嗅 맡을 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1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미배정
|
|||||||
嗅[1]
|
|||||||
일본어 음독
|
キュウ
|
||||||
일본어 훈독
|
か-ぐ
|
||||||
-
|
|||||||
표준 중국어
|
xi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嗅는 '맡을 후'라는 한자로, '냄새를 맡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맡다 |
음 | 후 | |
중국어 | 표준어 | xiù |
광동어 | cau3[文] / hung3[白] | |
객가어 | chhu | |
민북어 | hiu̿ | |
민동어 | chéu | |
민남어 | hiù | |
오어 | xieu (T2)[文] / hon (T2)[白] | |
일본어 | 음독 | キュウ |
훈독 | か-ぐ | |
베트남어 | khứu |
유니코드에는 U+55C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HUK(口竹山大)로 입력한다.
口(입 구)와 臭(냄새 취)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㗜(U+35DC)
- 齅(U+9F45)
- 𪖻[⿰鼻臰](U+2A5BB)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搝(들 구)
- 𩈸[⿰面臭](못생길 구)
- 糗(미숫가루 구)
- 𩝠[⿰𩙿臭](상할 구, 볶은쌀 후)
- 𦤣[⿰孛臭](썩는냄새 발)
- 𦤟[⿰囟臭](암내 신)
- 𨞑[⿰邕臭](구린내 옹)
- 𦒥[⿰翁臭](향내날 옹)[6]
- 䍹(누린내 전)[7]
- 溴(물기운 추, 취소 취)
- 殠(썩은냄새 추)
- 螑(꿈틀거릴 후)
- 齅(냄새맡을 후)
- 𤚯[⿰牛臭](짐승이름 후)
- 㱗(쉴 휴)
- 䠗(뛸 흉, 비틀거릴 규)
- 𡏣[⿰土臭]
- 𨻬[⿰⻖臭]
- 𣗬[⿰木臭]
- 𭵩[⿰火臭]
- [⿰⺩臭]
- 𮀹[⿰石臭]
- 𱶜[⿰禾臭]
- 𦤪[⿰曷臭]
- 𦤮[⿰退臭]
- 𥽙[⿰畨臭]
- 𲇙[⿰金臭]
- 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