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투함 | ||||
구축함 (DD) |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특1형 후부키급, 특2형 아야나미급, 특3형 아카츠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타치바나급 | ||||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 |||||
잠수함 (SS) |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 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육 로500, 유보트 Type XC | ||||
경순양함 (CL)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
||||
장갑순양함 | 이즈모급R, 카스가급 | ||||
중순양함 (CA)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순양전함 (CC) |
공고급, |
||||
전함 (BB)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
호쇼, 쇼호급( 쇼호- 즈이호), 류호, 히요급( 히요- 준요), 치토세급( 치토세- 치요다), 다이요급( 다이요- 운요- 추요- 신요- 카이요), 시마네마루급- 야마시오마루 | ||||
정규항공모함 (CV) |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
||||
수상기모함 (AV)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육 | ||||
연습함 / 포함 (CL/FF)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C/?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해방함 (DE)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특공 병기 | 신요, 마루레육,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 ||||
군수지원함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윗첨자육: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 함명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일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1]
제원 ( 희망사항 일 뿐이다) | |
기준배수량 | 50,000톤(계획) 172,036톤(추정)[2] |
만재배수량 | 59,000톤(계획) 190,286톤(추정) |
전장 | 290m |
전폭 | 38m |
흘수선 | 9.8m |
장갑 | 측면 406mm, 갑판 280mm |
엔진 | 140,000마력 |
속도 | 30노트 |
순항거리 | 22,000km(16노트) |
무장 | 51cm 4연장 주포탑 3기 |
15.5cm 2연장 부포 9기 | |
12.7cm 2연장 대공포 8기 혹은 10기 | |
수상기 12기 |
1. 개요
일본에서 전함 설계를 맡던 기술자인 후지모토 키쿠오[3]가 설계한 초대형 전함. 그 크기와 실제 건조가 안 됐다는 점에서 해외에선 후지모토 드림 배틀쉽, 말 그대로 꿈의 전함이라고도 불린다. 이 설계자는 후에 야마토급 전함의 실제 설계의 바탕이 된 A-140F6의 설계를 맡은 사람이다.2. 특징
야마토급보다 3년 이른 1934년에 설계안이 만들어졌으며, 20인치 4연장 주포탑 3기를 탑재하는 초대형 전함 계획이었다. 야마토급 전함이 18인치 3연장 주포탑 3기를 탑재하고도 만재 7만톤을 넘는 배수량을 가졌고 독일의 야망이 담긴 H급 전함의 H-44 계획도 12만톤 정도의 배수량인데 이를 상회하는 엄청난 규모를 자랑한다. 다른 20인치 주포 탑재 전함은 인컴패러블급 순양전함처럼 아예 방어력을 포기한 순양전함이거나[4] 이 전함처럼 10만 톤을 상회해서 모두 실패로 끝난 초전함 계획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계획이다. 미국의 최대 전함과 같이 유사한 컨셉으로 그냥 최대한의 전함을 구상한 것이라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1]
본 도안은 실제 설계안이 아닌
야마토급 전함을 기반으로 한 상상도이다.
[2]
이 배수량값은 현대에 프로그램으로 추정한 값. 장갑을 정말 배의 형태를 유지만 할 수준의 종잇장으로 하고, 강철이 아니라 티타늄이나 알루미늄같은 경금속들을 잔뜩 사용한다면 몰라도 이런 규모의 전함이 5만톤이라는건 절대 불가능하다. 당장 이 설계안보다 훨씬 작은 야마토급의 기준배수량이 약 65000톤이다.
[3]
해군성 조함단장의 위치에 있었으나
토모즈루 사건의 뒷수습 과정에서
과로로
뇌졸중을 일으켜 사망했다.
[4]
그나마도 실제 건조는 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