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2:56:25

알폰소 데이비스

폰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폰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폰지사기에 대한 내용은 폰지사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마누엘 노이어|노이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0129; font-size: .8em"]] · 2 우파메카노 · 3 김민재 · 4 더리흐트 · 6 [[요주아 키미히|키미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0129; font-size: .8em"]] · 7 그나브리 파일:부상 아이콘.svg · 8 [[레온 고레츠카|고레츠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0129; font-size: .8em"]] · 9 케인
10 사네 · 11 코망 파일:부상 아이콘.svg · 15 다이어 · 17 브리안 · 18 페레츠 · 19 데이비스 · 21 이토22 게헤이루
23 보이 파일:부상 아이콘.svg · 25 [[토마스 뮐러|뮐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0129; font-size: .8em"]] · 26 울라이히 · 27 라이머 · 28 부흐만 파일:부상 아이콘.svg · 39 · 40 마즈라위
42 무시알라 · 43 휠스만 · 44 스타니시치45 파블로비치 · # 크라텐마허
파일:UEFA BEL.png 뱅상 콤파니 {{{#!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알폰소 데이비스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gc-dark-horizontal-s-en.svg
파일:분데스리가 심볼.svg
베스트팀
파일:gc-dark-horizontal-s-en.svg
2017 · 2021
파일:VDV로고.png
2019-20 · 2020-21 · 2022-23
파일:Kicker 로고.svg
2019-20 · 2020-21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
파일:attachment/FIFPro_logo.png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 ||
파일:Alphonso Davies(23-24).png
FC 바이에른 뮌헨 No. 19
알폰소 데이비스
Alphonso Davies
<colbgcolor=#dc052d> 본명 알폰소 보일 데이비스
Alphonso Boyle Davies
출생 2000년 11월 2일 ([age(2000-11-02)]세)
가나 센트럴주 부두부람
국적
[[캐나다|]][[틀:국기|]][[틀:국기|]]

[[라이베리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85cm / 체중 77kg[1]
포지션 레프트백, 윙어[2]
주발 왼발
소속 <colbgcolor=#dc052d> 유스 에드먼턴 스트라이커스 (2005~2015)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2015~2016)
선수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B (2016)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2016~2018)
FC 바이에른 뮌헨 II (2018~2020)
FC 바이에른 뮌헨 (2018~ )
국가대표 47경기 15골[3] ( 캐나다 / 2017~ )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c052d> 등번호 <colbgcolor=#fff,#191919> 캐나다 대표팀 - 12번, 19번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 67번
FC 바이에른 뮌헨 - 19번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알폰소 데이비스에 대한 헌사7. 여담
7.1. 캐나다에서의 위상7.2. WAGs
8.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캐나다 국적의 FC 바이에른 뮌헨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레프트백.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알폰소 데이비스/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라이베리아 난민 출신이기 때문에 본래는 부모님의 국적을 따라 단일 국적이었다. 2017년 6월 6일 캐나다 국적을 취득하고 취득 당일에 옥타비오 삼브라노 감독에게 뽑혀 A대표팀 예비 명단에 오른 후 6월 14일 친선 경기 퀴라소전에서 캐나다 A 대표팀에 데뷔했다.

2017년 여름 열린 CONCACAF 골드컵에서는 3득점을 하며 대회 득점왕 및 베스트 11에 뽑히기도 하였다.

2019 CONCACAF 골드컵에서도 눈부신 활약을 했지만 캐나다가 8강 아이티전에서 탈락했다.

2021 CONCACAF 골드컵에서도 엔트리에 뽑혔지만 대회 개막일에 발목 부상이 발견되어 뮌헨으로 복귀했다.

대표팀에서는 3-4-3 4-2-3-1 윙어는 물론이고 4-4-2 스트라이커와 3-4-2-1의 공격형 미드필더, 4-3-3 중앙 미드필더로 출전하기도 한다.

3.1.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2022 카타르 월드컵 북중미 지역 예선에서도 조너선 데이비드, 카일 래린과 함께 캐나다의 공격을 이끌며 캐나다가 36년 만에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따내는 데 크게 기여했다. 5골 8도움을 기록하며 9골 5도움을 기록한 조너선 데이비드와 13골을 기록한 카일 라린과 함께 압도적인 화력을 자랑했다.[4] 데이비스는 코로나19 감염으로 빠지는 동안 대표팀에 합류하지 못했으나 본선 진출을 확정지은 경기에서 개인 방송을 통해 감격의 눈물을 쏟아냈다.

본선 대회 직전의 부상 해프닝도 있었으나 무사히 월드컵 최종 엔트리에 승선했다. 데이비스는 발표 직후 트위터를 통해 이뤄지지 못한다는 꿈도 결국은 현실이 된다며 많은 이들에게 포기하지 말라는 소감을 드러냈다. #

벨기에와의 조별 리그 1차전에서 전반 10분 PK를 찼으나 티보 쿠르투아에게 막혔다. 세컨 볼 기회도 있었지만 공이 멀리 튀어서 급하게 차 골대를 넘어 날아갔다.

크로아티아와의 조별 리그 2차전에서 2분 만에 기습적인 헤더로 골을 넣으며 캐나다의 월드컵 첫 골이자 대회 첫 골을 기록하였다. 여담으로 2014 브라질 월드컵 결승전에서 골을 넣었던 마리오 괴체 이후 월드컵에서 득점한 첫 바이에른 뮌헨 소속 선수가 되었다. 그러나 이후 4골이나 내주고 패하면서 캐나다는 탈락이 확정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개구쟁이 표정을 한 토마스 뮐러가 알폰소 데이비스의 별명 "로드 러너"를 지어준 장면이다. 도르트문트의 엘링 홀란이 수비를 완전히 무너뜨리고 돌격하는 상황에서 중앙선 근처에 있던 알폰소가 말 그대로 날아와서 공을 걷어내는 믿을 수 없는 플레이.

정말 무지막지하게 빠르다. 최고 속도 37.1km/h[6]에 준하는 엄청난 스피드와 먼저 출발한 선수도 잡는[7] 어마어마한 가속력을 바탕으로 공격에서는 폭발적인 오버래핑으로 옵션을 제공하고, 왕성한 공격 가담을 하면서도 수비 복귀 속도도 매우 빠르다. 드리블 능력 역시 상당한데, 17세의 나이에 MLS 최고의 드리블러로 손꼽힐 정도로 뛰어난 발재간을 갖췄다. 알폰소의 드리블 스타일은 발재간을 이용하는 테크니컬한 드리블보다는 빠른 스피드를 이용하는 치달형 드리블을 자주 하는데, 개인 기술을 이용하는 테크니컬한 드리블 또한 준수하다. 또한 미친 체력의 소유자이다.[8] 후반 마지막까지 엄청난 속도를 과시하는 장면을 종종 볼 수 있다.

윙어로 활약하던 18-19 시즌 이후 수비진이 줄초상 난 바이에른 뮌헨의 사정상 19-20 시즌부터는 주전 레프트백으로 뛰고 있는데, 오히려 윙어로 뛸 때보다 좋은 모습을 보이면서 아예 주 포지션이 되었다. 주력과 피지컬을 기반으로 한 폭발적인 오버래핑으로 공격에서 옵션을 제공하고 역습 상황에서도 치달로 엄청난 존재감을 보이는 것은 물론, 윙어 출신 답지 않게 수비력이 수비수로서도 상당히 쓸만한 모습이다. 무턱대고 달려들지 않고 거리를 두며 압박하다가 타이밍을 잡았을 때 자신이 직접 공을 뺏거나 커버하는 동료가 처리할 때까지 기다리는 등 수비적으로 안정적인 면모가 있으며, 발이 빠르기 때문에 상대 선수를 놓치더라도 금방 따라가는 장면도 자주 나온다.

하지만 데이비스는 윙어 출신인 만큼 전반적인 수비 스킬이나 지능은 뛰어나다고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수비수로서 안정적인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지는 못한다. 또한 공격 상황에서의 마무리 패스나 크로스가 부정확하고 파이널 서드에서의 판단력도 좋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부분은 노하우가 쌓이면서 해결될 것이라고 여겨졌지만 현재까지도 발전하는 모습이 없다. 오히려 여전히 피지컬에만 의존하는 플레이를 보이는데, 상대방이 데이비스의 활약을 제한하기 위해 공간을 틀어막아버리면 속도 이외의 툴이 부족한 데이비스 입장에서는 할 수 있는 것이 매우 적어진다. 거기에 부상 빈도까지 크게 늘어나면서 점점 평범한 선수로 전락하고 있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알폰소 데이비스에 대한 헌사

너의 플레이는 내 눈에 즐거움을 가져다 줘.
마르셀루 #
나는 늘 데이비스가 레프트백 위치에서 역할을 해낼 수 있다고 자신했다. 엄청난 스피드, 제자리로 돌아올 힘을 지녔고, 훌륭한 패서이기도 하다.
한지 플릭
알폰소 데이비스는 진짜 히트 상품이다. 그는 경기장에서 절대적으로 최고 수준이며, 젊고 신성한 방식으로 인기 있는 인물이 되어가고 있다. 그는 우리를 매우 행복하게 한다.
헤르베르트 하이너
알라바가 10년간 바이언의 왼쪽을 지키는 동안 그보다 더 나은 선수는 나오지 않을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이제는 데이비스가 알라바보다 더 뛰어나다. 레프트백 포지션에서 로버트슨이 세계 최고로 거론되어 왔지만 지금은 로버트슨과 데이비스가 공동 1위라고 생각한다.
디트마어 하만
알폰소는 존나 빠르다.
로멜루 루카쿠
데이비스가 한 번의 드리블로 6명의 선수를 제치는 장면은 믿을 수 없었어요. 그는 월드 클래스예요. 여러분, 나에게는 저런 장면을 기대하지 말아주세요.
앤디 로버트슨
데이비스의 발전을 고려했을 때, 그렇게 폭발적으로 자신의 위치를 찾는 재능 있는 어린 선수를 찾기란 쉽지 않다. 데이비스는 그저 더 나아져서 계속 배우고 싶어한다. 그가 발전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매우 즐거운 일이다. 아직 그는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여전히 그에게 더 많은 것을 기대할 수 있고 그는 훨씬 좋아질 것이다.
제롬 보아텡
데이비스는 극한의 힘과 뜨거운 심장을 지닌 선수이다. '이 정도면 따돌렸겠지?' 하고 생각하면 루니 툰 로드 러너처럼 달려와서 공을 뺏어버린다.
토마스 뮐러
데이비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풀백이고 내가 선수로서 더 발전하기 위해 그와 경쟁할 수 있어 기쁘다.
뤼카 에르난데스
나는 알폰소 데이비스가 얼마나 빠른 선수인지 궁금하다. 그가 유럽을 통틀어서 가장 빠른 선수인지도 궁금하다. 지난번 바르셀로나를 상대로 했던 3-0 승리처럼 여전히 놀라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로베르 피레스

7. 여담

파일:1170886212.jpg.0.jpg }}}||
파일:alphonsodavieslionelmessi-.jpg }}}||
파일:FO40qXXXwAEhXXf.jpg }}}
파일:FO41oh_XsAsAkwH.jpg
||

7.1. 캐나다에서의 위상

파일:알폰소 데이비스 캐나다.jpg
알폰소 데이비스는 캐나다와 세계에서 캐나다 스포츠의 홍보대사다.
존 허드먼

7.2. WAGs

파일:알폰소 데이비스1.png

파일:알폰소 데이비스 여자친구2.png

파일:알폰소 데이비스 여자친구3.png

파일:알폰소 데이비스 여자친구4.gif

전 여자친구는 캐나다 국가대표 축구팀의 No. 9 조르딘 후이테마다. 알폰소 데이비스의 소속 팀인 바이에른 뮌헨이 영입을 시도했으나 거절당했고 그녀는 파리 생제르맹으로 이적했다. 바이에른 뮌헨의 오퍼를 거절한 것은 본인도 온전히 축구에만 집중하고 싶어서, 남자친구와 같은 팀으로 이적하는 것을 피하고 싶어했다고 한다.

하지만 2022년 5월 23일 트위터로 서로 헤어졌다는 것을 알렸고 커플 유튜브 채널 역시 삭제됐다. 이후 조르딘 후이테마는 시애틀 매리너스 소속 야구선수 훌리오 로드리게스와 연애 중이다.

8.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c042d><tablebgcolor=#dc042d>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FC 바이에른 뮌헨
2024-25 시즌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C 바이에른 뮌헨 2023-24 시즌 스쿼드
1 (C) 2 3 4 6 (3C)
마누엘 노이어
Manuel Neuer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1986.03.27 ([age(1986-03-27)])
2011~2025
다요 우파메카노
Dayot Upamecano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DF
1998.10.27 ([age(1998-10-27)])
2021~2026
김민재
Kim Min-Jae

파일:대한민국 원형 국기.svg | DF
1996.11.15 ([age(1996-11-15)])
2023~2028
마테이스 더리흐트
Matthijs de Ligt

파일:netherlands-flag-round-icon-256.png | DF
1999.08.12 ([age(1999-08-12)])
2022~2027
요주아 키미히
Joshua Kimmich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1995.02.08 ([age(1995-02-08)])
2015~2025
7 8 9 10 11
세르주 그나브리
Serge Gnabry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FW
1995.07.14 ([age(1995-07-14)])
2017~2025
레온 고레츠카
Leon Goretzka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1995.06.02 ([age(1995-06-02)])
2018~2026
해리 케인
Harry Kane

파일:england-flag-round-icon-256.png | FW
1993.07.28 ([age(1993-07-28)])
2023~2027
리로이 사네
Leroy Sané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FW
1996.01.11 ([age(1996-01-11)])
2020~2026
킹슬리 코망
Kingsley Coman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FW
1996.06.13 ([age(1996-06-13)])
2015~2027
13 15 17 18 19
에릭 막심 추포모팅
Eric Maxim Choupo-Moting

파일:cameroon-flag-round-icon-256.png | FW
1989.03.23 ([age(1989-03-23)])
2020~2024
에릭 다이어
Eric Dier

파일:england-flag-round-icon-256.png | DF
1994.01.15 ([age(1994-01-15)])
2024~2025
브리안 사라고사
Bryan Zaragoza

파일:스페인 원형.png | FW
2001.09.09 ([age(2001-09-09)])
2024[1]
다니엘 페레츠
Daniel Peretz

파일:israel-flag-round-icon-256.png | GK
2000.07.10 ([age(2000-07-10)])
2023~2028
알폰소 데이비스
Alphonso Davies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 DF
2000.11.02 ([age(2000-11-02)])
2018~2025
20 22 23 25 (VC) 26
부나 사르
Bouna Sarr

파일:senegal-flag-round-icon-256.png | DF
1992.01.31 ([age(1992-01-31)])
2020~2024
라파엘 게헤이루
Raphael Guerreiro

파일:포르투갈 원형 국기.svg | DF
1993.12.22 ([age(1993-12-22)])
2023~2026
사샤 보이
Sacha Boey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DF
2000.09.13 ([age(2000-09-13)])
2024~2028
토마스 뮐러
Thomas Müller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FW
1989.09.13 ([age(1989-09-13)])
2008~2025
스벤 울라이히
Sven Ulreich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1988.08.03 ([age(1988-08-03)])
2021~2025
27 28 39 40 42
콘라트 라이머
Konrad Laimer

파일:오스트리아 원형 국기.svg | MF
1997.05.27 ([age(1997-05-27)])
2023~2027
타레크 부흐만
Tarek Buchmann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DF
2005.02.28 ([age(2005-02-28)])
2023~2026
마티스 텔
Mathys Tel

파일:france-flag-round-icon-256.png | FW
2005.04.27 ([age(2005-04-27)])
2022~2027
누사이르 마즈라위
Noussair Mazraoui

파일:모로코 원형 국기.svg | DF
1997.11.14 ([age(1997-11-14)])
2022~2026
자말 무시알라
Jamal Musiala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3.02.26 ([age(2003-02-26)])
2020~2026
43 45
톰 휠스만
Tom Hülsmann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2004.04.11 ([age(2004-04-11)])
2023~2026
알렉산다르 파블로비치
Aleksandar Pavlović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4.05.03 ([age(2004-05-03)])
2023~2029
FC 바이에른 뮌헨 2023-24 시즌 임대선수
# '''
14
'''
32 35 37
알렉산더 뉘벨
Alexander Nübel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1996.09.30 ([age(1996-09-30)])
2020~2025
VfB 슈투트가르트 임대
2024.06.30 복귀
파울 바너
Paul Wanner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MF
2005.12.23 ([age(2005-12-23)])
2022~2027
SV 07 엘버스베르크 임대
2024.06.30 복귀
가브리엘 비도비치
Gabriel Vidović

파일:croatia-flag-round-icon-256.png | FW
2003.12.01 ([age(2003-12-01)])
2022~2025
GNK 디나모 자그레브 임대
2024.06.30 복귀
요하네스 솅크
Johannes Schenk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GK
2003.01.13 ([age(2003-01-13)])
2022~2025
SC 프로이센 뮌스터 임대
2024.06.30 복귀
말릭 틸만
Malik Tillman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 FW
2002.05.28 ([age(2002-05-28)])
2021~2026
PSV 에인트호번 임대
2024.06.30 복귀
44 46 41
요시프 스타니시치
Josip Stanišić

파일:croatia-flag-round-icon-256.png | DF
2000.04.02 ([age(2000-04-02)])
2021~2026
바이어 04 레버쿠젠 임대
2024.06.30 복귀
아리욘 이브라히모비치
Arijon Ibrahimović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FW
2005.12.11 ([age(2005-12-11)])
2023~2025
프로시노네 칼초 임대
2024.06.30 복귀
프란스 크레치히
Frans Krätzig

파일:germany-flag-round-icon-256.png | DF
2003.01.14 ([age(2003-01-14)])
2023~2027
FK 아우스트리아 빈 임대
2024.06.30 복귀
구단 정보
의장: 얀 크리스티안 드리즌 / 감독: 뱅상 콤파니 / 구장: 알리안츠 아레나
출처: FC 바이에른 뮌헨 공식 웹사이트 / 분데스리가 공식 웹사이트 / 트랜스퍼마크트

[1] 그라나다 CF에서 임대

}}}}}}}}}}}} ||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ffffff
<rowcolor=#ffffff>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소속 클럽
GK 1 데인 세인트클레어
(Dayne St. Clair)
1997년 5월 9일 ([age(1997-05-09)]세) 5 0 파일:미국 국기.svg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16 막심 크레포
(Maxime Crépeau)
1994년 5월 11일 ([age(1994-05-11)]세) 17 0 파일:미국 국기.svg 포틀랜드 팀버스
18 톰 맥길
(Tom McGill)
2000년 3월 25일 ([age(2000-03-25)]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DF 2 앨리스테어 존스턴
(Alistair Johnston)
1998년 8월 8일 ([age(1998-08-08)]세) 42 1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셀틱 FC
3 뤽 드 푸제롤
(Luc de Fougerolles)
2005년 10월 12일 ([age(2005-10-12)]세) 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4 카말 밀러
(Kamal Miller)
1997년 5월 16일 ([age(1997-05-16)]세) 43 0 파일:미국 국기.svg 포틀랜드 팀버스
5 카일 히버트
(Kyle Hiebert)
1997년 7월 30일 ([age(1997-07-30)]세) 2 0 파일:미국 국기.svg 세인트루이스 시티 SC
13 데릭 코넬리우스
(Derek Cornelius)
1997년 11월 25일 ([age(1997-11-25)]세) 20 0 파일:스웨덴 국기.svg 말뫼 FF
15 모이즈 봄비토
(Moïse Bombito)
2000년 3월 30일 ([age(2000-03-30)]세) 6 0 파일:미국 국기.svg 콜로라도 래피즈
19 알폰소 데이비스
(Alphonso Davies)
2000년 11월 2일 ([age(2000-11-02)]세) 47 15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22 리치 라레이아
(Richie Laryea)
1995년 1월 7일 ([age(1997-01-07)]세) 49 1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FC
26 알리 아메드
(Ali Ahmed)
2000년 10월 10일 ([age(2000-10-10)]세) 4 0 파일:캐나다 국기.svg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MF 6 사뮈엘 피에트
(Samuel Piette)
1994년 11월 12일 ([age(1994-11-12)]세) 69 0 파일:캐나다 국기.svg CF 몽레알
7 스테픈 유스타키오
(Stephen Eustáquio)
1996년 12월 21일 ([age(1996-12-21)]세) 37 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
8 이스마엘 코네
(Ismaël Koné)
2002년 6월 16일 ([age(2002-06-16)]세) 19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왓포드 FC
21 조너선 오소리오
(Jonathan Osorio)
1992년 6월 12일 ([age(1992-06-12)]세) 72 9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FC
24 마티외 슈아니에르
(Mathieu Choinière)
1999년 2월 7일 ([age(1999-02-07)]세) 3 0 파일:캐나다 국기.svg CF 몽레알
FW 9 카일 래린
(Cyle Larin)
1995년 4월 17일 ([age(1995-04-17)]세) 68 29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마요르카
10 주니어 호일렛
(Junior Hoilett)
1990년 6월 5일 ([age(1990-06-05)]세) 63 16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애버딘 FC
11 시오 베어
(Theo Bair)
1999년 8월 27일 ([age(1999-08-27)]세) 2 1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머더웰 FC
12 제이센 러셀로우
(Jacen Russell-Rowe)
2002년 9월 13일 ([age(2002-09-13)]세) 5 0 파일:미국 국기.svg 콜럼버스 크루
14 제이콥 샤펠버그
(Jacob Shaffelburg)
1999년 11월 26일 ([age(1999-11-26)]세) 10 2 파일:미국 국기.svg 내슈빌 SC
17 테이존 뷰캐넌
(Tajon Buchanan)
1999년 2월 8일 ([age(1999-02-08)]세) 38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 조너선 데이비드
(Jonathan David)
2000년 1월 14일 ([age(2000-01-14)]세) 48 26 파일:프랑스 국기.svg LOSC 릴
23 리암 밀러
(Liam Millar)
1999년 9월 27일 ([age(1999-09-27)]세) 26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프레스턴 노스 엔드 FC
25 타니 올루와시
(Tani Oluwaseyi)
2000년 5월 15일 ([age(2000-05-15)]세) 1 0 파일:미국 국기.svg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6월 17일
}}}}}}}}}}}} ||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anada men's national soccer team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최종 명단)
1 St.클레어 · 2 존스턴 · 3 아데커비 · 4 밀러 · 5 비토리아 · 6 피에트 · 7 유스타키오 · 8 프레이저 · 9 카발리니
10 호일렛 · 11 뷰캐넌 · 12 우그보 · 13 허친슨 · 14 케이 · 15 코네 · 16 판테미스 · 17 래린 · 18 보르얀
19 데이비스 · 20 J.데이비드 · 21 오소리오 · 22 라레이아 · 23 밀러 · 24 워더스푼 · 25 코넬리우스 · 26 워터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존 허드먼


2019년 골닷컴 선정 NXGN (U-20) 유망주 50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1D1D1D; margin: -6px -1px -11px"
제이든 산초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캘럼 허드슨오도이 필 포든 호드리구
알폰소 데이비스 산드로 토날리 디에고 라이네스 모이스 킨 모건 깁스화이트
라이언 세세뇽 페란 토레스 소피안 디오프 이선 암파두 에릭 가르시아
메이슨 그린우드 티모시 웨아 파울리뉴 아구스틴 알멘드라 오렐리앵 추아메니
도미니크 소보슬러이 브누아 바디아실 키야나 후버르 피에트로 펠레그리 아메드 주니어 트라오레
얀피테 아르프 아벨 루이스 이강인 윌렘 죄벨스 라이언 흐라번베르흐
리안 브루스터 에밀 스미스 로우 엘링 홀란드 조슈아 서전트 링콩
세르히오 고메스 훌리안 알바레스 후안 미란다 아민 구이리 오잔 카바크
티아고 알마다 레오나르도 캄파나 안토니오 마린 가브리에우 브라장 안테 팔라베르사
무함마드 이하타렌 브레네르 야리 페르스하런 쿠보 타케후사 크리스티안 프뤼히틀
}}}}}}}}} ||



[1] FC 바이에른 뮌헨 공식 프로필 [2] 캐나다 대표팀에서 윙어로 자주 기용된다. [3] 2024년 6월 10일 기준 [4] 참고로 캐나다의 득점 수는 무려 54골로 최다 득점 2~4위인 미국(21골), 파나마(19골), 멕시코(17골)의 합과 비슷한 수치이다. 그야말로 캐나다 혼자 차원이 다른 공격력을 선보인 것이다. 또한 북중미 지역 예선 최다 득점 기록 1~4위가 모두 캐나다 선수이며, 최다 도움 기록도 1~3위가 모두 캐나다 선수이다. [5] 여담으로 루카쿠도 한 스피드 한다. 첼시 시절 에덴 아자르가 팀에서 가장 빠른 사람이라고 밝혔던 선수가 바로 루카쿠다. [6] 22-23 시즌 챔피언스 리그에서 기록. [7] 다른 선수도 아니고 마커스 래시포드를 뒤에서 더 늦게 출발했음에도 바로 앞질러버리는 수준이다. [8] 이는 첼시와의 19-20 시즌 챔피언스 리그 16강 1차전 경기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경기 막판에 무지막지한 스피드로 상대 측면을 털어버리고 어시스트를 했다. [9] 영상 제목에 그대로 ‘Mukbang’이라는 한국어에서 유래된 신조어를 적었다. 영상에서는 스시를 먹는데, 일반적인 먹방과 다르게 그닥 맛있게 먹지는 않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