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5 11:35:36

중국-팔레스타인 관계

파일:중국 국장.svg 중국 대외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6자회담 당사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아시아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내몽골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제주특별자치도기.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대한민국 원형 국기.svg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현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유럽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다자관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한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한중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미중러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북중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미중일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중화권·러시아·만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러시아·인도·중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러시아·몽골·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중국·인도·파키스탄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
파일:ASEAN 깃발.svg
아세안
파일:태평양 공동체 기.png
오세아니아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로마 제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가야-후한 관계 백제-수나라 관계 여요관계
당나라 · 송나라 · 명나라 · 청나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 서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아프리카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중국 팔레스타인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전근대 문화적 교류2.2. 20세기2.3. 21세기
2.3.1. 2000년대2.3.2. 2010년대2.3.3. 2020년대
3. 교통 교류4. 관련 문서

1. 개요

중국 팔레스타인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중국은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했고, 팔레스타인 내에도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이라는 마오주의 성향 정당이 존재한다. 게다가 팔레스타인의 파타도 중국 마오주의의 영향을 받은 아랍 사회주의 성향이 적지 않다.

2. 역사적 관계

2.1. 전근대 문화적 교류

오늘날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사이의 귀속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예루살렘 아브라함 계통 종교의 성지이고, 전근대 중국에서도 소수의 기독교인들이나 유대인, 무슬림들이 거주하였기 때문에 종종 예루살렘 관련한 단편적인 지식이 한문으로 번역될 때도 있었다. 이를테면 당나라 시대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선교사들이 성경 및 기독교 교리를 한문으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고전 시리아어(Syriac)[1]로 예루살렘을 지칭하던 말인 "ܐܘܪܫܠܡ(우리슬렘; Ūrišlem)"을 "烏梨師斂(오리사렴)"으로 음역한 바 있다. 대표적으로 630년대 동방 교회에 대하여 작성된 서청미시소경(序聽迷詩所經)이 돈황석굴에서 발굴되었으며, 이 문헌에서도 '烏梨師斂'이 언급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일반 대중이나 지식인층 모두 기독교나 이슬람교, 유대교 교리 자체에는 별반 그렇게 관심을 가지지는 않았고,[2] 전근대 중국인들에게 있어서 예루살렘은 인지도가 있는 도시가 아니었다.

비교하자면 이슬람의 3대 성지 중 인도양 방면에서 접근하기 쉬웠던 메카 메디나는 중국을 오고가며 무역하는 상인들도 자주 들리던 곳이었고, 명사(역사책) 등 중국 사서에 상세한 기록이 남을 수 있던 반면, 예루살렘 관련하여 전근대 중국인들이 직접 남긴 문헌 기록은 찾아보기 매우 힘든 편이다.

2.2. 20세기

1950년대와 1960년대부터 중국은 제3세계 국가들의 독립을 지원했는데 팔레스타인 아랍인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를 지원하기 시작했으며, 1988년에는 팔레스타인을 인정했다.

1998년 야세르 아라파트는 중국을 방문했다. #

2.3. 21세기

2.3.1. 2000년대

2005년 5월 18일 및 19일, 마흐무드 압바스는 중국과 공동위원회 구성을 희망한다고 주장했다. #

2.3.2. 2010년대

2012년 11월 중국은 팔레스타인 유엔 옵저버 회원이 되는 것을 인정한 나라 중 하나였다.

2.3.3. 2020년대

2021년 4월 팔레스타인은 중국으로부터 시노팜 백신을 받았다. #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 때에는 양국 방안을 주장하며, 이스라엘과 미국을 더 비판했다. #, #, #, #

중국 외교부는 팔레스타인을 인도적 지원을 하기로 했으며, 이스라엘-하마스 휴전에 환영을 주장했다. #

중국 왕이부장은 2021년 11월 24일 팔레스타인 부총리와 통화를 했다. #

2021년 12월 시진핑은 세계 팔레스타인 연대의 날 기념식에 축전을 보냈다. #

2022년 3월 중국은 팔레스타인 난민에 코로나 19 백신을 전달했다. #

2023년 6월. 중국은 동예루살렘 수도 삼는 독립주권국 수립 지지와 팔레스타인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수립했다. #

이스라엘 중국의 위구르족 탄압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를 내는 것 #과 대조적으로, 중국의 위구르 탄압 문제에 대해 중국을 입장을 지지하였다. # [3][4]

중국은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에서 중재자 역할을 자처하였다. #

2023년 11월 14일, 중국 정부는 가자 지구에서 모든 자국민들을 철수시켰다. #

미국 외교의 급소가 팔레스타인 문제이다보니 중국 내에서도 팔레스타인에 대해 지지 혹은 동정적인 의견을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

3. 교통 교류

양국은 이스라엘의 벤구리온 국제공항을 통해 교류한다.

4. 관련 문서



[1] 시리아 아람어라고도 한다. Syrian Aramaic [2] 청나라 때 한족 지식인들은 불교가 서쪽으로 전파되어서 이슬람교가 되었고 다시 이슬람교가 유럽에 전파되어 기독교가 되었다고 생각했다. 청나라 때 한족들이 기독교인들에게 관심을 보인 분야는 예수회 선교사들이 도입한 유럽의 선진 과학기술이나 회화에 있었지 기독교의 상세한 교리까지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3] 이와 마찬가지로 20세기에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대부분의 아랍 국가들이나 중국이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들을 지지하던 가운데, 팔레스타인국의 전신인 PLO는 아랍 국가들 중 유일하게 소련 입장을 지지하였던 바 있다. [4] 이 점 때문에 위구르 민족주의자들은 아랍 세계(특히 팔레스타인)를 회의적, 부정적으로 보기도 하며, 일부는 이스라엘을 지지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