見 볼 견, 뵈올 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見,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ケン, ゲン
|
||||||
일본어 훈독
|
み-る, み-える, み-せる,
あらわ-れる, まみ-える |
||||||
见
|
|||||||
표준 중국어
|
jiàn, xià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見의 필순
1. 개요
見은 '볼 견'또는 '뵈올 현'이라는 한자로, '보다', '뵈다'를 뜻한다. 독음이 2개가 있는 한자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보다 | <colbgcolor=#fff,#1f2023>뵈다 |
음 | 견 | 현 | |
중국어 | 표준어 | jiàn | xiàn |
광동어 | gin3 | ||
객가어 | kien / kian | ||
민북어 | gi̿ng | ||
민동어 | giéng | ||
민남어 | kìⁿ / kiàn | ||
오어 | ji (T2) | ||
일본어 | 음독 | ケン, ゲン | |
훈독 |
み-る, み-える, み-せる, み-せびらかす |
あらわ-れる, まみ-える | |
베트남어 | kiến |
儿(어진사람 인)과 目(눈 목)이 합쳐진 회의자로, 무언가를 보는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했다. 사람 위에 눈을 덧그려 사람이 눈으로 "보다"라는 의미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보다(to see)'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본다는 의미 외에도 다양한 뜻이 있어서 폭넓게 사용된다. 동사 앞에 붙어 특정 행위가 화자에게로 향함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예를 들면 '請見諒'라는 문장은 "청컨대 (화자인 나를) 용서하시오"라는 뜻이다. 반대로 청자에게로 행위가 향함을 나타내는 역할은 相이 수행한다. 見이나 相 앞에 오는 명사는 대개 빈어(특히 목적어)로 독해한다.
또한 '보다'의 자동사인 '보이다, 나타나다(to appear)'라는 뜻도 가지고 있으며 이때는 '현'으로 읽는다. 대표적인 용례로, 주역에 나오는 "見龍在田"(현룡재전)이라는 표현이 있다. 후에 '보이다'라는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등장한 글자가 좌변에 玉을 추가한 現(나타날 현)이다.
간화자에서는 见(U+89C1)로 바뀌어 4획으로 줄었다. 見 자체 뿐만아니라 見 구성요소가 전부 이렇게 바뀌었다.
유니코드에는 U+898B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ㄐㄧㄢ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月山竹山(BUHU)[1]으로 입력한다. 여지없이 완성형 한자에 중복배당되고 말았다. (...) 그나마 통합 한자에 해당하는 음이 자주 쓰이는 '견'이라 다행.
2.1.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 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 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볼견부는 강희자전에서 147번째로 분류하는 부수로, 방[2], 발[3], 받침[4] 등의 부수형태가 있는데, 가장 많은 형태는 방이다. 볼견부를 부수로 삼는 한자는 161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3. 용례
3.1. 단어
- 견리(見 利)
- 견문(見 聞)
- 견본(見 本)
- 견습(見 習)
- 견시(見 視)
- 견출(見 黜)
- 견출지(見 出 紙)
- 견학(見 學)
- 견해(見 解)
- 발견( 發見)
- 사견( 私見/ 邪見)
- 선입견( 先 入見)
- 소견( 所見)
- 외견( 外見)
- 의견( 意見)
- 이견( 異見)
- 일가견( 一 家見)
- 일견( 一見)
- 접견( 接見)
- 참견( 參見)
- 편견( 偏見)
- 표견대리/표현대리( 表見 代 理) - 見이 '보일 현'으로도 쓰이기 때문에 저 법률용어의 독음이 '표견대리'가 맞는지 '표현대리'가 맞는지에 대해 법학계에서 논란이 있다. 상세한 것은 표현대리 문서 참조.
- 회견( 會見)
- 후견( 後見)
3.2. 고사성어/숙어
- 견금여석(見 金 如 石)
- 견물생심(見 物 生 心)
- 견호미견호(見 虎 未見 虎)
- 독서백편의자현( 讀 書 百 遍 義 自見)
- 목불인견( 目 不 忍見)
- 백문불여일견( 百 聞 不 如 一見)
- 선견지명( 先見 之 明)
3.3. 인명
- 김견명( 金見 明): 일연의 본명
- 나루미 아리사( 成見 亜 里 紗)
- 마유미 에이신( 眉見 鋭 心)
- 마이도노 호시미( 舞 殿 星見)
- 사토미 요시야스( 里見 義 康)
- 사토미 요시요리( 里見 義 頼)
- 사토미 요시타카( 里見 義 堯)
- 스미 세리나( 鷲見 セリナ)
- 아쿠타미 게게( 芥見 下々)
- 오미가와 치아키( 小見 川 千 明)
- 오우미 소라네( 逢見 諳 子)
- 이리미 카야( 入見 カヤ)
- 자켄( 邪見)
- 정현룡( 鄭見 龍): 정유재란 당시의 의병
- 코가미 료켄( 鴻 上 了見)
- 쿠니미 아키라( 国見 英)
- 쿠니미 타마( 國見 タマ)
- 쿠로미 세리카( 黒見 セリカ)
- 타카미자와 토마( 高見 沢 斗 真)
- 하야미 사오리( 早見 沙 織)
- 하야미 유( 早見 優)
- 후시미 유즈루( 伏見 弓 弦)
- 히토미 겐키( 人見 元 基)
3.4. 지명
- 현곡면(見谷面)
- 이견대( 利見 臺)
- 도미구스쿠시( 豊見 城 市)
- 요시미마치( 吉見 町)
- 이와미자와시( 岩見 沢 市)
- 키미토게역( 紀見 峠 駅)
- 키타미시( 北見 市)
- 후시미구( 伏見 区)
- 후지미시( 富 士見 市)
3.5. 창작물
- 이견대가( 利見 臺 歌)
- 看見夕陽了嗎?( 석양을 보고 있니?)
- 鉄の処女と夢見がちなお姫さま( 아이언 메이든과 몽상가 공주님)
- 永遠に幸せになる方法、見つけました。( 영원히 행복해지는 방법, 찾았습니다.)
- 동방견문록( 東 方見 聞 錄)
- 僕をそんな目で見ないで ( 나를 그런 눈으로 보지 말아줘)
3.6. 기타
4. 유의자
- 𥋣[⿰目賈](볼 가)
- 看(볼 간)
- 監/ 䁍(볼 감)
- 𥋥[⿱䀠兔](볼 격)
- 䚉(볼 계)
- 䚌(볼 고)
- 觀(볼 관)
- 𥍁[⿱歸目](볼 귀)
- 𧠋[⿱見廾](볼 극)
- 覲(뵐 근)
- 𥄜[⿰目⿱厶十](볼 글)
- 𧡺[⿰耆見](볼 기)
- 矃(볼 녕)
- 𥄋[⿰目內](볼 뉵)
- 𥄽[⿻𫠠⿰⿱二目丶](볼 니)
- 𥋡[⿳䀠冖弜](볼 당)
- 睹(볼 도)
- 覽(볼 람)
- 𥌛[⿰目黎](볼 려)
- 覝(볼 렴)
- 瞜(볼 루)
- 𥉳[⿰目留](볼 류)
- 𥌿[⿰目隸](볼 리)
- 矕(볼 만)
- 睰(볼 말)
- 䁅(볼 맹)
- 矈(볼 면)
- 覭(볼 명)
- 𥈆[⿰目冒](볼 모/휵)
- 䙿(볼 미)
- 盿(볼 민)
- 眪(볼 병)
- 䀯(볼 보)
- 𧠾[⿰孚見](볼 부)
- 䀻(볼 빙)
- 𧡢[⿰宣見](볼 선)
- 睲(볼 성)
- 䙼/ 釗(볼 소)
- 視(볼 시)
- 矖(사람이름 리, 볼 시)
- 瞫(볼 심)
- 謁(뵐 알)
- 閱(볼 열)
- 盶(볼 원)
- 𧢧[⿰巂見](볼 유)
- 𥌟[⿱⿰⿱上矢余目](볼 의)
- 覿(볼 적)
- 𥇓[⿰目定](볼 정)
- 睵(볼 재)
- 睼(볼 제/천)
- 𥍋[⿰目巂](볼 주)
- 睃(볼 준)
- 𧠝[⿰㐱見](볼 진)
- 眰(볼 질)
- 𥉷[⿰目戚](볼 척)
- 瞻(볼 첨)
- 䀙(볼 체)
- 𥉻[⿰目祭](볼 체/찰)
- 矚(볼 촉)
- 瞅(볼 추)
- 瞟(볼 표)
- 䚂(볼 혁)
- 矎(볼 현)
- 䙽(볼 혈)
- 䀨(볼 활)
- 眖(볼 황)
- 𥄖[⿰目⿱八十](볼 흘)
- 䁯(볼 흡)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여담
이 한자의 구성자인 '儿'과 '目'은 모두 부수로 쓰이는 한자지만, 정작 見의 부수는 見으로 자기 자신을 부수로 삼는 제부수 한자에 해당다.親(친할 친)은 간화자가 되면서 見이 사라진 亲 모양이 되었는데, 이를 가지고 간화자 반대론자들은 '서로를 살피지 않는데 어찌 친하다고 할 수 있겠나?'라고 주장하며 간화자의 어원적 가치 손실을 역설하는 주요 근거 중 하나로서 자주 거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