覺 깨달을 각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見, 1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0획
|
||||
고등학교
|
|||||||
覚
|
|||||||
일본어 음독
|
カク
|
||||||
일본어 훈독
|
おぼ-える, さ-ます, さ-める,
さと-り, さと-る |
||||||
觉
|
|||||||
표준 중국어
|
jiào, jué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覺은 '깨달을 각'이라는 한자로, '깨닫다', '느끼다', '드러내다' 등을 뜻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見(볼 견)과 소리를 나타내는 學(배울 학)의 생략형 𦥯이 합쳐진 형성자이다.유니코드에는 U+89B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月月山山(HBBUU)으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 각고(覺 苦)[1]
- 각서(覺 書)
- 각성(覺 醒/覺 性)
- 각오(覺 悟)
- 감각( 感覺)
- 경각( 警覺)
- 냉각( 冷覺)
- 미각( 味覺)
- 발각( 發覺)
- 색각( 色覺)
- 시각( 視覺)
- 압각( 壓覺)
- 예각( 豫覺)
- 온각( 溫覺)
- 자각( 自覺)
- 지각( 知覺)
- 착각( 錯覺)
- 청각( 聽覺)
- 촉각( 觸覺)
- 통각( 痛覺)
- 환각( 幻覺)
- 후각( 嗅覺)
3.2. 인명
- 각창안(覺 昌 安)
- 김교각( 金 喬覺)
- 등원각( 鄧 元覺)
- 아이신기오로( 愛 新覺 羅): 청나라 황제들의 성씨. 만주어로 아이신은 철, 기오로는 겨레. 즉, 철의 겨레라는 뜻이고 중국에서 대충 발음 비스무리한 한자로 끼워맞추다 보니 우연히 애신각라가 된 것이다.
- 이재각( 李 載覺)
- 채희각( 蔡 熙覺)
- 코쿠죠지 다이카쿠( 國 常 路 大覚)
- 쿠모이 교카쿠( 雲 井 堯覚)
3.3. 지명
3.4. 창작물
- 完全感覚Dreamer
- 覚悟はいいかそこの女子。( 각오는 됐나, 거기 여자)
3.5. 기타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カク.- 覚醒(かくせい): 각성
- 覚醒剤(かくせいざい): 각성제
- 感覚(かんかく): 감각
- 無感覚(むかんかく): 무감각
- 幻覚(げんかく): 환각
- 幻覚剤(げんかくざい): 환각제
- 知覚(ちかく): 지각
- 痛覚(つうかく): 통각
- 錯覚(さっかく): 착각
- 触覚(しょっかく): 촉각
- 自覚(じかく): 자각
3.7. 중국어
- 觉[jué]: 느끼다, 느낌, 감각.
- 觉[jiào]: 잠, 수면.
- 睡觉[shuìjiào]: 자다
중국 한자음과 한국 한자음을 대응시켜 보면, jué는 '각', jiào는 '교'에 해당한다.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정자 覺
- 嚳(고할 곡)
- 䮸(배울리는소리 알)
- 䑁(비계많은모양 옥)
- 爨(불땔 찬)
- 燢(연할 표)
- 學(배울 학)
- 雤/ 鷽(비둘기 학)
- 壆(흙굳을 학)
- 㽇(질그릇 혹)
- 黌(학교 횡)
- 鱟(참게 후)
- 신자체 覚
- 覓(찾을 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