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외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북한 |
미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
대만 |
홍콩 |
마카오 |
티베트 |
내몽골 | ||||
몽골 |
베트남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인도네시아 |
||||
싱가포르 |
미얀마 |
필리핀 |
캄보디아 |
태국 |
||||
인도 |
파키스탄 |
아프가니스탄 |
부탄 |
스리랑카 |
||||
몰디브 |
네팔 |
방글라데시 |
카자흐스탄 |
우즈베키스탄 |
||||
타지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위구르 |
제주특별자치도 |
||||
오키나와현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독일 |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헝가리 |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아일랜드 |
||||
스페인 |
포르투갈 |
이탈리아 |
바티칸 |
세르비아 |
||||
알바니아 |
튀르키예 |
그리스 |
노르웨이 |
스웨덴 |
||||
리투아니아 |
라트비아 |
에스토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시리아 |
이란 |
이라크 |
팔레스타인 |
예멘 |
||||
바레인 |
아랍에미리트 |
이스라엘 |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
리비아 |
수단 공화국 |
알제리 |
모로코 |
|||||
아메리카 | ||||||||
캐나다 |
멕시코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베네수엘라 |
||||
쿠바 |
칠레 |
파라과이 |
브라질 |
가이아나 |
||||
페루 |
||||||||
아프리카 | ||||||||
에티오피아 |
에리트레아 |
소말리아 |
케냐 |
탄자니아 |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모잠비크 |
코모로 |
모리타니 |
||||
카보베르데 |
세네갈 |
감비아 |
말리 |
니제르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차드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
카메룬 |
적도 기니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상투메 프린시페 |
||||
가봉 |
콩고 공화국 |
짐바브웨 |
에스와티니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잠비아 |
레소토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파푸아뉴기니 |
솔로몬 제도 |
팔라우 |
||||
키리바시 |
나우루 |
투발루 |
사모아 |
피지 |
||||
바누아투 |
||||||||
다자관계 | ||||||||
한중일 |
한중러 |
미중러 |
북중러 |
미중일 |
||||
중화권·러시아·만주 |
러시아·인도·중국 |
러시아·몽골·중국 |
중국·인도·파키스탄 |
아프리카 |
||||
아세안 |
오세아니아 |
|||||||
과거의 대외관계 | ||||||||
로마 제국 |
소련 |
가야-후한 관계 | 백제-수나라 관계 | 여요관계 | ||||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몽골 |
중국 |
이란 |
||||
우즈베키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위구르 |
|||||
유럽 | ||||||||
러시아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아제르바이잔 |
독일 |
||||
폴란드 |
튀르키예 |
|||||||
아메리카 | ||||||||
미국 |
||||||||
다자관계 | ||||||||
러시아·벨라루스·카자흐스탄 |
}}}}}}}}} |
중국 | 카자흐스탄 |
1. 개요
중국과 카자흐스탄의 관계. 양국은 소련 해체 이후에 외교 관계를 맺었는데 경제적으로 교류가 매우 활발하다. 하지만 중국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카자흐족들을 위구르족들과 탄압하면서 갈등이 생겨나고 있다.2. 역사적 관계
2.1. 근세 이전
고대부터 중국과 카자흐스탄 지역과 교류가 적지 않은 편이었다. 오늘날 카자흐인의 직계 기원은 킵차크 칸국이 붕괴되면서 우즈벡 울루스로부터 갈라져 나온 근세 카자흐 칸국이다. 카자흐 칸국 생성 이전 중세 말 원나라의 한족 민족주의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회회인[1]들은 코가 무척 길고 털이 덥수룩하고, 킵차크 칸국에서 온 사람들은 머리색이 노랗고 눈 색이 파랗기 때문이 괴이한 외양으로 한족 여성들이 결혼을 기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중화주의적 사료의 옥시덴탈리즘은 제쳐두고라도, 오늘날의 카자흐스탄 일대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중국으로 온 사람들 중 상당수가 백인종이었거나 혹은 킵차크 칸국에 종속된 슬라브인들이 중국으로 다시 파견되어 정착한 경우가 적지 않았던 듯 하다.2.2. 근세 : 청나라와 카자흐 칸국
15세기 카자흐 칸국이 건설되어 남쪽의 부하라 칸국(오늘날의 우즈베키스탄 일대), 북서쪽의 시비르 칸국(오늘날의 튜멘 일대), 서쪽의 노가이 칸국(오늘날의 러시아 칼미키야 공화국 일대)과 아스트라한 칸국, 그리고 동쪽으로 모굴리스탄 칸국(오늘날의 신장 위구르 자치주 남부 일대)와 대치하였다. 동튀르키스탄 일대로 영토를 확장하던 카자흐 칸국은 오이라트 유목민들이 건설한 준가르 칸국에 패배하여 상당수가 노예가 되어 준가르족들이 건설한 도시 각지에 노예 노동력으로 정착하는데, 이들 상당수는 준가르 칸국이 노예화한 키르기스인, 한족 등과 합쳐서 타란치라고 불리는 농민 집단이 되었다.18세기 중반 청나라는 준가르 칸국과 전쟁을 벌이는 와중에 청나라 측에서는 장거리 보급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 준가르와 대치 상태였던 카자흐 칸국과 협력 관계를 맺고 비단과 군마, 군인들이 양식으로 먹을 양을 교환하였다. 청나라에서 중가리아로 말이나 양을 수송하는 과정에서 가축 상당수가 폐사했기 때문에 청나라 군인들은 추가로 비단, 면화, 차 등을 들고 가서 즉석으로 현지에서 가축이나 군량과 교환하였다.
준가르 칸국이 청나라의 침공으로 멸망하면서 청나라와 카자흐 칸국이 서로 영토를 맞대게 되었다. 준가르 칸국을 정벌하면서 카자흐인들이 살던 일리 강 유역까지 장악한 청나라는 쿨자시를 중심으로 새로 만주족, 시버족 팔기군을 파견하여 정착시켰다. 카자흐 칸국은 팔기군 기지에 군마를 판매하였고, 군마를 구입하는 비용은 청나라 조정에서 강남에서 보낸 보조금으로 충당되었다.
2.3. 근대
카자흐 칸국은 1847년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1862년 후이족들이 일으킨 봉기를 청나라가 진압하는 과정에서 일부 후이족들과 위구르족들은 러시아 제국이 지배하던 카자흐스탄 지역으로 이주했다. 중앙아시아 지역에 정착한 후이족들은 둥간족이 되었다.[2] 중국 내륙에서 벌어진 후이족들의 봉기에 자극받아 동튀르키스탄의 위구르인들과 후이족들이 1864년부로 봉기를 일으켰는데, 봉기의 혼란이 가중되던 와중에 1871년 러시아 제국이 일리 강 서부 유역을 합병하였고 1881년 상트 페테르부르크 조약을 통해 해당 지역의 영유권을 인정받는다. 해당 조약을 계기로 일리 강 서부 유역은 러시아 제국 및 그 후신인 소련으로 이어지고, 카자흐스탄이 독립하면서 해당 영토도 그대로 물려받게 되었다. 오늘날 중국에서 일리 강 서부 유역을 다시 노리는 마음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일리 강 서부 근교에 카자흐스탄의 핵심 도시 중 하나 알마티가 있기 때문에 카자흐스탄 측에서는 이를 넘겨줄 생각이 없다.2.4. 20세기
1917년에 러시아 제국이 혁명으로 몰락한 뒤에 소련이 출범했다. 소련 시절에 카자흐스탄 지역은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당시 신장성이라고 불리던 동튀르키스탄과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서로 교류가 활발한 편이었는데, 위구르인들 중 적지않은 수가 카자흐스탄 일대로 이주하였고, 반대로 1932~1933년 카자흐스탄 대기근 당시 카자흐인 상당수가 일리 강 유역 동부로 이주하기도 하였다.[3] 1933년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이 출범했다 몰락하는 과정에서 친소군벌 성스차이가 신장성을 장악하면서 신장성은 한 때 실질적으로 소련의 통치를 받았는데, 이 과정에서 동튀르키스탄과 카자흐스탄 일대의 교류가 훨씬 더 활발해졌다.1940년대 성스차이 군벌 정권과 소련 사이의 관계가 냉각되고 결국 중국국민당의 장제스가 성스차이를 신장성장에서 실각시키면서 신장성과 소련 사이의 국경을 닫아버렸는데, 이 과정에서 동튀르키스탄의 카자흐인, 위구르인, 러시아인들은 가까운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더 이상 물산을 구입하지 못하게 되면서 물가가 폭등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동튀르키스탄과 중국 내륙 지역이 철도로 연결되기 전이었다. 한 술 더 떠서 한족 상인들이 성스차이 군벌정권 시절 사용했던 화폐를 교환할 때 폭리를 취하면서 카자흐인 민간 경제가 붕괴되며 국민당에서 군용 말을 무상으로 징발하자 일리 강 유역의 카자흐인들이 소련의 지원을 받아 봉기하며 쿨자를 점령하는데, 이 때 위구르인 공산주의자들이 카자흐인 봉기군에 합세하면서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이 건설되었다.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은 카자흐인과 위구르인 중 공산주의자들이 주축이 된 일리 민족군을 창설하고 소련 공군의 지원을 받으며 신장 전역에서 국민당 군을 축출해냈으나, 국공내전에서 국민당이 패배하고 공산당이 승리하면서, 소련은 동튀르키스탄 제2공화국에 대한 지원을 접고 대신 중화인민공화국 공산당 측에 소수민족 자치를 성스차이 군벌정권 시절 수준으로라도 보장하라는 압력을 넣었다. 레닌주의 민족 자치 교리에 따라 신장성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개명되고, 소련의 압력으로 카자흐인들이 주로 거주하는 지역은 일리 카자흐 자치주로 설정되었으며, 신장성의 성도는 중국어 이름 디화에서 몽골어 이름 우루무치시로 다시 변경되었다.
1950년대 중반에 중국과 소련이 갈등을 일으키면서 중국과 소련간에 국경분쟁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후 문화대혁명과 대약진운동의 혼란상 와중에 카자흐인 상당수가 소련 영토로 탈주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 이리 카자흐 자치구 인구 중 최대 민족은 아직 카자흐인라고 한다. 91년에 소련이 해체된 뒤에 카자흐스탄은 독립국이 되었고 중국과 수교했다.
2.5. 카자흐스탄 독립 이후
중국과 카자흐스탄은 수교 이후 교류가 많아지고 있다. 중국과 카자흐스탄은 일대일로의 영향으로 경제교류가 많은 편이고 신장 위구르 자치구과 카자흐스탄을 잇는 도로를 통해 경제교류가 활발하다. 중국인들도 카자흐스탄에 진출을 많이 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위구르족들과 카자흐족들을 탄압하면서 갈등을 빚고 있다.중국에도 카자흐족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신장 위구르 자치구 등 중국 내에도 일리 카자흐 자치주를 포함한 일부 카자흐족 자치주, 자치현이 설치되어 있다. 중국 내 카자흐족들은 카자흐스탄과 달리 카자흐어를 표기할 때 아랍 문자를 사용한다. 그리고 카자흐스탄내에도 둥간족들이 거주하고 있고 이들은 둥간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
중국인들이 카자흐스탄으로 진출하면서 카자흐 경제를 잠식할 것이라는 우려가 많은 데다가 중국 당국이 위구르족을 탄압하면서 중국 내 카자흐인들도 같이 탄압하고 있기 때문에 카자흐스탄 정부에서는 친중 국가임을 내세움에도 국민들은 반중 감정이 강하다. 사실 중국 입장에서도 위구르인과는 달리 카자흐인은 카자흐스탄 정부에서 데려가려고 하고, 카자흐인 입장에서도 자신들의 민족국가가 있으니 독립운동을 할 이유가 적은데도 중국 입장에서는 과도하게 탄압을 하는 감이 있다. 이는 카자흐인들과 위구르인들이 가까운 관계인 것을 우려한 점도 있고, 카자흐스탄 정부가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적극적인 항의를 하지 못하기 때문에 맘대로 행동하는 면도 있다.
1949년에 중국의 신장 침공 당시에 위구르족들이 피난을 가면서 카자흐스탄에도 위구르족들이 거주하고 있지만, 중국이 카자흐스탄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경제 협력을 하면서 카자흐스탄에게 위구르족 난민들이 독립운동을 하지 못하게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 중이라서, 카자흐스탄 내 위구르족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
2019년 7월 10일에 카자흐스탄에서 정부요원이 중국의 스파이 행위를 하다 체포된 사건(!)이 발생되었다. #
카자흐스탄에서 2026년까지 1만1천700km에 달하는 도로를 건설할 계획이지만, 일대일로와 연계되었다. #
중국의 인터넷 포털 사이트인 소후(搜狐) 닷컴에 카자흐스탄이 옛 중국 영토의 일부였다는 역사왜곡 기사가 올라오자 카자흐스탄 외교부가 자국 내 중국 대사를 초치하는 것으로 항의했다. #
2020년부터 코로나19가 퍼지고 있는 가운데, 카자흐스탄에서 원인 모를 폐렴이 퍼지고 있는 것에 대해 중국의 관영매체는 카자흐스탄의 의료 여건이 좋지 않은 탓으로 책임을 돌렸다. #
중국의 위구르족 탄압이 심해지자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는 카자흐스탄측에게 위구르 난민을 적극적으로 수용해달라고 요청했다. 카자흐스탄측은 고민을 하는듯하다. 이미 카자흐스탄에는 25만명 정도의 위구르족이 거주하고 있다.
2023년 2월 25일, 카자흐스탄 외무부가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중국을 지지했다. #
5월 16일, 러시아와 카자흐스탄 양국은 중국으로 수출하는 가스 송유관 개설을 합의했다. #
3. 관련 문서
- 중국/외교
- 카자흐스탄/외교
- 상하이 협력기구
- 일대일로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중국/역사
- 카자흐스탄/역사
- 중국/경제
- 카자흐스탄/경제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동아시아 국가
- 대국관계일람/아시아 국가/중앙아시아 국가
[1]
중세 기록 상으로는
회족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중동에서 온 무슬림이나 기독교도 혹은 유대인들을 의미한다.
[2]
둥간족들은 지금도 중국에 대해선
반중 성향이 있다.
[3]
일부 카자흐인들은
회족 군벌
마부팡이 지배하는
칭하이성으로도 이주하였는데, 이들을 의심한 마부팡의 지시로 조직적으로 학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