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11:09:11

광역급행버스 M7731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광역급행버스 심볼.svg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B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지역
권역
시/군 <colbgcolor=#fff,#1f2023><colcolor=#000,#fff> 노선


2 남양주
M2316[공]
M2323[공]
M2341[공]
M2352[공]
M2353[공]
4 성남
M4102[공]
용인
M4101[공]
M4455[예]
화성
M4108[공]
M4130[공]
M4137[공]
M4403[공]
M4434[공]
5 수원
M5107[공]
M5115[공]
M5121[공]
M5342광주
M5422[공]
M5443[공]
안양
M5333[공]
M5556[공]
오산
M5532[예]수원
평택
M5438[공]
6 김포
M6427[공]

중구
연수구
남동구
M6410시흥
서구
7 고양
M7119[예]김포
M7412광주
M7731[예]
파주
M7111[공]
M7154[예]
대전권 세종
준공영제 노선[공]
준공영제 예정 노선[예]
[[아웃 ○○ 노선|{{{#00BFFF
운행하는 지역의 면허가 아닌 노선}}}]]실제 면허지
}}}}}}}}} ||
파일:M7731번(2630호).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수요4.2. 일산신도시 최고의 급행버스4.3. 입석을 받았던 M버스4.4. 공덕→일산 방면 심야 수요4.5. 일평균 승차인원4.6. 기타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773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광역 M7731 노선도.svg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덕이하이파크3·5단지)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공덕역)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6:30
막차 00:30 막차 01:30
평일배차 5~15분 주말배차 토요일 9~18분 / 공휴일 9~24분[1]
운수사명 가온누리엠[2] 인가대수 26대
경유 정류장
고양(일산) 서울(공덕역)
하이파크시티3.5단지 합정역
탄현큰마을.쌍용아파트 홍대입구역
경남아너스빌. 탄현역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서울도시가스 이화여대입구(상)
신촌기차역입구(하)
성저마을14단지(상)
문촌마을1단지.성저마을15단지(하)
대화역 서강대학교후문(상)
마포아트센터(하)
킨텍스
더샵그라비스타.힐스테이트일산(상)
현대모터스튜디오고양(하)
공덕역1번출구[A]

2. 개요

가온누리엠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68.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4. 특징

4.1. 수요

4.2. 일산신도시 최고의 급행버스

4.3. 입석을 받았던 M버스

4.4. 공덕→일산 방면 심야 수요

4.5. 일평균 승차인원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7731번
<rowcolor=#00B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증감폭
2018년 2,025명 -
2019년 3,529명 1,504
2020년 3,402명 △127[21]
2021년 4,211명 809
2022년 5,403명 1,192
※ 하차인원 미포함

4.6. 기타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053864> 파일:정부상징.svg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행
좌석
<colbgcolor=#f00><colcolor=#fff>가평 · · · · ·
광명 · ·
광주 · · · · ·
구리 ·
김포 · · · · · · ·
남양주 · · · · · · · · · · · ·
성남 · · · · · · · · · · · ·
수원 · · · ·
시흥 ·
안성 ·
양주 · · ·
오산 ·
용인 · · · · · · · · · · · · · · · · ·
의정부 · · ·
이천 ·
파주 · ·
평택 ·
포천 · · ·
하남 · · · ·
화성 · · · · · · · · · ·
기타 · · · ·
}}}}}}}}} ||

{{{#!wiki style="margin:-10px auto" <tablebordercolor=#02574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광역급행
직행좌석
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버스
마을

마을버스
고양누리버스
3300번 :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056번 : 도촌, 서촌, 멱절행 지선으로 운행
}}}}}}}}} ||


[1] 킨텍스에서 행사가 있을 때에는 예비차까지 전부 끌어오기 때문에 배차가 안내된것보다 더 짧아지며, 입석을 밥먹듯이 찍는다. [2]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전환 시 명성에서 운행예정 [A] 편도운행 [4] 명성, 고양교통, 서울여객, 파주여객, 가온누리엠이 신청하였다. [5] 1위는 고양 버스 1000, 2위는 고양 버스 1500. [6] 그러나, 운행댓수는 M7731번이 더 적어서 대당 수입금은 1000번보다 M7731번이 더 많다. [7] 9401번이나 신분당선의 경우도 서울에서 판교로 출근하는 사람이 많아 비슷한 상황이 일어난다. [8] 그도 그럴 것이, 탄현동의 대단지 아파트인 '큰마을'과 두산 위브 더 제니스를 경유하니... 그라비스타 정류장이 추가되고 난 후엔 탄현동, 대화동, 킨텍스단지 승객비율이 1:1:1 정도가 됐다. [9] 이에 신성여객도 2017년 4월부터 200번의 막차 시간을 1시간 늘려 0시 20분에 홍대입구에서 회차하게 된다. [10] 서울문산고속도로 개통 이후로 대화역->합정역 간 60분이 소요될 정도로 심하게 막힌다. 특히 월요일 출근시간대는. 반면 퇴근시간대는 25~35분 정도로 쾌적하게 이용 가능하다. 이는 강변북로의 병신같은 1차로 좌현측 진출하는 램프 구조(성산, 양화) 때문. 정말 답없는 월요일 오전을 제외하면 2km 넘게 이어지는 성산대교의 대기열 및 거기에 끼어들겠다고 하는 차량들의 길막의 여파로 마곡철교 내지 행주IC까지 쭉 막힌다. 성산 갈라지고 나면 모세의 기적이 일어나며 잠깐 밟다가 양화대교 앞에서 똑같은 원인으로 또 막히고 그러고 나면 또 쌔앵. 해결을 위해 월드컵대교가 지어지고 있긴 하나 이 역시 매우 병신같은 설계로 인해 일산 방향에서 온 차량(구리방면 도로) 강남 방향으로 도강하는 다리에 올라탈 수 있는 램프가 없어 교통량이 분산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반면 일산 방향 도로는 강변북로를 확장하며 왕복 4차선 도로를 편도 4차선으로 개조한 것이라 모든 램프가 우현측에 있어 떼거지로 차선변경을 하며 차들이 꼬이는 현상(위빙현상)이 없으며 덤으로 통과차선(2차로, 과거의 구리 방향 도로)와 진출입차선(2차로, 과거의 행주 방향 도로)가 분리되는 효과까지 생겨서 퇴근시간대는 정체가 확연히 덜하다. 원래 퇴근시간대 트래픽은 넓은 시간대역에 걸쳐 분산되기도 하고. [11] 17시를 넘어서 승차거부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23시까지는 합정에서 쭉 못 탄다고 보면 된다. [12] 나머지는 그럼 무엇이냐 하면, 홍대입구도 아니고 무려 2호선 신촌역에서 만석이 되는 케이스이다. 이러다보니 시간이 좀 걸려도 편하게 가고 싶은 일부 승객은 아예 홍대입구나 신촌역에서 공덕 방향으로 타고 갔다 종점에서 돌아서 오는 케이스마저 있을 지경. [13] 인천-일산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쪽도 금요일에 미어터지는 것은 마찬가지인데다 배차간격도 20분 이상으로 길기 때문에 대기를 포함한 소요시간이 더 길어지는 경우가 많아 해당 경로를 이용하기도 어렵다. 게다가 2022년 11월 18일부터는 광역버스가 아닌데도 입석금지까지 시행을 한다. [14] AGF때는 킨텍스발 합정행 단축 계통까지 운행했고, 가온누리엠 임직원들이 킨텍스에 나와서 승차 지도를 했을 정도로 사람이 많았다. [15] 아이러니하게도, 20년 전 중앙로 - 승전로 직통 노선으로 개통한 1000번 버스에 많은 사람들이 열광했을 때의 상황과 비슷하다. 현재의 1000번은 일산에서 숭례문까지 이어주는 가장 빠른 노선은 아니라는것. [16] 회사는 증차를 원하긴 하나 고양시와 서울시에서 교통량 포화를 이유로 증차를 인가할 수 없다고 한다. 고양시야 GTX A선이라는 명분도 있고 당장 증차할 경우 차고지 부족 문제가 떠올라서 그렇다 치지만 서울특별시 2004년 서울 버스 대 개편 이후로 단 1대도 순수 증차를 허용하고 있지 않아서 다른 지자체와 분쟁이 잦다. 국토교통부 면허인 광역급행버스인 만큼 국토부에서 서울시를 압박해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7] 승객이 입석관련으로 시청에 민원을 넣었다고 한다. [18] 킨텍스사거리 주변 꿈에그린, 원시티, 힐스테이트, 그라비스타 아파트 등이 해당된다. [19] 당장 주말에 PlayX4 인파가 몰리는 것을 봐선, 현재 배차를 끌어다 써도 많이 부족하다. [20] 2024년 2월 일러스타 페스 행사 당시 토요일 초반에는 입석금지를 칼같이 지켰으나, 합정 출발 임시차까지 투입했지만 공급이 수요를 버티지 못하자 일부 차량에서 입석을 태웠고 아예 일요일에는 직원 한명을 합정에 배치해서 승차지도를 함과 동시에 적극적으로 입석을 태웠다. [21] 예결산 관련 문서나 정부 내부 문건 표준에서 삼각형은 감소를 나타낸다. 원래는 그리스 대문자 Δ(델타)를 사용하여야 하나 국내 실정 상 전각 기호 삼각형(△)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22] 다른 노선들의 서울 방향 정류장(남측, 2번 출구)이 이 노선의 덕이지구 방향이고, 다른 노선들의 일산서부경찰서·가좌동·덕이동·대화마을 방향(북측, 5번 출구) 정류장이 이 노선의 서울(합정·홍대입구) 방향이다. [23]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17조(한정면허) 4~5항 : 한정면허의 기간은 6년 이내로 한다. 한정면허를 받은 자는 한정면허의 기간만료 후 사업을 계속하려면 기간만료일 3개월 전까지 면허의 갱신을 신청하여야 한다. [24] 다만 RH시간의 경의·중앙선은 헬게이트 그 자체이기 때문에, 서서 불편하게 낑겨가느니 편하게 버스 타자는 수요도 탄현동에서 적지 않다. 실제로 출근시간대 버스는 탄현동에서 반 이상 채우고 출발한다. [25] 2017년 11월 10일에는 강변북로 구리 방면 성산대교 근처에서 1차로를 막고 공사를 하고 있었던데다, 사고까지 나서 행주대교→성산대교 소요시간 56분이라는 엄청난 정체를 보여줬다. 강변북로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원체 이 구간이 사고가 잦아서 거의 매주 금요일마다 사고나 공사 하나씩은 걸려 있다. 평소보다 20~30분 이상 지연되는 편. [26] 고양시청 입장에서는 마을버스로 환승하라는 말밖에 할 수가 없다. 킨텍스라는 초거대 전시장 활성화가 그쪽 주민들보다 우선인 과제이기 때문이다. 허나 그렇다면 아파트를 건설하지 않고 원안대로 업무지구와 킨텍스전시지원시설을 건설하는 것이 올바른 정책이며 당시 예산과 수익성 문제로 사업 포기하고 에라 모르겠다 냅다 필지매각 던져놓고 아파트 지어놓고서 무책임하게 방치하는 것은 비판받아 마땅하다. 킨텍스지구는 입주세대수 대비 마을버스 운행횟수가 가장 적다. 물론 앞 각주의 인구 대비 마을버스 운행횟수와 관한 문제는 학원가와 멀고 상업지에 지어진 아파트/오피스텔이라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기에 적절치 않아 대중교통에 의존하는 미성년 인구가 적은 편인데다 평균소득수준도 조금 높은 편이라 자차이용률이 높다는 원인도 있다. 그래서 자차를 이용하기 곤란한 상황이나 세대당 자가용 2대를 확보하지 못해 일부 세대원이 대중교통편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에도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공유자전거 등으로 마을버스의 이용용도가 대체된 상황이다. [27] 1차적으로 돈 아끼기에 급급한 철도공사가 서해선 및 GTX-A선 개통 등으로 트래픽이 분산되게 되면 상대적으로 점유율 및 차내혼잡도가 낮아질 경의선 구간까지 증차를 할 지도 미지수이고, 2차적으로는 경의선을 증차한다고 쳐도 승차량의 40%를 점유하는 킨텍스 일대 지역에서 경의선 전철역까지 나가는 데에 대화역까지 가서 3호선을 타고 대곡 환승, 999 이용하여 풍산역 가기, 010 이용하여 후곡학원가 내려서 일산역 도보 3가지 방법 모두 30~40분 정도 까먹기 때문이다. [28] 그나마 24년에는 A선을 타고 대곡을 간다는 선택지가 추가되긴 하는데 역까지 도보-대심도 진출입(엘리베이터 대기시간, 에스컬레이터 5바퀴 빙빙 돌아서 오르내리는 시간) 및 경의선 환승대기시간까지 고려하면 이쪽도 킨텍스 출발해서 대곡에서 경의선 열차 타는 데까지 20분, 거기서 홍대나 신촌까지는 20분으로 소요시간 자체는 월요일 아침이 아닌 이상에야 비슷하게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역까지 가서 공항철도로 되돌아 오는 방법도 있지만 대심도에서 올라와서 한참을 걸어서 서울역을 통째로 횡단한 다음에 다시 대심도로 내려가는 식이라 환승에만 10~15분 소요될 것으로 보이며, 그럴 경우 결국 40분대라 큰 차이는 없다. 게다가 2호선 신촌역으로 가려면 2회 환승을 해야 함으로 불편함이 가중된다. 결론은 2호선 환승을 통한 도심이나 강남, 영등포, 여의도 출퇴근 수요는 서울역이나 삼성역 환승, 또는 대곡에서 서해선 경유 정도로 빠지겠지만, 홍대/신촌권과 킨텍스를 연결하는 기능은 유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운행횟수 조정 정도에서 끝날 개연성이 있다. 공공버스가 되면 어차피 수익성은 덜 중요해지니 그냥 절반정도씩만 태워 다닐 수도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