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81818><tablebgcolor=#181818>
}}}}}}}}}}}}}}}}}} ||
유현목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181818, #181818, #181818, #181818);"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font-size: .7em;" |
|||
교차로 (1956) | 유전의 애수 (1956) | 잃어버린 청춘 (1957) | |
파일:구름은흘러도.png | |||
그대와 영원히 (1958) | 인생차압 (1958) | 구름은 흘러도 (1959) | |
아름다운 여인 (1959) | 오발탄 (1961) | 임꺽정 (1961) | |
아낌없이 주련다 (1962) | 성웅 이순신 (1962) | 김약국의 딸들 (1963) | |
푸른 꿈은 빛나리 (1963) | 잉여인간 (1964) | 아내는 고백한다 (1964) | |
춘몽 (1965) | 순교자 (1965) | 푸른 별 아래 잠들게 하라 (1965) | |
태양은 다시 뜬다 (1965) | 특급 결혼작전 (1966) | 막차로 온 손님들 (1967) | |
종야 (1967) | 공처가 삼대 (1967) | 한 (1967) | |
수학여행 (1968) | 악몽 (1968) | 한(속) (1968) | |
아리랑 (1968) | 여 (1968) | 몽땅 드릴까요 (1968) | |
카인의 후예 (1968) | 나도 인간이 되련다 (1969) | 여보 (1970) | |
분례기 (1971) | 불꽃 (1975) | 문 (1977) | |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1978) | 장마 (1979) | 다함께 부르고 싶은 노래 (1979) | |
사람의 아들 (1980) | 상한 갈대 (1984) | 말미잘 (1994) | |
상세정보 링크 열기 |
역대
이순신 관련 영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영화 |
성웅 이순신 (1962) |
성웅 이순신 (1971) |
난중일기 (1977) |
천군 (2005) |
||||
김한민 3부작 | ||||
명량 (2014) |
한산: 용의 출현 (2022) |
노량: 죽음의 바다 (2023) |
||
애니메이션 |
성웅 이순신과 그 아들 면 (1981) |
난중일기 (1997) |
성웅 이순신 (1962) 聖雄 李舜臣 |
|
|
|
<colbgcolor=#444><colcolor=#fff> 감독 | 유현목 |
원작 | 이은상 |
각색 | 나소운 |
기획 | 정봉규 |
제작 | 김영화 |
주연 | 김승길 |
촬영 | 김학성 |
조명 | 최의정 |
편집 | 김영희, 양성란 |
음악 | 김동진 |
미술 | 이봉선 |
제작사 | 세연영화사 |
개봉일 | 1962년 4월 14일 |
개봉관 | 국도극장 |
[clearfix]
1. 개요
유현목 감독의 1962년 개봉 영화.2. 상세
충무공 이순신의 일대기와 임진왜란의 활약상을 담은, 유현목 감독의 두 번째 사극 연출작[1]이다. 원작은 시조 시인으로 잘 알려진 이은상. 이은상은 와세다대학 사학과를 나온 사학자이기도 한데 난중일기를 초역하고 충무공 이순신장군기념사업회장을 역임하는 등 이순신 연구자로도 명성이 높다.타이틀 롤 이순신 역을 맡은 배우는 김승길이다. 세연영화사가 이순신 역을 뽑기 위해 공모한 신인배우 콘테스트에서 선발된 김승길은 당시 44세, 7남매의 아버지로 현직 토건회사 사장이었다. 오래 전 연극무대 경험이 있기는 하나 15년 전인 1947년 《민족의 새벽》이라는 단 한 편의 영화에 출연한 이력이 전부인 신인 아닌 신인이다. 이 영화 이후 다른 작품 활동이 없는 걸 보면 본업으로 돌아간 듯하다.
3. 등장인물
- 김승길 – 이순신 역
- 김승호 – 선조 역
- 조미령 – 길순 역
- 윤일봉 – 정사립 역
- 임해림 – 배흥립 역
- 주선태 – 원균 역
- 이예춘 – 가등청정 역
- 최남현 – 류성룡 역
- 이택균 – 이회(이순신의 장남) 역
- 최현 – 이울(이순신의 차남) 역
- 김신재 – 방씨(이순신의 부인) 역
- 김동원 – 황윤길 역
- 박암 – 윤근수 역
- 한은진 – 송씨 역
- 변기종 – 정탁 역
- 강계식 – 이덕형 역
- 최봉 – 이산해 역
- 박경주 – 윤두수 역
- 이용 – 김응남 역
- 장훈 – 이항복 역
- 최삼 – 김성일 역
- 한림 – 허성 역
- 이예성 – 이억기 역
- 이창식 – 권율 역
- 최성호 – 정운 역
- 이업동 – 어영담 역
- 이기홍 – 이운룡 역
- 하지만 – 고니시 유키나가 역
- 양일민 – 구로다 나가마사 역
- 김수천 – 와키자카 야스하루 역
- 김봉명 – 소 요시토시 역
- 한재수 – 안위 역
- 나일 – 이순신(무의공) 역
- 박성근 – 도요토미 히데요시 역
- 구종석 – 신호 역
- 석운아 – 홍윤관 역
- 문송봉 – 임준영 역
- 권성득 – 이몽구 역
- 박철 – 김완 역
- 김형진 – 우치적 역
- 엄창섭 – 이영남 역
- 조춘 – 노개방 역
- 추봉 – 나대용 역
- 김호연 – 등자룡 역
- 고설봉 – 진린 역
- 김세라 – 요시라 역
- 이향 – 송상현 역
4. 줄거리
전라 좌수사 이순신(김승길 분)은 왜적의 침입을 예상해 장비를 정비하고 거북선을 건조하는 등 임전 태세를 기해오던 중, 임진년 6월 왜란을 당하여 해전에서 큰 공을 세우지만 한때 모함을 받고 옥살이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변할 줄 모르는 이순신의 구국일념은 출옥 후 백의종군의 길을 선택하고 다시 전라수사를 제수 받는다. 그리하여 노량진 앞바다에서 왜적들을 몰아내던 중 11월 18일 적탄을 가슴에 맞고 장렬하게 전사한다.여담으로 무한도전에서 개그맨 정준하가 그의 아버지인 정자룡씨가 단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고 언급하였다.
[1]
첫 번째는 《임꺽정》(1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