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08:51:47

머슬 보머

머슬봄버에서 넘어옴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블랙.png 파일:스트리트 파이터 로고 화이트.png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본편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기타 작품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합본 II 터보 · II 대쉬 플러스 · SFC1 · SFC2 · III 더블 임팩트 · 애니버서리 · ZeroFG · 25th · 30th · CFC1 · CFC2
외전작
파일:sfex 아이콘.svg 파일:sfex 아이콘 블랙.png 시리즈:
스트리트 파이터 EX · EX2 · EX3
더 무비 · 리얼 배틀 온 필름
모바일:
SF4 아레나
기타
게임
관련 시리즈 : 파이널 파이트 · 사립 저스티스 학원
자사 크로스오버 : VS. 시리즈( XvSF · MvSF · MvC1 · MvC2 · MvC3 · MvCI · CvS1 · CvS2 · TvsC · SFxTK) · PF · CFG · SFxMM
타사 크로스오버 : SvC MotM · SvC Chaos · SSB4 · SSBU
미디어
믹스
영상물:
실사 · 춘리의 전설 · 전설의 귀환 · 2 극장판 · TV판 · 가두쟁패전 · 거리의 무법자 · 초급학교패왕
만화:
힘내라 사쿠라 · 류 파이널 · 스트리트 화이터 III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colbgcolor=#eee,#000>플레이어블 캐릭터만 처음 등장한 시리즈 부분에 나열됨 · 그 외는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참조
·
가일 · 달심 · 블랑카 · E.혼다 · 장기에프 · 춘리 / M.바이슨 · 발로그 · 사가트 · 베가 / 디제이 · 캐미 · 페이롱 · T.호크 / 고우키 · 진 고우키 / 세뇌당한 켄
아돈 · 버디 · 가이 · 소돔 · 찰리 내쉬 · 로즈 · / · 롤렌토 · 사쿠라 / 코디 · R.미카 · 카린 · 율리 · 유니 / 살의의 파동에 눈뜬 류 / 이글 · 마키 / 잉그리드
독트린 다크 · 스컬로 매니아 · 크래커 잭 · 풀룸 플루나 · 호쿠토 · 다란 마이스터 · 블레어 데임 · 앨런 스나이더 · 카이리 / 가루다 · 사이클로이드 베타/감마 · 피의 봉인을 푼 호쿠토 / 샤론 · 하야테 · 나나세 · 섀도우 가이스트 / 볼케이노 롯소 · 에어리어 · 베가 2 / 에이스
알렉스 · · · · 이부키 · 엘레나 · 더들리 · 오로 · 네크로 · / 휴고 · 유리안 / 마코토 · Q · 트웰브 · 레미
C.바이퍼 · 루퍼스 · 엘 포르테 · 아벨 · 세스 · 고우켄 / 하칸 · 한주리 / 광기의 오니 / 포이즌 · 디카프리
네칼리 · 라시드 · 라라 · F.A.N.G / 콜린 · 에드 · 아비게일 · 메나트 · 제쿠 / 팔케 · G / 카게나루모노 · 루시아 / 아키라 · 루크 · 일레븐
제이미 · 마농 · 킴벌리 · 마리사 · 릴리 · JP / A.K.I. / 테리 (콜라보) · 마이 (콜라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min-width: 70px"
<colbgcolor=#eee,#000><colcolor=#000,#fff>관련 문서 기술 · 성우 · 월드 투어 · 풍림화산류 ( 고우테츠 · 살의의 파동) · 사이코 파워 · 무신류 · 샤돌루 · 매드 기어 · 딤프스 · 아리카 · e스포츠( CPT · SFL)
고유 시스템 슈퍼콤보 2~ · 오리지널 콤보 · 세이빙 어택 4 · 울트라콤보 4 · V 시스템 5 · 드라이브 시스템 6 · 모던 컨트롤 6
기술표 2 시리즈 · 제로 ( 제로 2 · 제로 3) · 3 시리즈 · 4 시리즈 · 5 시리즈 · 6 시리즈 }}}}}}}}}


MUSCLE BOMBER DUO : ULTIMATE TEAM BATTLE
Saturday Night : Slam Masters

파일:attachment/mbomberj001.jpg

1. 개요2. 머슬 보머 DUO3. 등장인물4. 기타

1. 개요

파일:attachment/mbomberj004.png

캡콤에서 1993년에 만든 프로레슬링 게임.

실제 존재하는 프로레슬링 단체를 소재로 한 게 아닌, 오리지널 캐릭터를 이용한 프로레슬링 게임이다. 설정상의 단체명은 CWA(Capcom Wrestling Association). 오리지널이면서도 각기 개성넘친 캐릭터들이 나온다. 등장인물 중에 파이널 파이트 마이크 해거도 있다.

프로레슬링 게임답게 각 캐릭터마다 일부 실제 프로레슬링 기술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게임스럽게 과장되거나 특별한 기술들도 사용한다. 기술표는 슈퍼 머슬 보머를 참조.

게임 방식은 1대1 싱글플레이와, 2대2 팀플레이가 있다. 팀플레이로 할 때는 태그매치가 아닌 4명이 모두 링 안에서 싸우는 형태로 진행된다. 물론 4인 동시플레이도 가능하다. 같은 팀이라도 플레이어가 조작하지 않는 선수는 CPU의 인공지능으로 움직인다. 이경우 아군 CPU핀폴되면 2:1로 싸우게 되지만 플레이어가 먼저 핀폴될 경우 아군 CPU 혼자 싸우는게 아니라 무승부 처리로 게임오버. 그리고 1:1에서는 케릭터들이 고유의 복장색상으로 나오지만 2:2 부터는 1P~4P 순서로 빨강, 파랑, 노랑, 녹색으로 고정된다.

게임상에서는 잠깐만 나오는 캐릭터 등장씬 별로 배경음악이 존재하며 캐릭터의 성격이나 분위기를 느낄수있는 음악 하나하나가 퀄리티가 상당히 높다. 직접 OST를 들어보면 캡콤이 얼마나 음악에 신경을 많이 썼는지 알 수 있다.[1] 물론 등장시 배경음악 뿐 아니라 스테이지별(배경 국가별) 음악도 훌륭하다. 특히 멕시코 스테이지 음악이 정말 좋다.

머슬 보머는 2주차는 고사하고 1주차의 스테이지 3조차 넘기기 힘들정도로 토나오는 난이도를 자랑한다. CPU가 조종하는 캐릭터마다 엄청난 패턴성 공격을 자랑하며 플레이어의 잡기는 마구 풀어대고 공중 공격을 시도하면 완벽한 기본공격으로 끊어먹어 상당히 힘들다. 캐릭터의 기술과 특성, 그리고 CPU 캐릭터의 패턴을 완벽하게 숙지하지 않는 이상 클리어는 불가능에 가깝다. 특히 천신만고의 끝에 최종보스 아스토로와 대면하면, 최종보스스러운 간지폭풍의 등장과 함께 플레이어를 간단히 개털어버리는 모습을 보인다.

배경의 관중석을 자세히 보면 스트리트 파이터 2, 춘리, 에드먼드 혼다 등이 보인다.

이식은 가동 약 4개월만인 1993년 11월에 일본제 PC인 FM TOWNS에 이식된 것이 최초이며, 콘솔로는 이듬해인 1994년 슈퍼패미컴, 메가드라이브[2]로 이식되었다. 용량문제로 아케이드만큼은 안되지만 둘 다 무난하게 이식한 수준이다.[3] 참고로 메가드라이브판은 팀배틀 모드는 삭제되었지만 그 대신에 메가드라이브 판만의 오리지날 모드인 데스매치 모드가 있다. 그런데 데스매치 모드는 대전모드 전용이다. 즉, 친구와 여분 패드가 없으면 못 한다. 2023년 현재는 캡콤 아케이드 2nd 스타디움으로 플레이하는 것이 편하다.

2. 머슬 보머 DUO

파일:external/www.gametronik.com/10007801.jpg

나중에 게임 밸런스 수정과 싱글플레이 모드를 삭제하고 동일 캐릭터 선택이 가능한 머슬 보머 듀오라는 버전도 나왔으며,[4] 속편인 슈퍼 머슬 보머는 레슬링 게임의 탈을 쓴 대전 격투 게임으로 전락해버리고 말았다.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머슬 보머 시리즈/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이 게임의 일러스트를 그린 사람은 북두의 권을 그린 만화가 하라 테츠오지만, 정작 원작인 아케이드판에서는 그의 일러스트는 쓰이지 않았고, 가정용 이식판에서 그의 일러스트를 사용했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아케이드 판에는 없는 슈에이샤와 하라 테츠오 이름이 가정용에선 타이틀에 나온다.

여담으로 제임스 롤프 AVGN에서 프로레슬링 게임을 리뷰하면서 짤막하게 플레이를 했는데, LJN에서 만든 WWF의 게임을 한 뒤에 해서 '도대체 빈스 맥마흔 회장은 왜 캡콤에게 WWF 게임 제작을 맡기지 않았는지 이해가 안 간다'며 대차게 깠다.
[1] 여담이지만 이 게임의 음악에 참여한 사람이,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전 총괄 프로듀서인 오노 요시노리. 캡콤 입사 후 맡은 첫 작품이었다고 한다. [2] 북미, 유럽에서만 발매되었다. [3] 퀄리티는 메가드라이브 쪽이 더 높은편. 슈퍼패미컴 판은 그림자가 없고 두 개 있던 승리 포즈도 하나로 줄었다. [4] 이외에 링에 입장시 걸어나오던 전작과 달리 머슬 보머 듀오에서는 뛰어나온다. 그리고 왜인지 시합 때와 다른 등장 복장이 전부 사라졌다. 그리고 공격 버튼으로 잡던 전작과 달리 핀 버튼이 잡기 버튼도 겸하고 있다. 덕분에 잡기 공격의 입력 실수가 덜한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