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2:54:0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연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8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파일:국가과학기술연구회 흰색 심볼.svg
[[국가과학기술연구회|{{{#fff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 (NST)}}}]]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부설기관 : 국가녹색기술연구소 (NIGT)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KBSI)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RIBB)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한국한의학연구원 (KIOM) 한국생산기술연구원 (KITEC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부설기관 : 국가보안기술연구소 (NSR)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IC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KRRI)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한국식품연구원 (KFRI)
부설기관 : 세계김치연구소 (WIKIM)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IGAM)
한국기계연구원 (KIMM)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한국전기연구원 (KERI) 한국화학연구원 (KRICT)
부설기관 : 안전성평가연구소 (KIT)
한국원자력연구원 (KAERI) 한국재료연구원 (KIMS)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FE)
}}}}}}}}}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韓國鐵道技術硏究院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RRI)
파일:한국철도기술연구원 로고.svg
설립일 1996년 3월 2일[1]
소재지 본원 - 경기도 의왕시 철도박물관로 176
의왕시험동 - 경기도 의왕시 가나무로 117
오송분원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정중연제로 384-1[2]
경량전철시험선 -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흥산길 27
남부지역센터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로18번길 46
원장 한석윤 (2021년 4월 9일 – 현재)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한국철도표준규격(KRS) / 철도형식승인(TA)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3]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4]

1. 개요2. 현황3. 연혁4. 사업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철도, 대중교통, 물류 등 공공교통 분야의 연구개발 및 성과확산을 통해 국가 및 산업계 발전에 기여하는 기관이다.

공식 약칭은 철도연이다.[5] 영문 약칭은 KRRI이다.

2. 현황

3. 연혁

원장 임기는 3년이다.

4. 사업

파일:한국철도기술연구원 로고.svg
한국철도기술연구원실험열차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015aaa><colcolor=#fff> - 110000~140000호대 전동차( KTX-산천 SRT)
- 150000호대 전동차( KTX-이음), 160000호대 전동차( KTX-청룡), SRT EMU-320(제작중), EMU-370(연구중), UTY EMU-250(수출 예정)
일반
- 150000호대 전동차( KTX-이음), 160000호대 전동차( KTX-청룡) }}}}}}}}}

파일:한국철도기술연구원 로고.svg
한국철도기술연구원개발 전동차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colbgcolor=#015aaa><colcolor=#fff> 한국형 표준 전동차, 차세대전동차
K-AGT }}}}}}}}}

5. 여담

||철도연 인사부서가 계약기간이 각기 다른 파견직 22명을 4차례(2017.08, 2017.09, 2018.02, 2018.06)에 걸쳐 2년을 초과하는 연장계약들을 체결했고, 계약 만료 후 정규직으로 전환하지 않자 문제가 발생했다.
  • 2018년 10월, 이들이 파견법 위반 혐의로 고용노동부에 고소했다.
  • 2019년 7월, 고용노동부 안양지청이 이를 검토완료하고 철도연을 검찰에 송치했다. #
  • 2019년 10월, 신용현 의원이 국정감사에서 이를 질의했다. #
  • 2020년 8월,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특정감사 결과 인사부서 5명을 징계할 것을 통보했다.
  • 2022년 10월, 수원지법 안양지원 제2민사부(재판장 전서영)는 "연구원이 이들을 정규직으로 채용해야 하며, 정규직이었다면 받았을 임금과 파견 근로자로 받은 임금의 차액과 이자 약 20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 이에 대해 국민의힘 이주환 국회의원은 "파견 계약을 그대로 종료하고 공채를 진행했거나, 파견 직원들을 제대로 정규직 채용했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세금 낭비"라고 했다. # ||
}}} ||

6. 관련 문서



[1] 1949년 12월 19일 설립된 교통부 교통기술연구소를 전신으로 한다. 본문의 '연혁' 참고. [2] 전동신호장에 철도종합시험선로가 있다. [3] 2023년 10월 네이버포스트 중단. [4] 2024년 3월 링크드인 신설. [5] 철기연이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잘못된 약칭이다. 예컨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도 '건기연'으로 불리기 싫어하고 '건설연'으로 불리고 싶어한다. '기술'이란 단어가 시험기관으로서의 기능이 더 부각되고 연구기관으로서의 기능이 덜 부각되는 방향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기 때문이다. [6] 창립 이래 최초의 내부 출신. [7] 미국의 일론 머스크보다 4년 빠른 제안, 8년 빠른 사업화. [8] 2020년 9월에 5G 열차자율주행시험을 한 바 있다. [9] 여기에 철로를 건널 수 있는 지하차도 또는 고가차도를 내자는 제안도 있으나, 철로 건너편에 50m 가량의 여유가 없고 바로 호수여서 아마 힘들 것으로 보인다. [10] 집와이어와 레일바이크가 있다. 서울 광나루 레일바이크가 영업을 중지하여 현재 이 곳이 수도권에서 가장 접근성 좋은 레일바이크다. 이외로는 인천 영종 씨사이드파크 레일바이크와 용문역 양평레일바이크가 있다. [11] 다른 주변 번화가 역은 차라리 서울에 자취를 잡는 것이 낫게 보인다. 수원역, 수원시청역, 산본역, 범계역, 평촌역, 안양역 등에서 대중교통 통근이 40분이 걸리는데, 이럴 바엔 영등포역, 사당역, 양재역 등에서 50분 통근하는 게 비슷하고 서울의 인프라를 누리므로. [12] 1번출구 쪽 군포부곡지구 외에도, 주변에 의왕군포안산신도시, 의왕장안지구, 의왕초평지구, 의왕월암지구, 의왕고천지구, 군포대야지미구, 수원이목지구, 수원당수지구 등. [13] 평촌신도시에는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있었다. [14] 바로 옆 2018년 7월 지정된 의왕월암지구 개발의 경우도 60가구가 반대 성향을 보였으나 겨우 통과되었다. # [15] Task Force Team의 약자. 임시편성조직의 콩글리시. [16] 정치권이 철도연의 입장은 하나도 반영하지 않고, 타 수도권 공공기관들과 묶어서 일괄적이고 피상적으로 이전 논의의 공수표를 던지곤 한다. 하지만 후술하듯 이전의 효용보다 비용이 수천억원 마이너스인데, 이를 기꺼이 자기 지역구의 혈세로 추진해 드리겠다는 정치세력도 정부도 지자체도 존재하지 않는다. [17] 비슷한 경우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이 있다. 이들도 부지매각을 하더라도 이전비용이 수천억원에 달해, 이전비용이 기대효과보다 크다. 그렇다고 수도권 실험설비들을 그대로 둔 채 행정기능만 달랑 이전하는 것 역시 한국산업기술시험원의 선례처럼 기대효과가 낮다. [18] 2023년 기준 오송역의 '철도연 분원'은 국가철도공단의 건물 및 시설에 임대료를 내며 입주해 사용하는 것일뿐이다. [19] 과거 '철도청'으로부터 두 기관이 분리되었는데, 한국철도공사는 여객 등의 운영을 담당하고, 국가철도공단은 노선의 건설 및 시설관리를 맡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