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4:24:57

F-102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파일:투명.png
[[센츄리 시리즈|
'''Century Series
센츄리 시리즈
'''
]]
[[F-100|
파일:Sil/F-100.png
]]
[[F-101|
파일:Sil/F-101.png
]]
[[F-102|
파일:Sil/F-102.png
]]
[[F-104|
파일:Sil/F-104.png
]]
[[F-105|
파일:Sil/F-105.png
]]
[[F-106|
파일:Sil/F-106.png
]]
F-100 F-101 F-102 F-104 F-105 F-106
파일:050323-F-1234P-005.jpg
Convair F-102 Delta Dagger[1]

1. 개요2. 제원3. 시제기4. 양산5. 실전6. 퇴역7. 기타8. 둘러보기

1. 개요

냉전 초기 소련의 전략폭격기 전력은 미국 본토 방어에 있어서 가장 중대한 위협이였고 미 공군은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각종 폭격기들을 개발하는 한편 본토로 들어오는 폭격기 편대를 요격하는 방공공군을 창설하여 소련의 핵공격에 대비하였다. F-102 델타 대거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 공군 최초로 순수 요격을 목적으로 개발된 전투기이다. 이 뾰족하고 날카롭게 생긴 삼각날개를 가진 전투기는 1949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 시기는 F-86/ 89, F-94 등의 제공전투기와 요격기가 개발되던 시기였다. 미 공군은 이들 전투기의 차세대급 전투기는 15,000m 이상의 운용고도와 초음속 요격능력이 있는 기종이었다. 이랬던 것이 1950년 9월에 운용고도 20,000m, 마하1.3에서의 요격이 가능하도록 성능을 상향조정하라는 요구와 1955~59년 사이에 개발을 완료하라는 미 공군의 압박이 있었다.구체적인 후보 선정에 앞서 휴즈 사는 XM-1179라 명명된 FCS의 개발을 시작하였고 공군은 총 19개사가 제시한 기종들을 살펴보며 고심하였다. 결국 1951년 Convair사의 F-102 요격기 안이 선정되었다.

파일:external/media.defense.gov/050324-F-1234P-018.jpg

Convair의 안을 자세히 살펴보면 1948년 9월에 최초 비행한 XF-92A라는 전투기가 모체였는데 이는 델타익 전투기로서 세계 최초로 비행한 델타익 전투기의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2] Convair사의 안은 이 XF-92A보다 1.5배 대형화되어 있었다. 당시로서는 이런 수평미익이 없는 델타익은 그야말로 충격이었다. 또한 Convair사는 미 공군의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미사일을 내부에 수납하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하였다.

2. 제원

Convair F-102 Delta Dagger
길이 20.83 m
날개 폭 11.61 m
높이 6.45 m
중량 14,300 kg
엔진 프랫 & 휘트니 J57 터보제트 엔진 1기
최대속도 마하 1.2 (1481 km/h)
항속거리 2,175 km
항속속도 마하 0.788 (966 km/h)
실용고도 16,800 m
가격 $1,184,000

3. 시제기

미 공군은 YF-102 2대와 양산형 25대를 발주하여 1959년 안에 후딱 해치우려는 의지를 보여 시제1호기가 1953년 10월 24일에 첫 비행을 성공시키지만 정확히 8일후에 시험비행을 위해 이륙 직후 추락하는 바람에 1954년 시제 2호기가 완성되기까지 시험비행은 지연되었다. 여기서 커다란 문제가 발생하는데... 시제2호기의 시험비행에 앞서 풍동시험 도중 F-102의 외형 때문에 초음속 비행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발견된 것이다. Convair사의 설계팀은 F-102의 재설계에 착수하였다. 구체적인 개수사항은 이렇다.

파일:external/geekswipe.net/F-102A-Area-Rule-Application.jpg
왼쪽은 면적법칙 적용 이전 모델인 YF-102, 오른쪽은 면적법칙이 적용된 YF-102A. 콜라병처럼 동체 가운데가 오목하게 설계된 것을 볼 수 있다. 항공역학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기체기도 하다.

특히 이 면적법칙은 YF-102의 속도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것은 항력이 동체와 날개의 단면적의 합으로서 이루어저야 한다는 법칙이다. 따라서 면적법칙을 적용시키면 큰 항력이 발생하는 날개와 동채의 연결 부위를 오목하게 만들어서 동체의 단면적에 날개의 단면적을 흡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대수술 끝에 재탄생한 F-102는 다시금 1954년 12월 20일 첫 비행에 성공하고 이윽고 초음속 비행에도 성공하여 원래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4. 양산

우여곡절 끝에 탄생한 F-102A는 시제기에 비해 업그레이드 된 곳이 많은데 살펴보면 휴즈 사에서 개발한 MG-10 FCS가 기수에 장착되었다. 이것은 광역수색 성능과 완전자동추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캐노피에는 IR센서가 장착되었고 방공군에 투입되는 기체들은 SAGE와의 링크를 위해 ARR-39 링크 시스템을 장비하였다. 무장을 보면 내부의 미사일 수납고에 빔 라이딩/적외선추적방식의 GAR-1( AIM-4A/C)공대공 미사일 3발과 미사일 창의 측면 안쪽에 2.75인치 공대공 로켓탄 24발을 수용하였다. 그러다가 2.75인치 로켓탄은 폐지되고 AIM-4E/F와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AIM-26 슈퍼 팰콘 1발을 탑재하게 된다. F-102A는 1956년 제327요격비행대대에 최초로 배치되어 총 875대가 양산된다.

훈련형은 조종훈련과 기량유지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특이하게 Side by Side의 형태이다. 기수의 FCS는 제거되어있고 길이는 19.21m로 축소된 반면 중량은 12,600 kg으로 증가하였다. 훈련형의 제식명칭은 TF-102A이고 총 111대가 양산되었다.

5. 실전

1968년 미 해군의 정보수집함 푸에블로호가 북한에 나포되면서 남한/미국과 북한과의 긴장이 고조되자 일본의 나하 공군기지에 주둔하던 제82요격비행대대의 F-102가 오산 공군기지로 임시 파견되기도 하였고 1971년 까지 F-106과 함께 일본과 남한을 오가며 북한을 견제하는 데 이용되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46th_Fighter-Interceptor_Squadron_Convair_F-102A-75-CO_Delta_Dagger_56-1361.jpg
베트남의 삼색 위장 도색을 칠한 F-102

베트남에선 큰 활약을 하지 못했다. 처음에는 F-100과 마찬가지로 CAS 임무에도 투입되었고, 기수에 장착된 IRST를 활용해 동체에 있는 24기의 FFAR 로켓으로 야간에 호치민 루트를 공격하는 데 투입되었으나 효과는 미미했으며 심지어 몇 기는 대공포화에 격추당했다. 결국 F-102는 주로 요격 임무에만 투입되었고 나중에는 B-52를 호위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북폭 임무를 맡은 B-52와 함께 들어가던 F-102가 MiG-21이 발사한 K-13 미사일에 격추되어 버렸다[3]. 이때 다른 F-102가 MiG-21에게 AIM-4 팰콘을 발사하였으나 빗나갔다고 한다.

또한 이륙 도중 소화기 사격에 맞고 격추되거나 엔진 결함으로 추락하는 등, 영 좋지 못한 모습을 계속 보여주었기에 고성능의 요격 능력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점차 일선에서 물러났다[4].

한편 F-102는 후속기인 F-106과는 다르게 수출도 되었기 때문에 그리스와 터키는 F-102를 가지고 서로 공중전을 하기도 하였다.

6. 퇴역

후계기 성격으로 등장한 F-4 팬텀과 F-106 델타 다트의 요격 성능이 우수했기 때문에 1970년을 즈음으로 F-102는 모두 일선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이후 F-102들은 1980년대 중반까지 QF-102로 전환되어 AIM-120의 표적으로 하나 둘씩 사라졌으며 일부는 F-102를 보유한 터키와 그리스의 부품 지원용으로 뜯겨나갔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IM-120_first_kill.jpg

여담으로 세계 최초로 AIM-120에 격추된 전투기가 바로 무인 표적기로 개조된 QF-102A이다. 위의 사진은 1982년 뉴멕시코 White Sands에서 F-16이 발사한 AIM-120 암람에 격추되는 모습.

7. 기타

8.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colbgcolor=#002664,#1c315c> 1940년대 P-59 에어라코멧 | FH 팬텀 | FJ-1 퓨리 | F2H 밴시 | F9F 팬서 | F-86 세이버 | F-84 썬더제트 | F-80 슈팅스타 | F6U 파이렛
1950년대 F-89 스콜피온 | F-94 스타파이어 | F-9(F9F) 쿠거 | F-10(F3D) 스카이나이트 | F-100 슈퍼 세이버 | FJ-2/3(F-1) 퓨리 | F7U 커틀러스 | F-1E(FJ-4) 퓨리 | F-7(F2Y) 씨다트 | F-11(F11F) 타이거 | F-3(F3H) 데몬 | F-102 델타 대거 | F-6(F4D) 스카이레이 | F-8(F8U) 크루세이더 | F-101부두 | F-104 스타파이터 | F-105 썬더 치프 | F-106 델타 다트
1960년대 F-4(F4H/F-110) 팬텀 II/스펙터 | F-5 프리덤 파이터 / 타이거 II | F5D 스카이랜서 | F-111 아드바크
1970년대 F-14 톰캣 / 슈퍼톰캣 | F-15 이글 / 스트라이크 이글 | F-16 파이팅 팰콘
1980년대 F-20 타이거 샤크 | F/A-18 호넷 | F-117 나이트호크
1990년대 F/A-18E/F 슈퍼 호넷 | F-22 랩터 | F-35 라이트닝 II
2010년대 F-15SE 사일런트 이글 | F-16V 바이퍼
2020년대 F-15EX 이글 II | F-35 라이트닝 II 블록 4
2030년대 PCA | F/A-XX
}}}}}}}}}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지상 공격기 A-1, OV-10, F-105, F-107, F-111, A-7D, A-10A, A-26, A-37A/B, AC-47, AC-130A/E
제공 전투기 <colbgcolor=#005a99> 1세대 F-80C, F-84, F-86A/F, F-86E-6-CAN
2세대 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F-108
3세대 F-4C/D/E, F-5A/B/E, F-111A
4세대 F-15A/B/C/D, F-16A/B/C/D
5세대 ATF, YF-23
폭격기 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B-66, YB-49, XB-70, B-1A, ATB, B-52A/D/F/G, FB-111A
수송기 전술 수송기 C-12, C-23, C-54, C-119, C-123, C-130
전략 수송기 C-124, C-141A/B, C-5A/B, C-17A
공중급유기 KC-135A/B/D, KC-10A
다목적기 C-130
훈련기 T-33, T-37, T-38
정찰기 RB-57D, U-2S, SR-71A, RF-4C, RF-16, RC-135, RB-52B/C
전자전기 EB-66, EF-111
조기경보기 E-3
공중지휘기 E-4, EC-135
회전익기 UH-19
실험기 VZ-9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현대 그리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그리스군|
그리스군 (1945~현재)
Ελληνικές Ένοπλες Δυνάμεις
]]'''
<colbgcolor=#0D5EAF> 회전익기 <colbgcolor=#0D5EAF> '''[[무장헬기|
경헬기
]]'''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 AB 206B 제트레인저 II | SA.319B 알루에트 III | OH-13(H/S) 수우
'''
다목적 헬기
'''
{ UH-60M 블랙 호크} | NH90 TTH GR | UH-1H 휴이 · AB 205A | { AW139} | AS332 (A2/C1) 슈퍼 퓨마 | AW109(E/S) | AB 212 | UH-19(B/D) 치카소
공격헬기 AH-64(A+/D) 아파치
수송헬기 CH-47(C/D/DG/SD) 치누크
대잠헬기 MH-60R 시호크 | S-70B-6 에게안 호크 | AB 212ASW
'''[[전투기|
전투기
]]'''
프롭 스핏파이어 Mk.(Vb/Vc/LF.IXc/HF.IX/XVI) | Bf 109G-6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E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 F-84G 썬더제트 | F-84F 썬더스트릭
'''[[2세대 전투기|
2세대
]]'''
F-5(A/B) · NF-5(A/B) 프리덤 파이터 | F-104G 스타파이터 | F-102A 델타 대거
'''[[3세대 전투기|
3세대
]]'''
F-4E 팬텀 II → F-4E AUP PI2000 | 미라주 F1CG
4(.5)세대 라팔(EG/DG) 스탕타르 F3-R | 미라주 2000(EGM/BGM) → 미라주 2000-5 Mk.2 | F-16(C/D) 블록 (30/50/52+/52M) → 72 파이팅 팰콘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 라이트닝 II}
공격기 A-7(E/H) 콜세어 II | SB2C-5 헬다이버
폭격기 웰링턴 GR.XIII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4E | RF-5A | RF-104G | RF-84F 썬더플래시 | RT-33A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7J 스파르탄 | C-47(A/B/D) 스카이트레인 | AS.10 옥스포드 Mk.(I/II) | 웰링턴 C.XIV
전술 {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B/H) 허큘리스 | N.2501D 노라트라
수상기 HU-16 알바트로스 | Ar 196(A-3/A-5)
다목적기 비치 B360 킹에어 | C-12C 휴론 | U-17(A/B) | 에어로 커맨더 680(F/FL) | Do 28D-2 스카이서번트 | DHC-2 비버 | C-45F 익스퍼다이터 | 오스터 Mk.III | PT-17 · PT-13 카뎃 | 앤슨 Mk.II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99 에리아이 | E-3A 센트리NAEW&CF | { E-7}NAEW&CF
전자전기 C-130H (EW) | AB 212EW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3B 오라이언
'''
의무후송기
'''
비치 B350ER 킹에어
'''
연락기
'''
L-21B · L-18(B/C) 슈퍼 컵 | L-17B 나비온 | L-5(B/C) 센티넬 | Fi 156C-1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RQ-20B 푸마 II | EMP-X6T | 아틀라스 204 | DJI 매트리스 300RTK
클래스 1 - 소형
{ADS 오비터 3} | {알파 900}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HAI 아르키타스} | E1-79 페가수스(I/II) | SAGEM 스퍼워 B
클래스 3 - MALE급
{사프란 패트롤러} | 헤론 TPL | 헤론L
'''
UCAV
'''
클래스 3 - MALE급
{ MQ-9B 시 가디언} | {HAI 그리파스}
'''[[훈련기|
훈련기
]]'''
프롭 T-6A 텍산 II | P2002JF 시에라 | T-41D 메스칼레로 | AT-6A · T-6(D/G) 텍산 | DH.82A 타이거 모스 II
제트 M-346B 마스터 | T-2(C/E) 벅아이 | TA-7(C/H) | TF-104G | TF-102A | T-37(B/C) 트윗 | T-33A 슈팅스타 | AT-33AN 실버스타 Mk.3
헬기 슈바이처 NH300C | 벨 47(G-3/G-5/J-2)
VIP 탑승기 ERJ-135 레거시 600 | 다쏘 팰컨 7X | 걸프스트림 G500 | AB 212VIP | G-159 걸프스트림 I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정작 파일럿들이 실제로 쓴 별명은 "Deuce" 였다. [2] 그러나 마하의 벽은 못 넘겼다(...) 결국 엔진을 바꾸어 초음속 비행에 성공. [3] 미사일이 폭발하진 않고 후미에 박혔으나,조종사가 윙맨에게 이를 보고하는 순간 폭발했다고 한다 [4] 기관포도 없으며 폭탄이나 추가적인 로켓을 장착할 수도 없고 팰콘 같은 초기 미사일만 장착되는 좁은 무장창으로 인한 한계가 컸다. 게다가 요격 성능도 얼마 지나지 않아 나온 후속기인 F-106에 비해 많이 밀렸다. 당장 알래스카의 요격부대에 속했던 파일럿의 이야기에 "F-102는 마하 1을 겨우 넘겼으며, 최고 속도로 도주하는 Tu-95를 쫓아가기엔 느렸다" 라고 언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