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 2003년 11월 독일의 공영TV인 ZDF가 독일 국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독일인 1백인’을 발표한 명단이다. | ||||||||
TOP 10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콘라트 아데나워 | 마르틴 루터 | 카를 마르크스 | 한스, 죠피 숄 남매 | 빌리 브란트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 오토 폰 비스마르크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
11위~100위 |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아돌프 콜핑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헬무트 콜 | 로베르트 보쉬 | 다니엘 퀴블뵈크 |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콘라트 추제 | 요제프 켄테니히 | 알베르트 슈바이처 | 카를하인츠 뵘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헬무트 슈미트 | 레진 힐데브란트 | 알리체 슈바르처 | 토마스 고트샤크 | 허버트 그로네메이어 |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미하엘 슈마허 |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귄터 야우흐 | 디터 볼렌 |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얀 울리히 | 슈테피 그라프 | 사무엘 하네만 | 디트리히 본회퍼 | 보리스 베커 |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프란츠 베켄바워 | 오스카 쉰들러 | 네나 | 한스 디트리히 겐셔 | 하인츠 뤼만 | |||||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하랄트 슈미트 | 프리드리히 대왕 | 임마누엘 칸트 | 패트릭 린드너 | 하르트무트 엥겔 | |||||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힐데가르트 폰 빙엔 | 하이노 |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 클라우스 폰 슈타우펜베르크 | 마를레네 디트리히 | |||||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로베르트 코흐 | 요슈카 피셔 | 카를 마이 | 로리오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 |||||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루디 푈러 | 하인츠 에르하르트 | 로이 블랙 | 하인츠 하랄트 프렌첸 | 볼프강 아펠 | |||||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알렉산더 폰 훔볼트 | 피터 크라우스 | 베르너 폰 브라운 | 디르크 노비츠키 | 캄피노 | |||||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 세바스티안 크나이프 | 프리드리히 실러 | 리하르트 바그너 | 카타리나 비트 | |||||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프리츠 발터 | 니콜 | 프리드리히 폰 보델슈윙흐 | 오토 릴리엔탈 | 마리온 돈호프 | |||||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토마스 만 | 헤르만 헤세 | 로미 슈나이더 | 스벤 하나발트 | 바이에른의 엘리자베트 여공작 | |||||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빌리 밀로위치 | 게르하르트 슈뢰더 | 요제프 보이스 | 프리드리히 니체 | 루디 두치크 | |||||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카를 레만 | 베아테 우제 | 트뤼머프라우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헬무트 란 | |||||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알브레히트 뒤러 | 막스 슈멜링 | 카를 벤츠 | 프리드리히 2세 | 라인하르트 메이 | |||||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하인리히 하이네 | 게오르크 엘저 | 콘라드 두덴 | 제임스 라스트 | 우베 젤러 | |||||
출처 | |||||||||
같이 보기 : 위대한 인물 시리즈 |
Alexander von Humboldt | |
|
|
프로이센의 지리학자, 자연과학자 | |
본명 |
프리드리히 빌헬름 하인리히 알렉산더 폰훔볼트[1] (Friedrich Wilhelm Heinrich Alexander von Humboldt) |
국적 | [[틀:깃발| | ]][[틀:깃발| ]][[프로이센 왕국| ]]
출생 | 1769년 9월 14일 |
베를린 | |
사망 | 1859년 5월 6일 (향년 89세) |
베를린 | |
직업 | 지리학자, 탐험가, 저자 |
학력 |
프라이베르크 공과 대학교
광물학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괴팅겐 대학교 |
서명 |
|
[clearfix]
1. 개요
훔볼트가 없었다면 비글호를 타지도 않았을 것이고, '종의 기원'을 쓸수 없을 것이다. —
찰스 다윈
훔볼트와 함께 하루를 보내며 깨달은 것이, 나 혼자 몇 년 동안 깨달은 것보다 훨씬 더 많다.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탐험, 과학, 저서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을 쌓은 프로이센 왕국의 학자. 그의 이름이 행정구역, 학교, 해류, 동물, 식물, 광물 등의 명칭으로 사용될만큼 전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인물이었으며 학제 분야를 넘어서 다방면의 학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던 최후의 학자로 평가받는다. 부모가 남긴 막대한 유산을 바탕으로 남아메리카를 탐험하며 다양한 분야에 걸쳐 업적을 남겼다.
2. 생애
1799년부터 1804년까지 중/남미를 탐험했다.1829년에는 러시아 제국을 탐험하기도 했다. 니콜라이 1세의 지원[2]을 바탕으로 탐험을 진행했다만 1년도 안 되는 기간 동안 15,000km 가량을 이동하는 강행군을 했기 때문에 큰 성과는 없었고 비교적 덜 알려진 편이다.
3. 업적
당시까지 최고봉[3]이었던 침보라소 산(6,268m)를 무산소로 등정했다. 이 때의 경험을 통해 고산병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남겼고, 화산 측정 및 단층 묘사도 이루어졌다.유럽인들의 남아메리카 진출 이후 잊혀졌던 구아노의 진가를 재발견했다. 이후 구아노 붐이 일어나고 심지어는 전쟁과 국가의 흥망성쇠로까지 이어졌다.
여러 동식물의 정교한 스케치를 남기고, 표본도 매우 많이 가져왔다.[4] 대표적인 것이 콘도르, 전기뱀장어, 키나나무.
이 중 전기뱀장어에 대해서는 본인이 직접 겪은 것을 토대로 동물의 체내 전기 발생에 대한 기록을 남겼으며, 이는 이후 인간의 생체 전기 발생 및 심전도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여담으로 이 과정에서 다소 무서운 체험을 했는데, 현지 원주민들이 말과 노새를 데려다가 물에 몰아넣고 전기뱀장어가 이를 공격하다가 전기를 모두 소모하도록 유도했다는 것(...). 다소 허무맹랑해보이는 기록이기 때문에 한때는 거짓이나 과장으로 여겨진 적도 있으나, 현대 과학자들의 실험을 통해 전기뱀장어의 이러한 행동 습성이 사실임이 입증되었다.
키나나무의 여러 종을 연구, 비교해보고 그 중 가장 쓸모가 있는 것도 파악해 가져왔다. 이후 1820년 프랑스에서 이를 이용해, 말라리아의 치료제로 사용된 퀴닌을 추출해냈다.
지질학과 기후학의 발전에도 큰 기여를 했다. 같은 위도면 기온도 같다는 기존의 주장과 달리, 등온선을 이용한 국가별 기후 차이와 고도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에 대해 연구했다. 또 위도에 따라 지구 자기장의 세기가 변화한다는 것도 발견했다.
최초로 기후변화를 경고한 학자이기도 하다. 처음 발렌시아 호수의 수위변화가 인간의 벌채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는 이탈리아 롬바르디아, 페루 남부, 러시아에 이르기까지 기후변화의 문제에 인간이 끼치는 영향을 목격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훔볼트는 200년이나 앞선 현대 환경운동의 창시자로 여겨지게 되었다.[5]
4. 매체에서
- 위의 다큐멘터리의 담당 PD였던 탁재형 PD의 제작 후기가 담긴 라디오 방송 2부작 링크
- 훔볼트의 발자취를 따라 아메리카와 러시아 등의 탐사 지도 등을 활용하여 훔볼트의 세계를 생생하게 구현한 책
5. 기타
- 베를린 대학교가 분단 이후 동독 정권에 의해 창립 멤버였던 그와 그의 형 빌헬름 폰 훔볼트를 기려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로 명칭을 변경했다.
-
프랑스의
해운 회사인
CMA CGM 에서는 해당 인물의 이름에서 따온 선박을 운영중이다.
#
독일의 하파그로이드에서 하지 않았는지 의문이다CMA CGM 선사의 EXPLORER SERIES 의 일환으로 명명한 모선이다.
- 영국의 학습만화 시리즈인 앗! 시리즈의 일부인 《아슬아슬 아스텍》에서는 훔볼트가 아즈텍 제국의 유적을 발굴하던 일화를 소개하고 있는데, 여기서 발굴한 코아틀리쿠에 여신상을 보고 멘붕하여 도로 묻어버린 바가 있었다고 한다(...)[7]. 그도 그럴게 코아틀리쿠에는 두 마리의 뱀으로 된 머리와 인간의 심장과 잘린 손을 꿰어만든 목걸이를 걸고있는, 심하게 호러스러운 모습으로 묘사되었기 때문이다. 코아틀리쿠에와 관련된 설화 또한 참혹하기 그지없는데, 장차 태양신이 될 아들을 임신하고 있던 동안에 태어날 남동생에게 지위를 뺏길까봐 두려워하던 달과 별의 여신들인 400명의 딸들이 어머니를 붙잡아 참수하는 패륜을 저지르자[8], 막 태어난 그녀의 아들이 태양신으로서의 능력을 발휘해 누나들을 무찌르고 어머니의 복수를 끝마쳤다는 이야기다.
- 탐험 및 과학적 자료 수집 외에도, 주민들의 일상이나 사회 구조에 대한 견해를 남기기도 했다. 당시 서양인으로서는 드물게 원주민 노동력 착취와 문명 파괴, 문자 소멸에 대해서 주목한 인물이다. 그렇다고 그들의 모든 것을 옹호한 것은 아니다.
[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대로는 '폰훔볼트'로 표기한다.
게르만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 적도록 하고 있다.
[2]
지원 겸 감시였다. 러시아 황실은 그가 남미 탐험 과정에서 원주민들의 실상에 대해 밝힌 것을 알고 있었다. 때문에 그에게 탐험을 지원하는 대신 러시아의
농노에 대한 입막음과 자국에 이득이 되는 자원 확보를 조건으로 내걸었다.
[3]
1808년 8,167m 높이의 히말라야 다울라기리(Dhaulagiri) 봉이 발견되기 전까지 가장 높은 산으로 알려져 있었다.
[4]
수십 마리의 노새가 강을 수십 번 건너야 할 정도로 많은 표본을 챙겼다.
[5]
안드레아 울프 저 자연의 발명 잊혀진 영웅 알렉산더 폰 훔볼트
[6]
정확히는 훔볼트해류에서 따온 것이지만 그 해류도 이 사람 이름에서 따온 것이니...
[7]
같은 책에서는 이
코아틀리쿠에 여신상 앞에 산 제물로 바쳐질 목적으로 끌려온 이들이, 신상의 끔찍한 모습에 놀라
쇼크사한 경우도 있었다고 소개하고 있다.
[8]
코아틀리쿠에의 머리가
뱀으로 되어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아즈텍 제국을 포함해
중앙아메리카 지역에서 전승된
중앙아메리카 신화에서는 전통적으로
피가 흐르는 모습을 뱀이 기어나오는 것으로 묘사한 부분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