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06377a><tablealign=center><tablebgcolor=#06377a>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중앙정보부 제2차장 (1973~1981)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초대 이철희 |
제2대 전재덕 |
제3대 김영선 |
제4대 김성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안전기획부 제2차장 (1981~1999)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초대 김성진 |
제2대 박세직 |
제3대 손장래 |
제4대 이학봉 |
제5대 안응모 |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제6대 정태동 |
제7대 이상구 |
제8대 OOO |
제9대 김정원 |
제10대 이병호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제11대 이병기 |
제12대 라종일 |
제13대 신건 |
|||||||
국가정보원 제2차장 (1999~현재)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초대 신건 |
제2대 엄익준 |
제3대 김은성 |
제4대 이수일 |
제5대 박정삼 |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6대 이상업 |
제7대 한진호 |
제8대 김회선 |
제9대 박성도 |
제10대 민병환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11대 차문희 |
제12대 서천호 |
제13대 김수민 |
제14대 최윤수 |
제15대 김준환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16대 김상균 |
제17대 박정현 |
제18대 천세영 |
제19대 김수연 |
제20대 황원진 |
}}}}}}}}}}}}}}} |
역임한 직위 | ||||||||||||||||||||||||||||||||||||||||||||||||||||||||||||||||||||||||||||||||||||||||||||||||||||||||||||||||||||||||||||||||||||||||||||||||||||||||||||||||||||||||||||||||||||||||||||||||||||||||||||||||||||||||||||||||||||||||||||||||||||||||||||||||||||||||||||||||||||||||||||||||||||||||||||||||||||||
|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본관 | 옥천 전씨 |
출생 | 1924년 4월 2일 |
경상북도
선산군
장천면 상장리 (現 경상북도 구미시 장천면 상장리) |
|
사망 | 2016년 5월 10일 (향년 92세) |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가천대 길병원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471호 |
학력 |
장천보통학교 (
졸업) 일만공업학교 ( 수료) 성균관대학교 ( 학사) |
임관 | 육군사관학교 (8기) |
상훈 | 건국훈장 애족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관료, 기업인이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2. 생애
1924년 4월 2일 경상북도 선산군 장천면(現 구미시 장천면) 상장리에서 아버지 전장호와 어머니 김월선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장천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국 안동성립(安東省立) 봉성농업학교(鳳城農業學校)에 재직하던 중 만주국 관비 유학 시험에 합격하여 일본 아키타현 일만공업학교(日滿工業學校)에 유학하였다. 그 후 만주국 봉천시에 있던 군수공장에 배치되어 근무하던 중 일본 제국 육군에 징집되어 보병으로 입대하였다.그 뒤 이등병 계급으로 중국 전선에 배치된 뒤 호남성 창사시로 이동하던 중 1945년 1월 국민혁명군 중앙군 제9전구 지역으로 탈출하였고, 국민혁명군 중앙군 유격대 8지대 유격군에 편입되어 대일 유격전에 참여하는 한편, 대일 후방교란 및 조선인 사병 초모 공작 활동을 전개했다. 그후 그해 2월, 9전구지역 공작대가 한국광복군 제1지대 제3구대에 편입됨에 따라, 제1분대의 공작반장으로 임명되어 부대 교육훈련 및 대적 방송, 심리전, 일본군 포로 심사, 문서 취급에 의한 정보획득, 중국인과의 친선활동, 조선인 사병 초모 공작 등의 활약을 하다가 8.15 광복을 맞이하였다.
귀국 후 1948년 육군사관학교에 8기로 입학하여 1949년 5월 23일 졸업과 동시에 임관하였다. 군 복무 중에 성균관대학교에 입학하여 졸업했다. 1960년 김종필을 비롯해 이영근· 이병희· 전재구 등 육군사관학교 8기 동기생들과 함께 5.16 군사정변에 참여했으며, 1961년 5월 20일부터 1961년 6월 19일까지 제11대 서울특별시 부시장을 역임했다. 이듬해인 1962년 육군 대령으로 예편했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서훈되었고, 이후 1964년 9월 2일부터 1966년 4월 27일까지 제16대 서울특별시 제1부시장, 행정개혁조사위원회 위원, 주일본 공사, 중앙정보부 감찰실장·제2차장을 역임하였다.[1]
1979년 있었던 10.26 사건의 책임을 지고 1980년 물러난 뒤에 제5공화국 전두환 정부에 의해 정치규제를 당하다가, 1982년 주일공사 때 부터 친분을 쌓은 신격호 회장 덕에 롯데알미늄 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 후 광복회 이사를 맡았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가로 서훈되었다.
이후 아들인 전광일 인천대학교 경제학과 교수가 살던 인천광역시 남동구에서 지내다가 2016년 5월 10일 구월동 가천대 길병원에서 별세했다. 그의 유해는 2016년 5월 12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에 안장되었다.
3. 여담
- 중국어에 능통했다고 한다.
- 10.26 사건 직후 전두환 보안사령관의 호출로 소집된 자리에서 중앙정보부장 서리를 맡을 것을 지시받았으나, 규정상 부장 유고시에는 선임인 윤일균 제1차장이 부장대리를 해야 한다고 하며 거절했다.
- 제정구 전 국회의원이 1975년 시흥에 빈민 이주단지인 복음자리 부지를 마련하고 주민을 이주시킬 때 차량을 제공하고 중정요원들을 동원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후일 제정구는 회고록 '가짐 없는 큰 자유'에서 전재덕(회고록에선 중정 고위 관료라 언급함)에게 감사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