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9 06:49:47

웨이리황

위립황에서 넘어옴
파일:중국 국장.svg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
(1949년-1954년)
주더 류사오치 저우언라이
펑더화이 청첸 린뱌오
가오강 류보청 허룽
천이 뤄룽환 쉬샹첸
녜룽전 예젠잉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부주석
(1954년-1975년)
주더
(제1기)
펑더화이
(제1ᆞ2기)
린뱌오
(제1ᆞ2ᆞ3기)
류보청
(제1ᆞ2ᆞ3기)
허룽
(제1ᆞ2ᆞ3기)
천이
(제1ᆞ2ᆞ3기)
덩샤오핑
(제1ᆞ2ᆞ3기)
뤄룽환
(제1ᆞ2기)
쉬샹첸
(제1ᆞ2ᆞ3기)
녜룽전
(제1ᆞ2ᆞ3기)
예젠잉
(제1ᆞ2ᆞ3기)
청첸
(제1ᆞ2ᆞ3기)
장즈중
(제1ᆞ2ᆞ3기)
푸쭤이
(제1ᆞ2ᆞ3기)
룽윈
(제1기)
웨이리황
(제2기)
차이팅카이
(제2ᆞ3기)
뤄루이칭
(제3기)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1983년-)
쉬샹첸
(제6기)
예젠잉
(제6기)
양상쿤
(제6ᆞ7기)
자오쯔양
(제7기)
류화칭
(제8기)
츠하오톈
(제8ᆞ9기)
장완녠
(제8ᆞ9기)
후진타오
(제9ᆞ10기)
궈보슝
(제10ᆞ11기)
차오강촨
(제10기)
쉬차이허우
(제10ᆞ11기)
시진핑
(제11기)
판창룽
(제12기)
쉬치량
(제12ᆞ13기)
장유샤
(제13ᆞ14기)
허웨이둥
(제14기)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파일:위립황.jpg
중화민국 제1전구 사령장관
중국 원정군 사령장관
정체 衛立煌
간체 卫立煌
한국식 독음 위립황
영문 Wei Lihuang
준여(俊如)
출생 1896년 2월 16일
청나라 안휘성 합비현
사망 1960년 1월 17일 (향년 63세)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국적 청나라 파일:청나라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파일:중국 국기.svg
학력 바오딩 군관학교
직업 군인, 정치가


1. 개요2. 초기 이력
2.1. 초공작전2.2. 중일전쟁2.3. 국공내전과 말년
3. 매체에서4. 참고문헌

[clearfix]

1. 개요

중화민국의 군인. 초공작전, 중일전쟁 중에 군공을 세워 상승장군이라는 별명이 있었다. 하지만 국공내전에서 패배한 후 중화인민공화국에 투항하였다.

2. 초기 이력

1896년 안휘성 합비현에서 출생했다. 바오딩 군관학교를 졸업한 후 오충신 휘하에서 광동군에 복무했다. 쉬충즈의 월군 제2군에서 반장으로 임관했으며 이후 단장, 여장으로 승진했다. 1925년 국민혁명군이 창설되자 장제스의 제1군 산하 3사단 9단의 단장에 임명되었다. 1926년 7월 국민당의 1차 북벌이 시작되자 환북경비 제3지대 사령에 임명되었다. 1927년 14사단장에 임명되었으며 10월에 9군 부군장이 되었다. 1928년 겨울 육군대학에 진학하여 군사학을 공부하였다. 1929년 45사단장에 임명되었으며 1930년 육군대학을 졸업한 후 5월 중원대전이 발발하자 환북 초비 지휘관에 임명되었다. 9월 안휘성 정부위원에 임명되었다. 1931년 6월 1차 양광사변이 발발하자 육군 10사단장에 임명되어서 화북에서 일어난 스여우싼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2.1. 초공작전

1932년 6월 육군 14군 군장에 임명되었으며 제4차 초공작전에 참여, 악예환초비군 중로군 제6종대 지휘관에 임명되어 금가색을 함락시키고 장궈타오의 악예환 소비에트를 붕괴시키는 공을 세웠다. 장제스는 그의 공을 크게 치하하면서 금가색을 입황현으로 개칭하였다. 1933년 4월, 악예환변구초비총지휘에 임명되었고 제5차 초공작전이 시작되자 북로군 제2로 제1종대 총지휘에 임명되었다. 12월에 북로군 제5로 총지휘에로 승진하였으며 1934년 2월 동로군 전적총지휘에 임명되어 복건사변 진압에 참가하였고 11월 복건성 경비사령관 겸 복건성 제10수정구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이후 1935년 4월 육군중장으로 승진했다. 8월 절환변구 초비 총지휘에, 11월에 중국국민당 중앙집행위원에 당선되었다. 1936년 6월 서해(徐海) 수정분구 사령에 임명되었다.

1936년 12월, 장제스와 함께 서안을 방문했다가 장쉐량, 양후청이 일으킨 서안 사건에 휘말려 천청, 군사참의원장 진조원, 내정부장 장작빈, 감숙 수정공서 주임 주사오량 등과 함께 포로가 되었다. 이후 협상의 타결로 장제스가 석방된 후 포로가 된 다른 인물들과 함께 12월 26일 오전 10시에 석방, 비행기를 타고 정저우를 경유하여 오후 3시에 난징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1937년 1월 5일, 국민정부는 구주퉁을 서안 행영주임에 임명하고 양후청의 부하 손울여를 섬서성 정부주석에 임명하며 왕수상을 감숙 수정주임에 임명하였다. 그리고 동북군과 섬서군을 섬서성의 요충지에서 퇴거할 것을 명령하였는데 이에 반발한 동북군 급진파 장교 손명구 등이 67군장 왕이철, 67군 참모처장 서방 등을 살해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1937년 2월, 웨이리황은 이를 진압하기 위한 토역군 제5집단군 총사령에 임명되었다. 결국 동북군 장령들의 발악적 반란은 대다수 동북군의 외면, 중국 공산당의 소아병 행위라는 비웃음 속에서 며칠만에 진압당했다.

2.2. 중일전쟁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과의 싸움에 투입되어 베이핑 탈환전에 참가하여 장신점까지 진출하였으나 결국 일본군의 방어를 뚫지 못했다. 10월 14집단군 총사령에 임명되었고 11월에 옌시산의 2전구 전적총지휘에 임명되었다. 하지만 일본군이 대대적인 공세를 취해 펑위샹의 6전구를 붕괴시키고 화북을 대부분 함락시켰다. 웨이리황은 산서성으로 퇴각하여 옌시산의 산서군과 주더가 지휘하는 팔로군과 함께 일본군과 계속 교전을 벌였고 이때 평형관 전투에서 린뱌오가 승리를 거두기도 했으나 결국 산동성 정부주석 한푸쥐의 적전도주로 방어선이 붕괴되었으며 일본군의 격렬한 공격을 이기지 못하고 산서성의 성도 타이위안을 내주고 퇴각해야 했다.

1939년 1월, 국민정부 군사위원회가 하달한 중국군 제2기 작전지도방안에 따라 청첸의 뒤를 이어 제1전구 사령장관에 임명되어 예경, 환북 지역을 방어하고 남양, 임여, 농해선에 주력을 배치하여 일본군을 저지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1941년 북지나방면군이 백호 작전을 하달하여 6개 사단과 2개 혼성여단, 1개 비행단을 동원해 6월부터 10월까지 대대적인 공세를 펼쳤고 웨이리황은 2개 집단군을 잃고 참패하였다. 1942년 4월 군사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으며 1943년 10월, 천청의 뒤를 이어 중국원정군, 즉 Y군의 사령장관에 임명되었다.

1944년 대륙타통작전이 임박했을때 장제스는 웨이리황이 지휘하는 Y군이 운남에 남아 일본군을 견제하고 또 반항적인 운남성 정부주석 룽윈을 견제하기길 원했으나 조지프 스틸웰이 Y군을 버마로 투입하라고 난동을 부리는 통에 결국 4월에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다. 웨이리황은 클레어 셰놀트의 제14항공대의 지원을 받으며 살윈강을 도하하여 일본군과 격렬한 교전을 벌였고 1945년 1월까지 운남성 서부의 일본군을 몰아낼 수 있었다. 1944년에 시작된 스틸웰의 버마 탈환은 무타구치 렌야라는 희대의 트롤이 등장한 덕분에 성공하였으나 정작 중국은 일본군의 대공세로 화중과 화남의 곡창지대를 대부분 상실하는 참혹한 피해를 입었다.

1945년 4월 중국전구 육군 부총사령관에 임명되었으며 5월 국민당 중앙집행위원에 재선되었다. 승전 후 1946년 국공내전 문제로 협상하기 위해 미국으로 파견되었으며 1947년 5월 귀국하여 국민정부 전략고문위원회 위원에 초빙되었다.

2.3. 국공내전과 말년

1948년 1월 위장병이 악화된 천청을 대신하여 동북초비총사령관에 임명되었고 3월 동북행영 정무위원회 주석을 겸하게 되었다. 웨이리황은 심양에서 린뱌오의 홍군과 싸웠으나 심각한 물자부족으로 전황을 극복할 수는 없었다. 장제스는 웨이리황에게 심양의 포위를 돌파하라고 지시했으나 군관회의도 소집할 수 없을 정도로 전황이 급박해지자 결국 비행기를 타고 호로도로 퇴각해야 했다. 장제스는 웨이리황이 지휘부서에서 늑장을 부려 기회를 상실하고 중진을 잃었다는 이유로 체포할 것을 명령했다. 이에 화북초비총사령 겸 베이핑 시장 푸쭤이는 그를 베이핑의 초비총사령부에 구금하였다. 이때 미국 망명을 권유받았으나 거절하고 난징으로 이송되었다. 장제스는 웨이리황이 만주를 잃은 것을 혹독하게 질책했고 웨이리황은 장제스가 자신의 지휘권을 존중하지 않은 것을 항의했다. 격노한 장제스가 웨이리황을 총살시키라고 지시했으나 쑹메이링의 만류로 철회되었다. 11월에 모든 직책에서 면직되고 가택연금 당했다.

1949년, 난징이 함락되자 국부천대에 동행하라는 명령을 거부하고 영국령 홍콩으로 망명했다. 하지만 사업의 실패로 생활고를 겪게 되자 1955년 3월, 베이징으로 돌아와 중화인민공화국에 투항하였고 1956년 정협위원 겸 중국국민당 혁명위원회 상무위원에 초빙되었다. 1959년 4월 2기 전인대 대표로 선출되었고 국방위원회 부주석에 임명되었다. 1960년 1월 17일, 베이징에서 심장 동맥 질환으로 사망했다. 이후 팔보산 혁명공묘에 안장되었다.

3. 매체에서

게임 Hearts of Iron IV에서 중화민국 육군 장군으로 등장한다. 초상화가 야인시대의 장택상을 닮았다는(...) 개드립이 있다. 중화민국 장군중 최약체이나 중화민국은 대체로 장군들 수치 자체는 출중한 편이라 타국 장군들과 비교해도 딱히 꿀리지 않는 평범한 수준이다. 게임 속 웨이리황의 수치는 3/3/2/2[1]인데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이 2/2/3/3이고 대부분의 이탈리아 장군들은 1/1/1/1이다. 다만 모드 The Road to 56에서는 1/1/3/2라는 쓰레기 수치를 할당 받았다.

4. 참고문헌


[1] 각각 공격, 방어, 작전, 보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