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1:02:24

KFN 라디오

KFN FM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KFN 라디오/편성표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파일:KFN 로고.pn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종합
방송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KBS 1Radio 로고.svg | 파일:KBS 3Radio 로고.svg |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 파일:MBC 로고.svg ( 파일:MBC표준FM_신로고.svg 파일:MBC라디오_White.svg ) | 파일:EBS 로고.svg ( 파일:EBS FM 로고.svg )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svg 파일:SBS 러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 | 파일:KNN 로고.svg ( 파일:KNN 러브FM.png )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독립) | 파일:OBS 라디오 로고.png (독립)
종교방송
<colbgcolor=#fff,#1c1d1f>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 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 ( 표준FM)
파일:가톨릭평화방송 로고.svg ( 파일:cpbc FM 로고.svg )
파일:BBS불교방송 로고.svg
음악
국영방송
파일:국악방송FM 로고.svg 파일:FM국악방송 화이트.svg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KBS 제2라디오 로고.svg | 파일:KBS ClassicFM 로고.svg | 파일:KBS CoolFM 로고.svg ) | 파일:MBC 로고.svg ( 파일:MBCFM4U_신로고.svg 파일:MBCFM4U_White.svg )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svg 파일:SBS 파워FM 로고 30주년-2 (흑백).svg ) | 파일:KNN 로고.svg ( 파일:KNN 파워FM.png ) | 파일:TBC 로고.svg ( 드림FM) | 파일:kbc 로고.svg ( MyFM)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워FM) | 파일:ubc 로고.svg ( 그린FM) | 파일:JTV 로고.svg ( 매직FM) | 파일:CJB 로고.svg ( 조이FM) | 파일:G1방송 로고.svg 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 Fresh FM) | 파일:JIBS 로고.svg ( 뉴파워 FM)
종교방송
<colbgcolor=#fff,#1c1d1f> 파일:기독교방송 로고.svg 파일:기독교방송 로고 화이트.svg ( 음악FM) | 파일:극동방송 로고.svg
파일:원음방송 BI.svg
파일:YTN 라디오.png
파일:TBS FM 로고.svg | 파일:TBN 교통방송 로고.png
군사 파일:국방홍보원 MI.svg ( 파일:KFN 로고.png )
국내 방송사 운영
파일:KBS 월드 라디오 로고.svg | 파일:TBS eFM 로고.svg | 파일:Arirang Radio 로고.png | 파일:부산영어방송 로고.svg | 파일:GGN 글로벌광주방송 로고.png
주한미군 운영
파일:AFN The Eagle.jpg | 파일:AFN Thunder AM.png
파일:관악FM.png | 파일:마포FM.png | 파일:성남FM.png | 서대문공동체라디오 | 단원FM | SoneFM | 파일:금강FM.gif | 파일:SCN 성서공동체FM.png | 파일:영주FM.png | 파일:광주FM.png | 옥천FM | 파일:세종FM CI.png | 성주FM | GBS고려방송 | 파일:남해FM.png | 한밭FM | 태백FM | 영월FM | 상주FM | 파일:연제FM 로고.png | 전주FM | 대구동구FM
DMB
스트리밍
파일:U-KBS MUSIC 로고.svg | 파일:올댓뮤직.jpg | 파일:SBS V-Radio.png
인터넷
EBS 반디 외국어 전문 · CBS JOY4U · CTS라디오 · 파일:BTN라디오울림로고.jpg
관련 틀과 문서
틀:대한민국의 대북방송 | 공동체 라디오 | 라디오 주파수/대한민국
방송 프로그램 문서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 파일:SBS 로고.svg 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 ||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화이트.svg 송출 채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라디오
방송
중파
초단파
파일:KBS 1Radio 로고.svg · 파일:KBS 제2라디오 로고.svg · 파일:KBS 3Radio 로고.svg ·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KBS ClassicFM 로고.svg · 파일:KBS CoolFM 로고.svg · 파일:EBS FM 로고.svg · 파일:KFN 로고.png
단파 파일:KBS 한민족방송 로고.svg · 파일:KBS 월드 라디오 로고.svg
텔레비전
방송
지상파 파일:KBS 1TV 로고.svg · 파일:KBS 2TV 로고.svg · 파일:EBS 1TV 로고 2023.svg · 파일:EBS 2TV 로고 2023.svg
기타 파일:KBS 월드 로고.svg · 파일:KBS KOREA.png
인터넷
방송
보도 파일:KBS NEWS D 로고.svg
폐국 제3중파방송 · 라디오서울 · 파일:KBS 3TV 로고.svg · 교육 FM
† 위탁 송신, EBS 1, 2TV는 비수도권 한정 }}}}}}}}}

파일:국방홍보원 MI.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KFN 로고.png TV 파일:KFN 로고.png 라디오 파일:국방일보 BI.svg
파일:국방누리 BI.svg 파일:국방저널 제호.svg 파일:국방사진연구소 로고.jpg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KFN 로고.png KFN 라디오
KFN Radio
국방홍보원 FM방송
}}}
<colbgcolor=#001A6F><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000000>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개국 1954년 9월 (국군방송 송출 개시)[1]
1978년 1월 1일 (KBS-FM 국군의 방송)[2][3]
2005년 12월 1일 (KFN 국군방송)[4][5]
명칭 변경 2013년 1월 1일 (국방FM)([age(2013-01-01)]주년) [6]
2024년 4월 15일 (KFN 라디오)([age(2024-04-15)]주년) [7]
채널 구분 지상파 라디오
운영 유형 국영방송
채널 장르 국군 및 국방 전문 채널
주요 분야 뉴스, 음악, 정훈, 시사교양
호출 부호 HLSE-FM
주파수 96.7㎒ '''
서울·춘천
'''
지역별 주파수
[ 펼치기 · 접기 ]
101.1㎒ '''
양평·원주
'''
96.3㎒ '''
파주
'''
89.5㎒ '''
서해 5도
'''
92.5㎒ '''
강릉·속초·고성
'''
101.5㎒ '''
인제·양구
'''
93.3㎒ '''
상남
'''
100.1㎒ '''
대전·논산·계룡
'''
96.5㎒ '''
광주
'''
92.7㎒ '''
포항
'''
94.1㎒ '''
서귀포
'''
방송
품질
<colbgcolor=#001A6F>
FM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1A6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FM-AM 파일럿 톤 스테레오)]
인터넷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001A6F, 여백=2px 3px, 곡률=3px, 사이즈=.8em, 글자색=#ffffff, 내용=MPEG-4 AAC)](128kbps, 48kHz)
방송시간 오전 6시 ~ 다음날 자정(18시간, ~2023.12.31)[8]
오전 6시 ~ 다음날 오전 6시(24시간, 2024.1.1~)
언어 한국어
가청취권역 대한민국 전역
방송책임 최병민 (방송뉴미디어부장, 편성)
운영주체 국방홍보원
소속
방송망 한국방송공사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주파수4. 시보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유능한 안보, 튼튼한 국방, 여러분의 국방FM입니다
정예 선진강군, 여러분의 KFN입니다
국방홍보원에서 운영하는 라디오 채널. 원래 국군방송은 중파방송( KBS 제1라디오, MW 711kHz), FM방송(KBS 군FM)[9] 및 사회교육방송[10](제1방송 MW 972kHz/제2방송 MW 1170kHz)에서 실시하고 있었다.

국군방송은 1954년 9월 국방부 촬영대를 통하여 개국한 이후 초창기에는 서울중앙방송국[11] 제1방송(HLKA)을 통하여 매일 45분간 총 2회 송출한 바 있었으나, 개국일은 국방부 촬영대에서 인가된 시점인 1954년 9월을 기준으로 채택했다. 1961년 2월부터 65분으로 송출 증설, 1981년 1월부터 1988년 10월까지 문화방송(HLKV)에서 55분간 방송을 송출한 바 있다. 1999년 8월 당시 평일에는 「국민과 함께 국군과 함께」라는 프로그램으로 국방광장·마이크탐방·병무상담·야전일기·시사논단 등을 방송하였고, 일요일에는 국내 라디오의 최장수 프로그램인 공개방송 「위문열차」를 방송하였다.

당시 KBS 사회교육방송에서는 오후 12시 40분부터 1시까지 20분간 호국의 현장을 찾아 그곳에 깃든 애국의 숨결을 되돌아보는 「산하의 숨결」을 방송하기도 하였다.

FM 채널은 당시 표준방송 전달매체였던 AM 채널이 북한의 전파 방해로 인하여 휴전선 인근 전방지역에서의 청취가 어렵자 당시 국방부 정훈부 국군방송실에서 전방지역 난청 문제를 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1978년 1월 1일부터 KBS-FM 국군의 방송이라는 라디오 방송 채널로 독립하여 1일 3시간 정규방송 송출을 개시하였다. 이후 KBS-FM 국군의 방송 정규방송시간은 1979년 5월부터 일 5시간, 1990년 이후 일 6시간, 1993년 이후 일 8시간으로 확대되었고, 1999년 봄 프로그램 개편 이후부터는 KBS 군FM 정규방송을 기존보다 약 6시간 확대하여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 5분까지 16시간 5분 방송을 실시하였다. 이후 오후 10시에서 밤 12시로 정규방송 종료시간을 2시간 늦춰 일일 총 18시간으로 방송을 확대하였다. 한때 오전 6시부터 자정까지 국방FM 자체 방송을 송출하고, 정규 방송을 송출하지 않는 시간대인 자정(밤 12시)부터 오전 6시까지는 KBS 제1라디오 방송을 수중계[12]하여 KBS 제1라디오와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13]을 재송출했으나, 2024년 1월 1일 부로 단행한 개편을 통해 국방FM이 24시간 방송 체제로 전환되면서[14] KBS 제1라디오 수중계가 폐지되었다.

지금의 자체 방송은 케이블TV 국군방송 송출 개시일인 2005년 12월 1일에 개국했다. # 의외로 평범한 FM 라디오 채널인 것처럼 보이지만, 가끔 정훈 관련 방송이나 정규 편성인 군가 방송으로 "역시 군인 채널이구나."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2013년 1월 1일 국군방송에서 국방TV(현 KFN TV)와 국방FM으로 방송 채널이 분리되면서, 국군방송(라디오)에서 국방FM으로 채널명이 변경되었다.

2005년 KBS로부터 독립 개국하여 현재 방송 프로그램 제작 등 실질적인 방송국 운영은 국방홍보원에서 담당하지만 방통위 방송사업자 목록에 따르면 허가상으로는 아직 KBS의 채널로 되어 있다.

2024년 4월 15일 자정부터 KFN 라디오로 채널명을 변경했다. 국명 변경 후 첫 시보

2. 상세

1961년부터 방송되기 시작한 최장수 군 관련 프로그램인 위문열차로 유명했으나, 현재는 유료방송 TV 채널인 KFN TV에서 방송하지 더 이상 라디오에서 방송되지 않는다.

당연히(?) 진행자도 전부 연예병사[15] 부사관, 공무원이다. FM 채널에서는 1990년대 인기를 얻은 가수 전유나, 조갑경과 성우 안지환, 코미디언 이동엽과 미자, 전 애프터스쿨 멤버 레이나 등 방송인과 연예인을 기용하고 있지만, 주요 진행자는 국방홍보원 소속 전문 방송인이다. 국회의원을 역임한 적도 있는 이계진 KBS 아나운서나 개그맨 장용 등 나름 보통의 공력 있는 방송인들이 고정 진행자로 활동하고 있다. 방송 내용 역시 오전/오후 정규 편성인 오늘의 군가나 현역병들의 가족들이 등장하는 몇몇 방송, 국방이나 외교 안보 현황을 소개하는 방송이나 코너를 제외하면 대체로 생각하게 되는 군인방송 이미지와는 다르게 보통의 라디오 방송처럼 교양, 예능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있다. 낮 12시, 오후 2시와 4시에는 자체 제작하는 국방뉴스를 내보낸다.[16]

사연 보내기나 퀴즈 문제 풀기 참여, 신청곡 신청은 휴대전화 유료 문자나 인터넷 게시판 이용 또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로도 가능하다. 또한 KFN Radio 별사탕이라는 전용 스마트폰 앱까지 있는데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플레이 스토어에서 KFN Radio 별사탕을 검색하면 된다.[17], iOS는 앱스토어에서 KFN Radio 별사탕을 검색하면 된다. 앱으로는 방송 듣기는 기본이고 보이는 라디오 서비스도 하고 있으며 방송에서 제공하는 경우 선곡표를 보거나 게시판에 사연을 올릴 수 있고 팟캐스트로 일부 방송이나 코너의 다시 듣기를 제공하기도 한다.

중계국이 서울[18], 제주, 전방[19] 경기도 남부 지역과 계룡대 근처[20], 광주[21], 여수[22], 포항[23]에만 있으므로 기타 지방에서는 스마트폰 앱과 인터넷의 국방홍보원 홈페이지를 이용한 방법 말고는 사실상 청취가 불가능하다. 2024 1월 1일부터 24시간 방송 중이다. 군 영내의 독자적인 인트라넷 망으로 청취할 수 있는 유일한 라디오 방송이기도 하다.

여담으로 당시 국군 방송실에서 송출하는 라디오 채널을 KBS 산하의 'KBS 군FM'이라는 명칭으로 관리했으며,[24] 지금도 송출은 EBS와 동일하게 KBS가 직권으로 담당하고 있다.[25]

2022년 11~12월경부터 오후 2시와 4시에 각각 약 5분 가량의 국방FM 산하 자체 제작 뉴스가 편성되었다.[26]

과거에 중파방송으로 송출한 적이 있었다. KBS 제1라디오[27]와 MBC 라디오[28]로는 18시 5분부터 19시까지, KBS 사회교육방송[29]으로는 12시 40분부터 13시까지 방송됐었다.

3. 주파수

지역국 호출부호 주파수 출력 송신소 송신소 주소 목표 가청구역
HLSE-FM 96.7㎒ 2㎾
[30]
남 산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 산1-3[31] 서울 일원, 인천[32]·경기 일부[33][B]
101.1㎒ 3㎾ 용문산 경기 양평군 용문면 연수리 934 경기 동남부[35]
강원 영서 남부[36], 충청 북부[37]
96.3㎒ 0.1㎾ 북감악[38] 경기 파주시 적성면 객현리 40-2 파주·양주·동두천·연천·김포
북한(개성·장풍)
89.5㎒ 0.5㎾ 백령도 인천 옹진군 백령면 진촌리 산75-1 서해 5도
북한 장연·해주·옹진 등
96.7㎒ 5㎾ 화악산 경기 가평군 북면 화악리 1101-8 강원 영서 북부[39], 경기 동북부[40][B]
101.5㎒ 0.1㎾ 대암산 강원 양구군 동면 팔랑리 산1 인제[42]·양구[43]
93.3㎒ 0.02㎾ 기 린 강원 인제군 상남면 하남리 산2 인제[44]·홍천[45]
92.5㎒ D3㎾
[46]
괘방산 강원 강릉시 강동면 모전리 산26-1 강릉·동해[47]·속초·고성·
양양·평창[48]·정선[49]
100.1㎒ D0.2㎾
[50]
계룡산 충남 계룡시 신도안면 부남리 1063-1 대전[51]·계룡·논산·금산·공주·
세종[52]·보은[53]·옥천[54]·
군산[55]·익산[56]·완주[57]
96.5㎒ 0.5㎾ 무등산 광주 동구 용연동 산354-4 광주·나주·장성·담양·
화순·함평·무안·목포
92.7㎒ 1㎾
[58]
조항산 경북 포항시 남구 동해면 석리 산94-1 포항·경주·영덕 등
94.1㎒ 3㎾ 미악산 제주 서귀포시 동홍동 2195 서귀포 일원·제주시 일부

4. 시보

KFN 국군방송 표준 시보 멘트
(로고송)
열린 국방 밝은 병영 KFN 국군방송입니다. 국군방송이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KFN 국군방송 표준 시보 멘트
(로고송)
함께해요 선진강군 실천해요 녹색성장. 여러분의 국군방송이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KFN 국군방송 표준 시보 멘트 (2010년 당시)
(로고송)
함께해요 선진강군 실천해요 녹색성장. KFN 국군방송이 잠시 후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프렌즈FM 표준 시보 멘트
(로고송)
함께해요 선진강군 실천해요 녹색성장. 프렌즈FM 국군방송 라디오가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국방FM 표준 시보 멘트
(로고송)
대한민국 수호자 우리 국군, 국방FM이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국방FM 표준 시보 멘트
(로고송)
튼튼한 국방 신나는 병영 국방FM이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국방FM 표준 시보 멘트
(로고송)
기본이 튼튼한 국방 미래를 준비하는 국방 프렌즈FM 국군방송 라디오가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국방FM 표준 시보 멘트 (2017년 ~ 2022년 5월)
유능한 안보, 튼튼한 국방 여러분의 국방FM[59]입니다. 잠시 후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로고송)
국방FM 표준 시보 멘트 (2022년 5월 ~ 2023년 11월)
튼튼한 국방 과학기술강군 여러분의 국방FM입니다. 잠시 후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로고송)
국방FM 표준 시보 멘트 (2023년 11월 ~ 2024년 4월)
정예 선진 강군 여러분의 국방FM입니다. 잠시 후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로고송)
KFN 라디오 표준 시보 멘트 (2024년 4월 ~ 2024년 8월)
정예 선진 강군 여러분의 KFN입니다. 잠시 후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로고송)
KFN 라디오 표준 시보 멘트 (2024년 9월 ~ )
자랑스러운 과학기술강군 여러분의 KFN입니다. 잠시 후 몇 시를 알려드립니다.
(로고송)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3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3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5. 기타

6. 관련 문서



[1] 개국 당시 국방부 촬영대(1963년 12월 국방부 정훈부 방송실로 개편)에서 주관하였으며, 서울중앙방송국(현 KBS) 제1방송을 통하여 1일 2회, 매일 45분간 송출되었다. [2] 1980년대 이후 KBS 군 FM으로 개칭 [3] 여담으로 KBS 4FM이라는 별칭도 있었다. 1980년 11월 30일 밤 12시(1980년 12월 1일 새벽 0시를 기해) 전면적으로 시행된 언론통폐합에 의거 동양방송(TBC)이 한국방송공사(KBS)로 일괄 합병되면서 기존 TBC 라디오, 텔레비전, FM 채널이 각기 제3방송(1981년 9월 7일 제2라디오로 전환), 제2TV, 제2FM으로 변경에 이어 1980년 7.30 조치로 인해 과외금지가 전면화되어 대한민국 일선 사교육에 난항이 제기되자 1981년 2월 2일 KBS 제3TV와 KBS 교육라디오를 신규 개국하며 이 채널들을 일명 KBS3으로 간주하기도 하였다. 당연히 KBS 3TV와 개국한 목적이 동일한 KBS 교육 FM(개국 당시 KBS 교육라디오)의 애칭을 KBS 3FM으로 간주하면서 이에 군 FM(KBS FM 국군의 방송)의 애칭을 KBS 4FM으로 간주한 것이다. 1980년 언론 통폐합 정책에 의거 별개의 언론사(동아일보사) 산하 상업 라디오 방송이었다가 언론통폐합 당시 KBS로 합병된 DBS 동아방송 역시 1980년 12월 1일부터 1981년 9월 6일까지 KBS 라디오 제4방송이었던 시절이 있었다가 1981년 이후 KBS 라디오 서울로 바뀌었다. KBS 3TV 및 KBS 교육라디오(이후 교육 FM)는 1990년 12월 27일 부속 교육방송(EBS, 2000년 공사화에 의거 한국교육방송공사 출범으로 각기 EBS-TV EBS-FM으로, KBS 라디오서울은 1991년 3월 11일 폐국 후 서울방송(SBS) 개국 관계로 SBS 라디오로 전환되었다. [4] 케이블TV 국군방송 개국으로 인한 KBS로부터 독립 개국 [5] 단, 방송 송출 자체는 EBS와 동일하게 KBS가 관리하며 인가 상으로도 EBS로 독립하면서 폐국 처리된 KBS 교육FM과 달리 여전히 KBS 군FM으로 남아있다. [6] 국군방송에서 국방FM 및 국방TV로의 명칭 변경 [7] 국방FM에서 KFN 라디오로의 명칭 변경 [8] 당시 남는 시간은 KBS 제1라디오를 수중계했다. [9] 초창기에는 KBS FM 국군의 방송이라고 불렸다. [10] 현재의 KBS 한민족방송 [11] 당시 국영방송 체제로 운영되었으며 서울국제방송국, 서울텔레비죤방송국(전신 대한방송, 1961년 12월 31일 개국)과 1968년 중앙방송국으로 통합, 1973년에 공사화를 통하여 한국방송공사로 대체되었다. [12] 2011년 4월 4일 개편 전까지는 밤 11시부터 KBS 제1라디오 방송을 수중계했다. [13] 심지어 서울 본사의 KBS 제1라디오를 재송출하였다. 즉, 수도권이 아닌 타 지역에서도 국방FM을 통해 KBS 서울 본사의 1라디오의 방송시작멘트를 들을 수 있었다. [14] 기존에 KBS 제1라디오 수중계 방송으로 떼웠던 자정 ~ 오전 6시대 시간 중 자정 ~ 오전 1시까지의 시간은 기존에 오후 10시 5분부터 자정까지 방송되었던 송기철의 주크박스 히어로라는 프로그램이 오후 11시부터 오전 1시까지로 시간을 옮기며 채우며, 오전 1시부터 오전 6시의 프로그램은 논스톱 음악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채웠다. [15] 모 방송사가 고발한 사건으로 전면 운용 중지. [16] 현재는 낮 12시, 오후 3시, 5시로 이동했으며 정오 뉴스의 경우 과거에는 KBS 1R 정오 종합뉴스의 릴레이로 편성되기도 했다. [17] 현재의 명칭 변경 전에는 국방FM였다. [18] FM 96.7㎒, 남산 송신소. 서울 시내 및 고양, 광명, 의정부 등 일부 근교 도시에서 청취 가능. 다만 다른 FM방송보다 비교적 최근에 개국해서인지 출력은 2kW로 다소 약한 편이다. [19] 양기사가 있는 용문산 자락을 포함한다. [20] 2008년 10월 13일 개국. 대전, 논산 지역에서도 청취가 가능하다고 안내되나 원래는 향적산에서 200W로 송출하여 출력 자체가 약하고 향적산은 계룡산보다 낮아서 계룡대와 가까운 대전 유성구에서도 수신이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2020년 12월 10일경부터 계룡 향적산 중계소에서 계룡산 송신소로 옮긴 이후 신호가 깨끗하게 들린다. 다만 출력은 인근 지역에서 옆 주파수로 방송하는 OBS 라디오 광주가톨릭평화방송(99.9), KBS충주 FM(100.3)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여전히 200W로 설정되어 있다. 참조(조달청 입찰공고) 참고로 세종시는 계룡산 전파의 양청지역이다. 가청지역 안에는 계룡대를 비롯, 제32보병사단, 육군훈련소, 자운대 등이 있다. [21] 2014년 8월 7일 무등산 송신소를 개설했다. 가청 지역 중 상무대, 제31보병사단이 있다. [22] 2015년 8월 1일 93.3MHz로 구봉산 중계소를 개설하려고 했으나 모종의 사정으로 취소되었다. [23] 가청지역 중 해병대 제1사단이 있다. [24] 1980년대 후반까지는 KBS-FM 국군의 방송이라 했다. [25] 실제로도 방통위 방송사업자 허가 현황 자료 최근 송출 현황을 직접 확인하면 송출망을 공유하나 방송사 자체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 EBS와 달리 아예 KBS의 일부로 간주하고 있다. [26] 도입 부분 멘트에 " 국방일보 제공 KFN[60] 2/4시 뉴스입니다"라는 내용이 송출된다. 이후 3시와 5시로 이동하였다가 현재는 3시 뉴스만 방송중. [27] 1981년 9월 7일 이전 KBS 라디오 제1방송 [28] 지금의 MBC 표준FM [29] 현재는 KBS 한민족 제2방송. [30] #(제안요청서 14, 31p) [31] 남산타워가 아닌 바로 옆 KBS 전용 송신탑에서 송출. [32] 서해 5도 제외 [33] 수원[61][A]·성남[A]·안양[A]·부천·광명·과천·의왕[A]·군포[A]·시흥·안산[A]·하남·구리·남양주[68]·고양·김포 [B] 접경지역에서는 북한발 방해전파로 인해 청취가 어려울 수 있다. 방해전파 수신 영상 [35] 용인·오산·수원·화성[69]·평택[70]·안성·경기광주·남양주[71]·양평·가평·이천·여주 [36] 원주·횡성·홍천·춘천 [37] 진천·음성·증평·충주·제천·괴산·천안[72] [38] 경상남도 거창군에 소재한 감악산 송신소와의 명칭 중복에 의한 혼동을 방지하고자 KBS에서는 파주 감악산의 이 송신소를 편의상 북감악 송신소로 칭하고 있다. 이유는 파주 감악산이 거창 감악산보다 훨씬 더 북쪽에 있기 때문이다. [39] 춘천·홍천·철원·화천·양구 등 [40] 의정부·동두천·양주·연천·포천·가평·남양주[73] [B] [42] 인제읍, 북면, 서화면 [43] 해안면, 동면 [44] 상남면, 기린면 [45] 내면 [46] 북측(0도) 지향. #(제안요청서 66p) [47] 묵호권 [48] 진부면, 대관령면 등 [49] 여량면, 임계면 등 [50] 논산 방향(215도) 지향. 본래 향적산에 있었으나 2020년 계룡산으로 이전했다. #(제안요청서 13, 15, 45p) [51] 구 도심지역에서는 감도가 약하다. [52] 전의면 이남 [53] 회남면 [54] 옥천읍 [55] 동지역, 대야면 등 동부 [56] 함열읍 등 북부 [57] 운주면 [58] # [59] 2013년 1월 1일부터 국군방송에서 국방FM으로 대체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60] 변경 전에는 국방FM이었다. [61] 영통구 제외 [A] 남산에서 송출된 전파가 다른 산에 막혀 잡음이 많이 섞인다. [A] [A] [A] [A] [A] [68] 다산1동, 다산2동, 양정동, 별내동, 진건읍, 퇴계원면 [69] 동탄1~9동, 병점1~3동, 반월동, 진안동, 화산동, 기배동, 정남면, 봉담읍, 비봉면, 매송면, 새솔동 [70] 비전1·2동, 용이동 등 동부 일부지역, 하절기에는 평택시 서부 일부 및 고지대에서 수신할시 kbc MyFM과의 혼선이 발생된다. [71] 금곡동, 와부읍, 조안면 [72] 차령산맥 이남으로는 kbc MyFM과의 혼선 및 KBS대전 2라디오(100.9)와의 간섭으로 청취가 곤란하다. [73] 평내동, 호평동, 진접읍, 오남읍, 화도읍, 수동면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