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07:57

소련/외교

소련 외교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소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 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 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 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 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 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 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 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일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 인테르코스모스
}}}}}}}}} ||

1. 개요2. UN과의 관계3. 미국과의 관계4. 나치 독일과의 관계5. 유고슬라비아와의 관계6. 대한민국과의 관계7. 북한과의 관계8. 중국과의 관계9. 대만과의 관계10. 몽골과의 관계11. 일본과의 관계12. 소련의 위성국 및 괴뢰국13. 관련 문서

1. 개요

이 문서는 소련의 외교에 대하여 다루는 문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의 외교 정책은 전후 소련의 영향력으로 들어온 제2세계(사회주의권 국가)와 협력함과 동시에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통해 서방에 맞서는 안보질서를 확립하는 것이었다.

2. UN과의 관계

소련은 국제연합(UN)에서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자리를 차지했으나 타 상임이사국들( 미국· 프랑스· 영국· 중화민국)이 모두 서방세력이어서 거부권(Veto)을 행사하는 선에서 영향력을 행사했고 대부분의 시기 동안 서방세력(미국)과 신경전을 벌였는데 1971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상임이사국이 된 후에는 좀 나아졌다.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이외에도 헌법으로 소속 공화국들의 '명목상' 외교권을 인정했기 때문에[1] 소련과는 별도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현 벨라루스)도 유엔에 창설멤버로서 가입했다. UN 창설이 처음 논의되었던 얄타 회담 당시 미국과 영국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필리핀 인도를 가입시키려고 하자 소련은 이에 대한 반발로 15개 공화국을( 러시아를 제외한 나머지 15개 공화국) 같이 가입시키려고 했다.[2] 하지만 미국이 48개 주를 모두 가입시키겠다고 응수하자 연합국끼리 조율을 거쳐 최종적으로는 소련의 창설 멤버였던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가 가입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3][4][5]

소련의 외교적 열세는 1970년대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유엔 내 '중국'의 지위를 중화민국으로부터 빼앗는 데 성공하면서 조금이나마 해소되었다. 1971년 소련은 중화인민공화국의 UN 회원국 지위를 인정했고 투표에서도 항상 찬성표를 던졌으며 중화인민공화국 대표단이 처음으로 UN 본회의장에 모습을 드러냈을 때 직접 찾아가서 악수도 했다.

3. 미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소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냉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소련은 미국과의 우주 경쟁으로 유명하다. 소련은 스푸트니크를 비롯하여 각종 '세계 최초' 타이틀을 석권하여 미국에 충격을 주었다.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을 쏘아올렸고 세계 최초로 우주에 개( 라이카)를 보냈으며[6] 세계 최초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와 세계 최초의 여성 우주비행사( 발렌티나 테레시코바)를 배출하였고 세계 최초로 달에 착륙( 루나 9호)을 시켰고[7] 세계 최초로 우주 유영( 알렉세이 레오노프)을 했으며 세계 최초로 우주 정거장( 살류트 1호)을 만들었고 세계 최초로 금성에 착륙( 베네라 7호)하였다.

4. 나치 독일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치 독일-소련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유고슬라비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대한민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소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북한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소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중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소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대만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련-대만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몽골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련-몽골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일본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일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소련의 위성국 및 괴뢰국

파일:낫질망치질_2.png 소련의 위성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6px; word-break: keep-all"
아시아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공화국
파일: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국기(1987–1992).svg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파일:북한 국기.svg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유럽
파일:동독 국기.svg
독일민주공화국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공화국
(~1968)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인민공화국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헝가리 인민공화국
괴뢰국 · 구성국 }}}}}}}}}

파일:낫질망치질_2.png
소련의 괴뢰국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6px; word-break: keep-all"
아시아
파일:투바 인민 공화국 국기(1943-1944).svg
투바 인민공화국
파일: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인민정부
파일:마하바드 공화국 국기.svg
마하바드 공화국
유럽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민주 공화국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인민공화국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헝가리 인민공화국
위성국 · 구성국 }}}}}}}}}

13. 관련 문서



[1] 실제로 소련 내 공화국들은 각 국가별로 외무부가 있었다. 물론 실질적인 역할은 여권 발급같은 소소한 업무가 주였다. [2] 유엔의 전신인 국제연맹(LON)에서도 영국 본국뿐만 아니라 대영제국의 자치령들과 최대 식민지 인도 제국에도 개별적으로 회원국 지위를 주어서 영국이 사실상 여러 표를 행사했는데 소련이 유엔에서 이걸 흉내내려고 한 것이다. 참고로 국제연맹 설립 당시 제1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사실상 최대 강대국 지위가 미국으로 넘어가고는 있었으나 그래도 아직까진 영국이 최강자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이런 특례를 부여한 것으로 생각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제연맹 문서 참조. [3] 물론 예상대로 소련 붕괴 전까지 우크라이나 벨라루스는 철저히 소련의 거수기 역할을 했다. [4] Reynolds, David (2009). Summits : six meetings that shaped the twentieth century. New York: Basic Books. ISBN 978-0-7867-4458-9. OCLC 646810103 [5] Stalin: The Man and His Era. by Adam B. Ulam, p. 606-607 [6] 우주에 나간 최초의 생물로 알려져 있었지만 나중에 우주경계선을 정의하면서 바뀌었다. [7] 이보다 앞선 루나 2호를 꼽기도 한다. 루나 2호는 착륙이라기보다는 충돌시킨 것에 가깝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4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4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