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개최국은 2018년 FIFA 월드컵 개최국인 러시아이다. 전 대회와 마찬가지로 월드컵 우승팀과 각 대륙별 대회 우승팀, 그리고 개최국까지 포함해 8개 팀이 참가할 예정이다.
2. 출전국
참가 자격 | 국가 | 출전 횟수 |
개최국 | 러시아 | 1(처음) |
FIFA 월드컵(2014) | 독일 | 3 |
코파 아메리카(2015) | 칠레[1] | 1(처음) |
CONCACAF 골드컵(2015) | 멕시코[2] | 7 |
AFC 아시안컵(2015) | 호주 | 4[3]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2017) | 카메룬 | 3 |
OFC 오세아니아 네이션스컵(2016) | 뉴질랜드 | 4 |
UEFA 유로(2016) | 포르투갈 | 1(처음) |
2013년 대회에 참가했던 나라는 멕시코가 유일하다.
3. 공인구
공인구 명은 크라사바(Krasava)이며, 2017년 K리그에서도 공인구로 사용된다.
4. 조편성
- A조 : 러시아, 뉴질랜드, 포르투갈, 멕시코
- B조 : 카메룬, 칠레, 호주, 독일
5. 조별 리그
경기시간은 한국시간(UTC+9)5.1. A조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1 |
|
3 | 2 | 1 | 0 | 7 | 2 | +5 | 7 |
2 |
|
3 | 2 | 1 | 0 | 6 | 4 | +2 | 7 |
3 |
|
3 | 1 | 0 | 2 | 3 | 3 | 0 | 3 |
4 |
|
3 | 0 | 0 | 3 | 1 | 8 | -7 | 0 |
최근 대결[4]
- 러시아 VS 뉴질랜드 -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6조 - 3:0 러시아 승
- 포르투갈 VS 멕시코 - 2006 FIFA 월드컵 독일 D조 - 2:1 포르투갈 승
- 멕시코 VS 뉴질랜드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대륙 플레이오프 1,2차전 합계 9:3[5] - 멕시코 2승
- 러시아 VS 포르투갈 - 유로 2004 A조 - 0:2 포르투갈 승
- 멕시코 VS 소련 -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 1조 - 0:0 무
경기일 | 2017년 6월 18일(일) 00:00 | |
경기장 |
상트페테르부르크 스타디움, 상트페테르부르크 |
|
주심 | Wilmar ROLDÁN ( 콜롬비아)[6] | |
국가 |
|
|
점수 | 2 | 0 |
득점 |
마이클 복스올 (31', OG) 표도르 스몰로프 (69') |
|
MOM | 표도르 스몰로프 (러시아) |
경기일 | 2017년 6월 19일(월) 00:00 | |
경기장 |
카잔 아레나, 카잔 |
|
주심 | Néstor PITANA ( 아르헨티나)[7] | |
국가 |
|
|
점수 | 2 | 2 |
득점 |
히카르두 콰레스마 (34') 세드릭 소아레스 (86') |
하비에르 에르난데스 (42') 엑토르 모레노 (90'+1) |
MOM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포르투갈) |
경기일 | 2017년 6월 22일(목) 00:00 | |
경기장 |
스파르타크 스타디움, 모스크바 |
|
주심 | Gianluca ROCCHI ( 이탈리아) | |
국가 |
|
|
점수 | 0 | 1 |
득점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8') | |
MOM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포르투갈) |
경기일 | 2017년 6월 22일(목) 03:00 | |
경기장 |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소치 |
|
주심 | Bakary GASSAMA ( 감비아) | |
국가 |
|
|
점수 | 2 | 1 |
득점 |
라울 히메네스 (54') 오리베 페랄타 (72') |
크리스 우드 (42') |
MOM | 하비에르 아퀴노 (멕시코) |
경기일 | 2017년 6월 25일(일) 00:00 | |
경기장 |
카잔 아레나, 카잔 |
|
주심 | Fahad AL MIRDASI ( 사우디아라비아) | |
국가 |
|
|
점수 | 2 | 1 |
득점 |
네스터 아라우호 (30') 이르빙 로사노 (52') |
알렉산드르 사메도프 (25') |
MOM | 이르빙 로사노 (멕시코) |
경기일 | 2017년 6월 25일(일) 00:00 | |
경기장 |
상트페테르부르크 스타디움, 상트페테르부르크 |
|
주심 | Mark GEIGER ( 미국) | |
국가 |
|
|
점수 | 0 | 4 |
득점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33', PK) 베르나르두 실바 (37') 안드레 실바 (80') 루이스 나니 (90'+1) |
|
MOM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포르투갈) |
5.2. B조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1 |
|
3 | 2 | 1 | 0 | 7 | 4 | +3 | 7 |
2 |
|
3 | 1 | 2 | 0 | 4 | 2 | +2 | 5 |
3 |
|
3 | 0 | 2 | 1 | 4 | 5 | -1 | 2 |
4 |
|
3 | 0 | 1 | 2 | 2 | 6 | -4 | 1 |
최근 대결[8]
- 카메룬 VS 칠레 -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B조 - 1:1 무
- 호주 VS 독일 -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D조 - 독일 4:0 승
- 독일 VS 칠레 -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2조 - 서독 4:1 승[9]
- 칠레 VS 호주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B조 - 칠레 3:1 승
- 독일 VS 카메룬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E조 - 독일 2:0 승
경기일 | 2017년 6월 19일(월) 03:00 | |
경기장 |
스파르타크 스타디움, 모스크바 |
|
주심 | Damir SKOMINA ( 슬로베니아) | |
국가 |
|
|
점수 | 0 | 2 |
득점 |
아르투로 비달 (81')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90'+1) |
|
MOM | 아르투로 비달 (칠레) |
경기일 | 2017년 6월 20일(화) 00:00 | |
경기장 |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소치 |
|
주심 | Mark GEIGER ( 미국) | |
국가 |
|
|
점수 | 2 | 3 |
득점 |
토마스 로기치 (41') 토미 유리치 (56') |
라르스 슈틴들 (5') 율리안 드락슬러 (44', PK) 레온 고레츠카 (48') |
MOM | 율리안 드락슬러 (독일) |
경기일 | 2017년 6월 23일(금) 00:00 | |
경기장 |
상트페테르부르크 스타디움, 상트페테르부르크 |
|
주심 | Milorad MAŽIC ( 세르비아) | |
국가 |
|
|
점수 | 1 | 1 |
득점 | 앙드레-프랑크 앙귀사 (45'+1) | 마크 밀리건 (60', PK) |
MOM | 앙드레-프랑크 앙귀사 (카메룬) |
경기일 | 2017년 6월 23일(금) 03:00 | |
경기장 |
카잔 아레나, 카잔 |
|
주심 | Alireza FAGHANI ( 이란) | |
국가 |
|
|
점수 | 1 | 1 |
득점 | 라르스 슈틴들 (41') | 알렉시스 산체스 (6') |
MOM | 알렉시스 산체스 (칠레) |
경기일 | 2017년 6월 26일(월) 00:00 | |
경기장 |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소치 |
|
주심 | Wilmar ROLDÁN ( 콜롬비아) | |
국가 |
|
|
점수 | 3 | 1 |
득점 |
케렘 데미르바이 (48') 티모 베르너 (66') (81') |
뱅상 아부바카 (78') |
MOM | 티모 베르너 (독일) |
경기일 | 2017년 6월 26일(월) 00:00 | |
경기장 |
스파르타크 스타디움, 모스크바 |
|
주심 | Gianluca ROCCHI ( 이탈리아) | |
국가 |
|
|
점수 | 1 | 1 |
득점 | 마르틴 로드리게스 (67') | 제임스 트로이시 (42') |
MOM | 제임스 트로이시 (호주) |
6. 결선 토너먼트
6.1. 4강전
- 최근 대결:독일 VS 멕시코: 200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독일 - 4:3 독일 승
경기일 | 2017년 6월 29일(목) 03:00 | ||
경기장 |
카잔 아레나, 카잔 |
||
주심 | Alireza FAGHANI (이란) | ||
국가 |
|
|
|
점수 | 0(PK 0) | 0(PK 3) | |
득점 | |||
MOM | 클라우디오 브라보 (칠레) |
경기일 | 2017년 6월 30일(금) 03:00 | |
경기장 |
피시트 올림픽 스타디움, 소치 |
|
주심 | Néstor PITANA (아르헨티나) | |
국가 |
|
|
점수 | 4 | 1 |
득점 |
레온 고레츠카 (6') (8') 티모 베르너 (59') 아민 유네스 (90'+1) |
마르코 파비안 (89') |
MOM | 레온 고레츠카 (독일) |
- 3,4위 결정전
- 최근 대결:2017 컨페더레이션스컵 A조 - 2:2 무
경기일 | 2017년 7월 2일(일) 21:00 | |
경기장 |
카잔 아레나, 카잔 |
|
주심 | Fahad AL MIRDASI (사우디아라비아) | |
국가 |
|
|
점수 | 2 | 1 |
득점 |
페페 (90'+1) 아드리엔 시우바 (105', PK) |
루이스 네투 (54', OG) |
MOM | 기예르모 오초아 (멕시코) |
6.2. 결승전
2017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러시아 결승 |
|||||
2017. 07. 03 / 상트페테르부르크 스타디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
독일 |
|
칠레 |
|||
1 - 0 | |||||
20' 라르스 슈틴들 |
- | ||||
Man of the Match: 마르크안드레 테어슈테겐 |
7. 대회 이후
- 이번 대회의 우승국인 독일은 이후 열린 2018 러시아 월드컵에서 첫경기 때 나쁜 징조를 보이더니 결국 월드컵 역사에 길이 남을 대참사를 일으키고 조별리그 꼴찌로 그 월드컵을 마감하고 말았다.
- FIFA 내부에서 원래대로 진행될 2021년부터는 컨페더레이션스컵을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마지막 컨페더레이연스컵 우승국은 독일이 되었다.
[1]
2016년에도 대회가 있지만, 특별 대회이기 때문에(물론 기록은 정식으로 쳐 주지만) 정규 대회에서 우승한 칠레가 출전권을 갖는다. 그런데 2015년과 2016년 대회 모두 결국 칠레가 우승해서 어떤 기준으로 봐도 칠레로 확정되었다.
[2]
미국과의 CONCACAF컵에서 승리.
[3]
AFC로 편입 후 처음이다. 기존 3회는 OFC 자격으로 출전했다.
[4]
러시아는 소련시절의 성적도 반영
[5]
멕시코 5:1 뉴질랜드, 뉴질랜드 2:4 멕시코
[6]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vs 알제리 경기 주심이었다.
[7]
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 러시아 vs 대한민국 경기 주심이었다.
[8]
독일은 서독시절의 성적도 반영
[9]
이 대회에서 서독은 그 유명한
히혼의 수치의 주범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