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14:22:58

헤이세이 라이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헤이세이 라이더 목록에 대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시리즈/라이더 일람/헤이세이 라이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계보
<rowcolor=black,white> 쇼와 라이더
( 1971 ~ 1994)
平成ライダー
파일:헤이세이 라이더.png
1. 개요2. 쇼와와의 차이점3. 주역 라이더4. 헤이세이 주인공의 파트너5. 키 아이템6. 작품 목록
6.1. TV판
6.1.1. 1기6.1.2. 2기
6.2. 극장판6.3. 외전 / V시네마 & V시넥스트
6.3.1. 넷무비6.3.2. 번외작
7. 국내 방영
7.1. 국내판 성우
8. 관련 게임9. 관련 용어
9.1. 본편에서의 가면라이더 명칭 사용 여부
10. 세계관11. 기타

1. 개요

파일:heisei_riders.png
역대 헤이세이 라이더 오프닝들[1]

2000년 1월 방영을 시작한 가면라이더 쿠우가부터 2018년 9월 방영한 가면라이더 지오까지의 가면라이더 시리즈를 이르는 말이자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전성기를 책임지고 이끈 라이더들.

일본의 연호인 쇼와 시대가 끝난 후 헤이세이라는 연호를 사용하면서 방송된 가면라이더 시리즈이기에 '헤이세이 라이더'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혹은 21세기에 시작되어서 '밀레니엄 라이더'라고 부르기도 한다. 단, 방영 도중에 연호가 바뀌면서 헤이세이 시대에까지 걸쳐서 방영한 블랙 RX와 아예 대놓고 말이 좋아 쇼와지, 완전 헤이세이 태생인 가면라이더 시리즈/단발작품, ZO, J[2], 그리고 쇼와 라이더 리메이크 가면라이더 THE FIRST 가면라이더 THE NEXT, 가면라이더 아마존즈, 테레비 아사히 개국 50주년 작품인 가면라이더 G도 헤이세이 라이더로는 쳐주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쿠우가와 방송시간상 그 속편이 되는 가면라이더 시리즈를 통괄하는 표현이다.

사실은 쇼와, 헤이세이 라이더라는 명칭은 원래 제작사에서 붙여준 공식 명칭이 아니라 팬덤에서 지어준 비공식 이름이었으나, 차후에 공식으로 굳혀진 케이스다. 참고.[3]

고전 가면라이더를 만들던 스태프는 거의 참가하지 않았으며 메탈히어로 시리즈를 만들던 스태프들이 메탈히어로 시리즈가 중단 된 후 헤이세이 라이더를 만들게 되어 오히려 메탈히어로 시리즈에 가까운 작품이 많았다. 초기 작품 중 상당 수가 형사물의 요소를 가지고 있던 것도 메탈히어로 시리즈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그러면서도 가면라이더로서의 정체성을 살리고자 원작자 이시노모리 쇼타로 특유의 설정이나 느낌도 여럿 차용했다.

주연 배우로 액션배우가 아닌 소위 말하는 '이케멘 배우'를 기용하는 관행 때문에 당시에는 논란이 격심했지만 지금은 신인 미남 배우들의 등용문들 중 하나로 자리잡으면서 토에이의 든든한 자금줄로 자리잡았다.[4] 또한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건담vs건담처럼 라이더 VS 라이더 구도를 사용하는 것도 특이점. 레이와 라이더가 방영중인 현재 방영시간은 일요일 아침 9시로 고정되어 있다. 바로 후에 하는 슈퍼전대 시리즈와 함께 이 시간대는 ' 슈퍼 히어로 타임'으로 불리고 있다.[5]

2017년~2018년 작인 빌드부터는 일요일 아침 9시로 조정되면서 슈퍼전대 시리즈 방영 전에 방송 중이다.

디케이드를 시작으로, 주인공을 포함한 주연 배우들이 어릴 적 가면라이더 시리즈를 보고 자랐다며 어필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더블의 주인공 히다리 쇼타로 역의 키리야마 렌 오즈의 주인공 히노 에이지 역의 와타나베 슈는 어린시절의 꿈인 '가면라이더가 되는 것'을 실제로 이루었다. 예외적인 케이스가 가면라이더 포제의 주인공 키사라기 겐타로 역의 후쿠시 소타였는데, 어린 시절 가면라이더 시리즈를 단 한 번도 본 적이 없으며, 포제에 캐스팅 된 후 공부하는 차원에서 더블을 본 게 처음이었다고 한다.

류우키 이후엔 많은 인물상을 보여주면서 팬들 사이에선 악역이라든지 네타거리가 되는 라이더들도 종종 나오는 편. 대충 오쟈, 카이자, 갸렌(?)[6], 호퍼[7], 가오, 이크사, 디케이드, 이터널, 겐무 같은 라이더들이며 이 외에도 인상깊게 남아 인구에 회자되는 라이더들은 많다.

2019년 5월 1일부로 아키히토 천황이 아들인 나루히토에게 양위하면서 헤이세이 라이더는 지오를 끝으로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 이후에 나올 시리즈는 레이와 라이더로 불릴 가능성이 높았고 결국 레이와 라이더라는 명칭이 확정되었다.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 중, 극중에서 '가면라이더'(혹은 '라이더')란 칭호를 직접적으로 사용한 작품은 류우키, 블레이드, 카부토, 디케이드, 더블, 오즈[8], 포제, 가이무[9], 드라이브, 고스트, 에그제이드, 빌드, 지오다. 예외적으로 극장판 가면라이더 키바 마계성의 왕에서는 이크사 레이를 '라이더 시스템'이라고 칭하기도 했으며 덴오도 렛츠고 가면라이더에서 라이더란 칭호를 썼고, 위자드 가면라이더 포제 THE MOVIE 다 함께 우주 왔다! 한정으로 겐타로의 말에 따라 라이더를 자칭했고, 최종 에피소드 2개에서는 가면라이더로 자신을 표현했다.

원래 헤이세이 라이더 1기는 1월 말 스타트 → 다음해 1월 중순 종영이 패턴이었지만, 완구 판매나 여러 가지 난점이 발생하여 2기의 시작인 더블부터 네 번째 작품인 위자드까지는 9월 스타트 → 다음 해 8월 종영으로 패턴화되었다. 그러다 제5작인 가이무부터 제8작인 에그제이드까지는 한달 늦춰서 10월 스타트 → 다음 해 9월 종영으로 변경되어 방영하였다. 1기의 마지막 디케이드가 다른 헤이세이 라이더 작품들에 비해 화수가 적은 것도 이 새로운 방송 패턴에 맞추기 위해서였다. 2기 제9작인 빌드부터는 위자드 이전과 같은 9월 스타트 → 다음해 8월 종영으로 되돌아갔다.

2012년 11월 코단샤 캐릭터 문고 창간을 기념하여 쿠우가부터 오즈까지의 헤이세이 라이더 12작의 소설이 나오고 있다. #
관련 앨범은 아기토까지 일본 컬럼비아가, 류우키 이후는 에이벡스가 담당하고 있다.

이시노모리 쇼타로의 제자이자 헤이세이 라이더의 디자이너, 기획자이기도 한 하야세 마사토(早瀬マサト) 말로는 헤이세이는 쿠우가 ~ 오즈 까진 이시노모리 프로덕션에서 감수 작업을 해줬고[11] 가면라이더 포제부터 토에이 주도로 기획되고 있다고 한다. 감수를 하던 기간에 나온 작품은 이시노모리의 색을 내고자 이시노모리의 다른 작품을 오마주하거나, 쓰이지 않고 버려진 아이디어 노트를 뒤져서 작품을 만들었다고 한다.

2. 쇼와와의 차이점

3. 주역 라이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시리즈/주역 라이더 문서
번 문단을
헤이세이 라이더(2000~2018)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헤이세이 주인공의 파트너

슈퍼전대 시리즈와 차별화가 되는 이유 중 하나. 슈퍼전대 시리즈는 라이벌과 히로인 그리고 주연들을 포함해서 여러명이서 싸우는 컨셉이지만 가면라이더 시리즈는 한 명이 주로 활약하며 히로인과 주연들은 그 한 명을 협력 또는 보조하면서 가는 형식이다.

헤이세이 라이더에서는 주인공에게 파트너가 1명 이상 붙게 된다.[13] 또한 주인공과 협력자들의 아지트라 할 수 있는 근거지도 있다. 주로 주인공이 변신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그 아이템을 제공하거나, 아니면 그 아이템에 대한 기술지원을 하거나, 주인공의 최측근에서 그들을 돕는 등의 역할로 나온다. 파트너 중 일부가 가면라이더로 변신해 같이 싸우는 경우도 있다. 레이와 라이더에서도 이 방식은 그대로 이어진다.
<rowcolor=#ffd700> 작품 주인공 파트너 근거지
가면라이더 쿠우가 고다이 유스케 사와타리 사쿠라코
이치죠 카오루
일본 경시청
가면라이더 아기토 츠가미 쇼이치 카자야 마나 미스기 자택
가면라이더 류우키 키도 신지 칸자키 유이
아키야마 렌[14]/ 가면라이더 나이트
찻집 꽃닭
가면라이더 555 이누이 타쿠미 소노다 마리
키쿠치 케타로
서양세탁포 키쿠치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켄자키 카즈마 히로세 시오리
시라이 코타로
시라이 코타로의 자택
카페 하카란다
가면라이더 히비키 히비키 아다치 아스무 타케시
가면라이더 카부토 텐도 소우지 카가미 아라타/ 가면라이더 가탁크 텐도 소우지의 저택/집
가면라이더 덴오 노가미 료타로 하나 코하나
모모타로스
우라타로스
킨타로스
류타로스
덴라이너
가면라이더 키바 쿠레나이 와타루 키바트배트 3세
지로
라몬
리키
캐슬 도란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카도야 츠카사 히카리 나츠미/ 가면라이더 키바라 히카리 사진관
가면라이더 W 히다리 쇼타로& 필립[15] 나루미 아키코 나루미 탐정 사무소
가면라이더 오즈 히노 에이지 앙크 세계 요리 전문점 쿠스쿠시에
가면라이더 포제 키사라기 겐타로 우타호시 켄고 아마노가와 학원 고등학교 가면라이더부
가면라이더 위자드 소우마 하루토 코요미

나라 슌페이
골동품 상점 면영당(面影堂)
가면라이더 가이무 카즈라바 코우타 타카츠카사 마이
쿠레시마 미츠자네[16]/ 가면라이더 류겐
비트 라이더즈(팀 가이무) → 무소속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토마리 신노스케 크림 스테인벨트[17]
시지마 키리코
경시청 특수상황하 사건 수사과
가면라이더 고스트 텐쿠지 타케루 츠키무라 아카리 대천공사 불가사의 현상 연구소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호죠 에무 카리노 아스나/ 가면라이더 뽀삐
파라드[18]/ 가면라이더 패러독스
세이토 대학 부속 병원 전뇌구명센터(CR)
가면라이더 빌드 키류 센토 이스루기 미소라
반죠 류우가/ 가면라이더 크로즈
카페 나시타(Nascita)[19] → 큰창고[20]
가면라이더 지오 토키와 소고 츠쿠요미/ 가면라이더 츠쿠요미
묘코인 게이츠/ 가면라이더 게이츠[21]
워즈[22]/ 가면라이더 워즈
쿠지고지 당

5. 키 아이템

1기부터 존재하긴 했으나, 헤이세이 2기부터는 벨트에 넣거나 연계할 수 있는 키 아이템을 완구판매에 적극 활용하였는데, 작품별로 여러가지 키 아이템을 써서 적을 물리치거나 자신을 강화하는 모습을 어필했고, 이전 라이더들의 얼굴과 기믹을 넣는 등 다양한 제품들을 탄생시켜 매니아들의 수집욕구까지 불러들였다. 이때문인지 2기 라이더는 1기보다 매상이 2~3배가량 뛰어올랐으며, 현재도 옆동네 시리즈를 압도하는 완구 판매량을 자랑하고 있다.

류우키부터 헤이세이 라이더들의 키 아이템은 다음과 같다.
<rowcolor=lightgray> 작품 키 아이템 모티브 물건
가면라이더 류우키 어드벤트 카드 카드
가면라이더 파이즈 미션 메모리 피처폰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라우즈 카드 플레잉 카드(트럼프)
가면라이더 히비키 디스크 애니멀[23] CD
가면라이더 카부토 젝터 곤충, 가제트
가면라이더 덴오 라이더 패스
제로노스 카드
각각 교통카드, 티켓
가면라이더 키바 휘슬 호루라기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라이더 카드 카드
가면라이더 W 가이아 메모리 USB 메모리
가면라이더 오즈 오 메달 동전
가면라이더 포제 아스트로 스위치 스위치
가면라이더 위자드 위자드 링 반지
가면라이더 가이무 록 시드 자물쇠+ 과일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시프트 카, 바이럴 코어, 시그널 바이크 각각 자동차, 오토바이
가면라이더 고스트 고스트 아이콘 안구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라이더 가샤트 게임 카트리지
가면라이더 빌드 풀 보틀, 스크래시 젤리 각각 페트병, 젤리
가면라이더 지오 라이드워치, 어나더워치, 미라이드워치 회중시계

6. 작품 목록

6.1. TV판

6.1.1. 1기

<rowcolor=#ffd700> 작품명 캐치프레이즈 방영 기간 화수 국내 방영년도
파일:d9fyssh-375abbdf-c373-4837-8aa5-ef12836aaac6.png 가면라이더 쿠우가
(仮面ライダークウガ)
" 변신." 2000년 1월 30일 ~ 2001년 1월 21일 전49화 국내 미방영
파일:아기토 로고.png 가면라이더 아기토
(仮面ライダーアギト)
"각성하라, 그 영혼." 2001년 1월 28일 ~ 2002년 1월 27일 전51화 극장판만 국내 방영
파일:류우키 로고.png 가면라이더 류우키
(仮面ライダー龍騎)
" 싸우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 2002년 2월 3일 ~ 2003년 1월 19일 전50화 2005년 ( 투니버스)
파일:파이즈로고.png 가면라이더 555
(仮面ライダー555)
"질주하는 본능." 2003년 1월 26일 ~ 2004년 1월 18일 전50화 2006년 (투니버스, 퀴니)
파일:로고 블레이드.png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仮面ライダーブレイド)
"운명의 비장의 패를 잡아라!" 2004년 1월 25일 ~ 2005년 1월 23일 전49화 2007년 ( 애니원, 챔프TV)
파일:히비키 로고.png 가면라이더 히비키
(仮面ライダー響鬼)
"우리들에게는 히어로가 있다." 2005년 1월 30일 ~ 2006년 1월 22일 전48화 국내 방영 불발
파일:카부토 로고 2.png 가면라이더 카부토
(仮面ライダーカブト)
"가 정의" 2006년 1월 29일 ~ 2007년 1월 21일 전49화 2008년 (애니원, 챔프TV, 어린이TV)
파일:덴오 로고.png 가면라이더 덴오
(仮面ライダー電王)
" 시간을 넘어서, 이 몸 등장!" 2007년 1월 28일 ~ 2008년 1월 20일 전49화 2009년 (애니원, 챔프TV)
파일:로고 키바.png 가면라이더 키바
(仮面ライダーキバ)
" WAKE UP! 운명의 사슬을 해방하라!" 2008년 1월 27일 ~ 2009년 1월 18일 전48화 2010년 (애니원, 챔프TV)
파일:디케이드 컴플리트 로고.png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仮面ライダーディケイド)
"헤이세이 라이더? 10년 이르다고!" 2009년 1월 25일 ~ 2009년 8월 30일 전31화 2011년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

6.1.2. 2기

<color#1fc969> 작품명 <color#1fc969> 캐치프레이즈 <color#1fc969> 방영 기간 <color#1fc969> 화수 <color#1fc969> 국내 방영년도
파일:d9o0ymw-cfdbaa4d-11cf-43a4-8978-5816eabd4e9e.png 가면라이더 W
(仮面ライダーW)
" 우리들 둘이서 하나인 가면라이더다" 2009년 9월 6일 ~ 2010년 8월 29일 전49화 2012년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
파일:오즈 로고.png 가면라이더 오즈
(仮面ライダーオーズ)
"가 변신한다!!!" 2010년 9월 5일 ~ 2011년 8월 28일 전48화 2013년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
파일:가면라이더 포제 로고.png 가면라이더 포제
(仮面ライダーフォーゼ)
" 청춘 스위치 온!" 2011년 9월 4일 ~ 2012년 8월 26일 전48화 2014년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
파일:위자드 로고.png 가면라이더 위자드
(仮面ライダーウィザード)
" 자, 쇼타임이다!" 2012년 9월 2일 ~ 2013년 9월 29일 전53화 2015년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 어린이TV, 재능TV)
파일:가이무 카치도키 로고.png 가면라이더 가이무
(仮面ライダー鎧武)
" 라이더 전국시대" 2013년 10월 6일 ~ 2014년 9월 28일 전47화 극장판만 국내 방영
파일:트라이도론 로고.png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仮面ライダードライブ)
" 이 남자, 형사이자 가면라이더!" 2014년 10월 5일 ~ 2015년 9월 27일 전48화 2016년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 어린이TV, 재능TV)
파일:고스트 로고.png 가면라이더 고스트
(仮面ライダーゴースト)
" 생명을, 불태운다!" 2015년 10월 4일 ~ 2016년 9월 25일 전50화 2017년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 어린이TV, 재능TV, 애니맥스)
파일:에그제이드 로고 3.png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仮面ライダーエグゼイド)
"게임 스타트! 노 컨티뉴로 운명을 바꿔라!" 2016년 10월 2일 ~ 2017년 8월 27일 전45화 2018년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 어린이TV, 재능TV)
파일:빌드로고.png 가면라이더 빌드
(仮面ライダービルド)
" 자, 실험을 시작해볼까." 2017년 9월 3일 ~ 2018년 8월 26일 전49화 2019년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 재능TV)
파일:로고지오.png 가면라이더 지오
(仮面ライダージオウ)
" 가면라이더의 왕이 될거야!" 2018년 9월 2일 ~ 2019년 8월 25일 전49화 2020년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 어린이TV)

6.2. 극장판

6.2.1. 가면라이더 극장판 동시상영작

여름 시즌에 맞춰 개봉하는 헤이세이 라이더 영화. 슈퍼전대 시리즈의 영화와 한 편으로 묶어 상영된다.
<rowcolor=red> 작품명 캐치프레이즈 개봉일
파일:아기토 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아기토 PROJECT G4 "드디어 전투 개시! 적인가? 아군인가? 최강의 신 라이더 등장." 2001.9.22
파일:류우키 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류우키 EPISODE FINAL "류우키, 충격의 결말. 최종회 선행영화화." 2002.8.17
파일:파이즈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555 PARADISE LOST "전투는 최고조로. 제왕의 벨트를 둘러싼 구세주 전설." 2003.8.16
파일:로고 블레이드.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블레이드 MISSING ACE "이야기는 미래로. 최종 전투를 목격하라!" 2004.9.11
파일:히비키 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히비키와 7인의 전귀 "전설의 오니 전사 집결. 옛 문서에 기록된 전국시대의 장렬한 싸움." 2005.9.3
파일:카부토 로고 2.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카부토 GOD SPEED LOVE "이 지구에게 미래를. 인류의 존망을 걸고 우주에서 사투가 시작된다." 2006.8.5
파일:덴오 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덴오 이 몸, 탄생! "전투신 강림!! 시공 너머로 급행하라." 2007.8.4
파일:로고 키바.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키바 마계성의 왕 "고대의 왕에게 도전하는 공중대전." 2008.8.9
파일:디케이드 컴플리트 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올 라이더 대 대쇼커 "올 라이더 대결전!" 2009.8.8
파일:d9o0ymw-cfdbaa4d-11cf-43a4-8978-5816eabd4e9e.png 가면라이더 W FOREVER AtoZ/운명의 가이아 메모리 "W이여 영원히─ 후토의 존망을 걸고 싸워라!" 2010.8.7
파일:오즈 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오즈 WONDERFUL 장군과 21개의 코어 메달 "코어 메달의 비밀! 세계의 종말을 앞두고 오즈가 시공을 넘는 대모험!" 2011.8.6
파일:가면라이더 포제 로고.png 가면라이더 포제 THE MOVIE 다 함께 우주 왔다! "우정의 파워로 대기권 돌파 청춘. 우주에서 풀 스파크!!" 2012.8.4
파일:위자드 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위자드 IN MAGIC LAND "금색의 마법사, 가면라이더 소서러 강림." 2013.8.3
파일:가이무 카치도키 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가이무 사커 대결전! 황금의 열매 쟁탈배! "금단의 '황금의 과실'을 손에 넣는 것은 누구냐!?" 2014.7.19
파일:트라이도론 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드라이브 서프라이즈 퓨처 "마침내 궁극의 클라이맥스!" 2015.8.8
파일:고스트 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고스트 100개의 아이콘과 고스트 운명의 순간[24] "육체가 소멸했을 때 모든것이 끝난다!" 2016.8.6
파일:에그제이드 로고 3.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 트루 엔딩[25] "목숨을 구하는 것은 『가상현실』의 세계인가? 리얼의 의료인가?" 2017.8.5
파일:빌드로고.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빌드 Be The One[26] "미래를 만들, 단 하나의 답." 2018.8.4
파일:로고지오.png 극장판 가면라이더 지오 Over Quartzer "헤이세이 가면라이더, 최종장." 2019.7.26


6.2.2. 가면라이더 MOVIE 대전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 작품들의 크로스오버 영화

<colcolor=black> 헤이세이 라이더 MOVIE 대전 시리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d9o0ymw-cfdbaa4d-11cf-43a4-8978-5816eabd4e9e.png 파일:디케이드 컴플리트 로고.png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더블&디케이드 MOVIE 대전 2010
파일:오즈 로고.png 파일:d9o0ymw-cfdbaa4d-11cf-43a4-8978-5816eabd4e9e.png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오즈&더블 feat.스컬 MOVIE 대전 CORE
파일:가면라이더 포제 로고.png 파일:오즈 로고.png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포제&오즈 MOVIE 대전 MEGAMAX
파일:위자드 로고.png 파일:가면라이더 포제 로고.png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위자드&포제 MOVIE 대전 얼티메이텀
파일:가이무 카치도키 로고.png 파일:위자드 로고.png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가이무&위자드 천하를 겨루는 전국 MOVIE 대합전
파일:트라이도론 로고.png 파일:가이무 카치도키 로고.png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드라이브&가이무 MOVIE 대전 풀 스로틀
파일:고스트 로고.png 파일:트라이도론 로고.png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고스트&드라이브 초 MOVIE 대전 제네시스
파일:에그제이드 로고 3.png 파일:고스트 로고.png 가면라이더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 Dr. 팩맨 대 에그제이드&고스트 with 레전드 라이더
파일:빌드로고.png 파일:에그제이드 로고 3.png 가면라이더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 FINAL 빌드&에그제이드 with 레전드 라이더
파일:로고지오.png 파일:빌드로고.png 가면라이더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 FOREVER
파일:가제로원 로고.png 파일:로고지오.png 가면라이더 레이와 더 퍼스트 제네레이션
→ 레이와 라이더 MOVIE 대전 시리즈
}}} ||

6.2.3. 슈퍼 히어로 대전

토에이 제작 특촬 히어로물의 크로스오버 및 가면라이더 관련 영화

슈퍼 히어로 대전 시리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슈퍼 히어로 대전
가면라이더X슈퍼전대X우주형사 슈퍼 히어로 대전 Z
헤이세이 라이더 대 쇼와 라이더 가면라이더 대전 feat 슈퍼전대
슈퍼 히어로 대전 GP 가면라이더 3호 d비디오 스페셜 가면라이더 4호
가면라이더 1호 가면라이더 고스트 전설! 라이더의 혼!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초 슈퍼 히어로 대전 가면전대 고라이더
세이버 + 젠카이저 슈퍼 히어로 전기 }}}

6.3. 외전 / V시네마 & V시넥스트

'''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의 V시네마 & V시넥스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7px -4px"
파일:V 시네마 로고.png
V시네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black> 파일:더블 리턴즈 로고.png
가면라이더 W RETURNS
파일:리턴즈 가면라이더 액셀 로고.png
액셀
파일:리턴즈 가면라이더 이터널 로고.png
이터널
파일:가이무 외전 로고.png
가이무 외전
파일:가이무 외전 가면라이더 잔게츠 로고.png 파일:가이무 외전 가면라이더 바론 로고.png
잔게츠 / 바론
파일:가이무 외전 가면라이더 듀크 로고.png 파일:가이무 외전 가면라이더 너클 로고.png
듀크 / 너클
파일:드라이브 사가 로고.png
드라이브 사가
파일:드라이브 사가 가면라이더 체이서 로고.png
체이서
파일:드라이브 사가 가면라이더 마하 로고.png 파일:드라이브 사가 가면라이더 하트 로고.png
마하 / 하트
파일:20201025_162608.png
고스트 RE:BIRTH
파일:20201025_162940.png 스펙터
파일:에그제이드_트릴로지_어나더엔딩_로고.png
에그제이드 트릴로지 어나더 엔딩
파일:브레이브스나이프로고.png
브레이브 & 스나이프
파일:패러독스뽀삐로고.png
패러독스 with 뽀삐
파일:겐무레이저로고.png
겐무 VS 레이저
}}}}}}}}}
}}}
||<-7><tablebordercolor=black,white><table width=100%><bgcolor=white> 파일:VCINEXT.png
V시넥스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 파일:20201025_163349.png
빌드 NEW WORLD
파일:20201025_163634.png
크로즈
파일:20201025_165034.png
그리스
파일:zio_next.png
지오 NEXT TIME
게이츠, 마제스티
파일:OOO_Logo.png
가면라이더 오즈
파일:10thlogo.png 부활의 코어메달
파일:Faiz_Logo.png
가면라이더 555
파일:파이즈 20주년 로고.png PARADISE REGAINED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6F606E><colbgcolor=#6F606E><tablebgcolor=white,#191919><tablecolor=#212529,#e0e0e0><-7> 파일:TTFC-Logo.png
토에이 특촬 팬클럽 ||
파일:드라이브 사가 로고.png
드라이브 사가
파일:kamen_bren.png
브렌
파일:가이무 외전 로고.png
가이무 외전
파일:20201025_170123.jpg
그리돈 VS 브라보
||<-7><table width=100%><bgcolor=white,#191919> 레이와 라이더 V시넥스트 → ||
}}}}}} ||

6.3.1. 넷무비

극장판과 연관된 스핀오프작

6.3.2. 번외작

7. 국내 방영

2005년부터는 한국에서도 정식으로 수입하여 방영하고 있다.[27] 드래건부터 파이즈까지 투니버스에서 방영, 이후 왜색으로 방영이 불발된 히비키[28], 가이무를 제외한 모든 시리즈를 대원방송 계열 채널인 챔프TV 애니원, 애니박스에서 방영하고 있다.[29] 또한 2015년에 국내에 방영된 가면라이더 위자드부터는 수입/더빙을 담당한 대원 계열 채널을 넘어 애니맥스, JEI 재능TV, 대교어린이TV에서도 방영되었다.

성우진이 대부분 개념인 게 특징이라면 특징. 그 중에서도 오인성 성우가 맡았던 류우키의 키도 신지와 블레이드의 켄자키 카즈마는 가장 호평을 받았다. 또, 국내판 디케이드의 경우 이전 헤이세이 라이더의 주역 성우진을 다시 캐스팅한 것은 물론, 과거 특촬물의 주인공 역을 주로 더빙해온 김환진 성우를 미나미 코타로 역에 캐스팅하는 위업을 달성했다.

디케이드가 방영된 2011년까지 한국에 더빙 방영하는 헤이세이 라이더는 현지화 과정 없이 방영했지만,[30] 2기부터 제작사인 토에이 측에서 현지화에 대한 의향을 내비친 것이 반영되어 모든 캐릭터의 이름이 한국식으로 개명되었다. 후속작들도 역시 현지화되어 방영. 도중 오즈 김정령 PD의 전속 도배 시망했지만, 포제 이후로는 황태훈 PD가 사실상 연출을 전담하고 있고 더빙 퀄리티가 상당히 좋다. 빌드와 지오는 황태훈의 퇴사로 김세중으로 변경이 되었다.

2015년 헤이세이 가면라이더 정보를 다룬 대백과를 '가면라이더 대백과 21세기편'이란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우리나라에 방영한 작품들은 방영 당시 로컬명으로 갔으며 방영하지 않은 작품들도 우리나라 이름으로 로컬되었다. 국내에 방영된 모든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 중 1기는 7세 이상 관람가, 2기는 12세 이상 관람가로 방영했다. 오프닝은 더블부터 대원방송 성우극회의 소속 성우가 부르고 있는데, 대원방송의 그 고질적인 음향 편집 문제 때문에 완성도 면에서 항상 비판을 받는다.

헤이세이 라이더 대 쇼와 라이더 가면라이더 대전 feat 슈퍼전대 더빙판에서는 헤이세이 라이더라고 하지 않고 신 라이더라고 불린다.[32] 쇼와 라이더는 예전 라이더.

2020년 가면라이더 지오 방영을 끝으로 헤이세이 라이더 국내 방영의 역사는 이렇게 막을 내렸다. 가면라이더 제로원부터는 레이와 라이더 문서의 국내 방영 문단을 참조.

가면라이더 뉴 제네레이션 FOREVER 극장판 가면라이더 지오 Over Quartzer에서는 헤이세이 라이더를 뉴 밀레니엄 시대, 새 천년시대의 라이더라고 더빙했다.

7.1. 국내판 성우

<rowcolor=lightgray> 극회 명단
KBS 성우극회[33] 강구한, 강희선, 곽윤상, * 권창욱, 김규식, 김민아, 김승준, 김옥경, 김일†, 김정호, 김준, 김혜주, 김환진, 남도형, 문관일, 민지, 박영남, 박영재, 박은숙, 박지윤, 백승철, 변영희, 변현우, 설영범, 소연, 손정성, 송두석, 신범식, 안용욱, 오인성, 오인실, 온영삼, 위훈, 유강진, 유만준, 유호한†, 유동균, 윤동기, 윤세웅, 은정, 이광수, 이규석, 이규창, 이병용, 이봉준, 이영미, 이영주, 이장원, 이재웅, 이종구, 이호인, 임은정, 임주현, 임진응, * 임채헌, 장광, 장민혁, 정훈석, 주재규, 진웅, 최덕희, 최문자, 최정호, 최창석, 한상덕, 한호웅, 홍선영, 홍시호, 홍진욱, 황원
MBC 성우극회[34] 권혁수, 김두희, 김영선, 김지영, 김태훈, 노계현, 류승곤, 문남숙, 박기량, 박영화, 박태호, 방성준, * 배정민, 손원일, 송준석, * 안장혁, 엄태국, 윤성혜, 이민하, 이상범, 이상훈, 이원찬, * 이인성, 이종혁, 정재헌, 채의진, 최원형, 최한, 표영재
EBS 성우극회[35] 박웅선, 엄상현, 이영아, 이원상, 이주희, 이채진, * 장경희, 장은숙, 전태열, 홍희숙
CBS 성우극회[36] 민응식
대교방송 성우극회[37] 권영호, 김필진, 신한호, * 안현서, * 윤미나, 이상헌, 이영리, 전광주, 홍승표
CJ ENM 성우극회[38] 권성혁, 김기흥, 김광국, 김명준, 김보영, 김선혜, 김영찬, 김장, 김정은, 김현심, 김현지, 류점희, 박경혜, 박만영, 박성태, 서윤선, 손종환, 시영준, 신용우, 안영미, 양정화, 여민정, 여윤미, 윤여진, 이병욱†, 이소은, 이용신, 이주창, 이현진, 이호산, 정명준, 정선혜, 정승욱, 정유미, 정혜옥, 주자영, 최승훈, 최재호, 최지훈, * 한신, 현경수, 홍범기
대원방송 성우극회[39] 강시현, 강은애, 고구인, 곽규미, 김나율, 김도영, 김민정, 김민주, 김보나, 김성연, 김연아, 김연우, 김예림, 김윤채, 김진홍, 김하영, 김현욱, 김혜성, 디도, 문유정, 박고운, 박서진, 박성영, 박요한, 비주언, 서반석, 서원석, 서유리, 손선영, 송하림, 신경선, 심규혁, 심정민, 안효민, 원에스더, 윤아영, 윤은서, 이경태, 이기성, 이다은, 이동훈, 이명희, 이미나, 이보희, 이새아, 이승행, 이유리, 이은조, 이인석, 이재범, 이재현, 이주승, 이지현, 이창민, 이현, 임하진, 장미, 장서화, 장예나, 정의한, 정주원, 조경이, 채민지, 최낙윤, 최현수, 황창영
비고 디도, 김나율, 김보나, 임하진, 정주원, 비주언은 방영 당시 김디도, 김혜진, 김은연, 임경명, 정윤식, 정현으로 출연.
김현욱은 가면라이더 위저드 스페셜 에피소드(52,53화), 가면라이더 슈퍼히어로 대전: 또 하나의 세계,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드라이브&가이무 MOVIE 대전 풀 스로틀, 가면라이더 뉴 제네레이션 Dr. 팩맨 대 이그제이드&고스트 with 레전드 라이더, 가면라이더 뉴 제네레이션 파이널 빌드&이그제이드 with 레전드 라이더, 가면라이더 지오(11,12화)에서 강시우/ 가이무 역으로 출연.
김환진은 블랙의 세계에서 블랙으로 출연.

현재까지 국내에 정식으로 수입된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A]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여담이지만 현재[B]까지 TV로 방영된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레드 레인저나 신전사 역으로 출연한 성우들은 대부분 주역 라이더로 출연한 적이 있다.[51][52] 또한 히로인 역으로 출연한 성우들은 대부분 프리큐어 시리즈 프리큐어 멤버[53] 슈퍼전대 시리즈의 히로인 역으로 출연하였다.[54] 이 중 1호 라이더 - 레드 레인저로 출연한 성우는 가부토 - 캡틴 레드 역의 김승준, 이그제이드 - 레드 닌자 역의 김혜성, 포제 - 정글 레드 역의 박성태, 필립 - 트레인 레드 역의 심규혁, 박태상 - 소울 레드 역의 엄상현, 디케이드 - 매직 레드 역의 정재헌, 빌드 - 레드 버스터 역의 최승훈으로 총 7명이다.[55]

또한 주역 배우와 한국판 성우의 나이차가 엄청나다. 특히 덴오에서는 거의 부자뻘 차이까지 나올 정도. 물론 사람에 따라서는 그게 문제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아니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이런 나이 차는 대한민국 성우 평균 연령대가 높아서 그러한 것으로, 대한민국에서 남성이 성우가 되려면 군필( 현역 또는 보충역)이거나, 면제를 받아야 하는 탓에 1990년대생 성우들이 적은 편이기 때문. 현재 알려진 90년대생 남성 성우는 김현욱 김민주, 정의한 정도다. 사실 애니메이션 더빙에서도 마찬가지이긴 한데 왜인지는 몰라도 애니메이션 더빙을 주로 보는 사람들 사이에서도 일단은 일본 성우와 한국 성우의 나이차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긴 나오지만 특촬물보다는 언급이 적다. 참고로 애니메이션 더빙계에서는 성우와 성우의 나이 차이가 10년 차이 나는 것 가지고는 놀라워하는 경우가 적고 적어도 20년 이상은 차이가 나야 놀라는 사람들이 많다.

8. 관련 게임

9. 관련 용어

9.1. 본편에서의 가면라이더 명칭 사용 여부


아래는 헤이세이 라이더로 취급되지 않으나 헤이세이 시대에 만들어진 쇼와 라이더 리메이크의 가면라이더의 명칭들이다.

10. 세계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시리즈/세계관 문서
번 문단을
헤이세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기타

1기 헤이세이 라이더와 2기 헤이세이 라이더에는 돌려쓰는 것처럼 닯은 작품이 많다. 각각 시리즈에서의 순서도 같은 경우도 많다. 아닌 경우도 있으니 심각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지만 그냥 재미로만 보자.
[1] 해당 영상은 실제 토에이 공식계정에 올라온 영상이다. 각 작품들의 1화 오프닝에서 크레딧을 지운 뒤 내보낸 영상이기 때문에 블레이드와 히비키의 두 번째 오프닝인 ELEMENTS 시작하는 너에게는 들어있지 않다. [2] 위에 네 작품은 넷판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 올 라이더 슈퍼 스핀오프 이후 설정이 정리되면서 쇼와 라이더로 분류되었고, 헤이세이 라이더 대 쇼와 라이더 가면라이더 대전 feat 슈퍼전대에서 확실히 쇼와 라이더로 취급되었다. [3] 헤이세이 시대에 나온 신, ZO, J가 왜 쇼와 라이더로 구분되는지에 대해선 시라쿠라 신이치로에 의하면 그들이 활약하던 당시는 아직 '헤이세이 라이더'라는 말 자체가 없었기 때문이라고. 실제로 쇼와와 헤이세이로 구분이 나눠진 게 쿠우가의 등장부터였기 때문에 아무래도 쿠우가를 기준으로 하다 보니 헤이세이 시리즈에 제외된 듯하다. [4] 현재에 이르러선 한 시리즈의 촬영기간 1년간 출연 배우들에게 액션 연기도 가르치기에 굳이 액션 배우를 고용하는 사례도 줄었고 배우들이 소화하기 힘든 액션에는 전문 스턴트맨도 적극적으로 고용해 쇼와 시절에 비해 촬영에서의 사고률도 꽤 줄어들었다. 그렇게 액션 연기를 배운 신인 배우들중엔 스턴트 연기를 전공으로 밀고 나가는 경우도 있다. 사례로는 더블의 주인공인 필립 역의 스다 마사키, 가이무의 주인공 카즈라바 코우타 역의 사노 가쿠 등이 있다. [5] 본래 이 시간대는 1989년에 기동형사 지반이 방송 시간을 바꾼 이래 메탈히어로 시리즈가 방영되고 있었다. 그러나 철완 탐정 로보타크를 끝으로 시리즈가 막을 내린 뒤 '불타라! 로보콘'의 방영을 거쳐 쿠우가가 들어오면서 비로소 가면라이더 시간대로 자리잡았다. [6] 이 양반은 그냥 헤타레지만 워낙 초반부터 저질러 놓은 게 많다. [7] 펀치 호퍼 킥 호퍼 [8] 더블 극장판에 첫 등장했을 때부터 스스로를 라이더라고 칭한다. 단, 극중에서 가면라이더라고 지칭된 건 버스 뿐이고 오즈는 가면라이더 1000화 특집 말고는 주로 극장판에서 라이더라고 칭했다. [9] 정확하게는 "아머드" 라이더라고만 불렸다. [10] 연기 되어서 6월 28일 발매. [11] 다만 쿠우가와 가면라이더 블레이드는 원안과 좀 달라졌다고 한다. [12] 쿠우가, 아기토, 파이즈, 블레이드, 가이무 등이 있다. [13] 특히 노가미 료타로 쿠레나이 와타루가 많은 편이다. [14] 2호 라이더들 중에서 라이벌 포지션, 서브 주인공, 주인공의 파트너라는 3개의 타이틀을 겸한 케이스 [15] 두 명 모두 주인공인 동시에 서로의 파트너 역할을 한다. [16] 중반부에 흑화하여 악역쪽으로 한번 돌아섰다가 최종화에서 복귀하였다. [17] 정확히는 드라이브 드라이버 [18] 다른 파트너들과 달리 방영 시작에서 1화부터 39화까지 악역으로 활동하다가, 40화에서 파트너로 합류했다. [19] 본편에서의 근거지. [20] V시네마 부터의 근거지. [21] 3장부터 파트너로 활동한다 [22] 여기는 소고의 미래의 모습으로 보이는 오마 지오의 부하이다. [23] 벨트에 연동하는 키아이템은 아니다. [24] 올레 tv VOD로만 먼저 공개되었다. [25] 다른 시리즈 극장판과는 달리 TV 방영이 아닌 극장 개봉을 통해 상영된다. [26] VOD로만 공개되었다가 이후 TV 방영. [27] 아기토는 2007년에 극장판만 애니박스에서 방영했다. [28] 사실은 2008년 계획당시 히비키를 방송예정이었으나 2년 이상 차이가 나서 못했다는 말이 있다. # 하지만 2년 이상 차이가 났던 류우키와 파이즈, 블레이드는 잘만 방영되었고, 아기토와는 달리 극장판 방영조차 불발된 것으로 보아 진짜 이유는 짙은 왜색이라고 봐야 한다. [29] 투니버스에서 류우키와 파이즈를 방영할 때는 오프닝에 일본측 스탭롤을 표기했으나, 정작 가장 중요한 배우들의 정보는 나오지 않는다. 이후 대원에서 수입한 블레이드부터는 더빙 연출진을 표기한다. [30] 투니버스에서 방영하던 류우키는 일부 주역 라이더의 명칭이 약간 수정되었고, 파이즈는 무국적화에 주역 라이더 1명만 명칭을 약간 수정했다. [31] 다만 중복으로 맡은 벨트 음성은 비판을 받았다. [32] 쇼와 라이더 측에선 헤이세이 라이더를 애송이 라이더라 불렀다. [33] 극회 내 최고참은 황원. 드래건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꾸준히 출연하고 있다. [34] 극회 내 최고참은 김태훈 박태호. 파이즈부터 오즈를 제외한 작품들에서 최소 1명은 출연하고 있다. [35] 극회 내 최고참은 이채진. [36] 극회 내에서 출연한 성우는 민응식한 명뿐이다. [37] 극회 내 최고참은 안현서 이영리. [38] 극회 내 최고참은 정승욱 양정화, 이현진. 이쪽도 MBC 성우극회와 마찬가지로 오즈를 제외한 작품들에서 최소 1명은 참여하고 있다. [39] 극회 내 최고참은 김성연(1기들 중 대교방송 5기로 먼저 데뷔). 덴오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빠짐없이 출연하고 있다. [A] 드래건 이후의 작품들 [41] W 주역 대원 성우가 맡았지만 이쪽은 주인공이 2명이므로 제외.( 다른 주역 EBS 성우극회 소속의 베테랑 성우가 맡았다.) 이 중에 키바와 오즈는 국내 더빙판의 평가가 좋지 않다는 공통점이 있다. [42] 드라이브 이그제이드 대원 성우가 맡았지만 이쪽은 좋은 평을 받았는데 아무래도 베테랑 성우들과 극회 선배들의 도움이 컸다. [43] 특히 대원 1기 성우들은 덴오를 시작으로 꾸준히 출연 중이며, 최종보스 전담 성우는 대체적으로 KBS 성우극회 쪽이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44] 9대 키바 서원석, 11대 W 심규혁, 12대 오즈 이동훈, 16대 드라이브 정주원, 18대 이그제이드 김혜성. [45] 3대 드래건/5대 블레이드 오인성, 7대 가부토 김승준, 14대 위저드 장민혁. [46] 13대 포제 박성태, 19대 빌드 최승훈, 20대 지오 김명준. [47] 4대 555 최원형, 10대 디케이드 정재헌, 3대 드래건 이원찬(극장판). [48] 11대 W 엄상현, 17대 고스트 전태열. [49] 2대 아기토 전광주(극장판), 8대 덴오 이상헌. [B] 지오 방영 시점 [51] 레드 레인저의 경우, 신용우( 다이노 레드/ 비스트, 게이츠), 정재헌( 매직 레드/ 디케이드), 김영선( 트레저 레드/ 마하), 박성태( 정글 레드/ 이크사, 포제), 김승준( 캡틴 레드/ 가부토), 최승훈( 레드 버스터/ 빌드), 심규혁( 트레인 1호/ W, 버스), 김혜성( 레드 닌자/ 이그제이드), 황창영( 이글 레인저/ 잔게츠(극장판)), 남도형( 레오 레드/ 메테오), 엄상현( 소울 레드/ 가탁크, W). [52] 신전사의 경우, 이원찬( 트레저 실버, 슈리켄저(극장판)/ 류우키(극장판)), 신용우( 엔진 골드/ 비스트, 게이츠), 남도형( 메테오/ 캡틴 실버), 전태열( 비트 버스터/ 고스트), 전광주( 골드 다이노/ 리이매진 쿠우가, 아기토(극장판)), 서원석( 트레인 6호/ 키바), 김현욱(성우)( 스타 닌자, 스파이더 화이트/ 가이무(위저드, 극장판)), 김명준( 월드 레인저/ 지오). [53] 윤미나( 카자야 마나(극장판)/ 큐어 프린세스), 양정화( 소노다 마리/ 큐어 해피), 소연( 히로세 시오리/ 큐어 베리), 서유리( 하나, 고수현/ 큐어 민트), 이지현( 스즈키 미오, 나해미/ 큐어 레모네이드, 큐어 뷰티), 이명희( 히카리 나츠미/ 큐어 패션), 이재현( 하은기/ 큐어 뮤즈), 이새아( 김유진(극장판)/ 큐어 에코), 여민정( 문슬기/ 큐어 플로라), 김연우( 박은설/ 큐어 피스). 한편 쿠사카베 히요리 역의 민지, 마리 역의 최덕희 프리큐어 시리즈에 출연한 적이 없고, 칸자키 유이 역의 이현진(TV판)과 임주현(극장판), 마야 역의 이미나, 강나래 역의 박고운, 강아린역의 강은애, 셀레네역의 김예림은 프리큐어 시리즈에 출연했지만 프리큐어 멤버 역으로 출연한 적이 없었다. [54] 윤미나( 카자야 마나(극장판)/ 와일드 옐로), 소연( 히로세 시오리/ 트레저 핑크), 서유리( 하나, 고수현/ 엔진 실버, 타이거 레인저), 이지현( 스즈키 미오, 나해미/ 미라클 옐로), 이새아( 김유진(극장판)/ 핑크 닌자), 강은애( 강아린/ 호크 핑크). 그 외에 칸자키 유이 역의 이현진 소노다 마리 역의 양정화, 쿠사카베 히요리 역의 민지 슈퍼전대 시리즈에 출연한 적이 없고 강나래 역의 박고운 다이노포스에서 2대 싸이언 다이노 역으로 출연하였으며, 박은설 역의 김연우 다이노포스 트레인포스에서 여러 단역으로 출연하였다. 그리고 히카리 나츠미 역의 이명희 하은기 역의 이재현, 마리 역의 최덕희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역으로 출연한 바가 있다. [55] 레이와 라이더까지 포함하면 제로원 - 미라클 레드 역의 이경태, 기츠 - 루팡 레드 역의 이주승 두 명이 추가된다. [56] 가면라이더 킥 호퍼가 딱 1번 가면라이더라는 명칭을 썼지만 전체적으로 마스크드 라이더라고 불린다. [57] 본편에서 나고의 입에서 라이더 시스템이라고 나오고 극장판에서도 언급된다. [58] 다테 아키라가 버스의 메뉴얼을 보여줄때 가면라이더 명칭을 사용했다. [59] 라이더 전원 고스트라 불릴 것이라 예상되었지만 예상 외로 가면라이더라는 단어가 많이 언급된다. [60] 참고로 이런 작풍은 1기 레이와 라이더 2작인 가면라이더 세이버에도 이어지고 있다. 판타지계 작품이며 역시 자연계 속성을 지닌 라이더들이 있으며 신의 영역이라는 주제가 공통된다. 다만 아기토와 오즈가 인간이 신의 영역으로 나가는 인간찬가적인(?) 내용인데 반해 세이버는 신의 전능성에서 유래한 자유의지 예정설에 대한 논쟁을 기초로 한 내용을 그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61] 참고로 오르페녹은 미지의 존재이기는 해도 자연적으로 진화하는데 반해 팬텀은 인위적으로 탄생했다. [62] 블레이드는 BOARD, 가이무는 이그드라실 코퍼레이션. [63] 단 블레이드는 신세대 라이더들이 극장판에서 등장한다. [64] 참고로 이것은 드라이브 이후 후속작인 고스트, 에그제이드에서도 이어진다. 에그제이드에서는 버그스터 바이러스 버그스터가 되는 모습은 직접 안 나왔다. [65] 그래도 중가속 현상은 클락 업과의 차별화를 위해 공을 들였다고 한다. [66] 단 결정적인 차이점이 있는데 덴오는 모모타로스가 빙의한 소드 폼이 기본 폼인데 반해 고스트는 주인공인 타케루 자신의 변신체인 오레 다마시가 기본 폼이다. [67] 이매진은 실체화를 위해, 안마는 아이콘을 만들기 위해라는 점이 서로 닮았다. [68] 키바의 첫 기획 당시 제목이 가면라이더 블러드였다. [69] 물론 에그제이드는 뜯어보면 기존 가면라이더 시리즈에서 따온 요소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