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5 23:51:17

부르사

프루사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732f><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00732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실베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그라나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사라예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디르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앙카라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카잔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알마티
파일:모로코 국기.svg
탕헤르
파일:튀니지 국기.svg
비제르트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티라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스탄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카이세리
파일:체첸 공화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그로즈니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비슈케크
파일:모로코 국기.svg
우지다
파일:튀니지 국기.svg
타바르카
파일:리비아 국기.svg
데르나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부르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샨르우르파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바쿠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타슈켄트
파일:모로코 국기.svg
페스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스
파일:리비아 국기.svg
벵가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즈미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가지안테프
파일:이란 국기.svg
타브리즈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부하라
파일:모로코 국기.svg
라바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베자
파일:이집트 국기.svg
알렉산드리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메르신
파일:이라크 국기.svg
모술
파일:이란 국기.svg
테헤란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사마르칸트
파일:모로코 국기.svg
메크네스
파일:튀니지 국기.svg
카이로우안
파일:이집트 국기.svg
데숙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키레니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바그다드
파일:이란 국기.svg
카샨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두샨베
파일:모로코 국기.svg
카사블랑카
파일:튀니지 국기.svg
수스
파일:이집트 국기.svg
카프르엘셰이크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레프코샤
파일:이라크 국기.svg
바스라
파일:이란 국기.svg
이스파한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아시가바트
파일:모로코 국기.svg
마라케쉬
파일:튀니지 국기.svg
마디야
파일:이집트 국기.svg
만수라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마구스타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이란 국기.svg
쉬라즈
파일:이란 국기.svg
마슈하드
파일:모로코 국기.svg
아가디르
파일:튀니지 국기.svg
스팍스
파일:이집트 국기.svg
탄타
파일:시리아 국기.svg
알레포
파일:바레인 국기.svg
마나마
파일:카타르 국기.svg
도하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카불
파일:모로코 국기.svg
엘아이운
파일:튀니지 국기.svg
토주르
파일:이집트 국기.svg
시빈엘콤
파일:시리아 국기.svg
라타키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부다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이슬라마바드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누악쇼트
파일:튀니지 국기.svg
가베스
파일:이집트 국기.svg
반하
파일:시리아 국기.svg
홈스
파일:요르단 국기.svg
이르비드
파일:두바이 시기.svg
두바이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다카
파일:세네갈 국기.svg
티바완
파일:리비아 국기.svg
트리폴리
파일:이집트 국기.svg
카이로
파일:시리아 국기.svg
다마스쿠스
파일:요르단 국기.svg
마프라크
파일:샤르자 및 라스 알카이마 시기.svg
샤르자
파일:샤르자 및 라스 알카이마 시기.svg
라스 알카이마
파일:세네갈 국기.svg
티에스
파일:니제르 국기.svg
아가데즈
파일:이집트 국기.svg
기제
파일:레바논 국기.svg
타라불사
파일:요르단 국기.svg
자르카
파일:아지만 시기.svg
아지만
파일:오만 국기.svg
소하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다카르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아메
파일:이집트 국기.svg
아시유트
파일:레바논 국기.svg
베이루트
파일:요르단 국기.svg
살트
파일:오만 국기.svg
니즈와
파일:오만 국기.svg
무스카트
파일:세네갈 국기.svg
디우르벨
파일:말리 국기.svg
팀북투
파일:이집트 국기.svg
퀴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제닌
파일:요르단 국기.svg
암만
파일:오만 국기.svg
도파르
파일:몰디브 국기.svg
말레
파일:감비아 국기.svg
반줄
파일:말리 국기.svg
바마코
파일:이집트 국기.svg
룩소르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툴카름
파일:요르단 국기.svg
카라크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아라르
파일:코모로 국기.svg
모로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비사우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와가두구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북하르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칼킬야
파일:요르단 국기.svg
마안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카카
파일:필리핀 국기.svg
마라위
파일:기니 국기.svg
코나크리
파일:차드 국기.svg
은자메나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옴두르만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나블루스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타부크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하일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반다르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프리타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아부자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하르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라말라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메디나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부라이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쿠알라룸푸르
파일:수리남 국기.svg
파라마리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라고스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아리하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메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담맘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자카르타
파일:베냉 국기.svg
포르토노보
파일:카메룬 국기.svg
응간하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모가디슈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예루살렘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바하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리야드
파일:가봉 국기.svg
리브르빌
파일:카메룬 국기.svg
응가운데레
파일:우간다 국기.svg
캄팔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베이트 울라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압하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나즈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하사
파일:카메룬 국기.svg
두알라
파일:카메룬 국기.svg
야운데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마푸투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사이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지잔
파일:예멘 국기.svg
사나
파일:예멘 국기.svg
타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칸 유니스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가자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알칼릴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할훌
파일:예멘 국기.svg
아덴
파일:코모로 국기.svg
모로니
알제리는 미가입 상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65deg, transparent 15%, #fff 15%, #fff 85%, transparent 85%), linear-gradient(to bottom, #E30A17 50%, #E30A17 50%)"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지역(Bölge) 주(İl)
중앙아나톨리아
<colbgcolor=#fff,#000>파일:앙카라.png 앙카라 · 파일:에스키셰히르.png 에스키셰히르 · 파일:카이세리.png 카이세리 · 파일:크르셰히르.png 크르셰히르 · 파일:콘야.png 콘야 · 파일:네브셰히르.png 네브셰히르 · 파일:시바스.png 시바스 · 파일:요즈가트.png 요즈가트 · 파일:악사라이.png 악사라이 · 파일:카라만.png 카라만 · 파일:니으데.png 니으데 · 파일:찬크르.png 찬크르 · 파일:크륵칼레.png 크륵칼레
마르마라
파일:이스탄불 휘장.svg 파일:이스탄불 휘장 흰색.svg 이스탄불 · 파일:발르케시르.png 발르케시르 · 파일:부르사.png 부르사 · 파일:차낙칼레.png 차낙칼레 · 파일:에디르네.png 에디르네 · 파일:테키르다.png 테키르다 · 파일:얄로바.png 얄로바 · 파일:크륵랄렐리.png 크르클라렐리 · 파일:사카리아.png 사카리아 · 파일:빌레직.png 빌레직 · 파일:코자엘리.png 코자엘리
에게 해
파일:이즈미르.png 이즈미르 · 파일:아피온카라히사르.png 아피온카라히사르 · 파일:아이든.png 아이든 · 파일:데니즐리.png 데니즐리 · 파일:퀴타히아.png 퀴타히아 · 파일:마니사.png 마니사 · 파일:우샤크.png 우샤크 · 파일:무을라.png 무을라
지중해
파일:안탈리아.png 안탈리아 · 파일:아다나.png 아다나 · 파일:부르두르.png 부르두르 · 파일:하타이.png 하타이 · 파일:으스파르타.png 으스파르타 · 파일:메르신.png 메르신 · 파일:카흐라만마라쉬.png 카흐라만마라쉬 · 파일:킬리스.png 킬리스 · 파일:오스마니예.png 오스마니예
동남아나톨리아
파일:가지안테프.png 가지안테프 · 파일:바트만.png 바트만 · 파일:디야르바크르.png 디야르바크르 · 파일:마르딘.png 마르딘 · 파일:시이르트.png 시이르트 · 파일:샨르우르파.png 샨르우르파 · 파일:아드야만.png 아드야만 · 파일:시으르낙.png 시으르낙
흑해 파일:삼순.png 삼순 · 파일:아마시아.png 아마시아 · 파일:아르트빈.png 아르트빈 · 파일:바이부르트.png 바이부르트 · 파일:볼루.png 볼루 · 파일:초룸.png 초룸 · 파일:뒤즈제.png 뒤즈제 · 파일:기레순.png 기레순 · 파일:귀뮈쉬하네.png 귀뮈쉬하네 · 파일:카스타모누.png 카스타모누 · 파일:오르두(튀르키예).png 오르두 · 파일:리제(튀르키예).png 리제 · 파일:시노프.png 시노프 · 파일:토카트.png 토카트 · 파일:트라브존.png 트라브존 · 파일:종굴다크.png 종굴다크 · 파일:바르튼.png 바르튼 · 파일:카라뷕.png 카라뷕
동아나톨리아
파일:아르다한.png 아르다한 · 파일:빈괼.png 빈괼 · 파일:비틀리스.png 비틀리스 · 파일:엘라즈으.png 엘라즈으 · 파일:에르진잔.png 에르진잔 · 파일:에르주룸(튀르키예).png 에르주룸 · 파일:학캬리.png 학캬리 · 파일:카르스.png 카르스 · 파일:말라티아.png 말라티아 · 파일:무쉬.png 무쉬 · 파일:반(튀르키예).png · 파일:으드르.png 으드르 · 파일:아으르.png 아으르 · 파일:툰젤리.png 툰젤리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 튀르키예 의 세계유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문화유산
1985년

이스탄불 역사지구
İstanbul'un Tarihi Alanları
1985년

디브리이의 대 모스크와 병원
Divriği Ulu Camii ve Darüşşifası
1986년

하투샤
: 히타이트의 수도

Hattuşa: Hitit Başkenti
1987년

넴루트 산
Nemrut Dağı
1988년

크산토스 ・ 레툰
Xanthos - Letoon
1994년

사프란볼루
Safranbolu Şehri
1998년

트로이의 고고 유적
Truva Arkeolojik Alanı
2011년

셀리미예 사원 복합 유적
Edirne Selimiye Camii ve Külliyesi
2012년

차탈회위크 신석기 유적지
Çatalhöyük Neolitik Alanı
2014년

부르사와 주말르크즈크
: 오스만 제국의 탄생

Bursa ve Cumalıkızık
: Osmanlı İmparatorluğunun Doğuşu
2014년

페르가몬과 다층적 문화경관
Bergama Çok Katmanlı
Kültürel Peyzaj Alanı
2015년

디야르바크르 요새 및 헤브셀 정원 문화경관
Diyarbakır Kalesi ve Hevsel Bahçeleri Kültürel Peyzajı
2015년

에페수스
Efes
2016년

아니 고고학 유적지
Ani Arkeolojik Alanı
2017년

아프로디시아스
Aphrodisias
2018년

괴베클리 테페
Göbekli Tepe
2021년

아르슬란테페
Arslantepe Höyüğü
2023년

고르디온
Gordion
복합유산
1985년

괴레메 국립공원과 카파도키아 바위 유적
Göreme Millî Parkı ve Kapadokya
1988년

히에라폴리스 ・ 파묵칼레
Hieropolis - Pamukkale
}}}}}}}}} ||
파일:터키 부르사.jpg 파일:부르사 터키 1.jpg
부르사 울루 자미 (대사원) 도심 부분
유네스코 세계유산
이름 한국어 부르사와 주말르크즈크: 오스만 제국의 탄생
영어 Bursa and Cumalıkızık:
the Birth of the Ottoman Empire
프랑스어 Bursa et Cumalıkızık :
la naissance de l’Empire ottoman
국가·위치 튀르키예 부르사 도
등재유형 문화유산
등재연도 2014년
등재기준 (i)[1], (ii)[2], (iv)[3], (vi)[4]
지정번호 1452

오스만 튀르키예어: بورسا
영어, 튀르키예어: Bursa

1. 개요2. 여담3. 역사
3.1. 오스만국의 수도3.2. 근현대 : 실향민 수용
4. 관광 (볼거리)5. 스포츠6.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튀르키예 북서부 마르마라 지방에 위치한 도(il)이자 동명의 도시. 부르사 도의 중심이며 인구 190만의 도시로, 이스탄불, 앙카라, 이즈미르의 뒤를 이어 튀르키예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다. 부르사 혹은 프루사라는 지명은 도시의 실질적인 창건자인 비티니아 왕국의 군주 프루시아스 1세에서 유래되었다. 에디르네와 함께 오스만국의 수도(1326~1453)로 기능하며 성장하였고,[5] 이후에도 아나톨리아의 주요 거점이었다. 신흥 오스만 세력이 점령한 첫 대도시이고 천도 이후에도 중시되었다는 점에서 중국 청나라 심양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부르사 주는 2011년에 경상북도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2. 여담

튀르키예어로 세프탈리라고 부르는 복숭아가 특산물이다. 그 당도는 어마무시하기 때문에 세계 최고의 복숭아라고 부른다는 소리가 있다. 일단 부르사 시내에서 아무 가게에나 보이는 복숭아를 굳이 고르고 고르지 않고 아무거나 집어먹는다해도 어지간한 국산 복숭아 뺨치는 당도를 자랑한다. 체리 역시 유명하다. 이 지방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지는 이스켄데르 케밥도 전문 프랜차이즈 점이 있을 정도로 유명하다. 요리가 나오고 조금 기다리면 종업원이 와서 끓는 버터를 냅다 들이 붓는 게 일종의 암묵적 룰 같은데, 당연하게도 엄청난 칼로리를 섭취하게 된다. 버터에 찌들은 한 입 크기로 썰어놓은 빵과 구운 가지를 보는 것만으로도 알 수 있다.

유럽 방면 이스탄불 남쪽에서 비교적 싼값에 배를 타고 넘어갈 수 있는데 대략 2~3시간 정도 걸리면 시내에 들어갈 수 있다. 이스탄불이 워낙에 붐비고 수작부리는 현지인들이 많거니와[6] 관광지를 중심으로 창렬물가를 자랑하기에 본인의 여행 스타일이 관광지 훑어보기가 아닌 그냥 발 닿는대로 즐기는 걸 선호한다면 하루 정도 시간내서 가보기에도 무리는 아닐 정도로 가깝다.

그 밖에 르노에서 생산하는 터키의 자동차 공장이 이 곳에 위치해 있기도 하다.

3. 역사

파일:부르사 터키 4.jpg
부르사의 성벽

3.1. 오스만국의 수도

오스만 베이국 제2대 베이인 오르한이 이 도시를 정복한 이후( 부르사 공방전) 첫 수도였던 쇠위트(Söğüt)에서 천도해 이곳에 자리잡았다. 이후 오스만이 발칸반도로 확장하면서 트라키아의 에디르네를 수도로 삼게 되지만, 아직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 이전이라 국토를 콘스탄티노폴리스가 막고 있어 부르사는 아나톨리아 지방의 수도로서 여전히 제 역할을 다 했다. 도시는 1402년 앙카라 전투 이후 티무르 제국군에게 약탈당하며 크게 파괴되었다가 이후 메흐메드 1세 때에 와서야 복구되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정복 이후에야 에디르네와 함께 수도의 지위를 잃게 된다.

3.2. 근현대 : 실향민 수용

1차 대전 이후 발칸 반도에서 쫓겨난 튀르크인들이 부르사에 대거 정착하였는데, 특히 40년대 이후 불가리아에서 추방된 15만에 달하는 불가리아 튀르크인 및 포마크인의 1/3이 부르사에 정착하였다.[7]

4. 관광 (볼거리)

파일:부르사 터키.jpg

5. 스포츠

신영록 선수가 뛰었던 튀르키예의 1부 축구팀 부르사스포르의 연고지이다.

6. 출신 인물


[1]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 [2]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3]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4]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 [5] 1360년대의 어느 해인가에 에디르네를 함락한 이후 천도를 한 것으로 보는 경우도 있는데, 정작 오스만의 군주들은 이후로도 부르사에 머물렀으므로 수도가 두 군데였던 것으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 아무리 짧게 잡아도 부르사는 메메드 1세가 에디르네로 거처를 옮길 때까지 오스만의 수도였다. [6] 갈라타 다리에서는 뜬금없이 담배불 붙혀달라곤 다가와서 술이나 한 잔하고 꼬셔서 바가지를 씌운다거나, 구두솔을 일부러 떨구고는 주워주는 관광객에게 고맙다며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냅다 구두를 닦은 다음에 거액을 요구하거나 (심지어 닦아 줄 수 조차 없는 샌들을 신은 사람한테도 시도한다) [7] 다만 불가리아 국명의 어원이자 민족 구성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불가리아인들의 조상 중 하나인 불가르족도 튀르크 계통이다.( 불가르 칸국 문서 참조) 불가르족의 경우 정교회로의 개종 전후하여 교회 슬라브어를 받아들이면서 지배층마저 슬라브어 계열 언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피지배층이었던 남슬라브인들과 동화되었다. [8] 보통 마스지드하면 한 개의 커다란 돔에 미나레트를 떠올리는데 여기는 작은 돔 여러 개가 올라간 형태이다. 튀르키예의 유명한 건축물을 미니어처로 만들어 놓은 박물관이 이스탄불에 있는데 거기에서 등장하는 걸로 보아 현지인들 사이에서도 나름 유명한 마스지드로 평가받는 듯하다. 시내 중심과 가까워서 바로 코앞의 지하에 설치된 상당한 규모의 바자르와 지상의 시장과 이어져 있다. 현지인들에게는 나름 유명하지만 외국인들은 잘 안가는 곳이어서 그런지 이스탄불의 관광객으로 미어터지는 마스지드보다는 더 진짜 모습의 마스지드 풍경을 볼 수 있다. 원래 이 나라 사람들이 우리 기준으로는 신기할 정도로 낯가림이 없는데 외국인, 특히 동양인을 보기 힘들고, 아이들 같은 경우 여행자를 역으로 '관광' 하기 때문에 가만히 앉아있으면 아이들이 우르르 몰려드는 경험을 할 수 있다. [9] 마스지드는 회당이기도 하지만 기도시간이 아니라면 현지인에게 마을회관 같은 기능도 있다. 부모들이 아이들을 데려와서 자기들끼리 뛰어 놀게 하고 한 쪽에 모여서는 수다를 떠는 게 일상이라서 엄숙한 분위기를 강조하는 우리나라의 종교시설의 모습과는 상당히 다르다. 보통의 이슬람은 종교와 생활이 너무 밀접해서 예배의식도 경건하지만 가벼운 느낌으로 이루어진다. 때문에 회당 내부에서 기도시간에 드러누운(...) 사람도 볼 수 있다. 종교 의식의 엄숙한 분위기를 중시하는 유럽인들이나 동아시아인 관점에서 이는 불경스러운 행동으로 보는 반면, 이쪽은 '여기는 신의 집이고 그는 신의 품안에 누워있는 것이다.' 로 생각을 한다고. 반면 예배의식이 가장 엄격한 종교는 동방정교회 쪽이다. 못해도 1시간 걸리는데 그 과정을 전부 서서 진행한다. 물론 노약자를 위한 약간의 의자를 배치하기는 한다. [10] 이스켄데르 케밥의 발명자. 부르사 시의 이스켄데르 케밥 가게들 사이에선 이스켄데르의 후손만 이스켄데르 케밥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관계없는 사람이 운영하는 식당은 요우르트 케밥(Yoğurt Kebabı)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암묵의 룰이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