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0 19:19:55

이대역

이대역
파일:Seoulmetro2_icon.svg
역명 표기
2호선 이대
Ewha Womans Univ.
梨大 / 梨花女子大学 / [ruby(梨大, ruby=イデ)]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지하180 ( 대흥동 270)
소속 영업사업소
2호선 당산영업사업소 이대역
운영 기관
2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2호선 1984년 5월 22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심도: 28m)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3.2. 주위 상권의 흥성과 쇠락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버스
6.1. 1번 출구6.2. 4번 출구6.3. 5번 출구6.4. 6번 출구
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서울 지하철 2호선 241번.[1]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지하180 ( 대흥동 270) 소재.

2. 역 정보

파일:이대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파일:이대역 2호선 .jpg
대합실

역명은 근처에 있는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따왔다.

역 자체가 약간 언덕지형인 곳의 아래에 세워진 관계로 승강장이 매우 깊은 곳에 있으며, 2호선 중에선 까치산역 다음으로 가장 깊고 본선으로 한정하면 가장 깊다. 신촌로를 통해 동교동삼거리~ 아현역을 왕래하면 경사가 그리 심해 보이지 않지만 신촌로에서 분기하는 골목길에 들어서면 산동네처럼 경사가 심한 언덕이 매우 많다. 승강장이 깊은 관계로 승강장을 개착식 흙막이 공법으로 짓는 것이 불가능했고, 대신 외선순환과 내선순환이 쓰는 두 개의 터널을 만든 후 그 터널에서 서로에게 접근하도록 굴착하는 방식으로 승강장을 만들었다. 때문에 스크린도어 너머를 자세히 보면 터널의 둥근 벽면을 볼 수 있다. 대합실은 승강장과 별개로 공사했으며 일반적인 개착식 흙막이 공법으로 지어졌다.

여기서부터 시청역까지는 단선 터널 2개에 선로 하나씩 지나는 단선쌍굴 형태로 지어졌고, 승강장도 그 사이에 만들어져 아현역 상대식 승강장이고,[2] 나머지 역은 모두 섬식 승강장이다.

먼 대합실과 승강장을 잇기 위해 승강장에 양 끝에 계단과 더불어 긴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에스컬레이터는 역이 개통한 1984년부터 설치된, 당시로서는 희귀한 물건이었다. 이대역에 내릴 일이 생긴다면 내선 방향 9-2번, 외선 방향 2-2번 칸을 타야 에스컬레이터와 가장 가깝다.

대합실과 승강장이 완전히 분리된 구조라 두 공간을 잇는 엘리베이터 설치가 어려운 역이었고, 이 때문에 일반 엘리베이터 대신 경사형 엘리베이터가 대합실과 승강장을 잇는 계단 옆에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의 대합실은 다른 2호선 역에 비해 좁은 편이다. 각종 기기실은 5번 출구 인근에 있는 공원 지하에 설치되어 있으며, 2호선 공사 전에는 건물이 있었으나 공사 과정에서 매입 후 철거하였다. 2호선 건설지에 따르면 개통 당시 이 공원에는 수영장이 있었다고 한다.
파일:attachment/idae.png
개통 전의 이대역
파일:이대역.png
매큔-라이샤워 표기법[3]이 적용된 이대역 역명판
파일:20190422_073724.jpg
이대역 옛 폴사인

2007년에 역사가 리모델링되었는데 벽에 이화여자대학교의 상징인 꽃이 있고 2009년 이후 디자인서울의 영향을 받은 9호선이나 리모델링 역들과는 달리 다채로운 색으로 디자인되어 있어 호평을 듣는다. 다만 스크린도어의 경우는 2006년에 설치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2번, 3번 출구로 나와 직진해 3분 정도 걸어 들어오면 바로 이화여자대학교가 있다. 이화여대에서는 지상 신촌역도 거의 이대 안에 있는 정도로 매우 가깝지만, 배차 간격이 길기 때문에 시간대가 맞지 않는다면 이대역을 더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서강대학교도 후문에서는 지하 신촌역보다 이대역이 가깝기 때문에 1~2호선 연선이 목적지인 경우 대흥역 대신 이대역을 이용하는 경우도 흔하다. 6번 출구로 나오면 있는 정류장에서 버스로 환승 시 후문까지 2정거장이면 가기 때문에 신촌역에서 내려 걷거나 버스타고 정문으로 들어가 캠퍼스를 가로지르는 것보다 빠르고 편하다.

이 지역의 유동인구가 매우 많은 것은 서강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가 위치한 신촌이 서울 지역에서 손꼽히는 데이트 코스이기 때문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길을 걷다가 나와서 Yes APM 뒷쪽의 길로 직진하다 보면 신촌기차역이 있으며, 그곳은 꽤 유명한 먹자거리이다.

3번 출구의 커피집에서 우회전 해서 언덕길을 올라오면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이 있다. 서울대신초등학교 옆에 밀접해 있다. 4번 출구 쪽에도 학생들이 많은데, 한국방송예술교육진흥원이라는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이 있기 때문이다.

미스터피자의 1호점인 이대점이 이 주변에 있었지만, 폐점하였고, 스타벅스 1호점인 이대R점도 이 주변에 있다.

이대역 남쪽은 아현뉴타운으로 인해 재개발 마포그랑자이 마포 더 클래시, 마포 프레스티지 자이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이대역 5번 출구쪽은 염리4구역 재개발 사업이 한 차례 무산됐으나 염리4구역 재개발 사업을 2024년 현재 재추진 중이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2_icon.svg 이대역 출구 정보
1 경의선 신촌역
신촌지구대
신촌우체국
서대문여성인력개발센터
2 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중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고등학교
이대사회복지관
3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대신초등학교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
대현자이아파트
4 북아현동
서울북성초등학교
한성중학교
한국방송예술교육진흥원
신촌이편한세상
5 염리동
숭문중· 고등학교
서울한서초등학교
마포아트센터
마포프레스티지자이
6 대흥동주민센터·대흥치안센터
서강대학교
마포그랑자이
우리마포복지관

3.2. 주위 상권의 흥성과 쇠락

조선일보 경제부 부동산팀 땅집고가 임장하고 올린 취재 영상

이대역이 위치한 대현동 일원은 소위 '이대 상권'으로 불린다. 본래 1950~60년대 하숙촌이 있었던 곳인데 1980년대부터 미용실과 의류점, 화장품 매장 등의 상가가 늘어났다. 1990년대 중반에는 서울의 대표적인 패션 상권으로서 명성을 떨쳤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 SPA 브랜드, 인터넷 의류 쇼핑몰 등의 득세로 인해 힘을 잃어갔다. 2000년대 이대상권에 가까운 신촌 민자역사 밀리오레, 예스에이피엠 등의 쇼핑몰이 생겨났으나 브랜드 매장이 아니라 동대문식 보세 매장이었기 때문에 시대의 흐름에 맞지 않았다. 이들 쇼핑몰이 공실을 드러내면서 주위의 상권이 오히려 더 쇠락했고, 이에 다른 업종 매장까지 일제히 활력을 잃었다.[4]

이에 30여 개가 넘는 점포들이 문을 닫았고, 인근 상권은 밤이 되면 옛 명성과는 달리 어두운 골목으로 전락하였다. 술집도 거의 없고 밤 9시만 되면 곳곳에 불이 꺼지며, 주변에 달동네가 있다.

이에 건물주들은 '이대골목주민연합'을 만들어 임대료를 낮추고 지자체에 골목 정비를 요청하는 등 골목 상권을 살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5] 한편으로 SBS 백종원의 골목식당 첫 회를 이곳에서 진행하였다( 백종원의 골목식당/이화여대 삼거리 꽃길).

신촌 일대의 상권 주도권이 젠트리피케이션과 각종 개발로 공룡화된 홍대입구역 상권으로 대부분 흡수되었기 때문에 이대역 상권은 모두 철거하고 재개발을 통해 지식산업센터, 택지(아파트, 주상복합)로 재개발하여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이 일대의 도로망을 정비하는 것이 최선이다.

이대역과 아현역 사이에는 웨딩타운이라는 서울에서 유명한 혼수용품 상점들이 입점해있었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서 강남 고급웨딩샵에 입지가 흡수되기 시작해서 위기를 맞았고 2010년대 이후로 가시화된 대한민국의 저출산으로 인해 웨딩타운 상권 역시 큰 타격을 받았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84d><bgcolor=#00a84d> 연도 || 파일:Seoulmetro2_icon.svg ||<bgcolor=#00a84d>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94년 70,242명
1995년 75,625명
1996년 75,323명
1997년 59,442명
1998년 53,858명
1999년 자료없음
2000년 62,279명 비고
2001년 63,898명
2002년 62,165명
2003년 57,196명
2004년 55,604명
2005년 51,768명
2006년 49,285명
2007년 49,191명
2008년 48,674명
2009년 50,258명 }}}}}}}}}
2010년 49,070명
2011년 49,178명
2012년 48,874명
2013년 49,215명
2014년 50,994명
2015년 47,450명
2016년 45,332명
2017년 41,576명
2018년 41,143명
2019년 41,008명
2020년 20,808명
2021년 21,366명
2022년 27,009명
2023년 32,452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6]

2호선 역들 중 강변역 다음으로 [7] 가장 큰 폭으로 이용객이 줄어드는 역이다. 이것은 이화여자대학교 상권의 침체와 무관하지 않다. 상권의 중심이 점점 홍대거리가 있는 서쪽으로 이동해가면서 이대 인근의 보세 상권은 크게 몰락했고, 이러한 이유로 이대역의 이용객은 2000년에 하루 평균 6만 명을 넘던 것이 불과 6년 만에 5만 명 선이 무너졌으며, 2009년과 2014년에 간헐적으로 5만 명대를 회복했으나 전체적으로 4만 명대 후반에서 보합세를 보였다. 그러던 것이 이대역 남쪽 구역의 재개발로 인하여 2015년부터 다시 큰 폭으로 이용객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본격적으로 철거가 진행된 2017년에는 4만 명대 초반까지 하락했다. 마포그랑자이, 마포프레스티지자이 건축이 끝나고 입주가 진행되면 다시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었는데, 2020년 코로나 사태로 인해 전년도에 비해 이용객이 반토막났다.

5. 승강장

파일:이대역1.jpg
2호선 승강장
신촌
아현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 홍대입구· 영등포구청· 신도림 방면
시청· 을지로3가· 신당· 성수 방면

이 역은 신촌 방면으로 3퍼밀 하구배가 있다.

6. 연계 버스

신촌로 중앙버스전용차로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 이대역 웨딩타운

6.1. 1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신촌기차역입구(13141) ||
간선
지선
광역급행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이대농협(13698) ||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이대입구(13865) ||
마을

6.2. 4번 출구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이대역(중)(13025/22015)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광역
직행좌석
심야
공항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이대역(13140/22057) ||
간선
지선
광역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이대전철역(13928) ||
마을

6.3. 5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이대역5번출구(14209)/이대전철역(14898) ||
간선
지선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아현고개(14994) ||
마을

6.4. 6번 출구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이대역(중)(14064/23036)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간선
지선
광역(서울역행)
직행좌석
심야
공항 }}}}}}}}}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이대역6번출구(14207)/이대전철역(14868) ||
간선
지선
직행좌석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이화여대입구(14208) ||
간선
지선
광역급행
일반좌석

7. 기타


파일:IMG_5514.jpg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84d>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개정 전 41번. [2] 이 또한 단선쌍굴 터널 상에서 시공되었기에 중앙부가 벽으로 막혀있다. [3] 사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이라 표현하기에는 애매하다. [4] 「패션 잃은 이대상권, 뾰족한 수 없이 '침체'」, 더벨, 2014-12-17 [5] 「“동네 불 꺼지고 나서 알았죠…상인 있어야 건물주도 있다는 걸”」, 경향신문, 2015-12-25 [6]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 [7] 강변역은 10만명도 넘었는데 이제 6만명도 아슬아슬하다. 중앙선 KTX가 서울역으로 연장되었고, 중부내륙선 KTX도 판교역 연장되는 등 미래가 매우 어둡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