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사회주의 | 진보주의 |
자유주의* 중도개혁주의 |
|
자유지상주의 | ||||
* 현재, 대한민국의 자유주의(liberalism)는 주로 미국, 캐나다, 90년대 이후의 일본과 마찬가지로 '중도'보다는 '범좌파'로 분류된다. |
자유주의적 패권 | 어퍼머티브 액션 | 소수자 권리 | 자유시장 | 양심의 자유 |
자유주의(국제관계학) | 소셜 저스티스 워리어 | 폐지주의 | 모병제 | 객관주의 |
민권 운동 | 세계화 | 부르주아 정당 | 현대자유주의 | 자결권 |
친선택 | 해방 신학 | 무기소지권 | 사회자유 보수주의 | 세속주의 |
시니스트리슴 | ||||
관련 단체 | ||||
자유주의 인터내셔널 | 자유지상당 국제동맹※ | 나우만 재단 | 몽펠르랭 소사이어티 | 진보동맹※ |
독립협회 | ||||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
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자유주의와 관련된 다른 틀 ( 사회민주주의 · 신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 진보주의) ※ 넓은 의미의 자유주의 단체; 각각 자유지상주의, 진보주의에 속한다. |
<nopad> |
<nopad> \ [[틀:깃발| 김대중[1] ]][[틀:깃발| ]][[대한민국| ]]의 |
<nopad> |
\ [[틀:깃발| 이낙연[2] ]][[틀:깃발| ]][[대한민국| ]]의 |
1. 개요
중도주의를 기반으로 개혁을 추구하는 사상이다. 선명한 진보주의와는 구분된다.한국 정치에서는 1990년대에 김대중을 위시로 한 동교동계에 의해 처음으로 제창되었다. 단순히 개혁주의라고도 하며, 현재 민주당계 정당 내에서는 비교적 온건파에 해당한다.
2. 역사
한국에서는 1987년 6월 항쟁으로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한 시점에서, 구 군사정권의 권위주의적 보수주의를 넘어선 대안적 이념이 요구되던 상황이었다. 이후 1990년에는 3당 합당이 이루어지며, 특히 기존의 자유보수주의 내지 보수자유주의 이념을 띄던 민주당계 정당은 보수정당과 구별되는 새로운 이념적 대안을 모색했고, 그 대안으로 제시된 이념이 중도개혁주의이다.전 세계적으로 이와 유사한 이념은 그 이전에도 존재했으나, 본격적으로 해당 이념이 부상한 것은 1990년대 초반이다. 미국 민주당의 빌 클린턴이 1992년 미국 대통령 선거 당시, 기존의 진보 이념이 현실과 유리된 공허한 논쟁에 불과하며, 실질적으로 국민들이 먹고 사는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3] 그리고 2년 뒤인 1994년, 영국 노동당의 토니 블레어 역시 앤서니 기든스가 제시한 제3의 길이라는 개념 하에 개혁적 중도주의(Reformed-minded Centrism)과 같은 슬로건을 제시하며, 총선에서 승리하고 총리가 되었다. # #
한국에서는 원래 헤겔을 연구했던 동국대학교 황태연 교수가 마르크스주의를 계승한 구 공산권의 실패, 그로 인한 사회주의의 한계점들을 목도하면서, 공자의 중용 정신을 기초로 해당 이념을 중점적으로 연구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해당 이념을 주장하였다.[4] 이후 제15대 대선에서 새정치국민회의의 김대중 후보 선거 참모로 활동하여 대선 승리에 기여했다. 김대중은 이 용어를 벤치마킹하여 당 정강에 포함시켰다. #
한국의 정당 중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과거 평화민주당의 분당 이후 민주당(1991년)과 새정치국민회의를 거쳐 새천년민주당에 이르는 김대중 계열 정당들이 해당 이념을 주로 표방하였다.[5] 이들은 중도개혁주의를 표방하기에 사회주의적 개혁이 아닌 자유주의적 개혁을 추구한다.[6] 또한 보수정당에 입당한 구 민주계와 중도파들도 사실상 표방하고 있다.
3. 중도개혁주의 성향 정당들
자세한 내용은 분류:중도개혁주의 정당 문서 참고하십시오.4. 같이 보기
- 중도실용주의 - 중도개혁주의가 보통 민주당계 진영 내의 보수파를 의미한다면, 중도실용주의는 보수 진영 내의 개혁파(진보파)를 의미한다.
5. 둘러보기
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민주당계 정당 | |||||||||||
이재명 | 김선민(대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집권정부 | 장면 내각(윤보선 정부)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 ||||||||
정치인 | 대통령 | 윤보선 ·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 ||||||||||
부통령 | 김성수 · 장면 | |||||||||||
대통령 후보 | 신익희 · 조병옥 · 김창숙 · 송요찬 · 유치송 · 김영삼 · 정동영 · 이재명 | |||||||||||
국무총리(내각제) | 장면 | |||||||||||
국무총리 | 김석수 · 고건 · 이해찬 · 한명숙 · 한덕수 · 이낙연 · 정세균 · 김부겸 | |||||||||||
국무위원 | 장면 내각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 |||||||||||
소속 정치인 | 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기초자치단체장ㆍ 당대표 | |||||||||||
정파 | 친노/ 친문 | 친문 ( 비문) · 친노 ( 비노) · 친낙 · 정세균계 · 안희정계 · 양승조계 · 조국계 | ||||||||||
친명 | 친명 ( 비명) · 박주민계 · 정동영계 | |||||||||||
동교동계 | 동교동계 · 박지원계 · 호남계 | |||||||||||
보수파 | 김한길계 · 친안 · 손학규계 | |||||||||||
진보파 | 민평련 · 박원순계 | |||||||||||
정당연대 | 더불어시민당 · 더불어민주연합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진보동맹(진보) · DJP연합(보수)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진보) | |||||||||||
역사 | 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참여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윤석열 · 계파 역사 | |||||||||||
관련 정당 | 기후민생당 · K정치혁신연합당 · 소나무당 · 열린민주당 · 새미래민주당 | |||||||||||
다른 진영 관련 문서 ( 진보 · 보수) |
[1]
제15대 대통령 (1998년 ~ 2003년)
[2]
제37대
전라남도지사 (2014년 ~ 2017년) / 제45대 국무총리 (2017년 ~ 2020년)
[3]
빌 클린턴 당선의 일등공신인 슬로건, "문제는 경제야, 바보야 (It's the economy, stupid)"도 이런 관점에서 나온 것이다.
[4]
다만 황태연 교수는 이 연장선상에서
안토니오 그람시의 남부테제를 인용해서 지역등권론을 창안,
DJP연합을 합리화하였다. 당연히 당시 일부 민주당계 진영과 진보 진영에서는 한국과 이탈리아의 상황은 전혀 다르며, 지역등권론은 노골적인 정치 공학을 합리화하기 위한 말장난에 불과하다고 비판하였다.
[5]
열린우리당부터 현재
더불어민주당까지의 민주당계 정당들은 김대중과 같은 보수적 자유주의보다는 중도좌파적
사회자유주의에 더 가깝다.
국민의당과 그 후신인
바른미래당, 그리고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합당에 반대해 분당한
민주평화당은 중도개혁주의를 표방한다.
[6]
다만
사회민주주의나, 개혁적 자유주의나 경제적 스탠스의 차이 정도를 제외하면, 유사한 부분이 많다. 애초에 상기되어있듯,
혁명적 사회주의의 폭력 혁명에 반대하며 등장한 것이
개혁적 사회주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