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00:54:43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171796>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국호 · 국기 · 체크무늬
역사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크로아티아 공국 · 크로아트 왕국 · 크로아티아 왕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문화 크로아티아 요리 ·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 · 크로아티아어 · 관광 · 크로아티아 축구 국가대표팀 · 프르바 HNL · 라틴 문자
정치 대통령 · 총리 · 사보르 · 행정구역
경제 경제 전반 · 크로아티아 쿠나(폐지) · 유로
지리 자그레브 · 두브로브니크 · 달마티아 · 플리트비체 호수 국립공원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유럽연합
군사 크로아티아군
민족 슬라브 · 크로아티아인( 크로아티아계 미국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아르헨티나인 · 크로아티아계 칠레인 · 크로아티아계 러시아인 · 크로아티아계 브라질인 · 크로아티아계 캐나다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e4002b> 상징 국가 · 국기 · 국장 · 캥거루 · 에뮤
역사 역사 전반 · 호주 자치령 · 백호주의
정치 정치 전반 · 호주 헌법 · 호주 국왕 · 호주 총독 · 호주 의회 · 호주 총리 · 호주 연합( 호주 자유당 · 호주 국민당 · 자유국민당 · 지역자유당) · 호주 노동당 · 호주 녹색당
외교 외교 전반 · 호주 여권 · CANZUK · APEC · 파이브 아이즈 · IPEF · 태평양 공동체 · 영연방 왕국 · 영미권 · Quad · AUKUS · G20 · APEC · JUSCANZ · 영국-호주 관계 · 호주-뉴질랜드 관계 · 캐나다-호주 관계 · 남아프리카 공화국-호주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호주-싱가포르 관계 · 독일-호주 관계 · 프랑스-호주 관계 · 이탈리아-호주 관계 · 한호관계 · 일본-호주 관계 · 대만-호주 관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경제 경제 전반 · 호주 달러 · 교통
사회 교육( 대학 틀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복지 · 마일 트레인
국방 호주군 · 호주 육군 · 호주 해군 · 호주 공군 · 호주 경찰 · 호주군 특수작전사령부( SASR, 제2코만도연대) · 파인 갭
사법·치안 호주 경찰 · ABF · ASIS · ASIO · 파인 갭
관광 관광 · 워킹홀리데이 · 호주 비자
문화 문화 전반 · 영화 · 요리 · 파블로바 · 완지나 · 호주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호주 크리켓 국가대표팀 · AFL · NRL · 수퍼 럭비 · 빅 배시 리그 ·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 호주 영어 · 호주빠 · 공휴일
지리 오스트랄라시아 ·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 태즈메이니아 섬
민족 호주인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 호주계 미국인 · 호주/인종차별 · 호주 시민권 · 그리스계 호주인 · 네덜란드계 호주인 · 독일계 호주인 · 레바논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영국계 호주인 · 이탈리아계 호주인 · 중국계 호주인 ·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 폴란드계 호주인 · 프랑스계 호주인 · 한국계 호주인 · 러시아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인도계 호주인 · 헝가리계 호주인 · 핀란드계 호주인 · 스페인계 호주인 · 포르투갈계 호주인 · 위구르계 호주인
}}}}}}}}} ||


1. 개요2. 이민사3. 유명 인물4. 관련 문서

1. 개요

영어: Croatian Americans
크로아티아어: hrvatsko-australski

크로아티아계 호주인은 크로아티아인 출신 혹은 크로아티아 출신 이민자의 혈통을 이어받은 호주인을 의미한다. 크로아티아계 호주인은 세르비아계 호주인 및 보슈냐크계 호주인과도 밀접한 관계이다. 주로 1960~90년대 사이에 이주가 이루어졌다. 호주 내 크로아티아계 인구는 2016년 기준 133,268명으로 0.6 %에 불과하지만 축구선수 패션 모델로 활약하는 경우가 많아서 존재감이 있는 편이다. 특히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크로아티아계 선수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대표적인 인물로 마크 비두카가 있다.

2020년대 시점에서 크로아티아계 이민 인구 상당수가 이민 1세대로 상당수가 가정에서는 크로아티아어를 구사하며 2006년 기준으로 영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인구도 2.3% 정도에 달했다. 또한 80 ~ 90년대 이후로는 호주로 유입되는 크로아티아계 인구가 감소하는데다 크로아티아계 호주인의 출산율이 낮은 관계로 점차 고령화가 진행되는 중이기도 하다.

2. 이민사

호주 인구는 1850년대 골드러시 때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한동안 유럽인들에게 인지도가 낮았던 호주는 20세기 초 무렵에야 영미권을 중심으로 조금씩 인지도를 얻기 시작하였고, 호주로 이주하는 크로아티아계 인구는 미국이나 칠레 등으로 이민한 크로아티아인들에 비해 규모가 훨씬 적은 편이었다. 20세기 초반 기준 약 2~3.000여 명 가량의 크로아티아인들이 호주에 정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세기 초반까지 크로아티아는 독립국이 아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속해있었기 때문에 호주로 이민한 크로아티아인들은 대개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 여권을 들고 왔다. 1901년 독립한 호주 연방은 크로아티아인들을 오스트리아-헝가리 출신으로 개략적으로 분류하였다. 2차대전 이후 크로아티아인 난민이 주로 이루어지던 60~80년대 당시는 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 연방에 속해있었기 때문에 수십여 년간 크로아티아계 이민자들은 유고슬라비아 출신으로 분류되었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 골드 러시 시절에는 크로아티아인들이 호주 내륙 각지에 정착했다면 냉전 시절과 그 이후 보스니아 내전 당시 크로아티아인들은 주로 시드니 멜버른에 정착하였다. 크로아티아계 호주인을 규정하는 기준은 이민자 및 그 후손의 자가응답, 본인의 정체성 혹은 종교에 있었다. 여기서 구유고 시절 출신 지역 등은 중요하지 않았다. 오늘날 크로아티아 영토에 해당하는 지역 외에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거주하던 가톨릭 크로아티아인들이 보스니아 전쟁 와중에 망명한 경우가 많있기 때문이다.

1977년에는 호주 내 크로아티아인들을 중심으로 유고슬라비아 대사관과 별개로 비공식 크로아티아 대사관이 개설되었으나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1979년 문을 닫았다. 호주 인구조사에서 크로아티아계가 별도로 분류되기 시작한 시점은 1996년도부터이다.

영국계 주민들이 주로 크리켓같은 것을 할 때 크로아티아계 주민들은 대부분 축구를 해서인지 호주 축구 대표팀에서 크로아티아계가 유독 두각을 나타내는 편이며, 또한 다른 남슬라브인들과 마찬가지로 평균 키가 크고 호리호리한 체형 덕분에 패션 모델 특히 하이패션 필드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다.

3. 유명 인물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