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7:07:18

미쿠라형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투함
구축함
(DD)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특1형 후부키급, 특2형 아야나미급, 특3형 아카츠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타치바나급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잠수함
(SS)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 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 로500, 유보트 Type XC
경순양함
(CL)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815형, 이오시마C, 야소시마C
장갑순양함 이즈모급R, 카스가급
중순양함
(CA)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이부키급
순양전함
(CC)
공고급, 아마기급, 13호급, B-65
전함
(BB)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카가급, 키이급, 후지모토 전함 계획안, A-140 전함, 야마토급, 슈퍼 야마토급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호쇼, 쇼호급( 쇼호- 즈이호), 류호, 히요급( 히요- 준요), 치토세급( 치토세- 치요다), 다이요급( 다이요- 운요- 추요- 신요- 카이요), 시마네마루급- 야마시오마루
정규항공모함
(CV)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G18, 다이호, 카이다이호, 시나노
수상기모함
(AV)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강습상륙함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
연습함 / 포함
(CL/FF)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C/?
어뢰정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해방함
(DE)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특공 병기 신요, 마루레,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군수지원함
공작함 아카시, 아사히
급유/급탄/급병함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타카노급, 하리오급, 무로토급, 카시노
급양함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상륙함정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잠수모함 진게이급, 타이게이
잡역선 아스카C, 아타다C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 윗첨자: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 함명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대만 국기.svg 현대의 대만 해군 함선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잠수함
(SS)
<colbgcolor=#fefefe,#191919> 하이신급, 하이룽급, 하이쿤급
구잠함 추장급R, 춰장급R, 칭장급R, 추지안급R
고속정
(PC)
PCA급, PCL급
미사일 고속정
(PG)
하이우급R, 룽장급, 광화 6호급
초계함
(FF)
정안급M/R, 가오안급M/R, 린안급M/R, 핑준급R, 진장급, 퉈장급
호위구축함
(DE)
중정급R 타이호급R, 타이캉급R, 타이위안급R
호위함
(FF)
신양급R, 후이양급R, 지양급M, 밍추안/펑지아M, 쳉쿵급, 캉딩급, {경호위함}
구축함 구축함
(DD)
프로젝트 T.306.5 설계안R, 린푸R, 단양급R, 뤄양급R, 펀양급R, 안양급R, 샹양급R, 차오양급R
방공 구축함
(DDG)
지룽급
상륙정 허샨급R, 허펑급R, LCI, LCVP, LCM-6
상륙함 LPD 위산급
LSD 둥하이급R, 전하이급R 중정(애쉬랜드)급R, 쑤하이급
LST 중정급R, 충호급, 충하이급
LSM 메이전급R
LSSL 리안지급R
소해함 융진급, 융양급, 융촨급
수송함 윈펑급
군수지원함 우이급, 판시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1. 개요2. 특징3. 자매함4. 제원5. 매체에서의 등장


파일:Japanese_escort_ship_Nomi_1944.jpg
사진은 미쿠라형 4번함 노미. 1944년 2월에 오사카만에서 촬영된 사진이다.

1. 개요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군이 운용했던 해방함의 일종. 에토로후형에 이어 건조되었다. 기존의 시무슈급 해방함을 토대로 급조된 에토로후형과는 다르게 본격적으로 호위함으로서 건조된 함선이다.

2. 특징

공식적으로는 시무슈형과 에토로후형과 마찬가지로 갑형으로 분류되나, 기본계획번호는 E20이다. 처음부터 남방항로를 호위할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시무슈형과 에토로후형에 장비되어 있던 난방용 장비는 제거되었다. 여기에 항속력을 약간 줄이는 대신 여러 개조가 가해졌다. 미쿠라형의 개량에서 군령부가 요구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주포인 12cm 단장포를 12cm 고각포로 교체할 것.
2. 전탐 2기와 3식 수중탐신의 1기를 장착할 것.
3.폭뢰투사기와 폭뢰투하레일을 2기 장비할 것.
4. 폭뢰탑재량을 120개로 늘릴 것.
5. 소해구를 하나 장비할 것.

대잠장비를 늘리고 12cm포를 고각포로 교체하여 전반적으로 호위함으로서의 능력은 증대되었다. 다만 함미에 소해장비가 달려있는 등 다용도함으로서의 성격을 버리지 못한 점이 있었고, 선체구조의 간략화도 철저하지 못했다. 에토로후형에 비해 건조시간은 단축되어 평균 8.8개월이면 한 척을 뽑아낼 수 있었지만 이 역시 전시에 건조된 소형 호위함으로는 불만족스러웠다. 다만 대잠장비의 증설은 설계시부터 에토로후형에 비해 상당히 증강되었고, 뽑혀나온 후에도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해방함을 양산하고자 했던 일본해군으로서는 불만족스럽게도 8척 밖에 내지 못하고 건조가 종료되었으나, 미쿠라형이 나오던 시절은 일본해군으로서는 호위함이 절실하던 1943년 10월부터 1944년 5월이었던지라 선단호위의 임무로 활약했다.신나게 굴려졌다는 의미다 전체 8척 중 5척이 침몰했고, 남은 3척은 전쟁이 끝난 후 연합군에 인도되거나 해체되었다. 특이하게도 함미에 소해장비가 있어서인지 전후 살아남은 미쿠라형은 소해함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미쿠라형과 에토로후형과의 주요한 구별점은 상부구조물과 주포이다. 주포의 경우 12cm 단장포가 고각포로 바뀌었고, 함 후방의 주포가 연장포로 바뀌었다.(준공 시 기준으로 주포 수는 3문으로 같다.) 또한 상부구조물이 죽 이어져있던 에토로후형과는 달리 전방, 중앙, 후방의 3개로 나뉘었다. 전방 구조물에는 함교와 2호 2형 전탐, 25mm 기총 등이 위치한다. 중앙에는 탐조등이 있으며 후방 구조물에는 연돌과 마스트(나중에 여기에 1호 3형 전탐이 장비된다.)가 위치한다. 함 후방에는 폭뢰투하레일이 2기 장비되어서 후방이 각진 형태로 되어 있고, 소해구를 장비하기 때문에 함 후방 측면에 튀어나와 있는 부분이 있다. 이외에도 공수(工数)를 줄이기 위해 함 전반에 전기용접방식이 적용되었다.

3. 자매함

미쿠라(御蔵): 일본제강 츠루미(鶴見) 조선소, 1943년 10월 31일 준공되었다. 1945년 3월 28일 오오스미(大隅) 해협 동쪽에서 소식불명. 같은 날 미야자키현 토이 곶 앞바다에서 발라오급 잠수함 트레드핀(Threadfin)의 뇌격을 받아 침몰했다고 여겨진다.

미야케(三宅) : 일본제강 츠루미(鶴見) 조선소, 1943년 11월 30일 준공되었다. 전후 1948년 5월~7월 2일에 걸쳐 사세보 선창에서 해체되었다.

아와지(淡路) : 히타치(日立) 조선 사쿠라지마(桜島) 조선소, 1944년 1월 25일 준공되었다. 1944년 6월 2일, 대만 남동부 화소도(火燒島, 현재의 녹도) 동쪽에서 미 해군 가토급 잠수함 기타로(Guitarro)의 뇌격을 받고 침몰.

노미(能美): 히타치(日立) 조선 사쿠라지마(桜島) 조선소, 1944년 2월 28일 준공되었다. 1945년 4월 14일 제주도의 비양도 정박지에서 미 해군 텐치급 잠수함 티란테(Tirante)의 뇌격을 받고 침몰.

쿠라하시(倉橋): 일본제강 츠루미(鶴見) 조선소, 1944년 2월 19일 준공되었다. 1945년 12월 1일 소해함으로 지정되었다가 1947년 9월 14일 영국에 배상함으로 인도된 이후 1948년 1월 15일에 걸쳐 나고야 선창에서 해체되었다.

야시로(屋代): 일본제강 츠루미(鶴見) 조선소, 1944년 5월 10일 준공되었다. 1945년 12월 1일 소해함으로 지정되었다가 1947년 8월 29일 중화민국 정부에 인도되었다. 이후 '청안(正安)'으로 명명되어 운용되다가 1954년 제적되었다.

치부리(千振): 일본제강 츠루미(鶴見) 조선소, 1944년 4월 3일 준공되었다. 1945년 1월 12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산 잭 정박지(현재의 베트남 붕따우)에서 피폭되어 좌초되었다.

쿠사가키(草垣): 일본제강 츠루미(鶴見) 조선소, 1944년 5월 31일 준공되었다. 1944년 8월 7일 필리핀 마닐라 서쪽에서 미 해군 가토급 잠수함 기타로(Guitarro)의 뇌격을 받고 침몰.

4. 제원

5. 매체에서의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