpg
일본 육군항공대 프리미엄 전투기 Ki-43 오스카

8.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태국군 항공병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전투기 복엽 전투기 <colbgcolor=#fefefe,#393b42>보잉 P-12, 10식 전투기
단엽기 P-36 호크, Ki-27, Ki-43 하야부사
폭격기 中폭격기 마틴 B-10, 97식 중폭격기
경폭격기 Ki-30
정찰기 Ki-36, 보우트 O2U 커세어, E13A, E8N
훈련기 Ki-9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제2차 세계 대전의 만주군 항공병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Manchukuo_WarFlag_And_Naval_Ensign.svg.png 만주군 육군 항공대(1937~1940)
대만주제국 공군(1940~1945)
전투기 <colbgcolor=#fefefe,#393b42>나카지마 91식(ll), Ki-27, Ki-(43, 43ll갑)
폭격기 나카지마 LB-2, Ki-32, 가와사키 88식, Ki-30, Ki-21, 2E BXN2 감마노획
훈련기 Ki-9, Ki-55
수송기 Ki-54, Ki-57
기타 Ki-98, NiD 29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중일전쟁 ~ 제2차 세계 대전의 국민혁명군 항공병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투기 복엽기 피아트 CR.30, 피아트 CR.32, 호크 III, I-15bis, I-153, 충-28을, 글래디에이터 mk.1, 블랙번 린콕
단엽기 드와틴 D.510, I-16 5식, I-16 10식, I-16 17식, 충-28갑, P-26 피슈터, Ki-36c, Ki-43c, A6Mc, Ki-61c,
P-66 뱅가드, P-40C, P-40E-1, P-51 머스탱
지원기 경폭격기/급강하폭격기 DH-98 모스키토, Ki-48c, 마틴 B-10, 커티스 A-12 슈라이크, Hs 123
中폭격기 He 111, DB-3, 투폴레프 SB, 브리스톨 봄베이
重폭격기 투폴레프 TB-3, P1Yc, B-17, B-24
공격기 벌티 V-11, 벌티 V-12D
프로토타입 훈련기 XT-1 연교일식/옌차오이쉬(研教一式)
XT-2 연교이식/옌차오알쉬(研教二式)
XT-3 연교삼식/옌차오산쉬(研教三式)
전투기 XP-0 연구영식/옌추이링쉬(研驅零式/研驱零式)
XP-1 연구일식/옌추이이쉬(研驅一式/研驱一式)
수송기 C-0101 중운일호/중윤이하오(中運一號/中运一号)
폭격기 XB-3 연굉-3/옌홍-3(研轰-3)
기타 UC-43, C-45 Expeditor
플라잉 타이거즈
운용기체
P-40 워호크
소비에트 의용군
운용기체
전투기 I-15bis, I-153, I-16
폭격기 TB-3, 투폴레프 SB
윗첨자c: 노획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현대 베트남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베트남 인민군|
베트남 인민군 (1944~현재)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
회전익기 '''[[무장헬기|
경헬기
]]'''
<colbgcolor=#fefefe,#393b42> AS350 B3 에큐워이 | Mi-1
'''
다목적 헬기
'''
Ka-32S | Mi-17(-1V) | Mi-8(P/T) | AS332 L2 슈퍼 퓨마 | SA.330J 퓨마 | EC225LP 슈퍼 퓨마 Mk.2+ | AS365 N2 도팽 | UH-1H 휴이C | Mi-4
수송헬기 CH-47A 치누크C | Mi-6
공격헬기 Mi-24A
대잠헬기 Ka-28 | Ka-25BSh
'''[[전투기|
전투기
]]'''
프롭 Ki-43 하야부사
'''[[1세대 전투기|
1세대
]]'''
MiG-17(A/F/PF) · 선양 F-5
'''[[2세대 전투기|
2세대
]]'''
MiG-19S | 선양 F-6 | MiG-21(F-13/PFM/PFL) | F-5C 스코시 타이거C | F-5(A/B) 프리덤 파이터C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MF/bis) | F-5(E/F) 타이거 IIC
4(.5)세대 Su-27(SK/UBK) | Su-27PU | Su-30MK2V
공격기 Su-22(M3/M4) | A-37(A/B) 드래곤플라이C | A-1 스카이레이더C
폭격기 Il-28
'''[[정찰기|
정찰기
]]'''
전술 An-30 | RF-5AC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95M | An-26 | NC-212i | An-24 | Il-14 | C-123K 프로바이더C | An-2TD | DHC-4 카리부C | C-47 스카이트레인C | Li-2
'''
전술
'''
Il-18 | C-130(B/E) 허큘리스C | C-119K 플라잉 박스카C
수상기 VNS-41 | Be-12
다목적기 O-1A 버드 도그C | O-2A 스카이마스터C | U-17(A/B) 스카이왜건C | DHC-2 오터C | Ae-45
'''
지원기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DHC-6 트윈 오터 | PZL M28B-1R 브리자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극소형
VT-스위프트 | 시크라
클래스 1 - 초소형
ADS 오비터 2 | M-400CT | VT-패트롤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VUA-SC-3G | VT-피전
'''
UAV
'''
클래스 3 - MALE급
IAI 헤론 | HS-6L
'''[[훈련기|
훈련기
]]'''
프롭 T-6C 텍산 II | Yak-52 | T-28A 트로젼C | Z 226MS 트레너 | T-41D 메스칼레로C | TL-1 뜨 륵 | Yak-18
제트 L-39NG | Yak-130 | L-39C 알바트로스 | Su-22UM3K | L-29 델핀 | MiG-21(US/UM) | T-37 트윗C | MiG-15UTI
VIP 탑승기 Mi-172 | Yak-40K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현대 조선인민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조선인민군|
조선인민군공군 (1947~현재)
朝鮮人民軍空軍 | Korean People's Army Air Force
]]'''
<colbgcolor=#ED1C27> 회전익기 <colbgcolor=#ED1C27> '''[[무장헬기|
경헬기
]]'''
MD 500(D/E) | Mi-2 | Z-11? | AS350?
'''
다목적 헬기
'''
Mi-8T | Mi-17 | Mi-4A | Z-5
수송헬기 Mi-26
대잠헬기 Mi-14PL | Ka-28?
'''[[전투기|
전투기
]]'''
프롭 Yak-9(M/P) | La-11 | La-9 | Ki-43-II?
'''[[1세대 전투기|
1세대
]]'''
MiG-15bis | MiG-17 | J-5B | J-2
'''[[2세대 전투기|
2세대
]]'''
MiG-19 | MiG-21(F-13/PF/PFM) | J-7(I/A/B) | J-6C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MF/bis) | MiG-23ML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세대
]]'''
MiG-29(A/C/UB)
공격기 Su-25(K/UBK) | Su-7BMKG | Il-10
폭격기 Il-28 · H-5 | Tu-2S
'''[[수송기|
수송기
]]'''
경량 An-2 · Y-5 | An-24(B/RV) | Il-14
전략 Il-76TD
다목적기 P-750 XSTOL, 세스나 208 ·  172 | PZL-104 빌가 # | An-2 무장형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기|
조기경보기
]]'''
{ 북한판 A-50}
무인기 '''
SUAV
'''
프첼라-1T | 방현-1/2 | UV-10 계열 | SKY-09 계열
UAV MQM-107D 스트리커 | Tu-143/VR-3 레이 | 새별 4형
'''
UCAV
'''
새별 9형
'''[[훈련기|
훈련기
]]'''
프롭 CJ-6 | CJ-5 | Yak-18 | Yak-11 | Yak-9V | Po-2 | Ki-54? | Ki-36? | Ki-55? | Ki-9
제트 MiG-21(U/UM) | Su-7UMKG | JJ-5 | MiG-15UTI · JJ-2
전용기 Il-62M 참매 1호 | Mi-8MTV-1 | Li-2
갈색 글자: 퇴역 기종
※윗첨자G: 전량 비행 불가 추정 기종
※ 윗첨자?: 사용여부 불확실, 일부 자료(사진 등)에만 있는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혹은 파울러 플랩(Fowler Flaps). 당시 주로 쓰이던 플레인이나 스플릿 플랩과 다르게 주익의 면적과 캠버를 늘려주기에 성능이 뛰어났다. P-38 라이트닝이 장착하기도 했다. [2] 초기형 F2A-1, F2A-2와 네덜란드군이 사용한 B-339C,D는 원래 없었고, 방탄판 등이 도입된 후기형 F2A-3이나 영국군의 B-339E도 기체가 중량증가를 버티지 못해 급격하게 비행성능이 악화된 탓에 다시 철거하고 운용한 사례가 많았다. [3] 물론 12.7mm 4-6정, 심지어 8정을 사용하던 이후 미군 전투기들과 비교하면 사실 이쪽도 소소한 화력이다. [4] Ki-84 하야테 문서에 '하야부사인 줄 알고 헤드온을 걸었다가 날아오는 탄환을 보고 기겁하는' 미군 조종사의 일화가 있는데, 뒤집어 말하면 하야부사였다면 헤드온을 걸어볼만하다는 말이기도 하다. [5] 그런데 A6M3-22형 이전의 제로센이 99식 기관포의 저성능 탓에 거의 7.7mm 두 정으로 대 전투기 전투를 하다시피 했던 것을 생각해보면 실제 전투에서 발휘되는 화력으로는 하야부사가 제로센에 비해 딱히 더 나쁜 것도 아닐지 모른다. 어디까지나 제로센에 비해서는. [6] 브라우닝 M2 중기관총 (초기형인 M1921)의 복제판. 그러나 사용 탄약이 .50 BMG 보다 위력이 낮은 'Breda 12.7mm×81SR'이라 오리지널 보다 위력은 떨어진다. 대신 발사속도는 약간 더 높다. 그래도 일본군이 사용하던 항공기관총 중에는 나름 준수한 물건이다. 달랑 1~2정 탑재한 것이 문제일 뿐. 그런데 일본군이 사용한 '브라우닝 M2'의 카피판 중기관총은 Ho-103만이 아니었다. 육군에 12.7mm Ho-103이 있었다면, 해군에는 브라우닝 M2를 기초로 사용탄을 일본해군이 사용하는 13.2mm 호치키스탄으로 바꾼 '3식 기관총'이 있었다. 제로센 52형 '을'부터 탑재된 바로 그 기관총. 즉 같은 '브라우닝 M2'를 육군과 해군이 각기 따로 베낀 것. 다론 애초 포도 아니고 소총, 기관총의 탄약규격까지 육군과 해군이 따로 썼다는 점에서 첫단추부터 잘못 끼운 탓이지만. [7] 덧붙여 어째선지 일본군은 12.7mm Ho-103을 'cannon'으로 분류했다. [8] 문서를 찾아보면 알겠지만 Ho-5는 소련의 베레진 UB 중기관총과 B-20 기관포의 경우처럼 Ho-103의 확대버전격인 기관포로 역시 '브라우닝 M2'에 기반한 것. [9] 그중 일부는 랜딩기어의 예비부속이 없어서 랜딩기어를 접지않고 비행하기도 했다. [10] 대한민국의 경우 미 군정이 이렇게 일본 항공기를 다 폐기해버린 이유는 당시 조선항공협회의 실책 때문이다. 일본군 항공기를 인수하는 사업을 추진하던 협회 조종사 중 하나가 비행 전 사전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포고령을 무시하고 대구 비행장에서 비행했다. 이에 격노한 미 군정이 일본 항공기를 모조리 폐기해서 그릇업자들에게 재료로 넘겨버렸다. 덕분에 미 군정청이 군용기를 포함하여 일본군의 군용 장비를 죄다 폐기처리하는 바람에 신생 한국군이 쓸만한 장비는 기껏해야 보병용 소화기와 장구류 정도에 불과했다. [11] 논란이 있지만 어차피 Yak-9 전투기를 공여받은 뒤로 사용기록이 전무한 것으로 보아 제대로 운용하지 못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12] 한국에도 김포 비행장이나 여의도 비행장 같은 곳에 일본기들이 몇 기 남아 있었으나 모두 미 군정에 의해 폐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