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2 14:35:08

김동원(1916)

파일:금관문화훈장 약장.png
금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74
조택원
무용가
1975
안수길
소설가
1976
홍종인
언론인
1977
최석채
언론인
1978
방정환
독립운동가, 아동문학가
1979
고유섭
미술사학자
1980
전봉초
음악가
1981
김소월
시인
1982
이효석
소설가
1982
조지훈
시인
1983
홍승연
언론인
1983
천관우
언론인
1983
이육사
독립운동가, 시인
1984
이원수
아동문학가
1984
장발
미술가
1985
강소천
아동문학가
1986
홍진기
언론인
1987
김남중
언론인
1990
모윤숙
시인
1990
주시경
독립운동가, 국어학자
1994
김상만
언론인
1994
나운영
음악가
1994
이숭녕
국어학자
1995
공병우
한글연구가
1995
김소희
국악인
1995
문신
미술가
1995
정명훈
음악가
1995
이대원
미술가
1995
류경채
미술가
1996
송석하
민속학자
1996
신용호
기업인
1996
조병화
시인
1997
신순남
미술가
1997
홍두표
언론인
1997
최창봉
언론인
1997
정진숙
출판인
1997
고병익
역사학자
1998
방우영
언론인
1998
김연준
작곡가
1999
방일영
언론인
1999
방종현
국어학자
1999
김세형
음악가
1999
이유태
미술가
1999
김흥수
미술가
1999
장준하
독립운동가,언론인
1999
송건호
언론인
2000
황순원
소설가
2000
백남준
미술가
2000
서정주
시인
2001
김기창
미술가
2001
김천흥
국악인
2001
장우성
미술가
2001
김수영
시인
2001
최영희
역사학자
2002
임권택
영화감독
2002
오지호
미술가
2003
박동진
국악인
2003
윤석중
아동문학가
2004
구상
시인
2004
이혜구
음악사학자
2005
박성용
기업인
2005
정세영
기업인
2006
신상옥
영화감독
2006
김동원
연극인
2006
차범석
극작가
2006
조남철
바둑기사
2007
송도균
언론인
2007
노성대
언론인
2007
송범
무용가
2008
박경리
소설가
2008
이청준
소설가
2008
김영랑
시인
2009
유현목
영화감독
2010
전숙희
수필가
2010
앙드레 김
패션 디자이너
2010
김영환
군인, 6.25전쟁기 해인사 폭격명령 거부
2011
박완서
소설가
2012
지관
해인사 주지
2012
이건희
기업인
2012
허동수
기업인
2012
김형규
국어학자
2013
이우환
미술가
2014
호머 헐버트
선교사, 한글 체계화 공헌 및 한글 보급·한글 홍보 공로
2014
전형필
문화재수집가
2014
이은관
국악인
2016
백성희
연극인
2016
임영웅
연극인
2017
박맹호
출판인
2018
최인훈
작가
2018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
2018
정지용
시인
2018
황병기
국악인
2020
서세옥
미술가
2019
김성환
시사만화가, 대표작《 고바우 영감
2020
손창근
미술품소장가
2021
윤여정
영화배우
2021
이어령
문화부장관, 작가, 정치인 겸 문학평론가
2021
박서보
화가
2022
송기숙
작가
2022
송해
희극인
2022
김우창
문학평론가
2022
김지하
시인
2022
이정재
배우
2022
황동혁
감독
2023
이미자
대중음악인
2023
조수미
성악가
2023
이미경
기업인
}}}}}}}}} ||
김동원
金東園
파일:김동원(1916).jpg
본명 김동혁(金東爀)
출생 1916년 11월 14일
경기도 개성군 송도면 북본정 438
사망 2006년 5월 13일 (향년 89세)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부이촌동
가족관계 부인, 슬하 3남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4. 출연작 목록
4.1. 연극4.2. 영화4.3. TV 드라마4.4. 라디오 드라마
5. 수상경력6. 저서7.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배우로, 유치진, 이해랑과 같은 리얼리즘 연극운동의 주도자 중 하나이자 가수 김세환의 부친이기도 하다.

2. 생애

1916년 경기도 개성군 송도면 북본정 438번지에서 양화점을 운영하던 김경순과 임수복 부부의 7남매 중 셋째로 태어나 1923년 개성제일공립보통학교를 다녔으나, 1926년 4학년 때 경성 공옥보통학교로 전학간 후 1929년부터 5년간 배재고등보통학교를 다니며 1932년에 연극부를 만들어 연기에 입문했고, 이듬해 <성자의 샘>에도 나왔다. 졸업 후 일본 니혼대학 예술과로 유학가 주영섭, 황순원 등과 함께 '동경학생예술좌'를 만들어 이듬해 <소> 및 <나루>를 통해 본격 데뷔했고, 이듬해 <춘향전>에서 이몽룡 역을 맡을 당시 이해랑과 인연을 맺었다. 이듬해 쇼치쿠의 연기자 모집에 응모하여 영화 몇 편에 단역으로 나오기도 했다.

1938년 귀국 후 친구 이해랑, 이진순 등과 함께 극단 '극연좌'에 입단했으나 1939년 '학생예술좌 사건' 당시 좌익계로 몰려 유치진, 이해랑, 주영섭 등과 함께 종로경찰서에 구속됐다. 1940년 삼양상사에 취직했다가 1945년 극단 '전선' 창단에 참여하며 '김동원'이란 예명을 쓰기 시작했고, 1947년 '극예술협회', 1950년 '신협(신극협의회)' 창단 등에 각각 참여했다. 신협 창단 후 전속배우로서 국립극장 개관 공연 <원술랑>과 유치진이 연출한 작품 <뇌우>에 출연하며 당대 최다인 75,000명의 관객을 동원했으나, 이후 6.25 전쟁이 터져 좌익 연극인 백민에게 잡혀 김승호와 최은희, 김선영 등과 함께 납북당할 뻔하다가 평안남도 순천에서 미군의 폭격을 틈타 양백명과 함께 극적으로 탈출했다.

같은 시기 그의 소속극단 신협이 육군 정훈국 문예중대 소속으로 배치되자 그는 경북 대구로 내려갔고, 이곳에서 초연된 < 햄릿>에서 동명의 주인공을 맡아 빼어난 연기력을 선보여 '한국의 올리비에'로 칭송을 받았다. 다른 한편 1948년 박기채 감독의 영화 <밤의 태양>을 통해 은막에서도 모습을 드러내 1950~60년대에 < 자유부인>, <고려장>, < 연산군> 등의 수많은 영화에서 맛깔나는 연기로 관객들에게 인상을 남겼다. 1960년대 들어 선역 탈피 시도를 시작해 1966년 < 파우스트>의 메피스토펠레스 역을 맡는가 하면, 1974년 장충동 국립극장 개관기념 작품 <남한산성>에서 인조 역으로도 존재감을 과시했다. 1994년에 <이성계의 부동산>을 끝으로 완전히 무대를 떠났다.

연기 외적으로 1957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위촉된 후, 1968년 신협 대표를 비롯해 1970년 한국연극협회 부이사장, 1975~ 1979년 국립극단 단장, 1980년 한국연극협회 고문 등을 거쳐 1985년부터 8년 간 국립극단 지도위원을 지냈고, 1981년 11월에 이해랑, 이원경 등과 함께 '배우예술원'을 세워서 1983년에 '서울배우예술원'으로 개편했다.

2004년 6월 뇌경색으로 쓰러져 서울 용산구 동부이촌동 자택에서 투병해 오다가, 2006년 5월 13일 오후 6시 25분에 노환으로 숨졌다.

사후 그의 시신은 삼성서울병원에 안치된 후 빈소가 차려져 후배 배우 장민호와 최불암-김민자 부부, 최종원, 차범석 작가, 정진우 및 김수용 감독 등의 예술인들이 조문왔고, 장례는 대한민국예술인장으로 거행됐다.

후배 강부자가 2009년 <조선일보> 기사와 2021년에 유튜브 <송승환의 뷰티풀라이프>에서 회고한 바에 의하면 1965년 TBC 가정극장 <로맨스 극장>에서 강부자의 아들(!)로 출연했었다고 한다. 김동원은 1941년생인 강부자보다 25살 위다.

3. 가족관계

1941년 홍순지와 결혼하여 슬하에 3남을 뒀으며, 이들 중 장남 김덕환은 쌍용그룹 종합조정실장을 지냈고, 막내아들 김세환은 가수로 명성을 날렸다.

4. 출연작 목록

4.1. 연극

4.2. 영화

4.3. TV 드라마

4.4. 라디오 드라마

5. 수상경력

6. 저서

7. 참고 자료



[A] 홍콩과의 합작영화. [A] 홍콩과의 합작영화. [A] 홍콩과의 합작영화. [4] 개봉년도 기준. 실제 제작은 1967년. [B] 1968년 제작. [B] 1968년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