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투함 | ||||
구축함 (DD) |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특1형 후부키급, 특2형 아야나미급, 특3형 아카츠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타치바나급 | ||||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 |||||
잠수함 (SS) |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 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육 로500, 유보트 Type XC | ||||
경순양함 (CL)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
||||
장갑순양함 | 이즈모급R, 카스가급 | ||||
중순양함 (CA)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순양전함 (CC) |
공고급, |
||||
전함 (BB)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
호쇼, 쇼호급( 쇼호- 즈이호), 류호, 히요급( 히요- 준요), 치토세급( 치토세- 치요다), 다이요급( 다이요- 운요- 추요- 신요- 카이요), 시마네마루급- 야마시오마루 | ||||
정규항공모함 (CV) |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
||||
수상기모함 (AV)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육 | ||||
연습함 / 포함 (CL/FF)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해방함 (DE)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특공 병기 | 신요, 마루레육,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 ||||
군수지원함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윗첨자육: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일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함 | <colbgcolor=#fefefe,#191919>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 |||
순양전함 |
|
||||
순양함 | 순양함 |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
|||
미사일 순양함 |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
||||
대잠 순양함 |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 ||||
구축함 | 구축함 |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 |||
대잠 구축함 |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 ||||
호위함 |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
||||
초계함 | 소형 미사일함 (МРК) |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
|||
소형 대잠함 (МПК) |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 ||||
소형 함포함(Мак) | 야즈급 | ||||
경비정 |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 ||||
모니터함 |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 ||||
함포정 | 쉬멜급 | ||||
어뢰정 |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 ||||
대잠정 | 무레야급, S·O-1급 | ||||
미사일 고속정 |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 ||||
항공모함 |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
||||
상륙함 | 강습상륙함 |
|
|||
대형 상륙함(БДК) |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 ||||
중형 상륙함 |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 ||||
소형 상륙함(МДК) |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 ||||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 ||||
공기부양정 |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 ||||
LCU |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 ||||
기뢰함 | 대양 소해함 |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 |||
기본 소해함 |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 ||||
연안 소해정 |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 ||||
정보수집함 |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 ||||
추적유도함 |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 ||||
통합보급함(ККС) | 베레지나급 | ||||
급유함 |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 ||||
고속 및 특수급유함 |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 ||||
급탄함 |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 ||||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 ||||
위그선 | 룬급 | ||||
해양연구함 |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 ||||
수로탐사함 |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 ||||
훈련함 |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아카츠키급 구축함 | |||
아카츠키 | 히비키 | 이카즈치 | 이나즈마 |
Эскадренные миноносцы типа «Верный» |
1. 개요
일본 제국 해군의 아카츠키급 구축함 2번함 히비키(ヒビキ).2. 함생
2.1. 태평양 전쟁
제6구축대의 기함으로서 남방작전에 참가, 필리핀 침공 등에서 병력수송선을 호위했으며, 이후에도 호위임무를 자주 맡게 된다.카스가섬 침공 작전 중에 미군의 카탈리나 비행정의 공격을 받아 직격탄 1발과 지근탄 3발을 맞아 침몰위기를 맞았고, 응급수리를 끝낸 후 귀환하다가 파도에 맞아 함수가 부러졌다. 겨우 귀환한 후에는 대대적인 수리에 들어가느라 과달카날 전투에 불참했고, 수리가 끝난 후에는 기무라 마사토미가 지휘하는 키스카섬 철수작전에 참가했다. 이 작전은 대성공으로 막을 내렸다.
1943년 8월, 훈련중에 아군의 어뢰 1발을 맞는 사고를 당했지만 수리한다. 이후에는 수송함대 호위에 종사하지만, 1944년 5월 14일 새벽 같은 6구축대인 이나즈마와 함께 수송함대 호위에 종사하던 도중 이나즈마와 위치를 교대하자마자 이나즈마가 미군 잠수함의 공격으로 격침되었다. 히비키는 생존자 125명을 구조한다. 이후 제6구축대는 해체되었다.
필리핀 해 해전에서는 제1수송함대에 소속되었으나, 미군의 공습으로 전사자 2명(일본측 주장은 4명)을 기록한다.
1944년 9월 6일, 수송선 호위 임무를 수행하던 중 아군 수송선이 기뢰에 접촉, 침몰한다. 히비키는 생존자 구조를 위해 피해현장에 접근하지만, 수송선 함수가 폭발하면서 히비키도 좌현이 대파되는 손실을 입는다. 히비키의 피해 원인은 미군 잠수함과 기뢰 등이 거론되고 있다. 피해를 수리하던 중 11월에 배에 이질환자가 발생했고, 미군의 공습으로 또 피해를 입고, 수송함의 호위를 맡아 요코스카로 돌아오지만 이질환자가 대거 발생했기에 호위임무를 포기하고 단독으로 귀항한다. 혼자 남겨진 수송선은 단독으로 항해하다 미군에게 걸려 격침된다.
1945년, 히비키는 야마토급 전함 야마토의 오키나와 특공작전에 참가하지만 기뢰에 충돌해서 대파, 작전에서 제외된다. 이후에는 경비함으로 지정되어 니가타항을 지키다가 종전을 맞이한다.
2.2. 전후
무장을 철거하고 비무장함으로서 잠시 귀국선으로 활동하다가 1947년 7월 5일 소련의 나홋카 항에서 소련에 배상함으로 넘겨졌으며, 동월 7일에 블라디보스토크의 태평양함대 제 5함대에 편입되었다. 소련 해군에 편입됨에 따라 함명을 베르니(Верный)- 신뢰 할 수 있는 -[1]로 바꿨다.동월 22일, 130mm 주포 6문, 25mm 기관포 7정, 12.7mm 기관총 4~6정, 533mm 어뢰 발사관 6기의 소련제 무장로 재무장하고 현역함으로 활동하다가 소련에 넘어온지 1년만인 1948년 7월 5일에 데카브리스트(Декабрист)로 재명명되면서 무장을 철거, 연습함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근대화 개수 계획이 잡혔으나 폐기되었고 1953년 2월 20일 노후화로 퇴역했다.
퇴역 후에도 선체는 바로 스크랩하지 않았는지 1970년대 소련 해군 항공대의 표적함으로 사용되어 블라디보스토크 앞바다의 카람진 섬 (Karamzina island) 근해에 가라앉았다. 이는 대만으로 넘어간 유키카제가 1966년 퇴역하여 일본으로 반환하려다가 69년 태풍으로 인해 침수되어 71년에 최종적으로 스크랩된 것보다 이후의 일로, 함체의 수명 자체만을 보면 훨씬 더 오래 살았다.
더 자세한 정보는 영문위키 히비키와 일본어위키 히비키 참조.
3. 매체에서의 등장
-
함대 컬렉션에서 이 함선을
모에화한 캐릭터가 나온다. 자세한 사항은
히비키(함대 컬렉션) 참조.
등장하는 구축함 중에서는 가장 오랜 기간, 가장 나중까지 살아남은 함선이기도 하다.[2]
[1]
자세하게 말하면 신뢰보다 좀더 높은 표현이다. 거의 충성스러운이라고 번역해도 될 정도다. 참고로
알마티의 옛 이름이기도 했다.
[2]
다만 전투함으로써의 퇴역 자체는 히비키가 훨씬 빠르다. 히비키는 1948년에 퇴역, 유키카제는 1966년 퇴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