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15:15:14

CUE!/애니메이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CUE!
CUE! (2022)
파일:CUE_애니키비주얼1탄.png
{{{#0088ee,#0088ee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성우
원작 Liber Entertainment Inc.
캐릭터 원안 시소(シソ)
감독 카타카이 신
조감독 시카타니 타쿠시(鹿谷拓史)1~12화
니시무라 다이스케(西邑大輔)
카토 모에(加藤もえ)13~24화
시리즈 구성 우라하타 타츠히코(浦畑達彦)
캐릭터 디자인 타니구치 모토히로
서브 캐릭터 디자인 니시무라 리에(西村理恵)
색채 설계 마츠모리 요리코(松森より子)
미술 감독 마츠모토 히로키(松本浩樹)
미술 설정 나메카타 토시하루(行方利晴)
히라요시 미키야(平義樹弥)
촬영 감독 카노 아츠시(加納 篤)
편집 콘도 유지(近藤勇二)
음향 감독 하마노 카즈조(ハマノカズゾウ)
음향 효과 키타카타 마사미(北方将実)
음향 제작 비트 그루브 프로모션
음악 나카니시 료스케(中西亮輔)
음악 제작 포니캐년
APDREAM(アップドリーム)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키쿠치 사다카즈(菊池貞和)
쿠라모토 다이스케(倉元大輔)
쿠보데라 요시카즈(久保寺良一)
마루야마 히로오(丸山博雄)
마츠바라 카츠히코(松原勝彦)
프로듀서 야리미즈 요시후미(鎗水善史)
노지마 텟페이(野島鉄平)
네기 하루유키(根木晴之)
마에다 토시히로(前田俊博)
야마다 코헤이(山田公平)
후쿠이 노리오(福井詔雄)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고토 후미타카(後藤史臣)
애니메이션 제작 유메타 컴퍼니 × 그라피니카
제작 CUE! Animation Project
방영 기간 2022. 01. 08. ~ 2022. 06. 25.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MBS, TBS( 아니메이즘)
(토) 01:5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토) 03:00LIVE
(화) 02:001~12화/TV[1] → (화) 00:3013~24화/TV
스트리밍
[[Laftel|
LAFTEL
]]
1쿨
2쿨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4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2.1.2. 팀
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음악
5.1. 주제가
5.1.1. OP15.1.2. ED15.1.3. OP25.1.4. ED25.1.5. 12화 ED5.1.6. 22화 ED5.1.7. 24화 ED
5.2. 삽입곡
6. 회차 목록7. 평가8. 원작과의 차이점9.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CUE!_한글로고.png

일본의 모바일 게임 CUE!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카타카이 신, 방영 시기는 2022년 1월.

2. 공개 정보

2020년 11월 1일, TV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었다. # 공개된 티저 비주얼은 왜인지 전원 태닝이라도 한 것처럼 원작 일러스트에 비해 피부가 까무잡잡한 느낌을 지울 수 없지만 PV에서는 반대로 원작 일러 특유의 화사함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캐릭터 디자인도 큰 위화감이 보이지 않을만큼 원작의 분위기가 살아있다. 다만 방영 일정 공개 후 선보인 1차 PV는 티저 비주얼에 가깝다.

원작 게임이 2021년 4월 30일부로 서비스가 중단되어 불안을 낳았으나 예정되어 있던 애니메이션 계획은 2021년 8월 15일 라이브에서 방영 일정이 2022년 1월로 확정 발표되었다. 공개된 1차 PV에서는 16인과 더불어 스태프 라인인 마사키, 리오, 키리카의 등장이 확정되었다.

다만 원작 팬들은 기대 반, 우려 반의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본작이 CUE! 프랜차이즈를 되살릴 주춧돌이 될 수도 있는 반면 원작이 이미 서비스를 중단하여 흥행의 기반이 불안정한 만큼 본작이 망할 경우 시리즈의 종지부를 찍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일단 감독인 카타카이 신이 감독을 맡았던 전작 Re:스테이지! 드림 데이즈♪에서 좋은 작화 퀄리티를 선보인 적이 있어 본작도 작화는 잘 나올 가능성도 있다. 또 3D로 그라피니카가 협력하여 3D 씬도 잘 나올 가능성이 높다.

스토리에 대해서는 방영 일정 공개까지는 이렇다 할 언급은 없었으나 원작 게임은 초기 스토리를 팀단위로 진행했고 에필로그 가서야 모두가 함께 나오는 반면[2] PV에서는 마사키가 모두를 모아놓고 바로 오디션에 들어간다고 하는 등 원작 게임과는 차이가 있는 듯한 구성과 대사가 나온다. 다만 모두가 모여있는 자리에 묘진 린네가 없는 것으로 보아 원작 게임에서 묘사되지 못 했던 장면을 만들어낸 듯한 부분도 있다.[3]

2021년 11월 21일 진행된 낭독극에서 PV가 새로 공개되었는데 원작에서 리에의 프로필을 고치는건 플레이어인 매니저지만 PV에서는 이스즈 리오가 좋아하는걸 요구르트로 고쳐주는 등 차이를 보였다.[4] 여담으로 린네의 등장은 이 날 Moon의 PV로 이루어졌다.

12월 24일 공개된 신규 PV는 좀 더 스토리를 엿볼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는데, 캐릭터 개개인의 묘사에서 일부는 원작에서 나오지 않은 요소가 있으며 일부는 원작에서도 중점으로 다룬 요소가 있는 등 PV상으로는 오리지널 요소가 적당히 가미되어 있다는걸 알 수 있다. 본작 시리즈 최초로 남성 성우의 목소리가 담기기도 했으며 작중작의 묘사도 담겨있다. 오리지널 요소의 가미와 함께 오리지널 등장인물 또한 PV에서 등장하는게 확인되었다. 타카토리 마이카의 경우 기존 PV에서는 다같이 모여있을 때 묘진 린네와 함께 나오지 않았는데 시점이 다소 다른 것인지 해당 PV에서는 다같이 모여있는 초기 장면에 묘진 린네는 없지만 타카토리 마이카는 등장하고 좀 더 의미심장하게 비춰진다.

초기의 PV일수록 미간이 넓어 호불호가 나왔는데, 이는 캐릭터 디자이너 타니구치 모토히로의 화풍이 크게 작용한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이후 지적을 수용했는지 이후 공개되는 PV는 점점 높아지는 디자인 퀄리티를 자랑한다. 마지막 PV와 첫 PV는 막말로 미간의 거리가 다르다. 피부톤에 대해서도 원작 일러스트 보다야 어둡지만 평범한 톤으로 표현되었으며 햇빛이 비추는 장면은 원작만큼 화사한 파스텔 톤이 잘 구현 되었다. 실제 본작의 퀄리티 자체는 제작팀 덕분에 기대하는 의견이 많다.

기존의 좋은 평가를 받는 대부분의 악곡들이 각각 어떻게 등장할지도 포인트라고 할 수 있는데, 원작에서 부터 작품 출연 결정 이후 "라이브도 준비 해야 한다."라고 언급되는 만큼 그냥 넘어갈 부분이 아니기도 했거니와 Bird의 PV에서 라이브 등의 행사가 묘사 되며 어느 정도 등장에 무게가 실렸다. 방영 이후 공개된 OP애니에서 라이브 씬으로 보이는 장면에 Forever Friends(이하 FF)의 안무가 한 컷 등장하여 어느 정도 확정 되었다. 11화에서 마사키가 큐의 기본 라이브 복장이자 FF의 의상을 버드 팀에게 공개하며 자신의 꿈이 모두가 라이브 무대에 서는 것임을 밝히며 대략적인 윤곽이 잡혔으며 2쿨 PV에서 모두가 원진을 그려 라이브를 준비하는 모습이 나오면서 확실해졌다.

16인의 이야기를 다 담기에는 1쿨가지고 짧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었는데, 방영직전 생방송에서 최초로 2쿨 24화 방영이 확정 발표되었다.

2쿨의 PV에서는 계절이 바뀐 시점도 등장이 예고되었다. 일부 인물의 복장으로 보면 원작 시즌 1.3의 배경에 해당하는 시점.[5] 다만 고등학생들에게 일괄적으로 교복을 입혔던 시즌 1.3과 달리 애니에서는 교복을 입고 있는 시점만 묘사할 게 아니라서 그런지 고등학생 캐릭터들의 해당계절 사복이 따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고등학생 캐릭터들만 그런 것은 아니고 일부를 제외하면 시즌 1.3의 복장과는 다르게 선정되었다. 전부 원작 카드들에서 등장하는 복장. 단순히 특정 복장을 입힌 것은 아니고 하루나의 4성 카드인 'SEE YOU EVERYDAY'에 등장하는 16인의 의상 그대로다. 의미는 있는 픽업인 셈. 그냥 이 복장과 시즌 1.3이 겹치는 복장이 있는 것으로 보면 편하다. 여담으로 2쿨의 PV에 여름 복장은 따로 등장하지 않았다.[6] 13화의 예고부터 리에의 복장이 바뀌어 있긴 했으나 이후 선행컷들로 인해 바로 계절이 바뀐 시점으로 시작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2.1. PV

2.1.1. 본편

PV 제1탄
PV 제6탄 PV 방송직전 Ver
PV 제7탄 PV 2쿨 직전

2.1.2.

<rowcolor=#0088ee,#0088ee> 팀 PV
<rowcolor=#0088ee,#0088ee> PV 제2탄 팀 PV Ver.Moon PV 제3탄 팀 PV Ver.Wind
<rowcolor=#0088ee,#0088ee> PV 제4탄 팀 PV Ver.Bird PV 제5탄 팀 PV Ver.Flower

2.2. 키 비주얼

파일:CUE!_애니티저비주얼.jpg
파일:CUE_애니키비주얼2탄.jpg
파일:CUE_애니키비주얼3탄.jpg
티저 비주얼 키비주얼「Flower」 키비주얼「Bird」
파일:CUE_애니키비주얼4탄.jpg
파일:CUE_애니키비주얼5탄.jpg
파일:CUE_애니키비주얼6탄.jpg
키비주얼「Wind」 키비주얼「Moon」 키비주얼2

3. 줄거리

실적도 경험도 없는, 갓 생겨나 따끈따끈한 성우 기획사 'AiRBLUE'.
그곳에 소속된 건 개성 넘치는 성우의 원석들.

그녀들은 지금 자신에게 무엇이 가능할까 생각하고,
꿈을 향해 각자가 믿는 방식으로 달려 나간다!

하지만, 꿈을 품은 채 마주하는 비정한 현실. 고뇌, 좌절 그리고 갈등.
아무리 연습에 연습을 거듭한다 해도 모두가 오디션에서 합격한다고는 할 수 없다.
성우를 목표로 하는 자라면 누구나 부딪치는 벽을 상대로 그녀들은 과연 어떻게 맞설 것인가.

신인 성우들의 이야기가 지금 시작된다!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CUE! 문서
번 문단을
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등장인물 성우 등장인물 성우
Flower
무츠이시 하루나 우치야마 유리나 타카토리 마이카 히에다 네네
카노 시호 모리야 쿄우카 츠키이 호노카 오가타 유우나
Bird
텐도 유우키 타카무라 아야카 아카가와 치사 미야하라 사츠키
에니와 아이리 이이즈카 마유 쿠죠 유즈하 무라카미 마나츠
Wind
요미네 미하루 안자이 유카리 카무로 아야 마츠다 사키
미야지 마호로 야마구치 메구미 히나쿠라 리코 츠루노 아리사
Moon
마루야마 리에 타치바나 히나 우츠기 사토리 코미네 아미
묘진 린네 사토 마이 토오미 메이 츠치야 리오
AiRBLUE 임직원
이스즈 리오 스자키 아야 유라 키리카 이가라시 히로미
오오토리 마사키 히카사 요코

5. 음악

5.1. 주제가

5.1.1. OP1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OP1
スタートライン
스타트 라인
TV ver.
Full ver.
노래 AiRBLUE
작사 shilo
작곡
편곡 호노 사토시(宝野聡史)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콘티 이치이 잇페이(一居一平)
카타카이 신
연출 이치이 잇페이(一居一平)
작화감독 스즈키 아야노(鈴木彩乃)
총 작화감독 타니구치 모토히로
}}}}}}}}} ||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5.1.2. ED1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ED1
はじまりの鐘の音が鳴り響く空
시작의 종소리가 울려 퍼지는 하늘
TV ver.
Full ver.
노래 AiRBLUE
작사 이토 켄(伊藤 賢)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콘티 張 迪
카타카이 신
연출 카타카이 신
작화감독 타니구치 모토히로
}}}}}}}}} ||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5.1.3. OP2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OP2
Tomorrow's Diary
TV ver.
Full ver.
노래 AiRBLUE
작사 shilo
작곡 이시하마 카케루(石濱 翔/MONACA)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콘티 하타 히로유키
연출
작화감독 스즈키 아야노(鈴木彩乃)
총 작화감독 타니구치 모토히로
}}}}}}}}} ||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5.1.4. ED2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ED2
ゆめだより
꿈 편지
TV ver.
Full ver.
노래 AiRBLUE
작사 와타나베 쇼(渡辺 翔)
작곡
편곡 유아사 아츠시(湯浅 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콘티 니시무라 다이스케(西邑大輔)
연출
작화감독 스즈키 아야노(鈴木彩乃)
원화
}}}}}}}}} ||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5.1.5. 12화 ED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12화 ED
さよならレディーメイド
안녕 레디메이드
Full ver.
노래 AiRBLUE
작사 나스노 신페이(奈須野新平)
작곡
편곡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5.1.6. 22화 ED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22화 ED
マイサスティナー
마이 서스테이너
Full ver.
노래 AiRBLUE
작사 나스노 신페이(那須野新平)
작곡
편곡 나스노 신페이(那須野新平)
하라다 타츠키(原田樹季)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5.1.7. 24화 ED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24화 ED
ミライキャンバス
미래 캔버스
Full ver.
노래 AiRBLUE
작사 shilo
작곡 이시하마 쇼(石濱 翔)
편곡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5.2. 삽입곡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6, 20화 삽입곡
The Voice
Piano ver.
Full ver.
노래 요미네 미하루20화
작사 shilo20화
작곡 shilo
나카니시 료스케(中西亮輔)20화
편곡 나카니시 료스케(中西亮輔)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7화 삽입곡
おつきさま
달님
[7]
Full ver.
작사 우라하타 타츠히코(浦畑達彦)
작곡 미타니 슈호(三谷秀浦)
편곡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9, 11, 22화 삽입곡
We Can Fly!!!!
TV ver.
Full ver.
노래 Chun×4[8]
작사 히게드라이버
작곡
편곡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16화 삽입곡
雪の結晶
물방울 결정
Full ver.
노래 AiRBLUE
작사 ZAQ
작곡
편곡 마츠다 아키토(松田彬人)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18화 삽입곡 1
イロドリハート
알록달록 하트
Full ver.
노래 Chun×4
작사 마사키 에리카(真崎エリカ)
작곡 야토키 츠카사(矢鴇つかさ)
편곡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18화 삽입곡 2 / 22화 삽입곡 3
LUNA Labyrinth
TV ver.
Full ver.
노래 LUNA ω rabbits
작사 나카무라 카나타(中村彼方)
작곡 하라다 아츠시(原田 篤)
편곡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22화 삽입곡 1
Whisper's Hope
Full ver.
노래 Harmonia
작사 마사키 에리카(真崎エリカ)
작곡 키무라 타카아키(木村孝明)
편곡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22화 삽입곡 2
HARU・NARU
Full ver.
노래 메구리바나(Meguli-華)
작사 나카무라 카나타(中村彼方)
작곡 쿠로카와 요스케(黒川陽介)
편곡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colbgcolor=#fff,#fff><colcolor=#0088ee,#0088ee> 22화 삽입곡 5
Forever Friends
Full ver.
노래 AiRBLUE
작사 shilo
작곡 이토 켄(伊藤 賢)
편곡
{{{#!folding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 ||

6. 회차 목록

<rowcolor=#0088ee,#0088ee> 회차 제목[9]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はじまりのはじまり
시작의 시작
우라하타 타츠히코
(浦畑達彦)
카타카이 신 카타카이 신
시카타니 타쿠시
(鹿谷拓史)
타카하시 카즈노리
우스이 리에
(臼井里江)
노다 토모히로
(野田智弘)
타니구치 모토히로 日: 2022.01.08.
LIVE: 2022.01.08.
TV: 2022.01.11.
하이라이트
제2화 それぞれの色
저마다의 색깔
Royden B 테라오카 린
(寺丘 臨)
사토 유코
(佐藤祐子)
후타후사
(ふたふさ)
미나미하라 요시코
(南原孝衣子)
나카지마 요시코
(中島美子)
노다 토모히로
니시무라 리에
(西村理恵)
日: 2022.01.15.
LIVE: 2022.01.15.
TV: 2022.01.18.
하이라이트
제3화 この出会いは運命
이 만남은 운명
스에다 요시후미
(末田宜史)
사코에 사라
(迫江沙羅)
세키모토 미호
(関本美穂)
마츠시타 준코
(松下純子)
오바타 키미하루
(小幡公春)
토가시 아야나
(冨樫彩菜)
타니구치 모토히로 日: 2022.01.22.
LIVE: 2022.01.22.
TV: 2022.01.25.
하이라이트
제4화 ラッキーカラー?
행운의 색?
토미타 요리코
(冨田頼子)
키미야 시게루
(きみやしげる)
스나가와 마사카즈
(砂川正和)
하리우 아이리
(針生愛理)
이마다 아카네
(今田 茜)
후지타 아야노
(藤田亜耶乃)
사토 아키코
(佐藤秋子)
日: 2022.01.29.
LIVE: 2022.01.29.
TV: 2022.02.01.
하이라이트
제5화 スタートライン
스타트 라인
우라하타 타츠히코 하카타 마사토시
(博多正寿)
유메타 컴퍼니 연출부 우에하라 후미야
(上原史也)
오하라 유타
(小原佑太)
타나카 아야
(田中 彩)
야부타 유키
(薮田裕希)
日: 2022.02.05.
LIVE: 2022.02.05.
TV: 2022.02.08.
하이라이트
제6화 向かい風を捕まえて
맞바람을 붙잡고
오치 코진[10]
(於地紘仁)
호죠 히로유키
(北條裕之)
히가시 미호
(東 美帆)
우스이 리에
노다 토모히로
林 怡君
니시무라 리에 日: 2022.02.12.
LIVE: 2022.02.12.
TV: 2022.02.15.
제7화 月と太陽
달과 태양
우라하타 타츠히코
토미타 요리코
스나가와 마사카즈 이마다 아카네
후지타 아야노
나카지마 나기사
(中島 渚)
사토 아키코 日: 2022.02.19.
LIVE: 2022.02.19.
TV: 2022.02.22.
제8화 100ぱーせんと
100'퍼'센트
우라하타 타츠히코 요시다 히데토시
(吉田英俊)
테라오카 린 사토 유코
나카지마 요시코
미나미하라 요시코
모리마에 카즈야
(森前和也)
타니구치 모토히로 日: 2022.02.26.
LIVE: 2022.02.26.
TV: 2022.03.01.
하이라이트
제9화 We Can Fly!!!! 카타카이 신 코데라 카츠유키
(こでらかつゆき)
요시다 슌지
(吉田俊司)
우에하라 후미야
마루야마 야스히데
(丸山泰英)
타나카 아야
야부타 유키
日: 2022.03.05.
LIVE: 2022.03.05.
TV: 2022.03.08.
하이라이트
제10화 この後、空いてますか?
끝나고 시간 있으세요?
우라하타 타츠히코 키타이 요시키
(北井嘉樹)
오오쿠마 타카하루
카마타 히토시
(鎌田 均)
니시무라 리에 日: 2022.03.12.
LIVE: 2022.03.12.
TV: 2022.03.15.
하이라이트
제11화 飛び立て小鳥たち!
날아올라라, 작은 새들!
카타카이 신 오치 코진
카타카이 신[L]
니시무라 다이스케
(西邑大輔)
카타카이 신[L]
우스이 리에
야마구치 야스노리
(山口保則)
요시다 하지메
(吉田 肇)
타카하시 카즈노리
카와시마 나오
(川島 尚)
노다 토모히로[L]
타니구치 모토히로 日: 2022.03.19.
LIVE: 2022.03.19.
TV: 2022.03.22.
하이라이트
제12화 声優のタマゴ
성우의 원석
우라하타 타츠히코 하타 히로유키 쿠보 타로
(久保太郎)
우에하라 후미야
마루야마 야스히데
야부타 유키
타나카 아야
日: 2022.03.26.
LIVE: 2022.03.27.[14]
TV: 2022.03.29.
하이라이트
제13화 2期制作決定!?
2기 제작 결정?!
야마모토 야스타카 우스이 리에
히가시 미호
니시미 쇼이치로
(西見昌一郎)
사카이 미카
(酒井美佳)
요시다 하지메
카와시마 나오)
니시무라 리에 日: 2022.04.09.
LIVE: 2022.04.09.
TV: 2022.04.12.
하이라이트
제14화 運命の仕事
운명적인 일
Royden B 안도 타카시
(安藤貴史)
후지타 마사유키
(藤田正幸)
우스다 요시오
(臼田美夫)
쿠마가이 코나츠
(熊谷小夏)
스튜디오 엘
(スタジオエル)
타니구치 모토히로 日: 2022.04.16.
LIVE: 2022.04.16.
TV: 2022.04.19.
하이라이트
제15화 やっぱりこの仕事、お断りします
역시 이 일은 거절하겠습니다
츠치다 카스미
(土田 霞)
니시무라 다이스케
카타카이 신
마노 아키라
(真野 玲)
이이즈카 요코
(飯塚葉子)
이카이 카즈유키
하마베 유키
(浜辺ゆき)
니시무라 리에 日: 2022.04.23.
LIVE: 2022.04.23.
TV: 2022.04.26.
하이라이트
제16화 二十歳になった私へ
스무 살이 된 나에게
우라하타 타츠히코 하마나 타카유키 요시다 와카코
(吉田和香子)
모리모토 히로후미
(森本浩文)
코이케 유카리
(古池ゆかり)
사쿠라이 타쿠로
(櫻井拓郎)
타니구치 모토히로 日: 2022.04.30.
LIVE: 2022.04.30.
TV: 2022.05.03.
하이라이트
제17화 サンダーウーマン!
선더 우먼!
니시무라 다이스케 호시노 미스즈
(星野美鈴)
미야모토 타케시
(宮本武史)
니시모토 세이지
(西本成司)
Da Jun
오록스
(オーロックス)
니시무라 리에 日: 2022.05.07.
LIVE: 2022.05.07.
TV: 2022.05.10.
하이라이트
제18화
츠치다 카스미 하타 히로유키
카토 모에[L]
(加藤もえ)
마타노 히로미치
(又野弘道)
카토 모에[L]
이카이 카즈유키
스즈키 아야노
(鈴木彩乃)
노다 토모히로[L]
타니구치 모토히로 日: 2022.05.14.
LIVE: 2022.05.14.
TV: 2022.05.17.
하이라이트
제19화 3びきのこぶた
아기 돼지 3형제
야마자키 타츠지
(山崎立士)
카토 모에
무라타 나오키
(村田尚樹)
무라카미 아야카
(村上彩香)
야마시타 나츠미
(山下菜摘)
요시다 쇼타
(吉田翔太)
코이케 유카리
쿠사카 타케시
(日下岳史)
아라타 하야토
(アラタハヤト)
니시무라 리에 日: 2022.05.21.
LIVE: 2022.05.21.
TV: 2022.05.24.
하이라이트
제20화 The Voice 우라하타 타츠히코 Royden B 장희규
니시무라 다이스케
원창희
오은수
임근수
타니구치 모토히로 日: 2022.05.28.
LIVE: 2022.05.28.
TV: 2022.05.31.
하이라이트
제21화 飛べない小鳥
날지 못하는 작은 새
츠치다 카스미 하타 히로유키 시미즈 아키라
(清水 明)
사카이 미카
히가시 미호
니시미 쇼이치로
요시다 하지메
이은영
노월
(ノーウォール)
니시무라 리에 日: 2022.06.04.
LIVE: 2022.06.04.
TV: 2022.06.07.
하이라이트
제22화 Forever Friends 카타카이 신 카토 모에
카타카이 신[L]
우스이 리에
니시미 쇼이치로
사카이 미카
요시다 하지메
김영식
노다 토모히로[L]
야마구치 야스노리[L]
타니구치 모토히로 日: 2022.06.11.
LIVE: 2022.06.11.
TV: 2022.06.14.
제23화 最終回
마지막 화
우라하타 타츠히코 하타 히로유키 쿠리하라 히바리
(栗原ひばり)
우에하라 후미야 하라다 미네후미
(原田峰文)
日: 2022.06.18.
LIVE: 2022.06.18.
TV: 2022.06.21.
하이라이트
제24화 はじまりのおわり
시작의 끝
우라하타 타츠히코
카타카이 신
니시무라 다이스케 우스이 리에
니시미 쇼이치로
사카이 미카
요시다 하지메
히가시 미호
노다 토모히로
야마구치 야스노리
스즈키 아야노
야마모토 리오리
(山本里織)
서정하
- 日: 2022.06.25.
LIVE: 2022.06.25.
TV: 2022.06.28.
하이라이트

7. 평가

전반적으로 극중극 애니메이션에 작화를 몰아주고 본편은 그림체만 얼추 맞추는 식으로 작화 퀄리티가 떨어지는 편이다. 다만 극중극 외에서는 장면 간에 퀄리티가 크게 널뛰기 하지는 않는 편. 6화까지는 평균적으로 그렇게까지 높은 작화 퀄리티를 보여주지 않았고 미묘해서 단점으로 지적받기도 했으나[21] 7화는 갑자기 작화의 평균적인 질이 크게 올라갔다. 중간에 잠깐 나오는 극중극인 게임 마저 기본이 단순 인물 작화와는 종류를 달리하는 메카이며 퀄리티가 1화의 극중극 처럼 상당히 높다. 유난히 태평양 미간이 자주 나오던 토오미 메이를 비교해 보면 차이가 대단히 명확하다.[22] 게다가 플라워 4인방을 제외한 모든 인원이 나오기 때문에 업그레이드 된 작화로 다른 인물들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심지어 여타 아이돌물 처럼 본작에서 처음으로 노래를 부르는 장면까지 들어갔을 정도로 묘사도 다양하다.[23] 1회성으로 끝나지 않고 이어진 회차에서도 작화의 수준은 7화만큼은 아닐지라도 이전보다 눈에 띄게 안정되었다.[24] 아쉬운 것이 있다면 토오미 메이와 다르게 카노 시호는 여전히 눈의 작붕이 일어나는 편이었다는 점. 다행히 7화만큼 작화의 질이 눈에 띄게 좋았던 플라워가 메인인 10화에서 만회했다. 2쿨이 시작되면서도 작화 퀄리티는 1쿨 중반 이후와 마찬가지로 안정적이다. 소소한 특이점이라면 어째 Moon멤버들이 주로 나오는 회차에서 작화 퀄리티가 평타 이하로 떨어진 적이 없다.[25]

1화는 성우를 잘 모르는 사람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성우가 어떤 건지 보여주는 식의 연출을 보이는 등 접근성 면에서는 좋은 편이다. 장르에 대한 것 뿐 아니라 캐릭터 표현도 이런 맥락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1화를 전체적으로 보면 신규팬 입장에서도 친절한 애니메이션이지만, 원작의 캐릭터 설정을 안다면 대사 하나 장면 하나에서 섬세함을 느낄 수 있다.[26] 놓치기 쉬운 리액션 하나에도 캐릭터 설정과 연관이 가능한 사소한 표현이나 대사를 통해 어렴풋이 느낄 수 있도록 되어있다. 덕분에 애니메이션을 기다려온 기존 팬들은 캐릭터 표현이 잘 되어있다고 호평하고 있다.[27][28]

2화는 1화에서 보여준 캐릭터 표현과 함께 조금씩 원작의 인물간 관계를 알면 의미심장한 조합으로 장면에 캐릭터를 배치한 연출이 돋보인다. 예를 들어 원작에서 카노 시호 츠키이 호노카는 초반에 대판 사이가 틀어지는데 2화에서 소속 첫 날의 일들을 마치고 그 날 처음 본 사이인데도 카페에 이 둘이 모여서 분위기 좋게 대화를 나누고 있다[29]. 다소 무겁게 느껴지는 이런 부분 말고도 나이가 언급되지 않는 2화에서 최연소자인 텐도 유우키에게 잘 했다고 말을 거는 대상이 최연장자인 요미네 미하루인 것도 해당된다.

3화부터 원작의 전개와 달라진 부분이 많이 보이는 편이다. 기숙사의 등장, Bird의 결성 및 작품 참여 등[30] 내용의 구성만 두고 보면 다른 점이 많다. 하지만 원작의 장면이 아주 조금만 바뀌어서 등장하기도 하는 등 무리해서 원작을 변형시키는 느낌 보다는 원작에서 따오기 좋은 장면이나 따와야 하는 장면은 따오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이런 부분 외로는, 원작과 마찬가지로 성우계의 특징을 잘 묘사 했다는 점이 특징. 3화에서만 예를 들어도 인기 성우는 오디션이 잘 통과된다거나, 되는대로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것[31], 오디션 안건이 사무소를 통해서 들어오는 것, 아이돌물의 경우 회사 단위로 안건이 들어와 캐스팅을 받아간다는 것이 묘사된다.[32]

3화에 이어 4화를 통해 본작이 원작 스토리와 차별화 되는 요소가 많이 있으며 애니판만의 오리지날리티가 확고히 있음을 굳혔다. 흐름은 같지만 세세한 내용은 원작과 유사점이 희박한 수준.[33] 그러나 마찬가지로 중간중간 원작에서도 나오는 좋은 대사들은 잘 들어가 있는데다 원작에서 묘사되지 않았으나 설정상 있었을 법한 일들이 묘사되어 전자의 요소와 함께 원작팬들에게도 원작 스토리와 다르더라도 본작만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특징이 확실하게 잡혔다.[34] 다만 원작의 내용이 1~4장의 초반부터 개개인의 깊은 사연, 드라마를 묘사해 제법 진중한 면이 많았던 것에 비해 애니판의 초반은 이 요소들이 다소 스킵되는 경향이 있어 분위기가 원작에 비해 살짝 가볍고 원작에서 개개인의 사연을 감명깊게 봤다면 초반의 전개가 아쉬울 수 있다.[35] 그렇지만 4화의 에니와 아이리 같은 사례로 알 수 있듯이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 요소를 극대화 시켜 원작보다 무겁게도 묘사된다.[36] 이러한 부분에 더해 4화까지의 흐름 통해 사실상 플레이어 매니저는 배제되었다.

5화까지는 사실상 오리지날 요소가 많았던 것에 반해 Wind의 단독 메인 에피소드인 6화는 원작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썼다. 그러나 동시에 원작과 크게 차별화를 뒀는데, 대부분의 아이돌물[37], 청춘물과는 달리 초반은 현재 시점처럼 전개했지만 이후는 현재에서 과거를 돌아보는 다큐 형식을 비슷하게 취했으며[38] 이것을 원작에서 개인의 배경을 생각보다 깊게 다루지 않아 '성우 라디오를 들으며 성우를 지망했다'는 사실이 스토리 내에서는 부각되지 못 했던 히나쿠라 리코를 이용해 윈드 4인이 라디오를 진행하며[39] 처음 만나서 있던 일들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원작에서 애니로의 각색 방향이 5화까지 에피소드를 살펴보면 원작 스토리를 최대한 '성우 활동'에 엮어 만드는 느낌이 있었는데[40] 나쁘지 않은 결성, 단합 스토리는[41] 그대로 써먹으면서 겸사겸사 부족했던 리코의 묘사를 원작보다 강화하고 라디오라는 요소로 '성우 활동'이라는 전체적인 중심 소재도 지키는데 성공했다. 이후로도 원작에서 차용한 중심 스토리는 이러한 각색이 들어간 편인데,[42] 이런 화수들은 대체로 카타카이 신 감독이 직접 각본을 썼다.

각색 과정에서 각 팀들의 데뷔, 활동이 좀 더 현실 일본 성우계와 비슷해졌다. 원작에서는 4개 팀 전부 애니메이션으로 데뷔하지만 왕도 및 정석으로 묘사되는 플라워는 애니 오디션으로 배역을 받아 데뷔하는 케이스, 버드는 아이돌물로 인한 '성우 아이돌', 윈드는 라디오를 통해 처음으로 세상에 목소리가 퍼졌으며[43], 문은 다른 연기 활동(낭독극)을 하다가[44] 애니 오디션에 합격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물론 플라워의 경우는 담당 성우들 및 스기타 토모카즈도 신기하다거나 운이 좋다고 표현할 정도지만[45] 이는 한정된 분량 안에서 여러 케이스를 보여주기 위함이다. 아무튼 이렇게 전부 다른 데뷔양상을 가지게 되며 원작보다도 현실성을 갖추게 되었으며 그 자체로도 성우계의 여러 모습을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46]

수록 현장이 꽤 자세하게 묘사된다. 게다가 신인 성우들이 첫 수록에서 겪는 긴장감이 대단히 생생하게 묘사되는 등[47] 업계에 대한 호기심을 채우기에도 좋은 편이다. 정석적인 과정은 물론이고 용어 설명도 조금씩 들어가 있으며 특별한 상황도 묘사가 되어있다. 수록하면서 일어나는 긍정적인 일, 부정적인 일에 대한 묘사도 사실적이며 수록 과정에서 성우들간 친목활동이 이루어지는 묘사도 스토리 중 녹아들어가 있다.[48]

다만 섬세한 캐릭터 표현과 별개로 메인 스토리의 연출은 상당히 진부하다는 의견도 많다.[49] 4화까지는 못 해도 한 번씩 오글거리는 장면이 나오곤 할 정도였는데 그러다가 5화에서는 원작에서 있던 요소를 순화시키고 수록현장을 생생하게 다루면서까지 애니메이션 스러운 연출을 배제하고 조금 더 현실적으로 다루면서 몰입감을 높이기도 했다.[50] 대체로 일상씬 대부분은 평범하지만 개그씬으로 갈수록 연출이 한 시대 이전을 보는 기분은 드는 편. 여러모로 원작초월로 호평받은 11화도 치사의 어린 시절 회상에서 언니가 쉐이크를 주는 장면 만큼은 묘하게 연출이 오글거린다. 긴장감이나 현실적인 묘사 및 전반적인 퀄리티에서 크게 호평 받은 그 10화를 뛰어넘었다는 평가도 나오는 11화 마저 이런 연출이 나오는데 이는 감독 카타카이 신이 주로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을 연출해온 영향으로 보인다. 대체로 스토리, 즉 각본을 통한 일종의 '빌드업' 면에서의 연출은 크게 호평받으나 영상미적인 측면에서 한 둘씩 이런 장면들이 들어가 있어 단점으로 지적받는다.

그래도 확실한 장점이라면 서술되어 있듯이 긴장감 묘사가 탁월하다는 것. 5화나 10화는 진짜로 손에 땀을 쥐며 봤다는 의견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으며 공식 라디오에서 팬들의 감상 후기로도 긴장감이 많이 언급되었다.[51] 2쿨의 시작인 13화는 아예 그 긴장감을 위한 빌드업 부터가 따져보면 장난 아닌데, PV에 어두운 분위기를 가진내용을 담는 것은 평범하다 해도 원작의 스토리를 아는 입장에서는 뭔가 아는 내용인데 캐릭터의 행동에 위화감을 느끼도록 해놓더니 본편에 들어가 진짜로 이 장면들이 나오면서[52] 묘한 긴장을 느끼게 하고[53] 후반 가서는 더 심각한 장면이 나오나 싶더니 어딘지 모르게 페이크 같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며[54] 반전을 이용해 통쾌함 까지 제대로 연출했다.[55] 그러니 2쿨 PV부터 철저히 준비된 페이크 빌드업 이었다는 것. 보면 느껴지지만 13화는 문이 등장하는 거의 모든 장면이[56] 페이크거나 반전을 위한 빌드업 장치다. 이렇듯 상황 자체만 가지고도 긴장감을 느끼게 하는가 하면 앞서 나온 장면들 때문에 긴장하게 만들어 놓는 것도 자연스럽다. 14화 한정으로는 긴장이 묘사되긴 해도 워낙 이야기가 다른 에피소드와 달리 기묘한 요소가 많아 다소 긴장감이 묻힌 경향이 있었지만 바로 다음 회차인 15화에서는 또 14화에서 뿌려둔 떡밥과 PV에서 공개해둔 대사들 몇개로 밑밥을 깔아놓고 단 몇 초만에 시청자들을 들었다 놓는 연출까지 보였다.[57]

16화는 스튜디오 딘에서 하청을 맡았고, 감독이 직접 콘티를 그리고 베테랑 연출가 하마나 타카유키가 연출하여 서정적인 정취를 묘사해내어 좋은 평가를 받았다.[58][59]

세세하게 짚고 넘어가게 만드는 연출은 제법 있는 편이나 감독 카타카이 신의 성향답게 대체로 알기 쉬운 장면구성으로 어렵지 않게 내용 파악이 가능한 영상미를 가지고 있는데, 18화처럼 분석하며 본다면 제법 복잡한 경우도 있다.[60] 토오미 메이 자체가 그 누구도 속내를 알지 못 한다는 캐릭터성을 가지고 있어 의도적으로 캐릭터성과 비슷한 구성을 노리고 이렇게 만들었을 가능성도 있지만 기본적인 진행방식이 과거와 현재를 교차해서 보여주는 것이었기에 이야기 자체가 원작보다 어려워진 편. 그러나 18화의 경우 그만큼 이야기가 원작보다 깊어지고 좀 더 곱씹어보기 좋게 만들어진 편이다.[61] 다만 어쩔 수 없이 좋은 내용과는 별개로 교차라는 방식 자체가 그렇듯 끊기는 느낌도 있는 등 양날의 검이나 다름없었다.

11화에서 처음 제대로 선보인 3D를 이용한 라이브씬은 2D 작화가 중간중간 들어감에도 서로 위화감이 적을 정도로 그라피니카 특유의 3D 제작 능력이 돋보인다. 3D 자체는 중간중간 차량이나 헬리콥터 등에도 쓰였다. 이후 라이브씬이 2번째로 제대로 나온 19화 에서는 라이브 직전까지만 해도 포춘의 라이브는 정지화면으로 떼우고 넘어갔으나, Moon의 라이브씬은 11화 보다도 강화되어 Moon의 컨셉이나 곡에 맞게 역동적인 구도까지 들어가 더 발전된 모습을 보여줬다.[62] 대망의 Forever Friends의 경우 다른 부분은 괜찮으나 카메라 워크는 아쉬운 편.[63]

12화까지 1쿨 동안의 평가는 한 번씩 나오는 싼 연출을 빼면 특히 내용면에서 대호평이다. 하도 몰입감 있게 잘 흘러가고 여러모로 이야기의 구성이 잘 되어 있어서 원래 이야기에 참여해 극을 이끌어 나가곤 했던 플레이어 매니저는 그냥 잊어버리자는 반응도 있을 정도. 원작도 스토리는 대단히 진지하게 만들어진 티가 나는 편인데 애니의 내용 평가는 그 원작을 뛰어넘었다.

원작팬들을 위한 팬서비스도 톡톡한 편으로, 안 좋은 부분은 다듬고 좋은 부분은 캐붕없이 잘 묘사해준 것은 기본이고 원작 및 오프라인 행사에서 자주 보게 되는 라이브 의상을 등장시키고 16인의 라이브로 이어지는 빌드업도 보여준 것은[64][65] 보여주는 족족 팬들의 마음을 관통했다.[66] 기존의 좋은 악곡이 나올 때도 상당히 절묘하게 잘 들어가서 반응이 매우 뜨거웠다. 원작에서 각 캐릭터들의 카드들로 나왔던 여러 의상도 중간중간 나올만 한 장면들에 꾸준히 넣어서 보여주는 등 원작의 여러 요소를 잘 활용해서 보여주는 팬서비스도 엿볼수 있다. 여담으로 다른 것은 제쳐두더라도 스기타 토모카즈가 1쿨 OP영상만 가지고 예측한 대로 미하루가 비중있게 등장한 에피소드나 메인인 20화로 알 수 있듯 애니 스태프 내부에 미하루의 팬이 있는 것은 기정 사실화 된 수준으로, 미하루의 팬은 덕분에 팬서비스를 듬뿍 받는 호사를 누리게 되었다.[67]

대사들에 있어서는 원작보다 명대사가 많이 뽑혀 나왔고[68] 같은 대사도 추가 대사가 들어가 원작초월로 나온 경우도 제법 많다. 에필로그 이후의 내용이 애니화 되지는 않았기에 그쪽에서 명대사가 많이 나오는 캐릭터들의 경우 다소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69] 오리지날 전개가 적지 않은데다가 그 안에서 명대사를 새로 받은 캐릭터들이 있기에 조절이 적당히 된 편. 이는 본작이 영상미 측면의 연출을 다소 진부하게 넣은 것과 대비되게 빌드업 측면의 연출을 잘 한 것과 비슷한 선상에 있다. 22화의 대사가 특히 거의 다라고 봐도 될 정도로 대사에 신경을 쓴 티가 나는 편이다.[70] 마지막화까지 이는 잘 유지되었다.

전체적인 작품성은 높게 뽑혀나왔으며 특히 원작의 팬들은 24분 × 24화 애니메이션 분량에 맞추면서 주제의식을 살려낸 각색과 구성에 호평을 보내고 있다.[71] 사실 오히려 원작팬들은 해봐야 원작홍보용 애니수준으로 나와, '애니는 있는' 정도로 끝날 것을 예상할 만큼 기대치가 높지 않았고 초반만 해도 원작팬들도 지켜보자는 반응이 많았다[72]. 그것을 길게 늘이지 않고 곧장 작품성을 잘 보여주면서 호평이 이어지고 팬들이 나름의 희망을 가질 수 있게 된 것. 반면 애니메이션 유입 시청자들에게는 인물 간의 감정선 연출과 갈등 설정이 다소 유치하고 또 너무 극적인 해피 엔딩으로만 끝내려다 보니[73][74] 때로는 작위적인 전개로 느껴지면서 스토리의 몰입이 힘들다는 불호 반응이 강하다. 좋게 말해주는 척 하다가 대차게 까는 리뷰 유튜버들도 구성 등에는 상당히 고평가를 남겼고 딱히 크게 까는 내용없이 생각보다 많이 좋다는 반응이 공통이나 마찬가지로 스토리 구성 자체는 현실성이 떨어지고 다소 흔해빠졌다라는 단점도 공통되게 언급되었다. 작품성은 확실히 좋다고 볼 수 있으나 아쉽게도 서비스가 중단된 게임의 애니였던 부분부터 우려 되었듯이 본작의 진짜 중대한 문제점은 원작의 서비스 중단의 여파로 인지도가 너무 낮았고 애니 자체도 이를 극복할 화제성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이다. 애니플러스 순위상으로 방영마다 대체로 꾸준히 순위를 올렸을 만큼 좋은 작품성의 영향은 느낄 수 있었으나 문제는 순위 자체가 평범한 수준에서 메이저로는 가지 못 했다는 것.[75] 방영 시간대도 현지 부터가 01:55다. 내용과 수위는 상당히 건전한 작품인데도[76] 시간대를 저렇게 받았다는 것은 입지가 좋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77] 게다가 경쟁작이 1분기, 2분기 모두 상당했던 것도 영향이 있다.

종합적으로는 원작의 서비스 중단으로 아쉬운 팬들에게는 CUE!라는 컨텐츠의 미디어 믹스 작품 하나를 즐기는 측면에서 이를 충분히 보상해주는 준수한 애니화이나, 미디어 믹스의 목적인 작품 홍보 면에서는 악재를 극복하지 못하고 실패한 작품이다. 그렇기에 더욱 팬들 입장에서는 아쉬움이나 여운이 큰 편. 결국 원작을 비롯한 모든 CUE! 컨텐츠의 서비스 재개 중단, 즉 서비스 종료를 선언했다. #

그 외에는 음악에 강세를 보여온 포니캐년답게 BGM이 좋다는 의견도 있다.

일각에서는 SHIROBAKO의 성우편 외전을 보는 것 같다는 감상평이 있다. 실제로 감독의 콘티를 보면서 녹음을 하거나 캐릭터 디자인 초안을 보고서 회의하는 것 및 감독이 성우들 목소리 하나하나 들어보면서 역할을 배정하는 것 등등에서 SHIROBAKO와 유사한 장면들이 몇몇 묘사된다.

8. 원작과의 차이점

9. 기타



[1] 1화는 01:30에 방영. [2] 프롤로그 조차 리더들을 제외하면 Flower팀만 나온다. 때문에 기숙사 스토리도 Flower만 소감이 나오고 매니저의 입사 또한 Flower만 기여하듯이 나온다. [3] 즉, PV의 초기 장면 밑 마사키의 이야기는 15명의 성우들이 입사하고 난 뒤의 이야기이고 이후 원작 스토리 비슷하게 진행되어 린네나 매니저가 들어오는 식의 이야기도 가능하다는 것. 참고로 해당 장면에 타카토리 마이카도 등장하지 않는다. 린네와 다른 점이라면 나중에 단독샷으로 나온다는 것. 원작에서는 마이카가 처음부터 하루나를 제외한 나머지 멤버와 함께 나온다. [4] 이 장면을 두고 플레이어의 역할인 매니저가 없고 플레이어의 상사이자 또 다른 매니저인 리오가 매니저로 나오는건가 하는 추측이 발생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쪽 계열 작품의 특성상 플레이어를 대변하는 인물은 방영가서야 공개되는 일도 있어 모르는 일. 일단 애니메이션의 경우 공개된 스토리상 비슷하지만 페레럴 월드에 가까워 없애는 것도 가능하다. [5] 원작기준 이는 겨울이다. 원작 메인 스토리에서는 가을이 묘사되지 않았다. [6] 여름에 해당하는 시즌1.2도 복장에 차이는 없긴 하지만 원작 카드에는 여름 복장이 있다. [7] 당연하지만 성우들의 언급에 의하면 작중 중심이 되어 부르는 린네의 성우 사토 마이만 이 곡의 수록에 참여한 게 아니라 Moon의 성우 전원이 불렀다고 한다. [8] 포겔 프로젝트의 등장인물 4인방의 정식 팀명. 이렇게 쓰고 '포츈'이라 읽는다. 그러나 한국한정 저게 천사로도 읽히는지라 나올 때마다 천사드립이 종종 나온다. 하필 버드, 포겔이 날개달린 동물 새라는 점에서 날개로 천사와 공통점이 있기에 그렇게 보이는 것. [9]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10] 오치 히로히토(越智浩仁)의 필명. [L] 라이브 [L] [L] [14] 애니플러스에서는 원래 3월 26일에 12화를 방영해야 하는데 11화를 방영하는 대형사고를 쳤고 방영시간 내내 안 고쳐져서 질타를 받았다. 결국 사과 공지와 함께 다음 날 00:30에 방영해주기로 했다. [L] [L] [L] [L] [L] [L] [21] 5화 처럼 나름 괜찮은 회차도 있긴 했다. [22] 단적으로 태평양 수준으로 보일 장면이 전혀 없다. [23] 여기서 문 4인방이 함께 아이들과 놀아주는 모습이 나오기 때문에 여러 움직임이 나오는데 이 역시 이전 화에서 나온 움직임 보다 잘 만들어 졌다. [24] 8화와 9화를 보면 7화 만큼은 아니지만 6화까지의 작화와는 확연히 전체적인 퀄리티의 차이가 있다. 이러다가도 10화에서는 7화만큼 좋은 작화들이 줄을 지으면서 확실하게 안정시켰음을 보였다. 긴 하청 경력으로 작화 실력이 다져져 있는 한국의 마루애니메이션이 20화의 하청사로 참여했는데 덕분인지 작화가 평균 이상으로 나왔으며 하청하면 부정적인 인식이 있음에도 작화가 잘 관리되는 모습을 보여주게 되어 작화관리에서 확실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21화는 2쿨 중에서 눈작붕이 있는 편에 속하지만 채색은 심각했던 에피소드 분위기에 맞게 적절하게 된 편. 중간에 다소 기복은 있어도 결국 좋은쪽으로 마지막까지 끌고가는 데에 성공했다. [25] 7화는 말할 것도 없으며 18화의 경우 일반 작화는 평범한 수준이었으나 라이브씬으로 포텐을 터트렸고 19화는 7화 급으로 깔끔한 작화가 대거 등장했다. 그나마 평범한 15화도 전체적으로는 절대 안 좋은 편이 아니다. [26] 역시나 2쿨의 시작인 13화에서도 오디션에서 스태프들에게 자기 소개를 하는 장면을 이용해 누가 누구인지, 어떤 행적을 걸어왔는지 짚어볼 수 있도록 연출하는 등 장점을 잘 유지한 모습을 보여줬다. 흔히 그러하듯 1쿨에서 이들이 어떤 굵직한 행적을 걸어왔는지 회상 비슷하게 설명이 나오기도 했다. [27] 예를 들어 햄릿을 아예 모르는 캐릭터카 많은 와중에 토오미 메이 마루야마 리에에게 자세히 설명해주는 장면에서는 토오미 메이가 유명학자의 딸이라는 설정을 알 수 있듯 해박한 면모를 보여주기도 한다. 또 마찬가지로 모르겠다는 반응 속에서 다른 인물이 아닌 원작파악이 특기인 우츠기 사토리가 입을 여는 등 캐릭터의 표현에 있어 신경을 많이 썼다. [28] 4차원 센스가 넘쳐서 다른 회차들에 비해 미묘한 평을 받은 14화도 캐릭터 표현 만큼은 캐붕은 커녕 각 캐릭터들 다운 행적과 묘사를 보여준다. [29] 의도적으로 이 둘의 사이가 좋아보이게 묘사해 원작의 해당 전개를 더 급박하게 만들 수 있다. [30] 정확히는 한 작품에 참여하기 위한 지원을 4명이 했다. [31]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하고 있어 제대로 진행될지도 모르는 상황에 일단 뛰어들어봐야 하는 것 아닌지 고민하는 장면이 나온다. 뿐만 아니라 성우의 일이 노래, 춤까지 확장되었다는 것도 비슷한 맥락. [32] 현실에서도 미디어 믹스를 전제로 한 아이돌물에 오디션이 있기도 한데 그것은 각 회사에서 정해진 파이만큼 캐스트들이 모인 뒤에 캐릭터를 맞춰보는 과정에 가깝다. CUE!도 이러한 오디션이 있었다. [33] 아이리의 고민이 크게 묘사되고 유우키가 팀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점은 원작과 같은 흐름이지만 내용이 완전히 달라졌다. [34] 설정을 보면 일부 등장 인물의 재학중인 학교가 같고 작중에서 같은 교복을 입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들이 처음 소속사에서 만났을 때 관련 대화가 있었는지는 원작에서 묘사되지 않는다. 애초에 16인이 처음 만난 이야기 자체가 메인 스토리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에 비하면 애니판에서는 기숙사에 입소해 어디 학교에 다니는지 등의 이야기가 오가고 대학생인 시호도 2교시라서 여유가 있다고 말하는 등 조금 더 설정에 기반하면서도 상상속에서만 있던 이야기를 볼 수 있다. [35] 초반인 만큼 중요도도 있는 부분이라 나중에 나올 수도 있는 요소지만 초반에 나온 원작에 비하면 이 부분이 많이 스킵되어 다소 전개가 빨라보이는 효과까지 있다. 다만 이미 PV에서 부터 이 개인의 사연과 관련된 대사들이 나온지라 나올 가능성 자체는 그렇게 낮지 않은 편. 그렇게 실제로 5화에서 부터 원작에서 나온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스토리를 담아내며 묘사에 들어갔다. [36] 이런 방식 덕분에 치사는 원작에 비하면 스토리 면에서 상당히 수혜를 받았고 마이카의 스토리는 실제 성우들의 큰 공감과 감동을 이끌어 냈다. 둘 다 원작에선 울고불고 하는 스토리까진 아니었다. 오히려 아이리나 시호 같은 경우는 축소되기도 했으나 그 나름 적당한 이야기로는 만들어졌다. [37] 본작의 장르는 엄연히 성우지만 라이브 등의 활동을 생각해 일단은 아이돌물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아이돌물에 가까우며 성우물이라는 분류가 딱히 정립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일부 사이트 들에서는 분류를 '아이돌물'로 지정해두기도 했다. [38] 이는 성장테마 스토리가 으레 그러하듯 아야의 성장전 모습을 시청자들이 비난하기 딱좋기 때문. 물론 제대로 감상하는 사람이라면 굳이 그러지 않겠지만 실제로 다짜고짜 욕부터 던진 평도 있었다. 그렇기에 초반의 부족한 모습을 그대로 묘사하면서 '지금은 다르다'가 부각될 수 있도록 회상 형식으로 본인의 내레이션이 들어간 구조를 취한 것이다. 현재 시점에서 그것을 다르게 생각하는 모습, 다른 동료들이 해당 건을 잘 마무리하고 웃어넘길 수 있게된 분위기 등을 직접 보여주어 부정적 인식을 희석시킨 것. 후술할 내용과 함께 중심스토리는 원작과 같은데도 얻어간 것은 많은 방식이었던 셈이다. [39] 풍선을 통해 모인 4인이 우연히 스태프 라인 4인방의 계획과 맞아떨어져 운명처럼 팀이 되는데, 여기서 4명으로 무언가가 하고 싶다는 미하루의 말에 리코가 본인의 사연을 이야기 하며 라디오를 제안해 이루어 진다. 이것이 진행되는 과정도 제법 현실적으로 인터넷 방송을 이용하는 쪽으로 이야기 해서 자연스럽게 처리되었다. 보너스로 대화를 통해 이 4명이 인터넷 방송을 어렴풋이 알아도 자세히는 모르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캐릭터 묘사가 괜찮은 본작답게 이 부분에서 큐의 도라에몽, 데우스 엑스 마키나로 활약하는 토오미 메이를 등장시켜 자연스럽게 넘어갔다. [40] 원작의 1~4장은 개인의 사연을 다루고 마지막에 데뷔라는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어서 이대로만 가져오면 스토리 자체는 나쁘지 않을 지언정 장르이자 주제인 '성우'와는 다소 거리가 생긴다. 성우는 부차적인 것이 되고 성우의 길에 접어든 16인의 청춘물에 가까워 질 수 있는 것. [41] 단적으로 결성은 사실상 원작에서 묘사가 없는 수준이었는데 유일하게 윈드만 비슷한 에피소드가 있었다. 알아서 잘 지낸 플라워, 멋지게 그리기엔 초반이 너무 난장판이고 수습에도 시간이 걸리는 버드, 이상해 보여도 진지하게 팀이 분열될 일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문에 비하면 윈드의 초반 스토리는 드라마틱한 전개도 있는데다 단합으로 이어진 요소도 있어서 그대로 써먹기가 편했고 라디오 소재를 이용해 말 그대로 적절히 버무려 졌다. [42] 9화에서도 유즈하의 스토리를 묘사하면서 원작과 크게 차이 없는 노선을 탔는데, 이 또한 윈드의 스토리 처럼 원작을 따라가면서도 적절히 성우라는 소재를 지킨 편. 애초에 유즈하의 스토리에서 클라이맥스는 유즈하가 해외를 전전하며 어떤 마음이었는지와 그와 관련있는 성우를 지망하게 된 이유이기 때문에 이를 그대로 보여줘도 장면 자체가 멋진데다 성우들이 어떤 마음으로 업계에 뛰어드는지, 해외에서 나고 자란 성우들의 경우 어떤지 등을 충실히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유즈하 자체에 집중한 듯한 9화지만 버드의 포겔 활동 라이브씬이 묘사되는 등 과했던 이야기는 적절히 축소 시킨 점도 그렇고 우려했던 부분의 완급 조절은 잘 된 편이다. 포겔 활동을 응원 나오는 에어블루 구성원 전원을 그린 최후반 장면은 실시간으로 적절한 서비스와 감동이 있는 점이 호평 받은 장면이기도 하다. [43] 신인들의 경우 같은 소속사 선배들의 라디오에 등장하면서 대중들에게 모습을 드러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추가로 윈드는 라디오 활동을 하면서 이게 애니 데뷔로도 이어지는데, 이때 윈드의 라디오를 전세계에서 듣고 있었다는 것도 다분히 현대의 상황과 맞춰진 묘사다. 당장 한국의 성덕들은 상당수가 일본 성우들의 라디오를 듣고 있으며 라디오 사연에는 가끔이지만 세계 각국에서 사연을 보내 이것이 읽히곤한다. 큐의 온라인 사인회만 해도 참가자들의 국적이 제법 여럿이었다. [44] 보통 데뷔 이전 무대 활동을 했던 경우가 많으나 성우 기획사에 소속된 성우가 되고 나서도 무대활동을 하는 성우들도 많고 실제로 낭독극은 성우들의 영역에 들어간다. 본작의 성우들도 마츠다 사키처럼 무대에 더 많이 오르는 성우가 아니더라도 한 번씩 낭독극을 뛰는 인물들이 있고 큐 컨텐츠 자체도 낭독극을 연다. [45] 소속 되는 첫 날 대단한 레슨도 없었는데 가서 합격한 경우. 물론 현실에서도 비슷한 케이스가 없는 것은 아니다. 와키 아즈미처럼 데뷔 캐릭터의 오디션 현장에서 이것 저것 배웠다는 케이스도 있다. [46] 하루나만 봐도 좀 더 현실적으로 변한 편. 원작에선 별다른 배경없이 재능 묘사도 없던 하루나가 주역을 받고 데뷔하지만 애니에선 고정 출연자로 '힘내!'만 줄창 외치던 신세였다가 원작자가 연기에 감동을 느껴 연재 결정단계에서 잘려서 뒷설정으로만 남았던 캐릭터를 애니화 기념 특별 에피소드를 통해 살려내면서 하루나가 운 좋게 고정 배역을 갖게 되는 식으로 흘러갔다. 원작도 없는 케이스는 아니지만 애니쪽이 '왜 이렇게 되었는가?'에 대한 설명이 '연기 및 목소리가 준 감동'으로 잘 설명되었고, 하루나의 재능도 다소 버프를 받았고 볼 수 있다. 다만 고정출연자로 데뷔하긴 했지만 실제로는 저 몇 마디만 하고 추후 다시 나올지 알 수 없는, 설령 나온다 해도 그 때만 다시 불러도 충분할 무명 성우를 계속 기용하기 위해 매 회 참여하는 고정 출연자로 꽂아준 것이기에 현실에서도 드문 케이스이긴 하다. 보통 저런 단역은 기존 네임드 출연진 중에서 담당하는 경우도 많고, 화제성을 위해 네임드 성우들을 매 회 갈아치우듯 기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 [47] 제대로 된 수록이 묘사될 때마다 상당한 긴장감을 불러오는 지라 매번 회자되는 편. 10화에서는 캐릭터의 슬럼프와 엮어 절정을 찍었다. [48] 원작에서는 거의 볼 수 없었던 장면이기 때문에 수록씬이야 말로 본작의 각색이 얼마나 현실을 잘 반영했고 흥미롭게 재탄생 했는지 보여주는 장면이다. [49] 레슨의 연기씬에서 햄릿 인물들의 얼굴을 성우들로 바꾸지 않고 마호로가 연기에 돌입하는 실루엣이 나오는 장면 까지나 초반부 하루나의 연기처럼 처리했어도 좋았을 것이다. 약간은 백합연출을 노린 면모도 있지만 다소 난해한 부분이 없지 않다. 연기씬 별로 차별화 하려는 것인지 2화에서는 사용되지 않은 연출. 2화까지 나오는 3번의 연기씬은 모두 연출 특징이 조금씩 다르다. 대신 2화는 오리지날 등장인물인 케이코가 조금 진부하게 느껴지는 편. 다행인지 아닌지 이후 대부분의의 장면에서는 그녀의 이야기만 전달되고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첫 화의 연기 연출이 너무 오그라 들어서인지 10화에서는 비슷하게 나올 뻔 했음에도 완전히 다른 연출이 사용되었고 10화가 준 큰 긴장감과 몰입감을 방해하지 않고 적절히 끝났다. [50] 제일 오글거렸던 연기씬이 실제 수록에 들어가면서는 이전과 완전히 다른 연출이 이용되는데 연기를 하고 있다는 것을 부각시키기보다 '수록현장'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더 부각시켜준다. 완성된 극중극을 토대로 연기하지 않고 거의 콘티나 기본단계만 보고 연기하며 성우들이 차례로 마이크 앞에 서서 신호에 따라 연기를 하는 등 이전에 보여준 '메소드' 표현과는 다른 현실적인 묘사를 보여준다. [51] 1화부터 소속되자 마자 오디션을 보는 전개가 나왔다는 것을 생각하면 본작이 얼마나 긴장감을 뽑아내는데 주력했는지 느껴진다. [52] 문 멤버들이 기숙사에서 말싸움을 하는 장면이다. [53] 사실 긴장만이라고 하기 보다는 위화감까지 겹친 묘한 감정이 드는 쪽이다. 위화감이 느껴진다는 것은 그만큼 왜 그런지 모른다는 의미이며 시청자는 이런 마음이 드는 시점에서 작품이 어떻게 진행될지 궁금해 하고 예측과는 다를지 모르겠다고 생각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비단 문 멤버들이 말싸움을 하는 장면만 이런 장치가 된 것이 아니라 리에가 13화 시작부터 슬럼프를 느끼는 것부터 해서 오디션 중에도 실수를 보이는 장면까지 긴장감 형성 역할을 톡톡히 했다. [54] 상황 자체는 리에가 중간에 실수를 한 것으로 시작해 오디션장에서 갑자기 말싸움이 벌어졌던 것으로, 더 심각한 게 맞는데 이 대화 내용이 앞에 나온 장면과 똑같다. 기숙사에서 메이가 손에 자료를 들고 있었던 것이 사실 이들이 프리토크를 연습중이었다는 떡밥이었던 것. 작중 문 제외 등장인물들이 모두 놀라는 것과 다르게 시청자 입장에서는 말싸움이 초반부를 지나자 이전에 나온 대사들이 그대로 나와 페이크임을 서서히 인지하게 된다. 담당 성우들도 같은 대사가 나오는 것으로 알아차렸다고 하는 등 이 부분 자체가 확실하게 기점이다. [55] 작중 이들의 말싸움은 프리토크를 하겠다는 설명없이 돌발로 시작되며 스태프들은 연기라는 것을 나중에 듣고도 왜 이걸 보여줬는지 의아해 하는데, 이것은 넷이 연기하는 캐릭터들이 최강의 팀이지만 사실 의견이 맞지 않아 싸우기도 한다는 설정이 있어 이를 리에가 절묘하게 캐치해 계획을 짠 것이었다. 중간부터는 심각한 분위기에 등장인물 모두가 놀라지만 왜 그랬는지 설명이 나오기 시작하자 등장인물들은 물론 페이크라는 것을 더 빨리 눈치챈 시청자 입장에서도 문의 명쾌한 해석과 준비가 통쾌함을 가져다 준 것이다. [56] 한동안 스케줄이 어떤 게 있나 살펴보는 짧은 장면과 오디션이 끝난 이후를 뺀 전부 이므로 사실상 전부다. [57] 포겔 활동이 막을 내린다는 떡밥이 나오다가 16인이 이걸 다 함께 듣는 것으로 사실 막을 내린다는 건 페이크고 나머지 12인 모두가 추가되는 희소식 발표인가 생각하는 순간 막을 내린다는 것은 진짜였다는 철렁한 이야기가 나오더니 얼마 안 지나 새로운 컨텐츠로 새출발하고 16인 모두가 참여하게 되었다는 대반전이 등장한다. 게다가 이것이 11화에서 나온 FF의상과 마찬가지로 16인의 라이브를 위한 빌드업이다. 새로 시작되는 이 '프로젝트 힘멜'의 예고 영상에 'New Friend'라는 문구까지 지나간다. [58] 기존에 비해서 유독 클로즈업샷이 많이 쓰였다는 특징이 있고 구도면에서도 기존과 다른 분위기가 큰 편. 작화의 질도 좋은 편이라 스기타 토모카즈가 제기했던 '스태프 중 미하루의 팬이 있다.'가 신빙성 있을 만큼 마호로의 메인 에피소드에 덩달아 서브주역으로 등장한 미하루의 외모가 상당히 부각되도록 그려졌다. 게다가 이곳저곳에서 미하루의 성격을 그대로 담아내려 노력한 티가 느껴질 정도. 분위기는 다른 요소들도 있지만 마지막에 애니 이전 악곡이자 큐의 악곡들 중에서도 서정적인 분위기로는 상위권이라고 볼 수 있으며 마호로가 첫 파트를 맡은 '물방울의 결정'이 깔리면서 그 서정적인 정취에 쐐기를 박았다. 게다가 움직임도 다른 회차보다 부드럽다. 당장 아방파트의 아이들이 뛰어노는 씬만 봐도 눈에 띈다. [59] 제작 순서는 알 수 없으나 19화 또한 묘하게 연출이 다른 느낌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이 연출이 16화와 살짝 닮은 면도 있는 등 맞춰서 변화한다는 생각도 드는 편. 콘티와 연출 부문에서 이전 회차 스탭롤에 이름을 올린 적이 있던 스태프는 18화 라이브 콘티 담당이었던 카토 모에 뿐이다. [60] 굳이 이야기 하자면 18화 말고는 딱히 이렇게까지 복잡한 경우는 없다고 봐도 좋다. [61] 단순히 우정의 재확인이 중심이었던 원작과 달리 18화는 메이에 대한 많은 묘사가 담겼다. 메이 자체가 말이 많지 않기에 영상미에 의존해야 하는 면이 있고 기본적으로 메이의 표정 하나하나를 세세하게 비교해볼 필요까지 존재한다. 메이의 말과 행동이 다양한 편이었던 15화와는 반대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원작의 연출과 애니의 연출 차이와도 같은 선상에 있는 점으로, 원작 게임에서야 개개인의 독백이 많았으니 메이가 말을 많이 한것이나 다름없었으나 애니는 많은 작품들이 있던 독백을 크게 줄여서 만들듯이 독백이 줄어 자연히 메이의 속내를 더 알기 어려워진 것. [62] 13화에서 떡밥이 던져진 신곡이 나온 포춘의 라이브가 대충 넘어간 건 아쉽지만 그래도 전체적인 작화 퀄리티는 떨어졌다기 보다 적당히 괜찮은 편에 속한다. [63] 3D자체는 괜찮은데 16인 모두를 비추려다보니 카메라워크가 단조로워서 Moon의 라이브, 특히 리에가 첫소절을 부르는 파트 만큼의 역동성이 느껴지는 연출이 거의 없다. 곡이 처음부터 끝까지 나왔음에도 현실에서 보여준 라이브에 비해 단순한 댄스버전 3D뮤비를 보는 느낌이 큰 편. [64] 원작에서도 라이브는 대체로 한 작품에 출연하게 되고 그 작품의 관련 행사로 하게 되었다는 식인데 일반적으로 한 소속사에서 한 프로젝트에 전원을 때려박고 이를 통해 다 함께 라이브를 하는 그림은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에어블루 자체로도 그리 큰 규모는 아니라서 이것도 과연 어떻게 성공할까 싶은 감상 포인트에 해당하는 내용이었는데 15화에서 '프로젝트 힘멜'이 에어블루로만 구성될 수 있었던 것은 크라우드 펀딩을 해야 했을 정도로 별 바탕 없던 프로젝트 포겔에 에어블루가 적극적으로 나서 4명 모두 에어블루 성우로만 참여하게 되었고 이 활동을 열심히 잘 했기 때문이라는 배경이 있다. [65] 19화에서 이례적으로 1~4장 이후에 해당하는 에필로그인 16인의 낭독극을 각색해 리에의 스토리로 만들었기에 16인이 모두 등장했는데, 이는 단순히 16명 얼굴 보여주는 서비스로만 볼 수는 없다. 이 회차에서 16인 모두의 프로젝트 힘멜 참여가 결정되어 마침내 16인의 라이브가 코앞에 다가왔기 때문이다. 즉, 모두의 호흡이 중요한 본격적인 라이브를 맞이하기 전 한 기숙사에서 생활해온 것 이상의 유대를 보여주기 위한 시발점이 되는 스토리다. 리에에 대한 것으로 대표되듯 서로에 대해 알게되는 기회가 되었다는 묘사도 등장한다. [66] 1쿨의 오프닝 부터 FF의 안무가 한 컷 지나가는데 11화에서 의상이 등장하고 15화에서 사실상 등장 배경이 다 갖춰지면서 아예 애니 이전 악곡이자 컨텐츠 최초의 악곡 제목을 떠올리게 만드는 'New Friend'까지 한 줄 등장해 기대감을 올리고 작중 등장한 이 예고 영상이 CUE의 PV등과 비슷하게 나오는 것으로 시작의 향취를 완전히 자극했다. 22화는 마침내 제목이 Forever Friends로 결정되며 16인 전원의 목소리가 예고에 쓰였다. 이 22화는 온전히 팬서비스에 가까운 회차인데 기존에 미뤄둔 원작의 스토리를 하나씩 넣으면서 캐릭터 묘사를 하고 Forever Friends의 등장은 물론, 라이브에서 극중극인 힘멜의 애니화가 공개되는 스토리는 현실에서 CUE!가 걸어온 길과 유사했기에 팬들에겐 감동을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최후에는 '마이 서스테이너'까지 엔딩으로 깔리면서 팬서비스를 꽉꽉 채워넣어줬다. 이외에도 22화를 통해 현실의 'CUE!'라는 작품을 느낄 수 있는 요소가 꽤 있는 편. 그 와중에 다행인 점은 원작에서 평이 좋지 않은 편에 속했던 FF의 스토리가 거의 쓰이지 않았다는 것. 원작에서는 캐붕 이야기가 많이 나올 정도로 평이 좋지 않았다. [67] 특유의 나긋나긋한 목소리로 불러주는 노래가 등장하는데 이 노래가 가히 치트급으로 감성을 자극한다. 특히나 이 노래를 부르기 전 미하루의 대사가 명대사라서 더욱 서정적이다. 사실 1쿨만 하더라도 윈드 전체적으로 문에 비교해도 비중이 너무 적다는 평이 있었는데 2쿨로 넘어가며 윈드와 문을 집중조명하게 된 와중에 윈드의 에피소드에서는 전부 미하루가 크게 등장하는데다 16화라는 대호평인 에피소드도 생기면서 많은 것이 해소, 미하루는 원래도 캐릭터 평가가 좋았던 마당에 수혜까지 얻은 것이 되었다. [68] 다소 불호의 반응을 살 수 있거나 너무 어두운 요소는 애초에 대거 잘려나갔다. [69] 사실 애니와 원작간 캐릭터 성장 템포가 살짝 달라서 애니 24화 안에 원작의 시즌 1.3까지의 성장 수준이 담겼다고 봐도 무방하다. 원작이 1.3을 제외하면 성우를 해도 되는가에 꽤 할애한 느낌이라면 애니는 성우를 해도 되는지에 대해서는 상당히 최소화 되었으며 시작을 내딛으며 제대로 된 성우로서의 성장에 더 중심적이다. 24화 한정으로는 시즌1.1이후의 주제들이 다소 엿보이는 이야기가 나오긴 했다. [70] 대표적으로 리에의 마지막 대사인 '하늘이 파랗구나'는 16인의 소속사인 AiRBULE를 의미하는 표현이라고 볼 수 있으며 '레드오션(파란하늘/붉은바다)'인 일본 성우계를 생각하면 원작부터 있던 이름이지만 대단히 희망적인 대사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이 대사를 치는 리에의 Moon 팀은 애니에서 가장 일거리가 있는가 없는가로 고민이 많았기에 의미가 깊다. [71] 1쿨에 비하면 2쿨의 감동은 특정 회차를 제외하면 다소 낮은 편이지만 결국 마지막화는 1쿨 처럼 잘 뽑혔다. [72] 당연하지만 이 분위기 속에서 2쿨 분량 발표는 애니 관련 사건 중 제법 화제성이 있던 사건이었다. [73] 그나마 마지막화는 예전부터 그래왔듯 현실적인 성우계를 더욱 드러낸 이야기로 흘러갔기에 기승전 해피엔딩 보다는 현실적인 어려움 속에서 버텨 나가는 모습을 주로 묘사했으며 마지막으로 나온 오디션의 결과가 어떻게 될지는 열린결말로 끝나면서 현실적이라 쓰라리지만 멋진 이야기로 잘 마무리 됐다. [74] 합격여부를 알 수 없는 오디션을 통한 수미상관 및 열린결말로 끝난 것도 그렇지만 뻔하게 힘멜의 수록으로 끝내지 않고 현실적인 애니 제작사정과 성우들이 그 안에서 느끼는 감정을 잘 엮어 소재를 이용한 점은 잘 된 부분이다. [75] 원작도 그렇지만 리뷰어들이 말하듯 분명 신인이 묘사된 성우물에서 신인성우들을 기용해 작품을 시작한 것은 매력적인 부분이었다. 하지만 이는 맹점이 존재했는데, 성우팬덤의 확장을 보고 성우팬을 노리며 이런 작품을 만들었겠지만 정작 신인성우들을 써서 성우팬들이 관심을 가지려 하지 않았다는 것. 임직원 캐릭터와 애니의 조연 캐릭터들의 성우가 빵빵한 것은 이를 보완하기 위함일수도 있다. 중간에 인지도가 꽤 오른 성우들도 있었으나 이미 게임이 서비스를 중단한 후였다. [76] 몸매가 좋은 캐릭터들은 있는데 부각시키는 장면은 원작에서도 없는 수준이었고 애니는 더더욱 그렇다. 그 흔한 목욕씬도 아주 짧게 19화 되어서야 한 번 나왔다. 한국 기준 본작은 15세 이용가다. [77] 물론 동일한 아니메이즘 시간대 작품임에도 주목도가 높은 작품들도 더러 있으나 이 경우 대개 원작이 이미 인기작이었거나 거대로봇물처럼 주목도가 높은 장르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었던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본작은 전술했듯 원작이 서비스 중단을 맞아 인지도가 거의 전무했던 수준이었다. [78] 이후 2화까지는 거의 완전히 오리지날 전개이며 3화 부터는 원작의 장면을 채용하고 시간대만 바뀌어서 원작의 흐름대로 가지만 자체는 꽤 다른 전개로 진행되었다. [79] 마지막에 딱 한 장면 등장하고 대사도 한 마디가 전부다. 원작에서 린네의 등장은 갑작스러운 이벤트인데 원작에서 묘사되지 않은 시점에서 린네와 성우 기획사 에어블루의 접점이 어떻게 발생해서 린네가 에어블루를 골라 들어왔는지 설명이 되는 셈이다. 2화에서 실제로 린네가 15명이 무엇을 하러 왔고 어떤 곳에서 왔는지 듣는 연출이 나온다. [80] 원작은 하루나가 소속사로 향하던 중 매니저와 부딪히면서 시작되며 매니저가 하루나를 도와주어 하루나가 답례랍시고 매니저를 에어블루에 데려가 마사키와 만나며 그가 매니저가 되는 단초가 생긴다. [81] 원작의 플라워 스토리를 보면 분명 회상까지 등장해 작중 시점 이전에도 레슨은 있었던 것처럼 묘사되는데 버드 시점에서는 인원들의 세부사항까진 모를 수 있으니 "여러분들의 특징은 대강 들었습니다."라는 말을 할 수는 있으나 자기소개 자체는 처음 본 것처럼 할 필요가 없어서 약간 불분명하다. 애니판에서 이 부분을 확실히 짚어두는 것은 깔끔했다. [82] 원작은 하루나가 직접 왕따는 아니어도 말을 걸어주는 이는 없었다고 말한다. [83] 도입부에서 하루나가 이 대사가 나올 시점에 대본을 떨어트리기 때문에 나오지 않는데 친구가 "제일 중요한 대사잖아."라고 말한다. 이후 후반부에 마사키가 나타나며 해당 애니가 하루나의 상상으로 등장하고 캐릭터가 말하듯이 이 대사가 등장한다. 즉, 도입부에서 하루나가 대본을 떨어트린건 단순 캐릭터성을 보여주기 위함 만이 아닌 이 대사를 띄워주기 위한 떡밥. 무슨 대사였을까 하는 것을 마지막에 풀어준 것이다. [84] 하루나가 잘 한다 라는 단순한 것은 아니다. 몰입하는 능력이 두드러진다. 2화에서는 이것도 나름 다양한 연기를 소화시킬 수 있는 듯 묘사되어 원작보다 연기에 두각을 보이는 건가 싶기도 하지만 양성소를 다니고 있던 듯한 묘사가 나오니 그냥 배운게 있어서 그렇다로 넘어갈 수도 있는 부분. 원작에서 마이카와 시호의 재능이 부각되었던걸 생각하면 애니판은 하루나가 이 둘과 비슷할수도 있을지 모르겠다 싶은 연출이다. 다만 주인공처럼 부각시켜주려고 하면서도 원작의 묘사를 따라가려는 것인지 실제로 3화에서 나머지 재능인 2명과 더불어 호노카 까지는 그럴듯한 배역을 받았는데 하루나만 '학생A'라는 엑스트라를 받았다. 덕분에 하루나는 주역으로 데뷔한 원작과 달리 커리어가 너프당했다. 하지만 4화를 통해 확정된 하루나의 배역이 고정 출연이라 다양한 연기를 펼치게 됐는데 이것이 하나의 작품에서 여러 가지 연기를 직접 해볼 수 있다는 것임을 생각하면 다소 주목받지 못 하더라도 포텐셜을 키울 수 있는, 밑바닥 부터 차분히 닦아가는 소년만화 주인공 같은 왕도 전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85] 원작의 기숙사 입소 스토리는 Flower만 나오지만 "다음 기숙사에 넣을 팀은"이라는 언급이 있고 이를 통해 기숙사의 입소가 한꺼번에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86] 원작의 플라워와 버드에 해당하는 인원들이다. [87] 이렇기 때문에 사실 왜 이 4명씩 묶였는지는 거의 묘사되지 않는다. 원작의 모호했던 부분을 조금이나마 애니에서 묘사해준 부분이다. [88] 치사의 이야기도 그렇고 사실 4명이 결성되어 본격적으로 안면을 트고 나서 나오게 만들어도 원작이랑 일부 장면이 나오는 순서만 다르지 별 차이는 없다. [89] 다소 스토리의 볼륨이 큰 Bird나 '운명'이라는 테마로 수미상관 구조를 이용해 이야기 자체가 매력적인 Wind와 달리 Flower와 Moon은 정석적인 루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90] 4개 회차를 통으로 등장하지 못했던 탓이 크다. 사실상 7화는 그간 못 나온 린네에 대한 보상. [91] 1화에서 오디션장 건물에 있던 이유는 다름아닌 린네가 오디션을 보러왔었기 때문이다. 아무나 들어가는 장소가 아님을 생각하면 이 역시 떡밥이었던 셈. [92] 추가로 원작에서는 린네의 꿈이 놀이공원에서 일하는 사람이었던 것과 달리 애니에서는 이것이 알바를 하던 이력으로 바뀌었고 꿈이 방송에서 아이들과 노래부르는 역할을 하는 언니로 바뀌었다. 나름 린네를 띄워주는 과정에서 노래씬까지 넣어주면서 이렇게 바뀐 모양. [93] 추가로 원작에서는 이것도 있지만 환영회를 벌이며 제법 서로에 대한 이야기를 진하게 나누기에 초반부터 그다지 모르겠다는 분위기 없이 진행된다. 애니는 대화 내용 자체가 많이 바뀌기도 했고 린네가 빠르게 견학 이야기를 꺼내서 이럴 틈도 없었다. [94] 원작에서는 그 헬기를 타고 온건지 다른 인물이 타고 있는지 나오지 않으며 유즈하는 이미 내려있던 상태였다. [95] 여담으로 덕분에 이 장면에서 등장했던 여성 경호원이 잘렸다. [96] 딱 무리수가 되지 않을 만큼으로 조정된 편이다. [97] 이 요소는 제법 광범위 하게 동료를 정의하고 있다. 다른 15인의 성우들만이 아닌 마이카가 주로 같이 수록하는 게키아츠 성우들도 포함되며 10화에서는 마이카의 그룹과는 다른 스카이 블루 팀의 성우들도 동료라는 주제를 한껏 드러내듯 배치되었다. 뿐만 아니라 급히 달려온 리오, 수록 현장의 스태프들 까지 등장인물은 거의 대부분 이렇게 쓰였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 연출 자체가 빌드업이 깔끔하다. 다른 팀의 멤버들이 등장하면서도 특히 윈드의 라디오가 내레이션 비슷하게 이용되어 주제를 부각했고 마이카가 수록하는 극중극 장면도 이런 비슷한 내용이 담겨 있었으며 음향감독이 이를 짚어 주는데, 마이카를 혼내러 가야 겠다고 말하면서도 사실 밖에서 돌아가지 않고 마이카를 걱정스레 지켜보던 플라워와 리오가 안에 있던 마이카를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일종의 '큰 그림' 이었다. 역시나 이를 본 마이카가 깨달으면서 장면에 맞는 연기를 펼치고 슬럼프를 깨 성장한다. [98] 원작에선 이렇게까지 심각해지지 않고 훈훈하게 넘어간다. 애초에 유우키가 팀원을 대면하며 통합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일이기 때문. [99] 원작에서는 나름 이 인물이 언급되는 것도 중요한 일이었다. 이 인물을 덕질해온 마음이 곧 치사가 성우를 꿈꾼 이유이기도 한데다 이 인물이 동향 사람이라 치사가 어느 정도 자신감을 얻었기 때문. 다만 11화에서 언급되지 않아서 그렇지 이전부터 묘사된 치사의 방은 어떤 남성이 그려진 포스터가 벽에 붙어있다. [100] 원작에선 부상자까지 나온 혹독한 리얼리티 오디션이 이에 대응한다. 그에 비하면 애니에서는 덜 고생하게 된 셈. [101] 원작에선 라디오 활동이 묘사되지 않기도 했고 애니에서 라디오를 나중에 이루어질 애니 데뷔와 분리(단순 애니 데뷔전 활동으로만 두지 않고) 시키지 않고 연결시켰기에 가능했다. [102] 설정에도 추가된 것이 있어서 원작과 달리 사토리의 어머니에게 '우츠기 료코'라는 이름이 붙었고 메이의 어머니가 연구하는 분야가 문학이라는 내용이 나온다. [103] 일부는 결국 메이가 방에 들어가 우연히 발견한 것들을 이용하나, 대화를 이어가는 족족 사토리가 스스로 털어놓게 되는 식으로 흘러간다. [104] 13화에서 비슷한 일이 있었던 것으로는 묘사되나 15화를 보면 린네는 사토리가 왜 아침을 같은 것만 먹는지 모른다. 물론 13화에서 언급된 게 이와 관련 없는 루틴이었다면 린네 특유의 천연이 이를 알아챘을 리는 없기도 하다. [105] 원작의 치사도 엄밀히 말해 애니에 비하면 결말은 없는 수준이었지만 그래도 유우키가 힘을 복돋아주는 정도의 간단한 마무리는 있었다. [106] 애니에선 한 번 더 마호로가 섞여 들어가는 이야기를 해줬지만 사실 마호로는 원작에서 고양이 사건 때 단합이 끝난 것처럼 묘사된다. 어떻게 보면 부족했던 부분이기도 했고 애니 기준으로도 마호로의 첫 태도와 이후 변화는 생각보다 간략하게 넘어가기 때문에 자체적인 완성도를 챙긴 셈. [107] 이런 중심적인 캐릭터 서사는 치사와 마찬가지로 시즌 1.1에서도 추가로 다뤄지지 않았다. [108] 원작에선 플라워 멤버 전원이 알게 되지만 애니에선 아무도 모른다. [109] 원작은 성장이 있긴 한데 호노카가 좀 더 열정을 갖게 되는 정도고 이 이야기가 있기 전에도 호노카의 열정 넘치는 모습이 나온다. [110] 애초에 호노카가 모르고 넘어가는 것도 그렇지만 원작에서는 이 선더우먼이 호노카가 성우를 지망한 이유라고 직접적으로 나오는데다 호노카가 보냈던 팬래터를 통해 키리카도 영향을 받은 게 있었다고 하는 등 선더우먼이라는 사제의 연결점 자체는 원작이 더 깊다. 애니는 이쪽을 약화시킨 대신 호노카 개인이 캐릭터에 이입하는 '연기'에 집중했고 선더우먼을 통해 스승이 제자에게 가르침을 주는 방식이다. [111] 일단 예명을 사용한 전직 성우라는 것도 거의 확실하게 나오며 선더우먼을 동경한다는 말에 반응하고 마치 선더우먼의 입장이 되어본 것처럼 말하는 대사들은 키리카가 성우로서 선더우먼에 몰입했던 적이 있다는 증거. 성우를 잘 안다면 선더우먼의 목소리가 나오는 부분에서도 바로 알아챌 수 있다. 키리카와 같은 성우이기 때문. 참고로 선더우먼의 목소리는 원작에선 나온 적이 없는 애니 오리지날 요소다. [112] 원작에선 이게 둘의 에피소드를 마무리 짓는 중요 장면이었다. 과거와 현재를 겹쳐보는 장면. [113] 18화에서 중요하게 다룬 것은 어떻게 말하면 메이가 남들과 어울리는 모습이다. 전반적으로 과거부터 해서 메이는 다른 15인과 그럭저럭 잘 지내는 것 같아도 리오를 대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듯 대인관계 능력은 빵점 수준이며 수록현장에서 음향감독의 주문에 잘 따라주긴 하나 예/아니오 정도의 지극히 상투적이고 무미건조한 반응만 해서 음향감독이 연기에는 오케이를 내리면서도 싹싹한 느낌은 없는 그 모습에 아쉬워 하는 것이 묘사된다. 리에와의 첫 만남에서 조차 처음엔 리에의 눈이 묘사되지 않을 정도로 철저히 엮이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런 메이의 변화, 리에가 말한 환경의 변화는 바로 리에는 물론 린네와 사토리가 이렇게 옆에 있어주는 것으로 묘사된다. 메이에게 있어서는 Moon이라는 팀에 자신이 속해 형성된 것 자체가 스스로의 변화를 상징하는 셈. [114] 대표적으로 어린 시절과 현재를 교차하며 보여준 전개 방식을 예로 들 수 있다. [115] 마지막에 버드의 데뷔 때처럼 모두가 응원하러 온 모습이 지나간다. 평범한 연출이고 이미 나온 적이 있는 구성이지만 18화의 내용은 메이의 주변 환경 변화, 즉 리에를 포함한 에어블루의 모두가 지켜봐주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좀 더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116] 한 마디로 메이는 성우를 안 해도 프로그래밍으로 먹고 살 수 있는데 그 마저도 안 해도 집에 돈이 많아 무엇을 해도 취미로 하는 것에 불과한 것이 되었다. [117] 시즌 1.1의 마지막 즈음 벚꽃이 핀다는 묘사가 나오는데 시즌 1.1은 이미 키리카가 떠난 뒤이며 치사는 직접적으로 키리카가 떠난 것을 마음에 두고있음이 묘사된다. [118] 원작에선 둘이 평생 싸워도 이상하지 않을 만한 일이었고 시호가 잘 노력하고 호노카가 받아주면서 나중에 신뢰하는 동료가 되는 느낌이지만 애니에서는 그냥 평범하게 좋은 사이고 특정 사건들로 굴곡없이 베프가 되는 느낌이다. [119] 미하루의 담당 성우 이름은 '안자이 유카리'인데 스기타가 이를 이용해 미하루를 '자이안'이라고 불렀다. 이는 도라에몽의 캐릭터 퉁퉁이의 별명과 비슷해서 더더욱 드립이 된 것이다. 글자 자체는 'ざいあん'으로, 퉁퉁이의 별명인 'じゃいあん’과는 차이가 있지만 발음은 비슷하다. 한글로 비슷하게 표기하면 '자이안'이냐 '쟈이안'이냐의 차이. 미하루의 별명이 되었기도 하지만 안자이 유카리의 별명으로도 함께 쓰인다. [120] 아트비전 계열사야 원래 어딜가도 많으나 야마구치 리카코 이이즈카 마유의 고등학교 선배이자 스승이고 오기노 하즈키는 2명이나 있는 81 프로듀스, 카와스미 아야코 츠치야 리오와 같은 오사와 사무소다. 심지어 츠치야는 우치다 마아야의 오타쿠로, 처음으로 스탭롤에 함께 이름을 올린 게 데뷔작인 본작이다. 이외에도 소속사가 같은 조, 단역 캐스팅이 있고 그나마 거의 연관 없는 키토 아카리는 동분기 무라카미 마나츠와 아케비의 세일러복에서 주역으로 호흡을 맞췄다(단, 본작에서는 접점X). 조단역을 상당히 빵빵하게 구성한 것이 마냥 좋게만 선정한 것이 아니라 나름의 이유가 있을 수 있다는 것. [121] 딸인 이노우에 호노카도 성우를 하고 있어 업계에서 모녀 2대 성우 하면 바로 나오는 모녀이기 때문이다. [122] 주역에 맞춰 플라워, 버드가 메인이면 1절로 나오는 등 이는 유동적이다. [123] 일본어 문자 표기상으로는 같다. [124] 사실 이누야샤의 오마주로 보이는 이 작품이 모녀의 서사에 등장한 것은 제작진의 의도가 있을 수도 있는 부분으로, 이누야샤라는 작품이 부모 자식간의 서사도 꽤나 다뤘기 때문이다. 작중 사토리의 어머니와 사토리의 관계는 개 대장 셋쇼마루와 닮아있다. 둘 다 부모 자식간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못 해 갈등이 발생했고 자식이 부모를 넘어서려는 면모가 있다. [125] 딱히 재일출신 이라거나 한국인 스태프 중에서 수록에 들어간 것도 아닌지 억양은 전자 아바타를 통해 냈다고 해도 어색하다. 참고로 남성 음성 1개와 여성 음성 2개다. 여성음성의 경우 미약하게나마 추측은 가능하다. 14화의 주역인 윈드의 담당 성우 중에는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야마구치 메구미가 있기 때문. 실제로 온라인 팬사인회에서는 한글이 적혀있었다며 한국어로 감사하다고 말한 적도 있다. 중국어와 영어도 사실 대만계 일본인이자 뉴질랜드 유학파인 안자이 유카리가 있다. 중국어는 구사하지 못 한다고 했기에 하지 않았을 수도 있으나 영어는 그런대로 직접 회화가 가능하니 참여했을 가능성이 있는 편. [126] 물론 스폰서인 포니캐년 자체가 한국에 지부를 두고 있는 수준이기도 하고 스태프 입장에서도 외국어 여러 개 넣는데 한류로 인해 접근성이 그나마 낮은 편인 한국어는 넣을만 했다. 다만 단순한 인사나 사랑해요가 아닌 말이 나온 것은 또 신기한 일에 속한다. [127] 정확히 말하면 확장이다. 아예 갈아엎는 게 아니라 12명을 새로 투입하고 여러가지로 규모를 키운다는 설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2
, 7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