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17:36:09

고성군(경상남도)

고성(경남)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한 강원특별자치도의 고성군에 대한 내용은 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북한의 고성군에 대한 내용은 고성군(북한)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15a38>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B00;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창원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ac6d 21%, #00ac6d); font-size: 1em"
]]
창원시
파일:거제시 CI.svg
거제시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
파일:밀양시 CI.svg
밀양시
파일:사천시 CI.svg
사천시
파일:양산시 CI.svg
양산시
파일:진주시 CI.svg
[[경상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15a38 21%, #005baa 21%, #005baa); font-size: 1em"
]] 진주시
파일:통영시 CI.svg
통영시
}}} 자치군
파일:거창군 CI.svg
거창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고성군
파일:남해군 CI.svg
남해군
파일:산청군 CI.svg
산청군
파일:의령군 CI.svg
의령군
파일:창녕군 CI.svg
창녕군
파일:하동군 CI.svg
하동군
파일:함안군 CI.svg
함안군
파일:함양군 CI.svg
함양군
파일:합천군 CI.svg
합천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9b63><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2aa>
군청
고성읍
개천면 거류면 구만면 대가면
동해면 마암면 삼산면 상리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영오면 영현면 하일면 하이면 회화면 }}}
}}}}}}}}} ||
경상남도 자치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1c1d1f>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고성군
固城郡
Goseong County
}}}
<colcolor=#fff> 군청 소재지 <colbgcolor=#fff,#1c1d1f> 고성읍 성내로 130 (성내리)
광역자치단체 경상남도
하위 행정구역 1 13
면적 517.96㎢
인구 48,264명[1]
인구밀도 93.18명/㎢[2]
군수
이상근 (초선)
군의회
<colbgcolor=#fff,#1c1d1f>
7석[3]

3석[4]

1석[5]
도의원 <colcolor=#fff> 1 [6]
백수명 (재선)
2[7]
허동원 (초선)
국회의원
정점식 (3선)
지역번호 055-67x[8]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밴드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리4. 인구5. 교통6. 경제
6.1. 산업6.2. 상권6.3. 금융
7. 관광
7.1. 주요 관광지7.2. 특산물
8. 생활문화
8.1. 교육8.2. 문화시설8.3. 방송 수신 환경
9. 정치10. 군사11. 하위 행정구역12. 출신인물

[clearfix]

1. 개요

<colbgcolor=#009b63><colcolor=#fff>
파일:고성군청2022.jpg
고성군청
경상남도 중남부에 위치한 이다. 인접 지자체로 서쪽으로는 사천시, 남쪽으로는 통영시, 북동쪽으로는 창원시, 북서쪽으로는 진주시가 있다. 가장 교류가 많은 지역은 통영이며[9] 국회의원 선거구 역시 통영과 묶여 있다.

한자로는 다르지만[10] 이름이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과 같아서 헷갈리기 쉬운 곳이다.

상징물은 은행나무와 까치, 국화이다. 과거 가야 연방의 일원 소가야가 있었던 지역이다.

고성 이씨의 본관지가 이곳이다.

2. 역사

고성군은 옛 삼한시대에는 변한 12국 중의 하나인 고자미동국의 본토였으며, 42년부터 461년간은  소가야의 도읍지였던 곳이다. 그러다가 554년 소가야국 9대 이형왕(而衡王) 때 신라에 병합되었다.

737년 신라 효성왕 1년 고자군으로 개칭되었다가, 757년 신라 경덕왕 대에 지명을 한문화하는 정책의 일환으로 고성(固城)으로 고쳤다.[11]

995년 고려 성종 14년에는 고주자사(固州刺史) 두었으며, 잠깐 철성(鐵城)으로 불렀다가 얼마 안 가 다시 고성이란 이름으로 돌아왔다.

조선 고종 6년 1869년 8월 16일에 통제영이 소재하고 있던 춘원면에서 호적 관계 분규가 일어나자 이를 수습하기 위하여 고종 7년 1870년에 읍치소를 고성에서 춘원면 통제영내(統制營內)로 옮겨 갔다가 사태가 수습된 후 고종 9년 1872년에 고성현으로 다시 옮겨왔다. 1895년 진주부 고성군이 되었다가, 1896년 경상남도 고성군이 되었다.

1900년에 현재 통영시 지역인 춘원면, 도선면, 광이면, 광삼면이 진남군으로 분리되었다.

1910년대에 잠깐 현재의 고성읍이 철성면이라는 이름을 쓰기도 했다. 그래서 고성읍에 철성초등학교, 철성중학교와 철성고등학교가 있다.

1919년 3.1만세운동 때, 3월 22일에서 4월 3일에 걸쳐 배둔장터 만세시위를 벌였다.

1938년 10월 1일 고성면(固城面)이 고성읍으로 승격하였다.

3. 지리

연화산이 서쪽에 있고 동쪽에 바다와 연결된 평야가 있어 서고동저의 지형을 보인다. 고성읍을 중심으로 한 평지에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동쪽으로는 동해면이 반도처럼 튀어나와 있다. 또 배둔리를 중심으로 해서 삼지창처럼 평지가 뻗어나가 있으며, 그 안쪽 구만면에 규모 있는 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연화산 서쪽과 북쪽에 있는 3개 면(영오, 개천, 영현)은 연화산과 그 줄기로 고성읍 및 배둔 방면과 단절되어 있다. 이 지역을 흐르는 하천도 모두 남강에 합류하기 때문에 고성읍내보다 진주로 가는 것이 나으며, 영오면이나 개천면 지역은 생활권도 진주이다.

4. 인구

<rowcolor=#000,#fff>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경상남도 고성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1,449명
1970년 118,162명
1975년 111,822명
1980년 92,911명
1985년 82,628명
1990년 67,657명
1995년 60,462명
2000년 55,808명
2005년 49,516명
2010년 57,231명
2015년 55,284명
2020년 51,361명
2024년 10월 48,26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rowcolor=#fff> 읍면별 인구 통계
<row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성읍 23,167명
거류면 4,202명
회화면 3,446명
동해면 3,060명
하이면 2,606명
하일면 1,787명
삼산면 1,725명
마암면 1,697명
대가면 1,628명
상리면 1,591명
영오면 1,379명
개천면 1,068명
구만면 978명
영현면 862명
2024년 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

1966년 131,449명을 정점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으며, 현재는 5만명 선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총 증감 인구수 -82,253명/총 증감율 -62.57%/연평균 증감율 -1.74%

===# 읍면별 인구 #===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고성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5,252명
1970년 25,137명
1975년 27,116명
1980년 25,436명
1983년 2월 15일 삼산면 이당리·대독리 → 고성읍 편입
1985년 26,179명
1990년 23,867명
1995년 23,749명
2000년 24,082명
2005년 21,168명
2010년 25,453명
2015년 26,067명
2020년 24,493명
2024년 2월 23,16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삼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618명
1970년 8,025명
1975년 7,602명
1980년 5,856명
1983년 2월 15일 삼산면 이당리·대독리 → 고성읍 편입
1985년 3,919명
1990년 2,685명
1995년 2,156명
2000년 1,917명
2005년 1,773명
2010년 1,967명
2015년 1,820명
2020년 1,759명
2024년 2월 1,71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하일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711명
1970년 7,004명
1975년 6,519명
1980년 5,227명
1985년 4,446명
1990년 3,311명
1995년 2,993명
2000년 2,308명
2005년 1,972명
2010년 2,044명
2015년 1,913명
2020년 1,848명
2024년 2월 1,7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하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865명
1970년 6,877명
1975년 6,253명
1980년 5,361명
1985년 4,726명
1990년 3,802명
1995년 3,595명
2000년 3,201명
2005년 2,862명
2010년 3,006명
2015년 2,823명
2020년 2,760명
2024년 2월 2,6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상리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039명
1970년 6,002명
1975년 5,272명
1980년 4,212명
1985년 3,532명
1990년 2,499명
1995년 2,060명
2000년 1,781명
2005년 1,695명
2010년 1,832명
2015년 1,722명
2020년 1,591명
2024년 2월 1,59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대가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391명
1970년 7,145명
1975년 6,086명
1980년 4,538명
1985년 3,824명
1990년 2,952명
1995년 2,128명
2000년 1,799명
2005년 1,604명
2010년 1,795명
2015년 1,698명
2020년 1,689명
2024년 2월 1,62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영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633명
1970년 4,770명
1975년 4,108명
1980년 3,069명
1985년 2,549명
1990년 1,972명
1995년 1,544명
2000년 1,152명
2005년 955명
2010년 1,038명
2015년 891명
2020년 858명
2024년 2월 86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천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영오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6,601명
1970년 5,663명
1975년 5,173명
1980년 4,060명
1985년 3,428명
1990년 2,635명
1995년 2,208명
2000년 1,944명
2005년 1,591명
2010년 1,723명
2015년 1,563명
2020년 1,439명
2024년 2월 1,37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개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120명
1970년 4,216명
1973년 7월 1일 마암면 좌연리 → 개천면 편입
1975년 4,481명
1980년 3,266명
1983년 2월 15일 개천면 나선리 일부 → 구만면 화림리 편입
1985년 2,658명
1990년 1,903명
1995년 1,674명
2000년 1,478명
2005년 1,278명
2010년 1,354명
2015년 1,250명
2020년 1,129명
2024년 2월 1,06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천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구만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138명
1970년 4,332명
1975년 3,905명
1980년 2,923명
1983년 2월 15일 개천면 나선리 일부 → 구만면 화림리 편입
1985년 2,461명
1990년 1,799명
1995년 1,476명
2000년 1,337명
2005년 1,088명
2010년 1,211명
2015년 1,095명
2020년 1,010명
2024년 2월 9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천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회화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230명
1970년 8,002명
1975년 7,607명
1980년 6,726명
1985년 5,943명
1990년 5,386명
1995년 4,601명
2000년 4,216명
2005년 3,890명
2010년 4,152명
2015년 3,911명
2020년 3,605명
2024년 2월 3,44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마암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8,828명
1970년 7,480명
1973년 7월 1일 마암면 좌연리 → 개천면 편입
1975년 5,887명
1980년 4,688명
1985년 4,044명
1990년 3,192명
1995년 2,749명
2000년 2,319명
2005년 1,994명
2010년 2,155명
2015년 1,944명
2020년 1,764명
2024년 2월 1,69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동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940명
1970년 13,604명
1973년 7월 1일 동해면 감서리 → 거류면 편입
1975년 10,818명
1980년 8,505명
1985년 7,094명
1990년 5,533명
1995년 4,434명
2000년 3,920명
2005년 3,475명
2010년 3,991명
2015년 3,498명
2020년 3,088명
2024년 2월 3,06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svg 거류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071명
1970년 9,905명
1973년 7월 1일 동해면 감서리 → 거류면 편입
1975년 10,984명
1980년 9,044명
1985년 7,825명
1990년 6,121명
1995년 5,095명
2000년 4,354명
2005년 4,171명
2010년 5,540명
2015년 5,080명
2020년 4,328명
2024년 2월 4,20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성군(경상남도)/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경제

6.1. 산업

<colbgcolor=#009b63><colcolor=#fff>
파일:nresbtrv.png
SK오션플랜트
군 지역이라 평범한 촌처럼 보이지만, 기계공업이 발달한 창원시와 조선업이 발달한 거제시, 통영시와 인접해 있어 조선, 조선기자재, 해양 플랜트 설비, 기계 등 제조업이 주산업이다. 고성군에 소재한 대부분의 기업이 제조업 기업이다. 고성군 동해면에 있는 3개 지구(내산, 장좌, 양촌·용정), 총 3,884,176㎡가 조선산업특구로 지정되어있다. SK오션플랜트 등이 입주해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항공산업에도 나서고 있다. 항공우주산업특구로 지정되어 있는 사천시와의 경쟁 끝에 한국항공우주산업의 항공기 부품공장을 고성군 이당일반산업단지에 짓게 되었다.

2007년부터 고성조선해양산업특구를 조성 추진 중이었으나 지정업체의 부도로 10년간 공사가 중단되었다. # 다행히 다른 업체를 찾아내어 2021년부터 공사가 재개되었다. #

이 외에 군 지역인 만큼 농업과 수산업이 발달해 있다. 주로 재배하는 농산물은 감, 방울토마토, 딸기, 키위, 취나물, 애호박 등이다. 수산업은 인근 지역인 통영과 비슷하게 멸치잡이와 굴 양식을 주로 한다. 최근에는 가리비 양식장의 수가 폭발적으로 늘었다. 고성군 차원에서도 가리비 축제를 신설하고, 스마트양식클러스터를 계획하는 등 가리비 양식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 갯장어, 새우가 유명하다.

농수산업이 발달한 만큼 식품가공기업도 들어서 있다. 오뚜기 사조참치 참치캔, 유동골뱅이 통조림 공장이 있고, 고성에서 생산되는 굴과 멸치를 이용한 멸치액젓과 굴 액젓 등이 많이 생산된다. 특이하게 보리로 만든 라면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다. 고성에서 재배한 보리 라면을 만든다. 맛은 일반 라면과 크게 다르지 않다.

최근에는, 스포츠대회와 전지훈련 유치로 지역 경제가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있다. 고성군에 따르면, 2023년 71개의 스포츠 대회를 개최하여 3348개 팀과 5만 5000여명의 관광객을 유치하여 150억원의 경제효과를 거두었다. 2024년은 상반기에만 41개의 스포츠 대회를 개최하여 60여억원의 경제효과를 거두었다.

6.2. 상권

고성에는 편의점은 GS25가 2개지점, CU가 7개지점, 롯데리아 1개 지점, 배스킨라빈스 31 1개 지점이 있다. 2022년 기준으로 나름 번화가도 있고 코인노래방, 종합체육시설 등 문화시설도 꽤 있고 편의점도 많다. 시골은 시골인지라 밤이 되면 술 먹는 사람들을 볼 수 있고, 중고등학생들이 돌아다닌다. 작업복을 입고 돌아다니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는데, 해양플랜트와 관련된 조선해양산업특구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이다. 조선해양산업특구 덕분에 외국인 노동자도 그럭저럭 있는 편이다. 길을 걷다보면 어쩌다가 여러 나라의 언어를 들어볼 수도 있다.

지역의 전통시장으로는 고성읍의 고성시장과 고성공룡시장 있으며 회화면의 배둔시장이랑 영오면의 영오시장이 있다.

6.3. 금융

고성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고성우체국 (13)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2)
지방은행
경남은행 (1)
<colcolor=#fff>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고성농협 (4) 새고성농협 (5) 고성동부농협 (3) 동고성농협 (5)
고성축산농협 (3)
수산업협동조합
경남고성군수협 (6)
새마을금고
고성새마을금고 (2) 새고성새마을금고 (4)
신용협동조합
고성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고성군산림조합 (1)

7. 관광

공룡 관련 관광지로 유명한 곳이다.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특별히 내세울 만한 상징물이 없던 곳이었지만 공룡 발자국이 발견되면서부터 국내외의 주목을 이끌면서 고성이라는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공룡 엑스포가 열리며 중생대의 공룡 발자국이 주요 관광 아이템이다. 고성의 관광수입에 꽤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한다.

회화면 당항리의 이순신 장군의 당항포 해전으로 유명한 당항포 역시 유명하다. 시원한 바다와 해안을 보기에는 더없이 기가 막히는 곳이다. 다만 공룡발자국 공원은 당항포에 있는데, 실제 공룡 발자국 화석이 주로 분포한 곳은 상족암 인근이며, 당항포는 넓은 해안 부지 때문에 공룡엑스포를 개최하기 위해서 공원을 조성한 곳이다. 공룡 때문에 고성을 찾는 여행객들이 많은 혼선을 겪는 것도 이 때문인데, 당연히 공룡 발자국 화석지와 박물관이 있는 상족암 일대에서 엑스포가 열릴 것이라고 생각하고 왔는데 막상 엑스포가 열리는 곳은 당항포라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두 지역의 거리도 매우 멀어서 차로 50분 이상이 걸린다.

특히 당항포는 주목받고 있는 캠핑 장소이다. 화장실, 샤워실, 개수대는 전국 캠핑장 중에서 좋은 편에 속한다고 평가를 받는다. 연화산 도립공원과 옥천사라는 절도 있다.

민간 정원인 그레이스 정원, 만화방초도 있다.

소가야의 도읍지이기도 해서 가야 관련 유적지들도 있는 편이다. 2020년, 2021년에 고성 만림산에서 소가야시대에 토축된 성인 고성 만림산 토성이 발굴되었다.

7.1. 주요 관광지

<colbgcolor=#009b63><colcolor=#fff>
파일:2022공룡엑스포포토존.jpg
공룡세계엑스포

경남고성공룡세계 엑스포는 고성군 회화면 당항포 관광지에서 개최되는 공룡을 주제로 한 축제 및 전시회 행사이다. 고성에서 발견된 크고 작은 5,000여 개의 공룡알과 공룡화석의 가치를 알리고 관광산업을 알리기 위하여 2006년부터 시작하였다.
<colbgcolor=#009b63><colcolor=#fff>
파일:고성군상족암.jpg
상족암 군립공원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명리에 위치한 경승지. 지층의 퇴적구조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상족암은 해식 동굴로 인해 그 모습이 마치 상다리처럼 보인다고 붙은 이름이다. 공원 내부에 고성공룡박물관이 위치하고 있다. 근처에 공룡발자국 화석이 모여 있다. 주변에 둘레길이 잘 되어있어서 관광객들이 많이 온다.
<colbgcolor=#009b63><colcolor=#fff>
파일:고성군소가야고분군.jpg
송학동 고분군

소가야 시대의 왕릉이며 멋진 풍경으로 인기가 많다. 9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소가야문화제라는 축제가 열린다. 낮에는 대개 체육대회나 문화(미술, 사생, 연주)대회가 있으며, 고성읍내를 사물놀이단이 돌아다니면서 공연을 한다.밤에는 야시장이 열리는데, 각종 노점을 시작으로 볼 것이 많다. 세계유산에 등재되기도 했다.
<colbgcolor=#009b63><colcolor=#fff>
파일:해지개해안둘레길.jpg
해지개해안둘레길

해지개 해안 둘레길은 남포항에서 남산오토캠핑장, 해상데크교, 구선창까지 연결되어 있는 편도 1.4㎞ 구간으로 야간 경관조명시설을 설치 하여 아름다운 고성의 남포항과 함께 야경 드라이브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7.2. 특산물

8. 생활문화

8.1. 교육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경상남도 고성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개천초등학교 거류초등학교 고성초등학교 구만초등학교 대성초등학교
대흥초등학교 동광초등학교 동해초등학교 마암초등학교 방산초등학교
삼산초등학교 상리초등학교 영오초등학교 영오초등학교 영현분교 율천초등학교
철성초등학교 하이초등학교 하일초등학교 회화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경상남도 고성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고성동중학교 고성여자중학교 고성중학교 동해중학교
소가야중학교 영천중학교 철성중학교 회화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고성군(경상남도) CI_White.svg 경상남도 고성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남고성음악고등학교 경남항공고등학교 고성고등학교 고성중앙고등학교 철성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colbgcolor=#009b63><colcolor=#fff>
파일:고성청소년센터 온.jpg
고성군청소년센터 온
고성군청소년센터 ‘온’은 청소년의 다양한 교육 활동을 지원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분교가 많았지만 인원수에 의해서 통폐합이 되어버려 역사 속에 남은 폐교들을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하이면, 하일면의 초등학생들은 삼천포의 중학교로 진학하며, 거기서 고등학교까지 다닌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도 고성읍과 같은 시내에 분포해 있는데, 고성고등학교가 고성읍이 아닌 회화면 배둔에 위치하고 있다. 고성읍에는 철성고등학교와 중앙고, 경남항공고등학교가 있다. 고성읍에서 배둔으로 통학을 하는 고등학생들도 많이 보인다.

2017년부터는 하일중학교를 폐교하고 그 자리에 고성음악고등학교를 세웠다.

사족으로 공무원, 교사들에게 고성은 최고의 근무지로 유명하다. 진주, 통영은 20분 내외 창원은 30분 내외로 출퇴근이 가능하기에 많이 선호한다고 한다.[15]

8.2. 문화시설

<colbgcolor=#009b63><colcolor=#fff>
파일:Goseong cgv.jpg
CGV 고성
2020년에 고성군 작은영화관이 준공되었다. 군이 직영으로 운영하며 CGV와 위탁체결했다. 군에 사회환원 조건으로 제휴수수료 50%를 내는 조건이 붙어 있다. 2020년 10월 8일 개관했다.

8.3. 방송 수신 환경

지역유선방송의 경우 LG헬로비전의 서비스 지역이다. 과거에는 하나방송이라는 지역 SO가 운영하고 있었으나 2017년 LG헬로비전에 인수되었다.

FM 라디오 방송의 경우 동부 지역은 창원 불모산, 서부 지역은 진주 망진산/장군대산, 남부 지역은 남해 망운산 전파가 잘 잡히므로 방송 청취 시에 수신하는 지역에 따라서 주파수를 맞추면 된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성군(경상남도)/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제39보병사단 예하 제117보병여단 본부와 117보병여단 고성·통영대대(2대대) 본부가 고성읍에 있다. 여단본부와 고성·통영대대는 읍내에서 사천으로 넘어가는 길[16]목에 있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성군(경상남도)/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출신인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2] 2024년 10월 기준. [3] 고성군 가선거구 (고성읍, 대가면): 김향숙, 김석한
고성군 나선거구 (삼산면, 하일면, 하이면, 상리면, 영현면): 정영환, 최을석
고성군 다선거구 (영오면, 개천면, 구만면, 회화면, 마암면, 동해면, 거류면): 우정욱, 최두임
비례대표: 허옥희
[4] 고성군 가선거구 (고성읍, 대가면): 김원순
고성군 다선거구 (영오면, 개천면, 구만면, 회화면, 마암면, 동해면, 거류면): 김희태
비례대표: 이정숙
[5] 고성군 가선거구 (고성읍, 대가면): 이쌍자 [6] 고성군 제1선거구 (고성읍, 대가면) [7] 고성군 저2선거구 (삼산면, 하일면, 하이면, 상리면, 영현면, 영오면, 개천면, 구만면, 회화면, 마암면, 동해면, 거류면) [8] 단, 하이면은 055-83x번대이다. [9] 거제대교, 신거제대교, 거가대교로 진출하지 않는 이상 통영 사람들이 외지로 나갈 때 반드시 거쳐가야 할 길목이 바로 고성이다. [10] 경남 고성은 , 강원 고성은 이다. [11] 이때 전국 대부분의 지명이 고유어 음차 지명에서 중국식으로 표기가 바뀌었다. 다만 완전히 다른 이름으로 만들어낸 것은 아니고 원래 ' 성(건축)'을 뜻하는 신라의 표현 중 하나가 '잣'이었으므로(城 자를 '재 성'이라고 부르고, 조령鳥嶺을 '새재'라고 하는 것 등이 그 잔재.) 고자(古資)라는 명칭은 곶(串)을 음차한 표현으로 추측되는데, 고자의 자(資)와 발음이 같은 고유어 잣(城)을 이용해 경덕왕 때 향찰식 표기로 한자화한 표현이 '고성(固城)'인 것이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5] 고성 기준 얘기지, 면단위로 가면 1시간이 기본이다. [16] 상정대로 [17] 지역구: 부산광역시 사하구 을 [18] 지역구: 창원시 마산합포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