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7 00:57:34

잇기 야에서 넘어옴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문 어조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어조사'가 들어간 한자 명칭
, 㞐, 䢎, , 䢋, 凥, 㝒(어조사 기) · (어조사 내) · (어조사 랍/라) · (어조사 륵) · (어조사 리) · 嘛, 嚰, 㕰(어조사 마) · 唦(어조사 사) · (어조사 아) · , (어조사 야) · 喲(감탄하는 어조사 약) · , 扵 (어조사 어) · (어조사 여) · (어조사 완) · , 亏, 亐(어조사 우) · (어조사 월) · (어조사 의) · , 㢤, 䢎, 䢋, 㦲(어조사 재) · (어조사 저) · , 㞢(어조사 지) · (어조사 형) · , (어조사 혜) · , 虖(어조사 호)
그 외
, 卻, 㕁(물리칠 각) · , , 㐰(낱 개) · , 亓(그 기) · (몸 기) · (머리 두) · 唻(노래하는 소리 래) · 咧(새소리 렬) · (마칠 료) · (애오라지 료) · (시끄러울 루) · , 麼, 么, 尛(작을 마) · 丕, 㔻(클 비) · , 恖(생각 사) · 些, 㱔(적을 사) · ·(죽일 살) · 胥, 縃(서로 서) · (사랑할 아) · (같을 약/반야 야) · (그런가 야) · (줄 여) · 殹(앓는 소리 예) · 繇, 䌛(역사 요) · (이를 운) · 攸(바 유) · (생각할 유) · (오직 유) · (있을 유) · , 肀(붓 율) · 憖, 憗(억지로 은) · 猗(불깐 개 의) · , 尒, 尔, 厼(너 이) · , (아들 자) · (공경스러울 저) · 聻(부적 적) · 㫋, 旃, 旜(기 전) · 軹(굴대 끝 지) · , 祗(다만 지) · , 恉, 㫖, 㫑(뜻 지) · (알 지) · (가질 취) · (거짓 탄/낳을 탄) · (아이 다툴 파) · (허락할 허) · (쉴 휴) · (일 흥) }}}}}}}}}
어조사 야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3획
중학교
3급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か, なり, また, や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也-bw.png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모양이 비슷한 한자5. 여담

[clearfix]

1. 개요

也는 '이끼/어조사 야'라는 한자로, 어조사로 쓰인다. 천자문의 마지막 글자이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4E5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PD(心木)로 입력한다.
파일:也(금문)1.png 파일:也(금문)2.png 파일:也(소전).png
금문 금문 소전( 설문해자)

설문해자에서는 소전의 자형에 근거해 여성 음문 모양을 본뜬 것이라 했으나, 금문을 보면 상당히 다르다. 의 형상이라고도 하고 주전자 형상이라고도 하나 정확히는 알 수 없다. 어찌됐든 가차하여 어조사로 쓰이게 되었다.

고전 한문에서는 무언가를 강조하거나 "~이다"라는 뜻을 나타낼 때 쓰였으며, 현대 중국어에서는 "~도", "또한"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이다"라는 의미로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구지가 문서 참조.

가나 문자의 や와 ヤ가 바로 이 한자에서 유래되었다. 일본어에서는 "-노라", "-니라"와 비슷한 문어적 표현인 なり의 한자표기로 쓰인다.

훈의 '이끼'는 지의류가 아니라 토씨, 어조사를 뜻하는 '입겻'을 가리킨다. 광주천자문, 석봉천자문, 신증유합 등에는 '입겻 야'라고 적혔고, 후대 판본으로 가면 '입계 야'라고 표기되기도 한다.

'잇기 야'라고 하기도 하는데 '이끼'와 표기만 다를 뿐 똑같이 입겻이란 뜻이고, 현대 한국어에서 쓰이는 '맞대어 붙인다'는 의미와는 전혀 무관하다. 네이버한자사전에서는 이 잇기를 '맞대어 붙인다'는 뜻으로 멋대로 해석해 놓았다.[1]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대체로 준야, 켄야처럼 や(야)로 끝나는 일본 남성 이름에서 や라는 음을 나타내기 위해 (어조사 재)와 더불어 많이 쓰인다.

3.3.1. 실존인물

3.3.2. 가상인물

3.4. 지명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여담


[1] 이어진다는 뜻인 '잇다'의 18세기 이전 표기는 '닛다'인데 18~19세기를 거치면서 ㄴ탈락이 시작되었으므로 어원상 무관하다. [2] 이쪽은 위에 있는 일본 시인 나카하라 츄야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다. [3] 대야미역의 유래가 된 군포시 대야동의 '야'는 밤 야(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