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7 18:15:04

F6U 파이렛

F6U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본 문서의 표제어을 'F6U 파이렛'으로 변경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본 문서의 표제어을 'F6U 파이렛'으로 변경한다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colbgcolor=#002664,#1c315c> 1940년대 P-59 에어라코멧 | FH 팬텀 | FJ-1 퓨리 | F2H 밴시 | F9F 팬서 | F-86 세이버 | F-84 썬더제트 | F-80 슈팅스타 | F6U 파이렛
1950년대 F-89 스콜피온 | F-94 스타파이어 | F-9(F9F) 쿠거 | F-10(F3D) 스카이나이트 | F-100 슈퍼 세이버 | FJ-2/3(F-1) 퓨리 | F7U 커틀러스 | F-1E(FJ-4) 퓨리 | F-7(F2Y) 씨다트 | F-11(F11F) 타이거 | F-3(F3H) 데몬 | F-102 델타 대거 | F-6(F4D) 스카이레이 | F-8(F8U) 크루세이더 | F-101부두 | F-104 스타파이터 | F-105 썬더 치프 | F-106 델타 다트
1960년대 F-4(F4H/F-110) 팬텀 II/스펙터 | F-5 프리덤 파이터 / 타이거 II | F5D 스카이랜서 | YF-12 블랙버드 | F-111 아드바크
1970년대 F-14 톰캣 / 슈퍼톰캣 | F-15 이글 / 스트라이크 이글 | F-16 파이팅 팰콘 | YF-17 코브라 | XFV-12
1980년대 F-20 타이거 샤크 | F/A-18 호넷 | F-117 나이트호크
1990년대 F/A-18E/F 슈퍼 호넷 | F-22 랩터 | YF-23 블랙위도우 II | YF-22 라이트닝 II
2000년대 X-32 머스탱 II/JSF | F-35 라이트닝 II
2010년대 F-15SE 사일런트 이글 | F-16V 바이퍼
2020년대 F-15EX 이글 II | F-35 라이트닝 II 블록 4
2030년대 PCA | F/A-XX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파일:f6u_1_pirate_by_dugazm-d7nvy15.jpg

1. 개요2. 개발 배경3. 진행4. 구조와 특징5. 후연기가 달린 엔진6. 초기 테스트에서7. 함대의 구박덩이8. 대중매체에서

1. 개요

미 해군의 초기 함상 제트 전투기로, 제식 명칭은 Vought F6U Pirate이다.

2. 개발 배경

내부에 함대파와 항공파가 항상 나뉘어 알력을 품고 있던 미 해군은 항공기에 있어서 새 지평을 열어준 제트 엔진을 도입하는 일에도 한발 뒤쳐질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 더해 초창기 터보제트 엔진의 느린 응답성과 저속에서 뚝 떨어지는 안정성은 비좁은 항공모함 갑판에서 이착함하는 극히 어려운 비행이 일상화된 함재기로서는 쉽게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었다. 전쟁 중 대량으로 건조된 에식스급 항공모함에서는 제트기의 발착함 작업이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해군 항공요원들은 해군의 높은 자리를 주로 꿰어차고 있던 함대파 장교들에게 항모의 고속화와 거대화를 주장했으나 이미 오랫 동안 갈라진 골이 깊어 쉽게 이해시키는 것은 불가능했다.

하지만 제트 엔진과 피스톤 엔진을 동시에 갖춘 FR-1 파이어볼 전투기를 통해 제트 시대에 발을 내딛기 시작해서 최초의 함상 제트 전투기 FH 팬텀으로 차차 제트 함재기의 가능성을 깨달아간 해군은 장차 항모 탑재용 전투기의 미래는 제트기여야만 한다는 엄연한 사실에는 동의할 수밖에 없었다. 적기를 제압해 제공권을 얻고 함대를 호위할 함상 전투기가 이미 모두 제트 엔진을 단 육상용 전투기들에 뒤쳐지는 것은 용납될 수 없었기 때문에, 장차 해군의 함상 전투기는 모두 제트화의 길을 걸어가게 된다.

3. 진행

이렇게 해서 해군​용으로 개발된 함상 전투기 F6U는 해군기의 명문 보우트(Vought) 사가 기종을 막론하고 처음으로 만들어본 제트기였다. 해군은 이 기체를 심사에 통과시킨 후 ' 해적'이라는 의미를 담은 파이렛(Pirate)이란 별칭을 주었다. 이리하여 보우트 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4년 12월 29일에 미 해군으로부터 제트 전투기 XF6U-1의 주문을 받았다. 전시 발주로 즉시 개발이 시작되어 완성된 시제기는 전쟁이 끝난 1946년 10월 2일에야 처음 비행했고, 양산형인 F6U-1은 1947년 2월 5일에 30대가 발주되었다. 이 항공기는 미국에서 개발된 제트 전투기로서는 처음으로 애프터버너를 부착한 기종이었으며, 처녀 비행에는 성공했지만 불량한 성능에 실망한 미 해군은 주문 물량을 대폭 줄여서 33대 밖에 생산되지 않았다.

4. 구조와 특징

F6U는 시가를 닮은 동체에 직선익을 낮게 배치하고, 에어 인테이크는 주날개 밑에 배치한 전통적인 기체 형상이었다. 고정 무장은 기수에 20mm M3 기관포 4문을 탑재하고 각각 150발 탄창이 제공되어 600발을 수용하고 있었다. 이는 12초동안 연사 할 수 있는 양으로 많지도 적지도 않았다. 새로운 추진기관인 터보제트 엔진은 연료소모율이 지극히 높아 많은 연료를 탑재해야만 했는데, 파이렛의 경우는 조종석 후방에 자리잡은 기관포 탄창과 항법장비실 뒤의 공간과 양 날개안에 220갤런, 그리고 중앙 동체 위쪽 공간에 150갤런의 연료를 채울 수 있었고 날개 끝에는 각각 140갤런들이 낙하식 보조 연료탱크를 장착할 수 있었다. 말하자면 이 전투기는 모두 합쳐 2,460리터의 연료를 채운 날으는 연료탱크 같은 기체였다. 이것은 태평양 전선에서 긴 항속거리로 유명했던 제로센의 3배에 달하는 연료탑재량이지만, 파이렛의 실제 항속거리는 그 절반에 불과했을 정도로 연비가 좋지 못했다.

짤뚱한 기수에는 4문의 기관포 외에도 라디오 콤파스용 안테나와 항법을 위한 전파 수신기, 그리고 건 카메라가 수납되어 있었고, 에비오닉스 작동을 위한 배터리와 착륙등도 여기에 설치되었으며 대개 기수에 붙기 마련인 피토관은 수직 미익으로 옮겨졌다. XF6U의 개발이 시작될 때만 하더라도 아직 사출좌석이 실험 단계여서 원형기에는 폭발 볼트로 투기되는 캐노피가 대신 준비되었다. 또한 함재기는 보통 날개가 접히게 마련이었으나, 해군은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고속의 기류와 G-포스가 걸리는 상황에서 새로 도입한 얇은 층류익이 버티지 못할 것을 우려하여 고정식을 고집하고 있었는데, 이는 초기 함상 제트전투기들의 특징이기도 했다.

그밖에 양산 단계에서는 수평 미익에 수직 안정핀이 추가되었고 중량을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 합금과 발사 목재를 샌드위치시키고 도료를 발라 굳힌 메탈라이트(Metalite)라는 신소재가 사용되었다.

5. 후연기가 달린 엔진

오직 3대만 만들어진 시험제작기 단계에서는 엔진으로 웨스팅하우스 J34-WE-22 터보제트 엔진을 장비하고 있었지만, 양산기는 애프터버너를 추가한 J34-WE-30으로 환장되었다. 그러나 이 엔진에 달린 애프터버너는 사용하기 전에 30초 동안 미리 예열하는 과정이 필요했기 때문에 실제 근접 공중전이 벌어지면 그 실용성은 거의 없었다. 그 대신 추력은 3,000파운드가 넘었고, 일단 후연기가 제대로 점화되면 4,300파운드에 달하는 추력을 낼 수 있어 나중에 수평 비행에서 음속을 돌파하는데 성공한 최초의 제트 엔진이 되기도 했다.

미국이 처음으로 자체 설계한 이 엔진은 제트 엔진을 먼저 실전에 투입했던 독일의 융커스 유모004 터보젯 엔진보다 약간 늦게 개발이 시작되었으나 추력과 신뢰성면에서 훨씬 앞서 있었고. 수명도 경이적으로 길었다. 심지어 제작사가 프랫&휘트니로 바뀌고 제작된지 40년 이상 지난 J34-48 엔진 2개를 단 셰비 트럭 "쇼크웨이브"는 지금도 에어쇼와 카 레이싱 대회에서 불꽃을 뿜으며 시속 600 km로 달려나가는 장관을 보여준다.

6. 초기 테스트에서

사출좌석이 설치되고 수평미익에 스태빌라이저를 덧붙이는 개량이 더해진 양산 기체는 1949년 6월 29일에 처음 비행했지만, 그즈음 해군의 오랜 단골이었던 그루먼 사가 개발해 테스트를 개시한 F9F 팬서가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던데다, 레시프로 전투기보다 눈에 띄는 성능 향상이 없다고 판단되어 실전 부대에는 배치되지 않고 실험 및 평가 부대인 VX-3에 의해 해군 비행시험센터인 파툭센-리버 기지에서 사용된 것이 전부였다. 당연한 말이지만, 함상 운용 테스트조차 하지 못한 33대의 기체가 비행한 시간을 모두 합쳐도 불과 945시간에 지나지 않는데, 이것은 1대당 28시간 밖에 날지 않은 꼴이며, 어떤 기체는 고작 6시간의 비행도 못채우고 창고에 처박히는 신세가 되었다.

7. 함대의 구박덩이

해군 승무원들도 이 전투기를 가리켜 아무도 파이렛이라는 근사한 이름으로 부르지 않았다. 이들은 못생기고 연료를 엄청나게 퍼먹는데다 둔하기까지 한 F6U를 가리켜 "땅돼지(groundhog)"라는 자조적인 별명으로 불렀다. 1대의 파이렛은 기수에 카메라를 갖추고 정찰형 F6U-1P로 개조되었지만, 물론 채용에는 이르지 않았다. 해군 항공국장 알프렛 프라이드 제독은 공식적으로 1950년 10월 30일에 F6U를 퇴역시키라는 명령을 내렸고, 이로 인하여 이 전투기는 미 해군 역사상 가장 짧게 운용된 함재기라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안게 된다.

771만 달러[1]나 되는 막대한 예산만 축낸 이 전투기가 그래도 해군의 시험 비행에서 공헌한 점이 있다면, 항모에 새로 설치될 제트기용 어레스팅 기어와 배리어의 육상 테스트에 잠시 쓰였다는 정도가 다다. 탄생과 동시에 시험과 테스트 비행만 거듭했던 파이렛은 이렇게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렸다. 텍사스에 있는 보우트 항공유물재단은 오랜 시간을 들여 탐문하고 추적한 끝에 두번째로 생산했던 2호기(122479)의 동체를 2012년에 한 고물 집적소에서 찾아냈다. 복원 팀이 달라붙어 재생하고 있는 No.122479는 작업을 마치면 일반에 공개될 예정이며 그것이 F6U의 유일한 현존 기체가 될 것이다.

8. 대중매체에서

월드 오브 워플레인에서 미국 9티어 전투기로 등장한다. 함재기 기반이라서 미국의 몇 안 되는 중무장 전투기다.

전함소녀에서 5성 함재기로 등장한다. 대공+14로 높은 능력치다.


[1] 계산해보면 대당 233,636달러로, 이보다 나중에 생산되고 훨씬 고성능인 F-86이 대당 15만달러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