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00:20:38

증오의 연쇄

Cycle of Hatred

1. 개요2. 게임이론적 분석3. 현실의 예시4. 가공의 예시5. 관련문서

1. 개요

폭력, 복수, 증오 등이 악순환으로 자리잡은 현상을 뜻하는 말. 가해자가 된 피해자 피해자가 된 가해자 둘 다 여기에 포함되나, 심하면 끝도 없이 돌고 돌며 대물림되기도 한다. 법치국가에서 사적 제재를 금지한 이유 중 하나로 꼽힌다.

2. 게임이론적 분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팃포탯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A와 B중 한 쪽이 한 쪽에게 손해를 입힌 상황에서, 만약 A와 B 모두 상대의 배신에 반드시 배신으로 대응하는 매커니즘을 갖고 있다면 상황은 최악으로 흘러간다. 현실의 손해 보고는 절대 못 사는 사람끼리 싸우면 이런 결과가 나온다. A가 B를 배신했을 때 B가 A에게 마땅하게 보복하여 제로섬으로 만들면 상황은 공평해지지만, A가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지 못할 경우, A는 B의 보복으로 입은 피해를 되갚아주기 위해 B에게 보복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복수가 복수를 일으키고, 일으킨 복수가 다시 상대의 복수를 일으키면서 결과는 양측의 막대한 객관적 손해. 절대 손해를 보면 안 된다는 일차원적인 매커니즘이 양측을 파멸시키는 손해를 일으킨 것이다. 게임으로 치면 다른 게임 모델은 수백 수천 점을 따낼 때 양측이 0점, 내지 한두 자리의 점수만 따고 패배하는 격이다.

먼저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개념이 있었으면 복수를 받을 짓을 아예 저지르지도 않겠지만, 세상에는 실수가 반드시 존재한다. 자신의 실수에 대해 인지하고 상대의 복수를 겸허히 받거나 혹은 상대의 실수를 그냥 눈감아주거나 둘 중 하나가 없으면 보복은 무한히 일어나고, 복수의 연쇄는 결국 이런 의미다.

팃포탯에 일정 확률의 실수율을 넣어주면 다시 실수하기 전까진 무한한 협력 - 배신의 순환이 발생한다.[1] 따라서 이런 실수가 적지 않은 확률에서의 해결법은 상대의 배신을 한 번 정도는 눈감아 주는 것.

3. 현실의 예시

4. 가공의 예시

5. 관련문서



[1] 그나마 배신하려다 협력하면 다시 실수전까지 협력만 하지만, 협력하려다 배신하는 경우 실수하기 전까지 무한히 배신한다. [2] 용들의 춤이 끝난 뒤 살아남은 타르가르옌 왕족이라곤 아에곤 3세 비세리스 2세 형제, 바엘라 타르가르옌 라에나 타르가르옌 자매, 재해이라 타르가르옌이 전부였다. [3] 아모우구미의 간부 중 한 명인 코바야시는 이를 납득 할 수 없어 몰래 관서 모임회에 들어가나, 오오타케의 연설과 자결을 듣고 결국 복수를 포기한다. 돌아오는 길 이 일로 관서는 약해졌으니 이 틈에 관서를 공격하자는 어느 야쿠자들이 꼬드기는 망언에 분노하여, 오오타케 대신 그 둘을 척살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