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23:32:13

주융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권 「전조록일(前趙錄一)」 2권 「전조록이(前趙錄二)」 3권 「전조록삼(前趙錄三)」 4권 「전조록사(前趙錄四)」
유연 · 유화 유총 유총 유총 · 유찬
<rowcolor=#fff> 5권 「전조록오(前趙錄五)」 6권 「전조록육(前趙錄六)」 7권 「전조록칠(前趙錄七)」 8권 「전조록팔(前趙錄八)」
유요 유요 유요 유선 · 유성 · 유익 · 유윤
<rowcolor=#fff> 9권 「전조록구(前趙錄九)」 10권 「전조록십(前趙錄十)」 11권 「후조록일(後趙錄一)」 12권 「후조록이(後趙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석륵 석륵
<rowcolor=#fff> 13권 「후조록삼(後趙錄三)」 14권 「후조록사(後趙錄四)」 15권 「후조록오(後趙錄五)」 16권 「후조록육(後趙錄六)」
석륵 석홍 석호 석호
<rowcolor=#fff> 17권 「후조록칠(後趙錄七)」 18권 「후조록팔(後趙錄八)」 19권 「후조록구(後趙錄九)」 20권 「후조록십(後趙錄十)」
석호 석세 · 석준 · 석감(鑒) 석민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21권 「후조록십일(後趙錄十一)」 22권 「후조록십이(後趙錄十二)」 23권 「전연록일(前燕錄一)」 24권 「전연록이(前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외 모용황
<rowcolor=#fff> 25권 「전연록삼(前燕錄三)」 26권 「전연록사(前燕錄四)」 27권 「전연록오(前燕錄五)」 28권 「전연록육(前燕錄六)」
모용황 모용준 모용준 모용위
<rowcolor=#fff> 29권 -2l 「전연록칠(前燕錄七)」 30권 「전연록팔(前燕錄八)」 31권 「전연록구(前燕錄九)」 32권 「전연록십(前燕錄十)」
모용위 토욕혼· 모용한· 모용인· 모용각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33권 「전진록일(前秦錄一)」 34권 「전진록이(前秦錄二)」 35권 「전진록삼(前秦錄三)」 36권 「전진록사(前秦錄四)」
부홍 부건 부생 부견
<rowcolor=#fff> 37권 「전진록오(前秦錄五)」 38권 「전진록육(前秦錄六)」 39권 「전진록칠(前秦錄七)」 40권 「전진록팔(前秦錄八)」
부견 부견 부비 부등
<rowcolor=#fff> 41권 「전진록구(前秦錄九)」 42권 「전진록십(前秦錄十)」 43권 「후연록일(後燕錄一)」 44권 「후연록이(後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수 모용수
<rowcolor=#fff> 45권 「후연록삼(後燕錄三)」 46권 「후연록사(後燕錄四)」 47권 「후연록오(後燕錄五)」 48권 「후연록육(後燕錄六)」
모용수 모용보 모용성 모용희
<rowcolor=#fff> 49권 「후연록칠(後燕錄七)」 50권 「후연록팔(後燕錄八)」 51권 「후연록구(後燕錄九)」 52권 「후연록십(後燕錄十)」
모용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53권 「후진록일(後秦錄一)」 54권 「후진록이(後秦錄二)」 55권 「후진록삼(後秦錄三)」 56권 「후진록사(後秦錄四)」
요익중 요양 요장 요흥
<rowcolor=#fff> 57권 「후진록오(後秦錄五)」 58권 「후진록육(後秦錄六)」 59권 「후진록칠(後秦錄七)」 60권 「후진록팔(後秦錄八)」
요흥 요흥 요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61권 「후진록구(後秦錄九)」 62권 「후진록십(後秦錄十)」 63권 「남연록일(南燕錄一)」 64권 「남연록이(南燕錄二)」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모용덕 모용초
<rowcolor=#fff> 65권 「남연록삼(南燕錄三)」 66권 「하록일(夏錄一)」 67권 「하록이(夏錄二)」 68권 「하록삼(夏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혁련발발 혁련창 혁련정
<rowcolor=#fff> 69권 「하록사(夏錄四)」 70권 「전량록일(前涼錄一)」 71권 「전량록이(前涼錄二)」 72권 「전량록삼(前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장궤 장실 장준
<rowcolor=#fff> 73권 「전량록사(前涼錄四)」 74권 「전량록오(前涼錄五)」 75권 「전량록육(前涼錄六)」 76권 「촉록일(蜀錄一)」
장중화 · 장령요 · 장조 장현정 · 장천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특
<rowcolor=#fff> 77권 「촉록이(蜀錄二)」 78권 「촉록삼(蜀錄三)」 79권 「촉록사(蜀錄四)」 80권 「촉록오(蜀錄五)」
이류 · 이웅 이반 · 이기 · 이수 · 이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1권 「후량록일(後涼錄一)」 82권 「후량록이(後涼錄二)」 83권 「후량록삼(後涼錄三)」 84권 「후량록사(後涼錄四)」
여광 여소 · 여찬 여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85권 「서진록일(西秦錄一)」 86권 「서진록이(西秦錄二)」 87권 「서진록삼(西秦錄三)」 88권 「남량록일(南涼錄一)」
걸복국인 · 걸복건귀 걸복치반 · 걸복모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독발오고 · 독발리록고
<rowcolor=#fff> 89권 「남량록이(南涼錄二)」 90권 「남량록삼(南涼錄三)」 91권 「서량록일(西涼錄一)」 92권 「서량록이(西涼錄二)」
독발녹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고 이흠
<rowcolor=#fff> 93권 「서량록삼(西涼錄三)」 94권 「북량록일(北涼錄一)」 95권 「북량록이(北涼錄二)」 96권 「북량록삼(北涼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저거몽손 저거무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97권 「북량록사(北涼錄四)」 98권 「북연록일(北燕錄一)」 99권 「북연록이(北燕錄二)」 100권 「북연록삼(北燕錄三)」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풍발 풍홍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 개요2. 생애

1. 개요

朱肜
생몰연도 불명

전진의 인물. 자는 불명. 옹주(雍州) 경조군(京兆郡) 출신.

2. 생애

주융은 은거하면서 천왕 부견의 요청에도 여러 차례 응하지 않고 있었다.

감로 원년(359년) 12월, 천왕 부견이 왕맹을 보국장군•사예교위•시중•중서령으로 삼자, 왕맹은 상소하여 이를 사양하고 그 대신 주융을 천거하였다. 부견은 왕맹의 청을 불허하였지만, 주융을 불러 상서시랑•영 태자서자(領太子庻子)로 삼으니, 주융이 마침내 부견의 부름에 응하여 임관하였다.

건원 7년(371년) 3월, 우림좌감(羽林左監)에 임명되어 서현후 부아 구지 정벌에 종군하였다.

건원 9년(373년) 9월, 구지를 진수하던 양안이 동진의 양주(梁州) 자사 양량(楊亮)이 보낸 양광(楊廣)을 무찌르고, 승리한 김에 나아가 한천(漢川)을 공격하였다.

건원 9년(373년) 10월, 천왕 부견의 명령을 받고, 양안의 익주(益州) 공략을 돕기 위해 익주자사 왕통과 함께 20,000 보병을 거느리고 출병하여 한천에서 양안과 합류하였다. 이후 주융이 양안과 갈라져 한중(漢中)으로 진격하니, 양량은 파요족(巴獠族) 10,000명을 거느리고 성고(城固)로 달려가 청곡(靑谷)에서 막았으나 왕통과 주융에게 대패하여 서성(西城)으로 들어가 굳게 지켰다.

건원 9년(373년) 11월, 주융이 한중군을 장악하였다. 이때 동진의 재동태수 주효(周彪)가 부성(涪城)으로 들어가, 어미니와 처에게는 따로 수천 군사를 붙여서 한수(漢水)를 따라 강릉(江陵)으로 피신케 하였는데, 주융이 이를 습격해 사로잡았다. 이에 인질이 잡힌 주효는 재동(梓潼)을 침입한 양안에게 곧바로 투항하였다.

주융이 검문(劍門)으로 나아가자, 동진의 익주자사 주중손(周仲孫)은 군사를 정돈하고 면죽(綿竹)에서 주융을 막으려 하였다. 그러나 전진의 전금장군 모당이 곧 성도(成都)에 이른다는 급보를 듣고, 기병 5,000기만 이끌고 남중(南中)으로 도망쳐버렸다. 이로써 손쉽게 전진이 익주와 양주를 손쉽게 떨어뜨리자, 익주의 공(邛), 작(莋), 야랑(夜郎) 등 여러 이민족들이 전진으로 귀순하였다. 성도는 익주목 양안이 남아서 다스렸으며, 주융은 병사를 이끌고 귀환해 비서감으로 승진되었다.

건원 10년(374년) 12월, 어떤 자가 황궁에 침입하여 명광전(明光殿)까지 들어와 크게 소리치기를
"갑신(甲申: 384년), 을유(乙酉: 385년)년에 양과 물고기가 사람을 잡아먹으니 슬프도다! 다시는 남는 것이 없겠구나!"
라 하였다. 천왕 부견은 당장 그 자를 체포하라 명했지만, 끝내 잡을 수 없었다. 이때 양(羊)과 물고기(魚)를 합치면 선비족(鮮)을 뜻하는 한자가 되었기에, 주융은 비서시랑 조정과 함께 전연이 멸망하면서 항복했던 선비족들을 모두 죽일 것을 진언하였으나, 천왕 부견이 따르지 않았다.

건원 12년(376년) 10월, 천왕 부견이 행당공 부락을 북토대도독으로 임명해 유주와 기주의 병력 100,000명을 거느리고 탁발부 대나라를 정벌할 것을 명하였다. 이때 주융은 전장군에 임명되어 병주(并州) 자사 구난(倶難), 진북장군 등강, 상서 조천(趙遷), 이유(李柔), 전금장군 장자 등과 함께 200,000 대군을 둘로 나눠 각각 화룡(和龍), 상군(上郡)에서 동서로 각각 출진하였다. 이후 내분으로 대왕 탁발십익건이 피살당하면서 대나라의 수도 운중(雲中)을 무너뜨려 대나라를 멸망시키고 수도 장안으로 개선하였다.

건원 16년(380년) 2월, 천왕 부견이 위성(渭城)에 교무당(教武堂)을 설치하고, 태학생을 보내 음양(陰陽), 병법(兵法)을 여러 장수들에게 강의하도록 명하였다. 이때 주융이 간했다.
"폐하께서 동쪽과 서쪽을 정벌하셨으니, 향하는 곳마다 막아서는 적이 없고, 사해(四海)의 땅 10곳 중 8곳을 얻으셨습니다. 비록 아직 강남(江南)을 복종시키지 않았으나, 이는 굳이 언급할 필요도 없습니다. 따라서 의당 무기를 무기고에 넣어두고 문(文)을 수양하는 데 힘써야만 합니다. 지금 학사(學舍)를 세워 전투를 가르치는 일은 태평한 나라를 다스리는 법이 아닙니다."
천왕 부견은 이를 받아들여 중지케 하였다.

건원 18년(382년) 10월, 천왕 부견이 태극전(太極殿)에서 군신을 소집해 동진 정벌에 대해 의논하였다. 주융이 나아가 말했다.
"폐하께서는 응당 하늘에 순응하시고, 시세를 받들어 천벌(天罰)을 행하신다면, 필시 전투를 벌이지 않고도 1만 리를 바람처럼 개척하시어, 결국에는 진왕(晉王)이 스스로를 묶고 군문(軍門)에서 폐하께 머리를 조아리게 될 것입니다."
부견은 크게 기뻐하였고, 얼마 뒤 대군을 일으켜 동진을 정벌하였으나 크게 패하고 말았다. 이후로 주융에 대한 기록은 나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