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의 어조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어조사'가 들어간 한자 명칭 |
近, 㞐, 䢎, 居, 䢋, 凥, 㝒(어조사 기) · 那(어조사 내) · 啦(어조사 랍/라) · 嘞(어조사 륵) · 哩(어조사 리) · 嘛, 嚰, 㕰(어조사 마) · 唦(어조사 사) · 呵(어조사 아) · 耶, 也(어조사 야) · 喲(감탄하는 어조사 약) · 於, 扵 (어조사 어) · 歟(어조사 여) · 啘(어조사 완) · 于, 亏, 亐(어조사 우) · 粤(어조사 월) · 矣(어조사 의) · 哉, 㢤, 䢎, 䢋, 㦲(어조사 재) · 諸(어조사 저) · 之, 㞢(어조사 지) · 馨(어조사 형) · 兮, 侯(어조사 혜) · 乎, 虖(어조사 호) | |
그 외 | |
却, 卻, 㕁(물리칠 각) · 個, 箇, 㐰(낱 개) · 其, 亓(그 기) · 己(몸 기) · 頭(머리 두) · 唻(노래하는 소리 래) · 咧(새소리 렬) · 了(마칠 료) · 聊(애오라지 료) · 嘍(시끄러울 루) · 麽, 麼, 么, 尛(작을 마) · 丕, 㔻(클 비) · 思, 恖(생각 사) · 些, 㱔(적을 사) · 殺· 煞(죽일 살) · 胥, 縃(서로 서) · 啊(사랑할 아) · 若(같을 약/반야 야) · 邪(그런가 야) · 與(줄 여) · 殹(앓는 소리 예) · 繇, 䌛(역사 요) · 云(이를 운) · 攸(바 유) · 惟(생각할 유) · 唯(오직 유) · 有(있을 유) · 聿, 肀(붓 율) · 憖, 憗(억지로 은) · 猗(불깐 개 의) · 爾, 尒, 尔, 厼(너 이) · 子, 㜽(아들 자) · 且(공경스러울 저) · 聻(부적 적) · 㫋, 旃, 旜(기 전) · 軹(굴대 끝 지) · 只, 祗(다만 지) · 旨, 恉, 㫖, 㫑(뜻 지) · 知(알 지) · 取(가질 취) · 誕(거짓 탄/낳을 탄) · 吧(아이 다툴 파) · 許(허락할 허) · 休(쉴 휴) · 興(일 흥) | }}}}}}}}} |
哉 어조사 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サイ
|
||||||
일본어 훈독
|
か, かな, や
|
||||||
-
|
|||||||
표준 중국어
|
zā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哉는 '어조사 재'라는 한자로, 어조사로 쓰인다.2. 상세
한문에서 어조사로 쓰인다. 㦲(U+39B2), 㢤(U+38A4)의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𢦏(다칠 재)[1]이 결합한 형성자다. 한자에 戈가 있는데 무엇인가를 끊는다는 의미가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말(口)을 자르는 것이니 중간에 쉬도록 하는 어조사가 되었다는 설명도 존재한다.유니코드에는 U+54C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IR(十戈口)로 입력한다.
한문에서의 哉는 어떠한 상황이 결정지어졌다는 것을 감탄조로 말하는 종결사로서 ‘~도다, ~구나’ 정도로 해석된다. 혹은 보통 의문사 豈와 어울려 '~인가'의 뜻으로도 쓸 수 있다.
3. 용례
한문투의 용례가 많다. 개중에는 '쾌재'처럼 자주 쓰는 단어도 있다.3.1. 단어
- 快哉(쾌재) '쾌재를 부르다'의 그 '쾌재'. 일상 한자어 중에서는 사실상 유일한 용례다.
- 善哉(선재) '좋다 좋구나'의 한문투.
- 哀哉(애재) '슬프도다'의 의미.
- 乎哉(호재) 감탄을 표시하는 말. ~런가, ~로다.
- 殆哉(태재) 위태로운 일.
- 壯哉(장재) 굉장하여 감탄하는 말.
- 矣哉(의재) ~이런가. ~인가.
- 孰哉(숙재) '누구이겠느냐'의 뜻.
- 可然哉(가연재) '그렇게 하오리까'의 뜻.
- 哉生明(재생명) 음력 초사흘을 이르는 말.
- 哉生魄(재생백) 음력 열엿샛날을 이르는 말.
- 殆哉殆哉(태재태재) 몹시 위태로움을 이름.
- 哀呼激哉(애호격재) 슬플 때나 탄식할 때 쓰는 말. '아, 슬프도다' 정도의 의미.
- 天圓子將焉用哉(천원자 장언용재) '언제 쓰자는 하눌타리냐'의 뜻. 아끼다 X된다는 뜻으로 생각하면 된다.
- 狗咬之雉將焉用哉(구교지치 장언용재) '개가 먹던 꿩을 어디에 쓰랴'의 뜻. 이미 더럽혀진 것은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다는 의미.
- 餠哉餠哉厥盒尤嘉(병재병재 궐합우가) 餠固餠矣盒兮尤美(병고병의합혜우미)와 동일한 뜻으로 알려졌다. '떡도 떡이려니와 그릇이 더 좋다'는 뜻으로, 내용도 좋지만 형식은 더 좋음을 이름.
3.2. 고사성어/ 숙어
- 焉哉乎也(언재호야) 천자문 마지막에 나온다. 焉( 어찌 언), 哉(어조사 재), 乎( 어조사 호), 也( 잇기 야/ 어조사 야) 이 네 글자는 한문에서 문법적 기능을 담당하는데, 가장 자주 쓰이는 어조사라는 뜻이다.
- 時哉時哉(시재시재) 좋을 때를 만나 감탄하는 소리.
- 嗚呼痛哉(오호통재) '아, 슬프고 원통하다'의 한문투. 국어사전에도 실려 있다. 한자능력검정시험 3급에서는 哉가 들어간 한자어를 이것 하나만 제시해 놓고 있다.
- 天何言哉(천하언재) 하늘은 아무 말도 않지만 도를 행한다는 의미.
3.3. 인명
3.3.1. 한국
3.3.2. 외국
일본에서는 타쿠야, 카즈야, 준야 등 や(야)가 들어가는 이름에 也(어조사 야)와 더불어 哉를 많이 쓴다.- 기무라 타쿠야( 木 村 拓哉): SMAP의 멤버
- 나나미 카나타( 七 海 哉 太)
- 우부야시키 카가야( 産 屋 敷 耀哉)
- 우치다 고사이( 内 田 康哉)
- 이이다 텐야( 飯 田 天哉)
- 코지마 카즈야( 児 嶋 一哉)
- 키무라 마사야( 木 村 柾哉): INI의 멤버
- 테라다 타쿠야( 寺 田 拓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