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함 | <colbgcolor=#fefefe,#191919> 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 |||
순양전함 |
|
||||
순양함 | 순양함 |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
|||
미사일 순양함 |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
||||
대잠 순양함 |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 ||||
구축함 | 구축함 |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 |||
대잠 구축함 |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 ||||
호위함 |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
||||
초계함 | 소형 미사일함 (МРК) |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
|||
소형 대잠함 (МПК) |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 ||||
소형 함포함(Мак) | 야즈급 | ||||
경비정 |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 ||||
모니터함 |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 ||||
함포정 | 쉬멜급 | ||||
어뢰정 |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 ||||
대잠정 | 무레야급, S·O-1급 | ||||
미사일 고속정 |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 ||||
항공모함 |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
||||
상륙함 | 강습상륙함 |
|
|||
대형 상륙함(БДК) |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 ||||
중형 상륙함 |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 ||||
소형 상륙함(МДК) |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 ||||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 ||||
공기부양정 |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 ||||
LCU |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 ||||
기뢰함 | 대양 소해함 |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 |||
기본 소해함 |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 ||||
연안 소해정 |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 ||||
정보수집함 |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 ||||
추적유도함 |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 ||||
통합보급함(ККС) | 베레지나급 | ||||
급유함 |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 ||||
고속 및 특수급유함 |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 ||||
급탄함 |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 ||||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 ||||
위그선 | 룬급 | ||||
해양연구함 |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 ||||
수로탐사함 |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 ||||
훈련함 |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Большой атомный разведывательный корабль ССВ-33 «Урал» проекта 1941 «Титан» |
1. 개요
우랄급 전자전정보 수집및 정찰선 (ССВ-33 Урал или Проекта 1941 Титан)은 소련 해군이 건조하여 소련 해군과 러시아 해군이 운용했던 정보함이다.함명은 ССВ-33 'Урал' (SSB-33 우랄)로 명명되었으며 NATO 코드명은 양배추라는 뜻의 Kapusta이다.[1]
2. 제원
SSV-33 우랄 제원 | |
배수량 | 기준 32,780 톤 |
만재 36,500 톤 | |
전장 | 265 m |
전폭 | 30 m |
흘수선 | 7.5 m |
추진 | 2축 샤프트 CONAS |
KN-3 핵추진 2기 | |
GT3A-688 스팀 터빈 2기 | |
마력 | 14만 마력 |
속력 | 21.6 Knots(40 km/h) |
항속거리 | 무제한 |
탑승 인원 | 950 명 |
무장 | |
함포 | 76mm 2문 |
CIWS | AK-630 4문 |
대공 | 이글라 대공미사일 |
기타 | 12.7mm 중기관총 4문 |
헬기 | Ka-32 헬릭스 1대 |
3. 함생
3.1. 건조
소련 해군은 여러 종류의 정보함을 운영했는데, 대부분 5000톤을 넘지 않는 규모였다. 하지만 석탄 같은 화석연료를 써 추진하는 방식이라 바다에서 오래 활동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고, 크기 또한 크지 않아 악천후 시에는 운용이 어려웠다. 또한, 그 공간의 협소함으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없었으며, 신 장비를 도입하기도 힘들었다. 특히 당시 경쟁상대던 미국에 비해 부족한 소련의 국방예산은 여러 종류의 전자정보선을 운용하기 힘들게 만들었고, 소련 해군은 배 한척으로 최대한 많은 일을 수행하기를 원했다.냉전 막바지였던 1980년대, 소련 해군은 차기 정보함으로 장기간 여러 임무를 수행하기를 원했고, 마침 소련 해군 선박중 가장 큰 축에 드는 군함인 키로프급 미사일 순양함의 설계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함을 건조하기로 한다.
키로프급의 선체를 원래보다 10 미터 가량 늘리고, 선폭을 넓혀 안정성을 높힌 설계가 채택되었다. 진수일은 키로프급 1번함이 실전배치 된 이후인 1983년이었다. 하지만 선내에 쓰일 각종 신형 레이더를 탑재하는 작업은 지지부진하기만 했고, 작동 시험에만 상당한 시일을 소모했다. 당시 복잡하던 내부 정세와 맞물려 1989년에야 취역할 수 있었다.
우랄함은 키로프급에 쓰인것과 동일한 CONAS 추진체계(KN-3 원자로 2기, 2축 추진)을 사용했지만, 증가한 톤수와 넓어진 선형의 한계로 최고 속도는 21.6 노트였다. 이런 목적을 띈 배들이 다 그렇듯, 자체 무장은 함포 2문과 대공미사일 발사기 정도로 빈약했다. 하지만 정보함 치고는 3만 8천톤이라는 엄청난 무게와 핵추진 설비를 보유한 만큼, 장착되는 장비의 종류와 출력은 기존 정보함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였다.
Атолл 대탄도탄 추적 레이더 |
세개의 마스트와 초대형 레이돔 아래에는 MP-750 'Фрегат-МА' 레이더와 MP-212/201 'Вычегда-У',네만 P, 아톨 등의 수많은 레이더들이 자리잡았다. 이 모든 것을 총괄하는 시스템은 해군 감시 시스템인 'Коралл(산호)' 였는데, 이 시스템은 'EU-1046'과 'Elbrus'라는 병렬 슈퍼컴퓨터로 작동했다. 또한 수중 감시 체계도 탑재하고 있었는데, CIM-335M "Аргунь"과 MG-747 "Амулет" 이 바로 그것이다. 냉전 후 공개된 문서에서는 위 소나 시스템으로 음문 수집 임무 또한 맡았다고 서술되어 있다. 핵 미사일 관측을 위한 광전자 관측장비인 'Лебедь(백조)'또한 장착되어 있었다.
당시 소련 해군의 기술을 있는데로 긁어다 만든 이 배는 그 능력 또한 대단하다고 할 수 있었는데, 위 시스템의 도움으로 우랄함은 1500km 떨어진 곳의 우주 비행체의 특성을 완벽하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미군 탄도미사일이 쓰는 연료의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 배기가스의 조성 또한 분석할 수 있었다고 한다. 우랄함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는데, 앞서 서술한 음문 수집 임무와 탄도미사일 추적 임무, 전자 정찰 임무, 통신 중계 임무, 기함 임무까지 맏을 수 있었다.
3.2. 운용
1989년 취역한 우랄함은 태평양 함대에 배속되었다. 이 정도 크기의 배를 민간 선박 잡신호로 가득 찬 북해 같은 곳에 배속할 수는 없었으니.원자력 잠수함의 호위를 받으며 시작한 항해는 처음에는 별 문제가 없었다. 배에 탑승한 엔지니어들은 당시 발사된 미국 우주 왕복선인 컬럼비아호를 추적하는 것을 시작으로, 우주 궤도상의 비행체들을 관측하며 시스템의 오류를 수정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출발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한 쪽 원자로의 냉각계에 문제가 생겼지만 이를 선상에서 수리하는 데에 실패했다. 거기에 승무원들의 숙련도가 발목을 잡기 시작했는데, 소련 해군은 이런 큰 군함을 운용해 본 적이 없었기 때문.[2] 승무원들은 선내의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지 못했다.
우여곡절 끝에 배는 태평양 함대 기지인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했지만, 막상 도착하고 보니 태평양 함대 본부에는 우랄과 같은 260미터가 넘는 배를 계류할 자리조차 없었고, 하는 수 없이 근처 해상에 닻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지상에서 전기를 공급받지 못 했기에 정박한 후에도 끊임없이 원자로를 돌려 전기를 만들어야 했고, 이는 후술할 사고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1990년 여름에는 발전기 인근에서 화재가 발생했는데, 발전기가 파손되면서 원자로를 사용할 수 없었다. 그 후, 우랄함이 쓰는 전기는 모두 보조 디젤 발전기로만 공급받아야 했다.
또 그 해 가을에는 근처 탄약고에서 큰 화재가 났고, 하마터면 멋대로 격발된 미사일에 피격될 뻔한 사태도 있었다. 자체 동력을 사실상 상실한 우랄함은 예인선에 이끌려 겨우 안전지대로 피신했다. 태평양 함대에서는 우랄함의 원자로 수리를 위해 크렘린에 연락을 취했는데 소련이 망했다.
3.3. 퇴역
소련 해군에서 사용이 불가능한 고철 상태의 군함 그대로 러시아 해군으로 인계되어 퇴역을 기다렸다.항구에서 대기 중인 우랄함 |
하지만 결국 수리되지 못 하고, 배치된 지 1년도 지나지 않아 엔진실을 홀랑 날려먹은 화재로 앉은뱅이 신세가 되어버렸다. 그 후 계속 항구에 계류 상태로 남았고, 결국 2001년 일선에서 퇴역하였다.
2000년대 후반 경매를 통하여 고철 처리업체에게 팔렸고, 2017년 해체가 마무리 되었다.
4. 기타
한국에서는 유독 우랄함이 건조하다 만 키로프급 5번함의 선체를 뜯어고쳐 만들었다는 낭설이 퍼져있는데, 이는 말도 안되는 소리. 당장 우랄함의 진수 시기가 키로프급 1번함 취역 후고, 취역한 것은 1989년인데 이때는 키로프급 5번함은 건조 중단조차 확실하지 않았던 때였다. 키로프급 선체의 설계를 이용해 건조했다는 것이 와전된 모양.5. 미디어에서의 등장
- 세계대전 Z 소설판에서 자유 지구 방송의 중계 기지가 된다.
- 에반게리온:파에서 우랄 2세라는 이름으로 잠깐 등장하는데 가공의 2번함으로 추정된다. 베타니아 베이스 근해에서 떠다니는데 설정상 기지의 실질적인 지휘와 관제는 이 함에서 전부 처리한다.
[1]
함번의 ССВ는 Судно связи (수드노 스뱌지)의 약자로, 통신선이란 뜻이다.
[2]
이는 미국이라 해도 마찬가지였고, 지휘함으로 운용해본 가장 큰 배라고 해봐야 2만 톤 정도의 블루리지 함이 전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