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김형민 |
제2대 윤보선 |
제3·4대 이기붕 |
제5·6대 김태선 |
제7대 고재봉 |
제8대 허정 |
제9대 임흥순 |
제10대 장기영 |
제11대 김상돈 |
제12대 윤태일 |
|
제13대 윤치영 |
제14대 김현옥 |
제15대 양택식 |
제16대 구자춘 |
제17대 정상천 |
|
제18대 박영수 |
제19대 김성배 |
제20대 염보현 |
제21대 김용래 |
제22대 고건 |
|
제23대 박세직 |
제24대 이해원 |
제25대 이상배 |
제26대 김상철 |
제27대 이원종 |
|
제28대 우명규 |
제29대 최병렬 |
||||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 • 경기도 경성부윤 | }}}}}}}}} |
역임한 직위 | |||||||||||||||||||||||||||||||||||||||||||||||||||||||||||||||||||||||||||||||||||||||||||||||||||||||||||||||||||||||||||||||||||||||||||||||||||||||||||||||||||||||||||||||||||||||||||||||||||||||||||||||||||||||||||||||||||||||||||||||||||||||||||||||||||||||||||||||||||||||||||||||||||||||||||||||||||||||||||||||||||||||||||||||||||||||||||||||||||||||||||||||||||||||||||||||||||||||||||||||||||||||||||||||||||||||||||||||||||||||||||||||||||||||||||||||||||||||||||||||||||||
|
<colbgcolor=#ae1932><colcolor=#fff> | |||
|
|||
출생 | 1918년 6월 18일 | ||
경기도
인천부[1] (現 인천광역시) |
|||
사망 | 1982년 12월 10일 (향년 64세)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 |||
묘소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 ||
본관 | 파평 윤씨[2] | ||
재임 기간 | 제12대 서울특별시장 | ||
1961년 5월 20일 ~ 1963년 12월 16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e1932><colcolor=#ffffff> 부모 | 아버지 윤사효[3] (1890 ~ 1982), 어머니 거창 신씨?[4] | |
배우자 | 우정순 (사망) | ||
자녀 | 아들 윤정용 (1939 ~ 2007) | ||
학력 |
만주 신경군관학교 (
졸업) 육군공병학교 ( 졸업) 육군보병학교 ( 졸업) 육군대학 ( 졸업) 국방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 / 석사) |
||
의원 선수 | 1 | ||
의원 대수 | 9 | ||
경력 |
제9대 국회의원 국회 건설위원장 대한주택공사 사장 |
||
군사 경력 | |||
임관 |
신경군관학교 (1기) 육군사관학교 (특7기) |
||
복무 | 만주국 육군 | ||
1940년 ~ 1945년 | |||
대한민국 육군 | |||
1946년 ~ 1964년 | |||
최종 계급 |
중위 (만주국 육군) 중장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 서울특별시장 | ||
주요 보직 |
육군공병학교장 제1야전군사령부 공병참모부장 육군본부 감찰감 제36보병사단장 |
||
참전 |
태평양 전쟁 6.25 전쟁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 출신 정치인이자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2. 생애
1918년 경기도 인천부(현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 말기 만주로 건너가 만주 신경군관학교를 졸업하고 만주군 소위에 임관되었다. 박정희 전 대한민국 대통령의 1기 선배였다. 태평양 전쟁이 끝날 무렵 중위였다. 이런 업적으로 인해 친일인명사전에 그의 이름을 올렸다.8.15 광복 후 귀국하여 육군사관학교 7기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육군 공병 장교가 되었다. 1950년 6.25 전쟁에 참전하였다. 이후 제36보병사단 장 등을 역임했다.
1961년 5.16 군사정변에 참여하였다. 이후 현역 장성 신분으로 관선 서울특별시장에 임명되었다. 1964년 육군 중장으로 진급과 동시에 예편하였다. 이후 대한주택공사(현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을 역임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신정우회 제1기 국회의원에 임명되었고 제2기까지 역임하였다. 1978년부터 1979년까지 고재필의 뒤를 이어 대한민국 국회 건설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전두환 정권 때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자문위원으로 있다가 1982년 12월 10일 오후 2시에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에 있는 저택에서 숙환으로 사망하였다.
사후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5]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3. 여담
[1]
묘비에는
함경북도
회령군 출생으로 나온다.
[2]
소부공파 21세손 석(錫), 진(鎭) 항렬이나 항렬을 따르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3]
국립현충원 묘비에서 확인.
[4]
확실하진 않다.(
근거).사실이라면 외할아버지는 신희(愼僖), 외삼촌은 신수도(愼守道), 이모부는 윤현(尹衒), 이언빈(李彦彬), 오현주(吳顯周)가 된다.
[5]
친일 행적이 있는
김창룡,
백선엽과 비슷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6]
자세힌 할아버지 윤호병(1898~1946)의 동생.
[7]
억지로라도 친척이라고 끼워 맞춰보자면 고조부 윤자홍(1852~1901)에겐 2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증조부인 윤상년(1873~1911)은 장남이었다. 차남이 윤태일의 부친인 윤사효(1890~1982)라고 추정할 수 있으나 둘의 나이 차이가 17살이기 때문에 신뢰성은 떨어진다. 사실일 시
윤석열 일가와는 당숙할아버지(
윤석열 기준)가 되며 윤사효는 작은증조할아버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