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06:26:30

F9F 팬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colbgcolor=#002664,#1c315c> 1940년대 P-59 에어라코멧 | FH 팬텀 | FJ-1 퓨리 | F2H 밴시 | F9F 팬서 | F-86 세이버 | F-84 썬더제트 | F-80 슈팅스타 | F6U 파이렛
1950년대 F-89 스콜피온 | F-94 스타파이어 | F-9(F9F) 쿠거 | F-10(F3D) 스카이나이트 | F-100 슈퍼 세이버 | FJ-2/3(F-1) 퓨리 | F7U 커틀러스 | F-1E(FJ-4) 퓨리 | F-7(F2Y) 씨다트 | F-11(F11F) 타이거 | F-3(F3H) 데몬 | F-102 델타 대거 | F-6(F4D) 스카이레이 | F-8(F8U) 크루세이더 | F-101부두 | F-104 스타파이터 | F-105 썬더 치프 | F-106 델타 다트
1960년대 F-4(F4H/F-110) 팬텀 II/스펙터 | F-5 프리덤 파이터 / 타이거 II | F5D 스카이랜서 | F-111 아드바크
1970년대 F-14 톰캣 / 슈퍼톰캣 | F-15 이글 / 스트라이크 이글 | F-16 파이팅 팰콘
1980년대 F-20 타이거 샤크 | F/A-18 호넷 | F-117 나이트호크
1990년대 F/A-18E/F 슈퍼 호넷 | F-22 랩터 | F-35 라이트닝 II
2010년대 F-15SE 사일런트 이글 | F-16V 바이퍼
2020년대 F-15EX 이글 II | F-35 라이트닝 II 블록 4
2030년대 PCA | F/A-XX
}}}}}}}}}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 경헬기 S-52, H-19
다목적헬기 UH-1E/N
수송헬기 CH-46, CH-53
공격헬기 AH-1G/J/W
대잠헬기 SH-2, SH-3, SH-60
제공 전투기 1세대 FJ-1, FJ-2, FJ-4, F2H(F-2), F9F-2, F6U, F7U, F9F-6
2세대 F3H-1/2(F-3), F-11, F8U, F4D(F-6)
3세대 F-4A/B/J/N/S, F-111B
4세대 F-14A/B/D, F-18A/B/C
해병전투기 F8U, F-4A/B/J/N/S, F-5 II/III, F/A-18A/B/C/D, AV-8B, F4D(F-6), XFV-12
지상 공격기 A-1E/D/N/H, A-2, A-3, A-4A/B/C/E/F/M, A-5, A-6, A-7A/B/E, AF
전자전기 F3D-2Q(F-10), EA-6B, EP-3
수송기 C-1, C-2
공중급유기 KC-130
해상초계기 P-2V, P-3A/B/C, S-2, S-3
조기경보기 E-1, E-2C/D, E-6
훈련기 T-38, T-2, T-45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F9F_Panther.jpg
F9F Panther

1. 개요2. 제원3. 개발사4. 파생형
4.1. XF9F-24.2. XF9F-34.3. F9F-24.4. F9F-2B4.5. F9F-2P4.6. F9F-3S4.7. XF9F-44.8. F9F-44.9. F9F-54.10. F9F-5P4.11. F9F-5K4.12. F9F-5KD4.13. F9F-Turret4.14. F9F-6
5. 실전6. 사용 국가
6.1. 아메리카
6.1.1. 미국
6.2. 아르헨티나
7. 미디어
7.1. 영화
7.1.1. 원한의 도곡리 다리
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1. 개요

미국의 노스롭 그루먼이 개발한 함상 제트전투기이다.

2. 제원

운용과 퇴역 첫 비행: 1947년 11월 24일
퇴역: 1958년 (미국 해군), 1969년 (아르헨티나)
초도비행 1947년 10월 24일
도입 1949년 ( 미 해군)
퇴역 1969년 ( 아르헨티나)
생산 1,382 기

F9F Panther
제원
F9F-2
분류 : 단발단좌 터보제트 전투기
승무원: 1명
전장: 11.3 m (37 ft 5 in)
주익폭: 11. 6m (38 ft)
전고: 3.8 m (11 ft 4 in)
주익면적: 23 m² (250 ft²)
자체중량: 4.220 kg (9,303 lb)
적재중량: 6.456 kg (14,235 lb)
최대이륙중량: 7,462 kg (16,450 lb)
엔진: 1 × 플랫 & 휘트니 J42-P-6/P-8 터보제트 엔진
최대속도: 925 km/h,마하 0.755
상승력: 26.1 m/s

무장
20mm 기관포 4문(기총당 190발)
내부 장착 포드 2곳에 1000파운드급 폭탄이나 150갤런들이 보조연료탱크
외부 장착 포드에는 250파운드 폭탄이나 5인치 HVAR 장착
[1]

3. 개발사

미합중국 해군은 다가오는 제트기 시대에 대비하여 1945년 9월 함상 제트전투기 개발사업을 시작하였다. 미 해군의 요구사항은
1. 주/야간 전천후 작전이 가능할 것
2. 2명의 승무원이 탑승하는 복좌기
3. 레이더를 장착할 것
이었고 이 사업에는 더글라스 커티스 사가 참가하였다. 그루만 사는 이 경쟁에 상당히 늦게 뛰어들었고 자사의 쌍발 전투기였던 F7F 타이거캣을 베이스로 주익에 제트엔진을 장착하고 20mm 기관포 4문을 장착, 기수에 레이더를 탑재한 사내 모델명 G-75를 개발하였고 이는 곧 XF9F-1 이라는 제식명을 부여받게 된다. 당시 미 해군은 커티스 사의 제안보다는 더글라스 사가 제안한 XF3D-1(훗날의 F3D 스카이나이트)에 관심이 더 있었지만 해당 시제기의 성능이 ROC를 충족하지 못하였고 더글라스 사의 제안이 뒤집어질 경우에 대비하여 그루먼 사에 XF9F-1의 개발을 지속할 것을 요구하였다.하지만 XF9F-1은 비행 테스트에서 XF3D-1보다 뒤떨어지는 비행 성능을 보여 그루먼 사는 이 경쟁에서 퇴출될 위기에 놓였다.

한편 그루먼 사는 복좌 제트전투기 사업과는 별개로 사내 모델명 G-79로 불리는 단좌 제트전투기를 자체 개발하고 있었다. 이 전투기는 동체에 영국제 롤스로이스 넨 엔진(이 엔진은 2차대전 후 영국이 소련 라이센스를 받고 제공해 MiG-15 엔진의 베이스가 되기도 한 엔진이다)을 장착하였는데 해군은 이 기체에 만족하였고 XF9F-2 라는 제식명으로 사업에 계속 참여할 수 있었다. 이 원형기에 플렛 & 휘트니 사의 J42 터보제트 엔진을 장착하고 4문의 20mm 기관포(문당 탄약 190발)로 무장한 F9F-2가 1949년 9월 제식 채용되었고 그루먼 사는 자사의 전투기에 고양이과 동물 별명을 붙이는 전통을 따라 표범이라는 뜻의 Panther 라는 이름을 붙였다. 최초 배치는 미 해군의 곡예비행팀 블루 엔젤스에 이루어졌고 항모전투단에는 VF-51 스크리밍 이글즈에 최초 배치되었다.

4. 파생형

[2]

4.1. XF9F-2

최초로 생산된 2대의 시제기

4.2. XF9F-3

3번째 시제기

4.3. F9F-2

최초의 양산형으로 J42 엔진을 장착했다.

4.4. F9F-2B

파일:F9F-2.jpg
F9F-2B
F9F-2에 추가 무장을 위한 장착 포드를 설치했다. 이후 모든 F9F가 이와 같은 개량을 거치면서 뒤에 B라는 명칭이 삭제됨.

4.5. F9F-2P

한국전쟁에서 사용된 비무장 정찰기이다.

4.6. F9F-3S

J42 엔진 대신 J33엔진이 탑재되었으니 이후 다시 J42 엔진으로 교체되었다.[3]

4.7. XF9F-4

F9F-4 개발 과정에서 사용된 시제기

4.8. F9F-4

동체 길이 및 연료탑재량 증가, F9F-3처럼 J33엔진을 장착하였으나 이후 대부분의 기체가 다시 J42엔진을 장착함. F9F-4는 엔진의 컴프레셔와 연소실에서 나오는 기류를 이용하여 앞전 플랩을 작동시켰던 최초의 항공기이며, 이륙시 실속속도가 9노트 감소하였으며, 착륙시에는 7노트 감소하였음.

4.9. F9F-5

F9F-4을 프랫&휘트니의 J48엔진으로 교체

4.10. F9F-5P

비무장 사진촬영용 정찰기

4.11. F9F-5K

표적용 무인기

4.12. F9F-5KD

F9F-5K 무인기에 대한 통제기로, 1962년에 DF-9E로 명칭이 변경됨.

4.13. F9F-Turret

폭격기의 후방 기총을 피하기 위해 기수 부분에 360도 회전하는 터렛을 달아놓은 사양. 1950년 Emerson사가 제안하였고 시제기도 성능이 좋았으나 여러가지 이유로 1954년에 취소되었다.

4.14. F9F-6

주익에 후퇴각을 준 모델. 나중에 F9F 쿠거(Cougar)라고 재명명된다.

5. 실전

5.1. 6.25 전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9F-2_Panthers_VF-51_over_Korea_1951.jpg
6.25 전쟁 당시 미 해군 VF-51 소속 닐 암스트롱 소위의 F9F 팬서 116번기
1950년 6월, 한국전쟁이 발발하자마자 미 해군 제7함대 소속 항공모함들과 본토의 항공모함들이 모여들어 한국 해역에서 작전을 시작하였고 1950년 7월 3일 평양시 비행장 공습에서 최초로 실전에 데뷔하였다. 이날 비행장을 공습하기 위해 A-1 스카이레이더 공격기와 F4U 콜세어 전폭기가 이륙하였고 팬서는 이들의 공중 엄호를 담당하였다. 이날 공습에서 VF-51 소속 레오나르도 플로그 중위가 Yak-9을 격추하는 등 총 2기의 야크기를 격추하여 성공적으로 실전에 데뷔하였다. 이 전과는 한국전쟁에서 미 해군이 거둔 최초의 적기 격추이기도 하다. 이후 한동안 북한 상공을 제 집 안방 드나들듯 하다가 MiG-15가 출현하였는데 MiG-15는 후퇴익을 채용하여 속도가 팬서보다 약 160km/h 가량 빨랐고 더 뛰어난 상승력과 기동성 등 비행 성능이 팬서를 능가하였다. 미 해군은 미그기 출현 지역으로의 출격을 중단하고 미그기와 전투를 벌이는 건 주로 공군의 F-86이었지만 세상일이 맘대로 되지는 않는 법, 미그기의 활동 영역이 넓어지면서 팬서도 미그기와 조우하는 횟수가 늘어나게 된다. 한국전쟁 기간 중 팬서는 2기의 Yak-9과 7기의 MiG-15를 격추했으며 2대가 적에게 격추되었다.

최초의 미그기 격추는 1950년 11월 9일 VF-111 선다우너즈 소속의 윌리엄 '빌' 아멘 소령이 기록하였다. 동년 동월 18일에 2기의 미그가 더 격추되었으며 마지막 4기의 격추는 1952년 11월 18일에 기록되었다.

이날 VF-781 소속 로이스 윌리엄스 대위는 회령시의 항구 공습 임무를 띄고 항모 오리스카니에서 이륙하였는데 두만강 상공에서 블라디보스톡에서 이륙한 소련 해군 항공대 소속 MiG-15 4기를 단독 격추하였다. 그냥 격추한 것도 아니고 당시 상황을 보면 윌리엄스가 1:7로 싸워서 그중 4기를 격추한 것이니 대단한 활약인데, 사실 팬서도 윙맨 1기가 더 있긴 했지만 기관포가 고장나 혼자 싸워야 했다. 35분간 공중전을 지속했으며 윌리엄스는 탄약이 떨어지자 귀환했고 그가 탔던 기체는 손상이 너무 심해서 폐기되었다. 그러나 미국 정부에서는 이 전과를 오랫동안 묻어두었는데 한 조종사가 단일 공중전에서 4기를 격추한건 좋은 선전거리이지만 소련이 한국전에 개입 중인 것이 외부에 드러날까봐 그랬다고 한다. 이 전과는 1992년 소련 정부에서 빌리코프, 반달로프 대위, 파콤킨, 타쉬노프 중위 총 4명의 해군 조종사가 1952년 11월 18일 실종되었음을 확인해주면서 공식 인정받았다.

F9F 팬서를 조종했던 해군 조종사 중에 후대에 유명하게 된 사람이 좀 있다.

미국 메이저리그의 전설적인 선수인 테드 윌리엄스는 현역 선수이면서도 2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F4U 콜세어로 비행 교관을 지냈고 한국전쟁에 또다시 참전하여 이번에는 F9F 팬서를 몰고 수십차례의 전투출격을 감행함으로써 한군두의 표상이 되었다. 그러고도 다시 메이저리그에 복귀해서 전설적인 기록을 써내려 갔다.

미국 최초의 지구 궤도 비행을 성공시킨 우주인이자 국회의원까지 지낸 존 글렌도 한국전쟁 당시에 테드 윌리엄스의 윙맨으로 F9F 팬서를 몰았다.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한 닐 암스트롱도 F9F 팬서 조종사 출신이다. 암스트롱은 퍼듀(Purdue) 대학에 재학중 미합중국 해군 항공대 조종장교로 임관하였으며, 제51전투비행대대(VF-51) 소속으로 미 해군 항공모함 에식스(CV-9 Essex)에 배속되어 한국전쟁에 참전하였다. 함경북도 성진시 일대를 정찰하던 중 지상 대공포에 격추되어 죽을 고비를 넘기기도 했다고.

6. 사용 국가

6.1. 아메리카

6.1.1. 미국

파일:USS Midway Museum F9F.jpg
USS 미드웨이 박물관 소장 미 해군 소속 F9F 팬서
원조 사용국. 미 해군에서 1956년 일선 임무에서 물러났으며 1958년까지 미해군,해병 예비항공대에서 훈련기로 사용되었다. 1960년대까지 소수의 팬서가 사용되었으며 1962년 해군,해병대,공군 간 항공기 제식명이 통합되면서 (사실 해병대는 해군의 제식명을 그대로 썼지만) F-9 이라는 새로운 제식명을 받게 된다.

6.2. 아르헨티나

7. 미디어

7.1. 영화

7.1.1. 원한의 도곡리 다리

미국의 한국전쟁 영화인 "The Bridges of Toko-ri[4](한국명 원한의 도곡리 다리, 1954년작)"에 무려 당시 아직 현역이던 에식스급 항모 CV-34 Oriskany, 2차대전 구축함들과 함께 출연했다.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파일:노스롭 그루먼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315288,#7697ce {{{#!folding [ 노스롭 그루먼의 항공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e5e5e5
군용기
<colbgcolor=#8ec7d0,#2e6771> 전투기 F-89 스콜피온 F9F 팬서 F9F 쿠거 F-11 타이거 F-5 타이거 II F-111B F-14 톰캣 YF-17 코브라 F-18L 호넷 F-20 타이거샤크 YF-23 블랙위도우 II
공격기 OV-1 모호크 ‧ A-6 인트루더 YA-9 A-10
폭격기 B-35 플라잉 윙 B-49 플라잉 윙 B-2 스피릿 B-21 레이더
수송기 C-1 트레이더 C-2 그레이하운드 ‧ YC-125 레이더
전자전기 EA-6 프라울러 EF-111 레이븐
조기경보통제기 E-1 트레이서 ‧ E-2 호크아이 E-8 조인트 스타스
대잠초계기 S-2 트랙커
무인기 RQ-4 글로벌 호크 RQ-180 X-47
훈련기 T-38 탤론
개발 중단 / 컨셉 / 실험기 X-4 밴텀 ‧ XF10F 재규어 ‧ N-156 ‧ X-21 ‧ N2-F2 ‧ N2-F3 ‧ X-29 태싯 블루
민항기
단발기 AA-1 ‧ AA-5 ‧ G-164 애그 캣
쌍발기 GA-7 쿠거 ‧ G-159 걸프스트림 I
노스롭의 1945년 이전 모델
단발기 노스롭 알파 ‧ 노스롭 C-19 알파 ‧ 노스롭 베타 ‧ 노스롭 감마 ‧ 노스롭 델타 ‧ 노스롭 XFT ‧ YA-13 ‧ A-17 노매드 ‧ 노스롭 N-3PB ‧ P-61 블랙위도우 ‧ XP-56 블랙 불릿
쌍발기 노스롭 N-1M ‧ 노스롭 N-9M ‧ F-15 리포터
그루먼의 1945년 이전 모델
단발기 그루먼 FF ‧ 그루먼 JF 덕 ‧ 그루먼 F3F TBF(M) 어벤저 F4F 와일드캣 F6F 헬캣 F7F 타이거캣 F8F 베어캣 AF 가디언
쌍발기 G-21 구스 ‧ G-44 위전 ‧ XF5F 스카이로켓 ‧ XP-50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출처 Jet fighters Inside Out; Jim Winchester [2] 출처 Jet fighters Inside Out; Jim Winchester, http://en.wikipedia.org/wiki/Grumman_F9F_Panther [3] J42엔진의 실패에 대비하여 J33엔진을 장착하였으나, 추수감사절에 J-42엔진을 장착한 XF9F-2의 시험비행이 성공하면서 다시 J-42로 교체됨. 출처 [4] 당시에 도곡리를 Toko-ri 라고 표기한건 당시 한국의 공식 영어표기명 방식(부산을 당시엔 Busan이 아닌 Pusan으로 표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 표기법의 실질 사용 시기는 2000년대 중반 들어서야 겨우 끝났다... 역명판들에 있던 그 당시 영문표기가 이즈음에야 거의 변경되거나 역째로 폐역되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