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18:34:15

창덕궁 신선원전

신선원전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 승정원) 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 양사( 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 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 북신문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조선 후기 국왕 용보.png 창덕궁 신선원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복궁 선원전
景福宮 璿源殿
창덕궁 선원전
昌德宮 璿源殿
덕수궁 선원전
德壽宮 璿源殿
창경궁 경희궁엔 선원전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창덕궁 신선원전조선 멸망 이후 세운 것이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덕수궁 선원전
德壽宮 璿源殿
창덕궁 선원전
昌德宮 璿源殿
창덕궁 신선원전대한제국 멸망 이후 세운 것이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내정전 · 태후전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신선원전
昌德宮 新璿源殿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921년 (덕수궁에서 이건)
파일:창덕궁_신_선원전.jpg
<colbgcolor=#bf1400> 신선원전[1]
파일:신선원전 현판.png
신선원전 현판

1. 개요2. 역사3. 구조4. 부속 건물
4.1. 진설청4.2. 재실4.3. 수복방4.4. 의효전4.5. 몽답정4.6. 괘궁정
5. 여담

[clearfix]

1. 개요

<colbgcolor=#bf1400>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입체 영상 <colbgcolor=#bf1400>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제작한 〈어진의 봉안처 - 선원전〉 영상

창덕궁 서북쪽에 있는 선원전이다. 선원전은 역대 들의 어진[2]을 모시고 제사 지내던 진전(眞殿)이다. 쉽게 말해 종묘 궁궐 밖에 있는, 국가 차원의 공식적인 사당이라면, 선원전은 궁궐 안에 있는 왕실의 사당이다.

이름 '선원(璿源)'은 ' 왕실의 유구한 뿌리'란 뜻으로 《 구당서》의 〈열전 - 공의태자 소〉에서 유래했다. 글자 뜻을 그대로 풀면 '아름다운 옥(璿)의 뿌리(源)'로, 왕실을 에 비유하여 '구슬의 근원', 또는 '구슬같은 뿌리'란 의미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3][4]

일제강점기에 세운 것이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 이 건물 조선 시대 창덕궁에서 쓰인 적은 없다.

현재는 비공개 구역이다.

2. 역사

원래의 창덕궁 선원전 역사에 대해서는 창덕궁 선원전 문서 참조.

덕수궁에 살던 고종이 승하한 이후 일제는 1920년에 덕수궁 선원전 부지를 민간에 매각했고, 1921년 3월에 선원전 건물을 창덕궁 서북쪽 옛 대보단과 옛 훈련도감의 북영 자리로 옮겨 지은 뒤 새로운 선원전으로 사용하게 했다. # 그래서 '새로운 선원전'이란 뜻의 '신선원전(璿源殿)'으로 불렸다.
파일:동궐도 대보단.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 대보단
대보단 병자호란의 치욕을 씻기 위한 차원에서 명나라 황제[5]에게 제사를 지내려 만든 제단이다. 일제가 대보단을 허물고 굳이 선원전을 옮겨 지은 것은, 중국의 영향력을 제거함과 동시에 한국 황실을 능멸하고 일본의 종주권을 보다 확실하게 심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함이었다.

건립 직후 옛 창덕궁 선원전에서 태조, 숙종, 영조, 정조, 순조, 문조, 헌종의, 영희전에서 세조, 원종의, 그리고 천한각에서 철종, 중화전에서 고종 어진을 옮겨 제사를 지냈다. 그리고 나중에 순종의 초상화도 모셔 총 12점의 어진을 봉안했다. 신선원전에 있던 어진은 6.25 전쟁 때 화를 피해 부산으로 옮겨졌다가 안타깝게도 1954년 부산 용두산 대화재로 대부분 불타 없어졌다. 그 중에 영조의 초상화와 타고 남은 태조, 문조, 철종 초상화만이 전한다. #

3. 구조

파일:선원전 태극기 환풍구.png }}} ||
<colbgcolor=#bf1400> 신선원전 태극기 환풍구
정면(남면)의 주춧돌과 댓돌 사이에 있는 환풍구의 모양이 태극기 형태이다. 아마 원래 대한제국 시기에 처음 지은 경운궁 선원전 건물이어서인 듯 하다. 다만 가운데 원의 무늬가 태극 대신 '' 자인데 이유는 알 수 없다. 뒷면(북면)의 벽체 하단부에도 바람이 잘 통할 수 있게 환풍구가 있는데 그건 평범한(?) 사각형 형태이다.

4. 부속 건물

4.1. 진설청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진설청
昌德宮 陳設廳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921년 (창건)
파일:신선원전 진실청.png
<colbgcolor=#bf1400> 진실

[clearfix]
진설청은 선원전에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할 음식, 등을 준비하고 차려놓는 작은 건물이다. 신선원전 구역의 진설청은 본채를 기준으로 동, 서, 서북쪽에 각각 1채 씩 총 3채가 있었다.

동, 서 진설청 건물은 맞배지붕으로 공포를 두지 않은 민도리 양식으로 되어 있다. 정면 4칸, 측면 2칸, 총 8칸으로 정면은 전부 문으로 되어있고 뒷면은 사고석과 벽돌로 하단을 쌓고 그 위에 을 두었다. 측면은, 을 둔 넓은 칸과 뒷면과 같은 모양의 좁은 칸으로 나뉘어져 있다.

서북 진설청 역시 맞배 지붕에 민도리 양식인 것은 동, 서 진설청과 같으나 정면 3칸, 측면 2칸, 총 6칸으로 남쪽 측면이 전부 , 북쪽 측면은 전부 이다. 뒷면의 경우 남쪽 방향 1칸에 문이 달려있고 그 북쪽으로 2칸은, 문선 가운데에 창문을 설치했으며 나머지 부분을 벽으로 마감했다.

4.2. 재실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재실
昌德宮 齋室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921년 (창건)
파일:창덕궁 선원전 재실.png
<colbgcolor=#bf1400> 재실
[clearfix]
제사를 준비하고 제관(祭官)이 머무르던 곳이다.

정면 7칸, 측면 3칸으로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에 공포를 두지 않고 소로 위에 바로 창방을 두었다. 합각은 벽돌로 마감했으며 용두와 취두를 올렸으나 잡상은 두지 않았다. 정면 기준 제일 왼쪽 칸은 하단에 기둥이 있는 마루로 되어 있고 오른쪽으로 2칸은 온돌방, 2칸은 대청, 2칸은 온돌방으로 되어 있으며 출입문은 대청 앞, 뒷면의 툇마루 안쪽에 두었다. 바깥 면의 창문은 전부 정(井)자 살이며 오른쪽 측면 가운데 칸은 중인방을 두고 위, 아래를 전부 으로 마감했다.

4.3. 수복방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수복방
昌德宮 守僕房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921년 (창건)
[clearfix]
제사를 준비하던 하급 관원들이 머물던 곳이다.

맞배지붕 형식으로 평방과 공포없이 창방과 서까래가 바로 만나는 구조이다. 남북축으로 길게 뻗어있으며 북쪽에서 남쪽으로 온돌방 1칸, 대청 2칸, 온돌방 2칸이 있으며 이후로는 하단에 판문, 위에 창문을 둔 모양의 칸 하나와 온돌방 2칸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4.4. 의효전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의효전
昌德宮 懿孝殿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868년 (창건)
1896년 (덕수궁 이건)
1921년 (창덕궁 이건)
파일:external/image.donga.com/-19057_0.20271100.jpg
<colbgcolor=#bf1400> 의효전
[clearfix]
신선원전의 동남쪽에 있는 건물이다. 원래 1868년( 고종 5년) 경복궁에 처음 세워져 혼전으로 쓰이던[9] 문경전(文慶殿)이란 전각이었다. 1904년( 광무 8년) 당시 황태자였던 순종의 첫 번째 아내 순명효황후 민씨의 혼전이 되면서 의효전이 되었고, 경운궁[10] 경소전(景昭殿)으로 옮겨 지었다. 보통 혼전이 되면서 생긴 이름은 상례가 끝나면 사라지고 원래 이름대로 돌아가나 순명효황후는 순종보다 먼저 죽었기 때문에 계속 위패를 의효전에 모시면서 그대로 이름이 굳어졌다.[11] 1919년 고종 승하 후 1920년 경에 일제가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즉, 경복궁, 경운궁, 창덕궁 3궁이나 거친 수난을 겪은(...) 건물. 1926년 순종이 승하하고 2년 뒤인 1928년 종묘에 부묘되면서 순명효황후의 위패 역시 종묘로 가게 되어 그제서야 의효전의 현판을 내렸다. 이후 잊히면서 한동안은 이름마저 '의전(懿殿)'으로 잘못 알려졌다. '효(孝)'를 비슷한 모양의 '로(老)'로 오독한 것. 2007년에 와서야 문헌 조사를 통해 정확한 실체를 확인했다. 의효전 현판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기단 3벌대를 쌓고 그 위에 건물을 올렸으며 정면(남면)으로 나름 넓은 월대를 두었는데 기단보다는 조금 낮고 월대 앞에 2칸 반짜리 소맷돌 없는 계단을 3세트 씩 놓고 좌, 우 양 측면에도 같은 계단을 각각 하나씩 놓았다. 정, 측면 각각 3칸 총 9칸으로 지붕은 팔작지붕에 처마는 겹처마로 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취두와 용두, 6개의 잡상을 올렸다. 창호는 전부 정(井)자 살이며 중방과 교창 없이 과 상방이 바로 붙어있다. 내부는 한 칸으로 통해 있다.

4.5. 몽답정[A]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몽답정
昌德宮 夢踏亭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창건연대 미상
파일:몽답정.png
<colbgcolor=#bf1400> 몽답정
[clearfix]
의효전의 서쪽에 있는 정자로 이름은 '꿈길(夢)을 밟고(踏) 간다'는 뜻이다. 《동국여지비고》에서는 ' 숙종이 꿈에 이 정자에 행차했다하여 몽답정이라 했다.'고 적혀있으나 《 영조실록》에서는 '훈장(訓將) 김성응이 북영에 작은 정자를 한 채 지었는데 내( 영조)가 대보단에서 바라보고 이름을 몽답정이라 내려주었으니 이를 걸게하라'고 적혀 있어 차이를 보인다. 이후 정조도 북영에 거동할 때 이 곳에 들러 휴식을 취했다고 한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에 초익공 양식을 하고 있으며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로 쌓고 취두, 용두, 잡상은 두지 않았다. 정면 앞쪽의 2열은 기둥을 세운 형태이며 뒷쪽은 경사지에 기단을 쌓고 주춧돌을 받쳤다. # 현판은 달려있지 않다. 그리고 건물 앞에는 네모난 연못을 두었는데 조선 시대에는 연꽃이 있어서 경치가 빼어났다고 한다.

정면 4칸, 측면 3칸 총 12칸으로 동, 서, 남쪽의 툇간에는 외벽 창문을 두지 않았고 난간을 둘렀으며 가운데 정면 2칸, 측면 2칸의 4칸은 사방에 분합문을 달아 실내 공간으로 만들었다. 실내 공간 중 서북쪽의 방 1칸을 온돌로 두었고 나머지 3칸은 마루이며 마루 공간들은 구분 없이 통해 있다. 그래서 북면(뒷면)에서 볼 때 다른 칸은 중방 위에 교창이 있지만, 온돌방의 중방 위는 이다.

4.6. 괘궁정[A]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괘궁정
昌德宮 挂弓亭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창건연대 미상
파일:창덕궁 괘궁정.png
<colbgcolor=#bf1400> 괘궁정
[clearfix]
신선원전의 서남쪽, 몽답정의 북쪽에 위치한 정자이다. 앞서 언급했듯 조선 시대 훈련도감의 북영이 있었던 곳으로 을 쏘던 장소였기에 이름이 '활(弓)을 건다(挂)'는 뜻의 괘궁정이 되었다.

건립 연대는 확실히 모른다. 다만 기단 옆 바위에 괘궁암(挂弓岩)이란 글자가 있고 그 옆에 기유년(己酉年)이라고 새겨져있는데 순조 때 그린 《 동궐도》와 헌종 때 편찬 된 《궁궐지》에 나와있지 않다는 근거로 전문가들은 기유년을 1849년(헌종 15년)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뒤에 소개할 일화라든지, 1769년( 영조 45년) 문인 윤기가 북영을 둘러보고 몽답정에 올라 쓴 시에 괘궁정이 등장하는 것을 보아 여기서 말하는 기유년은 1729년(영조 5년)으로 여겨진다. 왜 1729년이냐면, 북영의 역사는 1679년( 숙종 5년)에 시작되었는데[14] 1679년과 1769년 사이에 기유년은 1729년 딱 한 해 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약 건립 연도로 기유년을 새긴 게 맞다면 1729년에 지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동궐도》와 《궁궐지》에 나오지 않은 것은 여기가 원래 궁궐이 아니었기 때문에 굳이 그리거나 언급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정조 시기 규장각에서 근무하던 정약용이 정조의 명으로 여기서 을 쐈는데 실력이 영 좋지 않아 정조가 이 곳에 정약용을 가두고(...) 열흘 간 계속 활쏘기 연습만 시켰다고 한다. 악덕 상사 #

1칸 짜리 작은 정자로 사모지붕으로 되어있고 처마는 겹처마에 공포는 초익공 양식이며, 지붕 꼭대기에는 절병통[15]을 얹어 장식했다. 정면 앞쪽의 1열은 기둥을 세운 형태이며 뒷쪽은 경사지에 기단을 쌓고 주춧돌을 받쳤다. 창문, 하나 없이 트여있는 구조로 천장은 우물반자로 되어있는데 네 마리의 을 아름답게 그려넣었다. 동, 서, 남쪽 면에는 난간을 둘렀으며 북쪽 면은 출입을 위해 난간이 없다. 현재 현판은 달려있지 않다.

5. 여담

}}} ||
<colbgcolor=#bf1400> JTBC 〈차이나는 클라스〉 35회 예고편
2017년 11월 8일 방송된 JTBC 차이나는 클라스〉 35회에서 해당 프로그램 역사상 최초의 야외 수업 현장으로 창덕궁 후원과 함께 나왔다. 강연자는 유홍준. 이 날 동행한 방송인은 홍진경, 오상진, 딘딘, 지숙, 다니엘 린데만이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御眞. 임금 초상화. [3] 그래서 조선 시대 왕실 족보 이름도 《선원록(璿源錄)》, 《선원계보(璿源系譜)》이다. [4] 또한 전주 이씨 가문에서 계통을 분류할 때 선원선계(왕실 역사 시작 이전[16]), 선원세계(왕통), 선원파계(왕자, 왕자군에서 갈라진 계통)로 나눈다. [5] 초대 황제 홍무제 임진왜란 원군을 보낸 고려 천자 만력제, 그리고 마지막 황제 숭정제. [6] 조각 기법의 중 하나로 재료의 면을 도려내거나 깎아서 원하는 무늬를 나타내는 것. [7] 唐家. 옥좌 위에 다는 집의 모형. [8] 踏掌. 이거 말고 발을 올려 둘 수 있는 가구. [9] 효명세자 부인 신정왕후 조씨(조 대비) # 명성황후 민씨의 혼전이었다. # [10] 지금의 덕수궁. [11] 임금의 생전에 황후, 왕비가 죽은 경우에는 신주를 기존에 모시던 곳에 계속 두고 있다가 임금이 죽은 다음에야 종묘에 봉안할 수 있었다. [A] 원래 창덕궁 영역이 아니었으나 현재 신선원전 권역에 있으므로 편의상 부속 건물로 기재한다. [A] 원래 창덕궁 영역이 아니었으나 현재 신선원전 권역에 있으므로 편의상 부속 건물로 기재한다. [14] 정확히는 경기 속오군[17] 중에서 쌈 잘할 거 같은건장한 군사를 뽑아 장초보(壯抄保)를 편성하여 겨울철 3개월 간 북영에서 경비서게 한 것이 시초. [15] 모양의 장식 기와. 주로 6각형, 8각형 형태의 건물(거의 대부분 정자)에 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