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22:02:34

신촌역(도시철도)

신촌역(지하)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 있는 신촌역에 대한 내용은 신촌역(경의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촌역(지하)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부선으로 갈아타기 (개통 예정)
경의중앙선으로 갈아타기
역명 표기
2호선 신촌
Sinchon
新村 / [ruby(新村, ruby=シンチョン)]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지하90 ( 노고산동 31-11)
소속 영업사업소
2호선 당산영업사업소 신촌역
운영 기관
2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2호선 1984년 5월 22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1. 개요2. 역 정보
2.1. 역명2.2. 서부선 환승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주변 교통
6.1. 연계 버스
6.1.1. 1번 출구6.1.2. 2번 출구6.1.3. 3번 출구6.1.4. 4번 출구6.1.5. 5번 출구6.1.6. 6번 출구6.1.7. 7번 출구6.1.8. 8번 출구
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 240번.[1]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지하90 ( 노고산동 31-11) 소재.

2. 역 정보

파일:신촌역(지하) 안내도(2023.7).png
역 안내도 ( 크게보기)
파일:40신촌.png
개정 전 역명판
파일:85신촌역.jpg
옛 폴사인
파일:신촌역 2호선.jpg
대합실

서울특별시 부도심 가운데 하나인 신촌의 중심부인 신촌로터리의 지하에 있다. 역 인근에 연세대학교, 서강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등의 대학가를 끼고 있기에 환승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며, 이 역 자체만으로도 랜드마크이다.

2014년 1월 6일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개통과 함께 1~4번 출구의 캐노피가 새로 단장되고 뉴타입의 폴사인이 설치되었다.

잠실새내역이 '신천역'이었을 때는 일본어 가타가나 표기가 신촌역과 똑같았기 때문에, 차내 노선도에서는 한자(新村)를 병기하였다.

대중교통전용지구 공사와 함께 1~4번 출구의 캐노피가 투시형 캐노피로 바꾸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원래 2, 4번 출구를 통제하고 약 한 달간 공사를 완료한 후 개방하여 1, 3번 출구를 계속 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2, 4번 출구는 선개통 후완공되었고, 1, 3번 출구는 착공을 먼저 한 후 폐쇄되었다.

이 역과 홍대입구역 사이에는 급곡선 구간이 있어 속도가 45km/h로 제한되어 있어 운행이 느리다.

2.1. 역명

신촌역에서 실제 행정구역인 서대문구 신촌동( 법정동)까지는 거리가 있다. 성인 기준 도보로 15분 정도 소요된다. 하지만 현재는 그 일대가 신촌이라고 불리고 신촌오거리에 소재한 데다가 신촌역이 신촌의 중심이 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역명이다. 덧붙여 그 연세대학교도 주소는 서대문구 신촌동이지만, 캠퍼스 면적으로 보면 신촌동보다는 연희동과 봉원동에 더 많이 걸쳐 있다.

서울 지리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송파구에 있는 신천역(現 잠실새내역)과 헷갈려서 엉뚱한 곳으로 가는 일도 간혹 있었다. 특히 한국어 발음에 익숙지 못한 외국인들이 자주 그러한 일을 겪었다. 이 두 역은 2호선상에서 거의 정반대에 있다. 2016년 12월 29일자로 신천역의 역명이 잠실새내역으로 바뀌었지만 2018년 6월 16일 시흥시 신천역이 다시 개통하였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 신촌역 때문에 해당 역은 신촌역(지하)가 정식 역명이다. 모든 역명판에 신촌(지하), 신촌역(지하)로 (지하) 표기가 병기되어 있다. 경의선 신촌역에도 전철이 들어가지만, 이 역 이름은 그대로이다. 청량리역처럼 바로 옆에 있는 구조도 아니다. 지하철은 신촌역 또는 신촌'전철'역, 경의·중앙선은 신촌'기차'역으로 구분한다. 현재 신촌역에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다니고 있지만, 이전부터 버스 정류장이 신촌기차역으로 불러오고 있었고, 2호선 역은 신촌전철역으로 불렸다.

신촌역을 연세대역으로 바꾸자는 의견도 있지만 이쪽은 역을 사이에 두고 서강대학교가 있으며 6번 출구에서 서강대 정문으로 가는 거리가 연세대학교로 가는 거리보다 짧다. 하지만 서강대학교는 경의선 서강대역이 있다. 6호선 대흥역도 대흥(서강대앞)역이다. 지하 신촌역과 가까운 옛 신촌다주상가 자리의 신촌임시공영주차장에서 서강대역이 바로 보인다. 게다가 학교 측에서조차 의지가 없고 경의선 지상 신촌역이 학교에서 더 가깝다. 6호선 공사 당시 연대생들이 역명 변경을 요구한 적이 있었는데 그마저도 새터역이었다. 2012년 4월 1일부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캠퍼스타운역에 본캠에도 없는 "연세대학교"라는 부역명이 들어갔다.

경의선 신촌역을 개통할 때 2호선 신촌역을 신촌로터리 또는 신촌오거리로 바꾸기로 했는데, 서울시에서 예산이 없다는 이유로 역명을 바꾸지 않았다. 원래 신촌오거리는 회전교차로인 로타리 구조였다. 1980년 2호선 공사를 위해 회전교차로가 철거되었으며, 2호선 공사 당시에는 교통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서강대- 연세로 간에 임시 고가차도를 운영했다가 신촌역 완공 후 철거하였다.[2]

2.2. 서부선 환승

2031년 서부선이 개통하면 인근에 정차하는 106정거장과 간접환승이 되거나 서강대역까지 연결시켜서 세 역을 하나로 합치면서 환승하게 된다. 게다가 서부선이 새절 방면으로는 신촌역 인근 창천동에 추가로 서부선 105정거장에 정차하기 때문에 배차 간격이 적절하고 환승통로가 편리하게 건설된다면 연세대로 통학하기 편해질 것이다. 하지만 아직 착공 전이고, 다른 사업에 우선순위가 계속 밀리고 있어 언제 착공이 이루어질 지는 확언할 수 없다.

한편 서부선이 완공될시에 이 역과 서강대역이 하나로 합쳐지게 되는것으로 결정나면 이 통합역의 역명이 어떻게 될지는 알 수 없다. 신촌역이 되면 또 문제가 있는데, 이는 지상 신촌역 역시 경의·중앙선에 있어 같은 노선에 동명이역이 두 개가 되기 때문이다. 대곡 연장 이후 환승역이 된 능곡역 시흥능곡역 사례와 같은 것이다.[3] 물론 대곡소사선 개통 이전에도 시흥능곡역이라는 이름을 쓰긴 했다.

그래서 서강대역으로 통일할 가능성이 그나마 높아보이지만, 이미 이 역이 개통한 지가 오래되어 경의선 신촌역보다 이 역 주변이 신촌이라고 불리는 판이라 이마저도 여의치 않다.[4]

그렇다고 이도 저도 아닌 노고산을 쓰자니 두 역명을 모두 바꿔야하고, 근거리의 신촌보다 인지도도 너무 떨어져 인근 부동산에서 이를 염려하여 반발할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으며, 가장 큰 문제는 서강대학교가 왜 자기학교 이름을 역에서 뺐냐고 항의하는건 당연한 수순으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서강대를 병기역명으로라도 넣어 논란을 해소할순 있다. 어디처럼 주역명으로 해달라고 고집부리는거 아니면 신촌(서강대)가 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경의선 신촌역에서 이의가 있다면 노고산(서강대) 이런식으로.

3. 역 주변 정보

현대백화점 신촌점(구. 그레이스백화점)과 연결된 지하도 부분을 제외한 지하철 역 자체의 구조는 서울 지하철 역 전체를 통틀어서 단순하다. 위아래로는 지하 1층 맞이방 지하 2층 플랫폼으로 끝 옆으로 보면 약간 휘어진 직사각형 네 모퉁이에 출구가 두 개씩 있다. 이같은 구조의 단순함은 이용객 수가 많은 역으로서는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신촌역 위의 지상에 있는 신촌로터리는 5거리인데 8개의 출구만 있다 보니, 6번 출구와 7번 출구 사이에 하나은행 쪽(서강대 방향)의 블록에는 출구가 없어서 한 번 더 횡단보도를 건너게 된다. 연세대학교 학생 중 5713번이나 163번의 이용객들은 보통 이쪽 정류장에서 내리기 때문에 아래로 내려가서 신촌로를 건너고자 하여도 적어도 한 번 이상은 신호등이 바뀌기를 기다려서 길을 건너야 한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공사 이전 163번의 경우는 정문 앞까지 갔지만 이 역을 지난 이후 염리동 쪽으로 가서 서강대학교 주변을 한 바퀴 크게 도는 P턴을 한 후 다시 이 역을 지나 연세로로 들어갔었다. 현재는 163번의 경우 현대백화점 신촌점 정류장에서 내려서 도보 이동이 가능하다.

이 역 인근에 일명 '빨간거울' 또는 '빨잠'이라 불리는 '빨간 잠망경'이라는 이름의 조형물이 유명하다. 이쪽으로 나오면 바로 보이던 스무디킹이 없어졌는데, 액체괴물 관련 용품을 파는 가게로 바뀌었다. 정확히는 2016년 11월쯤 다른 곳으로 이전했었고, 2019년 2월경에 새로운 가게가 들어섰다. 그외에도 CGV 신촌아트레온이 있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촌역 출구 정보
1 동교동삼거리
서울창서초등학교
현대백화점 신촌점
취업사관학교 서대문캠퍼스
2 연세대학교
스타광장
현대백화점 신촌점·현대백화점 신촌점 U-Plex
3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문학의거리·명물거리
헌혈의집 신촌 연대앞센터
4 창천동
신촌동주민센터·신촌치안센터
신촌우체국
경의선 신촌역
CGV 신촌아트레온
헌혈의집 신촌센터
이대역 방면
5 대흥동주민센터
창천중학교
서울창천초등학교
이대역 방면
6 서강대학교
근로복지공단
한국전기안전공사 서울지역본부
대흥역 방면
7 서강대교 방면
신촌삼익아파트
8 동교동삼거리 방면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84d><bgcolor=#00a84d> 연도 || 파일:Seoulmetro2_icon.svg ||<bgcolor=#00a84d>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4년 124,279명
1995년 134,986명
1996년 140,324명
1997년 103,819명
1998년 100,916명
1999년 자료없음
2000년 128,796명 비고
2001년 126,038명
2002년 127,087명
2003년 123,816명
2004년 124,432명
2005년 119,458명
2006년 114,344명
2007년 112,956명
2008년 110,410명
2009년 111,160명 }}}}}}}}}
2010년 112,799명
2011년 114,035명
2012년 112,116명
2013년 110,448명
2014년 109,748명
2015년 104,854명
2016년 103,971명
2017년 100,228명
2018년 98,409명
2019년 95,972명
2020년 58,089명
2021년 54,995명
2022년 65,740명
2023년 74,872명
2024년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5]

본래 신촌역은 1996년에 잠실역 강남역에 이어서 전국 지하철 역 승하차 이용객 수 3위(140,324명)였다. 그러나 기존 신촌과 서울시청 방향 다음 역인 이대역 주변의 상권의 몰락과 더불어 홍대 상권의 성장과 함께 이 역에서 영등포, 강남 방향 다음 역인 홍대입구역으로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환승연계로 인해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고양시, 파주시, 김포시 승객들이 해당 역으로 유입되면서 2010년[6]에는 승하차량(112,799명)이 신촌역과 홍대입구역(120,293명)이 역전되었다.

2010년대 이후로는 상황이 더 안 좋아져서 주변 상권은 공실이 더 늘어남과 동시에 뒤이어 2011년 연세대학교가 송도국제도시에 국제캠퍼스를 열었고, 2012년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개통되면서 홍대입구역과 서강대역을 지나게 되면서 이용객의 감소 및 분산이 일어났다. 그래도 2011년 다시 승하차량이 반등되었고, 이후 홍대 상권의 쏠림이 진정되면서 부활 조짐이 있는 듯 했지만, 이후 승객 승하차량이 다시 줄어들면서 2018년 이후로는 10만 명 이하[7]로 줄어들었다.

이후 2020년 코로나 19가 시작된 이후로는 이전에 비해 절반 가량 줄어들었는데, 이는 주변 대학들(연세대, 서강대)에서 대면 수업을 자제하고 비대면 수업을 치렀고, 주변 신촌 상권도 더 몰락하면서 2021년 5만 4천 명까지 내려갔다. 그나마 이후 다시 조금씩 회복되면서 7만 명 대로 접어들었고, 아직 계획 중이지만 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개통된다면 고양시 방면의 수요[8]를 이 역을 경유해 여의도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9]

당연하지만, 아무리 신촌 상권이 죽고 신촌역 이용객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하더라도 서대문구 관내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며, 관내의 나머지 역을 다 합쳐도 신촌역에 미치지 못하던 시절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관내 2,3위 철도역인 서대문역과 홍제역을 합한 것보단 신촌역의 이용객이 많다.

5. 승강장

파일:2호선신촌역승강장.jpg 파일:1000009306.jpg
<rowcolor=#FFF> 2호선 승강장 2호선 역명판[10]
홍대입구
이대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홍대입구· 합정· 영등포구청· 신도림 방면
시청· 을지로3가· 신당· 성수 방면

이 역은 홍대입구 방면으로 8퍼밀 내리막이 있다. 선로 기둥 사이에 분수대가 있었으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서 철거되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2024년 10월 8일부터 노후화 된 안전문 제어설비 교체공사로 인하여 안전문 가동을 하지 않는다. 열차가 정차하는 공간만 뻥 뚫려있다. 외선순환 승강장은 공사가 완료되었고, 현재는 내선순환 승강장을 재시공중이다. 스크린도어 가운데 부분에 사이렌을 설치해놨으며 신촌역 부분이 가려져있다. 위험 접근 금지라는 표시가 적힌 철제 구조물도 설치해놨다.

6. 주변 교통

고양시에서 이 역을 종점으로 하는 일반좌석버스들이 많았었으며, 고양시의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웬만한 버스 정류장에서 수색로를 거쳐 신촌역으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다. 벽제(관산동, 내유동) 지역에서도 82번 버스를 이용하여 신촌역으로 갈 수 있다. 경의선 연선 역 주변에서는 경의·중앙선 본선을 타고 서강대역을 이용하는 게 훨씬 낫다. 경의선 개통 이후 파주시에서는 신촌을 종점으로 하는 버스들이 큰 타격을 받고 현재는 대다수 폐선된 상태이다. 그나마 운정신도시에서는 서울 도심으로 가는 광역버스나 M버스를 타고 연세대 정류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코로나19로 인해 신촌역행 일반좌석버스 대부분이 배차 간격이 크게 나빠졌다.

안양시와 이곳을 잇는 서울 버스 5713번 버스도 있다.

이 역에서 나와서 연세로를 걸어서 연세대학교로 통학하는 학생들은 연세대학교 정문 기준 동쪽에만 횡단보도가 있던 관계로 대다수가 길 건너는 시간을 아끼기 위해 3번 출구를 통해서 역에서 나오기 때문에 등교시간이나 매시 수업시간이 임박해질 때면 3번 출구 주변과 3번 출구에서 연세대로 가는 인도가 매우 혼잡하였다. 하지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으로 정문 기준 서쪽에도 횡단보도가 생겨서 2번 출구 이용도 상당히 늘었다. 또한 3번출구에서 연세대로 가는 인도는 획기적으로 넓어졌다.

이 역 위의 신촌로터리는 전국 교통사고 최다 발생 지역으로 강남구 논현동의 교보타워사거리, 영등포로터리 등과 함께 악명이 높다. 왜냐하면 지나는 차량 자체가 매우 많고, 도로 구조까지 5지형으로 되어 있어서 복잡하고 교차로 구간이 길기 때문이다. 게다가 빠른 차량 소통을 위하여 5거리에서 각 방향에 8시 방향 좌회전을 금지하고 11시 방향 좌회전과 1시 방향 직진 그리고 4시 방향 우회전만을 허용하며, 나머지는 이면도로를 통해 P턴하는 구조라 교통체계마저 복잡하다. 서강대교 방면에서 오는 차량은 연세대학교 정문 방향(11시 방향)의 좌회전마저 금지되어서 이대역 방향(1시 방향)으로 직진만 가능했었다가 동교동 방향으로도 좌회전이 가능해졌다.

서울특별시에서는 1990년대 고가도로 설치나 신호체계를 4지형으로 바꾸거나, 이 역→연대정문 간 연세로를 일방통행으로 하는 등의 논의는 해보았으나 실현된 것은 없었고, 2010년에는 전국 사고 발생 1위를 기록하였다.[11] 2014년 1월 6일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가 개통함과 동시에 버스만 통행이 가능하게 되었고 서강대학교 정문에서 연세대학교 정문 방향의 직진이 금지되었다.

연희동 셔틀버스인 서울 버스 서대문03, 서울 버스 서대문04이 이 역 3, 4번 출구 사이 우회전 구간을 회차지점으로 삼고 있다.

6.1. 연계 버스

신촌로 중앙버스전용차로
동교동삼거리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이대역

6.1.1. 1번 출구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중)(13021/22013)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광역급행
광역
직행좌석
일반시내
일반좌석
심야
공항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현대백화점(13259/22003)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광역
직행좌석
일반시내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현대백화점(13720) ||
마을

6.1.2. 2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연세로.스타광장(13146) ||
지선
일반시내

6.1.3. 3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연세로.문학의거리(13324) ||
간선
지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전철역(13802) ||
마을

6.1.4. 4번 출구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중)(13023/22014)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광역급행
광역
직행좌석
일반시내
일반좌석
심야
공항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CGV신촌아트레온(13793) ||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역2호선(13142) ||
간선
지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역2호선(22052)/아트레온(13724) ||
광역급행
광역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역2호선(13142) ||
직행좌석

6.1.5. 5번 출구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중)(14063/23035)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광역급행
광역(서울역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심야
공항 }}}}}}}}}

6.1.6. 6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로터리(14169) ||
간선
지선
심야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로터리(14168) ||
간선
지선
심야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용약국(14520) ||
마을

6.1.7. 7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로터리(14204) ||
간선
지선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역(14990) ||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역(14979) ||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로터리(14205) ||
간선
지선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역(14989) ||
마을

6.1.8. 8번 출구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중)(14062/23034)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광역급행
광역(서울역행)
직행좌석
일반좌석
심야
공항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역(14228/14591)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직행좌석
마을
심야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역(14867) ||
마을

7. 기타

역이 곡선 구간에 지어져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 간격이 넓다.[12] “발빠짐 주의”를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있으며, 승강장과 열차 사이에 조명을 설치하여 주의를 환기한다. 또한 다른 역에서는 들을 수 없는 경고음이 승강장과 열차 사이에서 발생하므로 발이 빠지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일본 나가노현에 이 역과 한자가 동일한 니무라역이 있다.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84d>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서울 경전철 서부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66>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aee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파일:Seoulmetro2_icon.svg 신촌(240), 이대(241), 아현(242)
파일:Seoulmetro5_icon.svg 마포(528), 애오개(530)
파일:Seoulmetro6_icon.svg 월드컵경기장(619), 마포구청(620), 망원(621), 상수(623),
광흥창(624), 대흥(625)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GJLine_icon.svg 서강대(K313)
파일:삼태극.svg 디지털미디어시티(A04)[은평구]
공항철도
합정(238, 622)
2호선, 6호선
홍대입구(239, K314, A03)
2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공덕(529, 626, K312, A02)
5호선, 6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

[1] 개정 전 40번. [2]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3] 일부 이용객들이 시흥능곡역을 능곡역으로 줄여서 부르곤 해서 헷갈릴 여지가 있다. [4] 부산의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 경성대·부경대역처럼 두 역명을 붙여서 신촌·서강대역 혹은 서강대·신촌역이 될 가능성도 있다. [5]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 [6] 이때부터 인천국제공항철도가 홍대입구역에 들어섰다. [7] 서울 지하철 2호선으로 보면, 강남역, 잠실역, 홍대입구역, 신림역, 삼성역, 신도림역, 서울대입구역, 선릉역, 을지로입구역 다음이며, 강북권으로 보면 홍대입구역, 을지로입구역 다음이다. 무엇보다 2016년 강변역, 2017년 을지로입구역이 일평군 승하차량이 10만 명 밑으로 떨어진 데 이어서 이 역마저 2018년 10만명으로 줄어들면서 2024년 현재 강북 지역에서 일평균 10만 명을 기록하고 있는 역은 홍대입구역이 유일하다. 모든 노선으로 확대해도 1호선 서울역과 함께 둘 뿐이다. [8] 2024년 기준 고양시에서 전철을 이용해 서울 도심으로 가는 경우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나 수도권 전철 3호선(일산선)이 있지만, '경의·중앙선'은 용산 쪽으로 내려가는 쪽은 배차 간격이 최장 30분, 서울역 쪽은 4량에 배차가 최장 1시간 정도로 극악이며, '3호선'은 직접 도심으로 가지 않고 은평구 북동부와 홍제동, 독립문 쪽으로 우회해서 가는 노선이라 오래 걸린다. 때문에 고양시에서 서울 도심으로 가는 경우는 자가용 아니면 버스를 이용하는데, 연선 도로마다 혼잡하고 이용이 많아 출퇴근 시간 대에는 빈 좌석을 찾기 어렵다. [9] 무엇보다 3기 신도시인 창릉신도시 개발과 맞물려 고양선 구간의 예타면제까지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건설 추진 전망은 밝다. [10]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11] 「전국 최다 교통사고 발생 지역은 이곳」, 머니투데이, 2011-09-26 [12] 간격이 일정하진 않다. 외선순환 기준 맨 뒷쪽은 간격이 좁지만 중간중간에 간격이 넓은 곳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