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0 10:59:23

최재우(북한)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ED11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조선로동당 마크.png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colcolor=#FED11E> 상무위원 <colbgcolor=#fff,#222>1980년 10월 6기 1차 전원회의 김일성· 김일· 오진우· 김정일· 리종옥
가나 1980년 10월 6기 1차 전원회의 박성철· 최현· 림춘추· 서철· 오백룡· 김중린· 김영남· 전문섭· 김환· 연형묵· 오극렬· 계응태· 강성산· 백학림
1982년 8월 6기 6차 전원회의 최영림(승진)· 서윤석(승진)[1]
[1] 북한의 공식 약력에 따르면 이 시점에서 김만금도 정치국 위원을 지냈으나 언론보도상으론 확인할 수 없음.
1983년 3월 리종옥(강등)
1986년 12월 6기 8차 전원회의 허담(승진)
1986년 12월 6기 8차 전원회의 리근모(승진)· 홍성남(승진)
1988년 3월 6기 13차 전원회의 계응태(재승진)
1988년 11월 6기 14차 전원회의 전병호(승진)
1990년 5월 6기 18차 전원회의 최광(승진)· 한성룡(승진)
1993년 12월 6기 21차 전원회의 김영주(복귀)
후보위원 1980년 10월 6기 1차 전원회의 허담· 윤기복· 최광· 조세웅· 최재우· 공진태· 정준기· 김철만· 정경희· 최영림· 서윤석· 리근모· 현무광· 김강환· 리선실
1981년 4월 6기 3차 전원회의 강희원
1981년 10월 6기 4차 전원회의 계응태(강등)
1982년 4월 6기 5차 전원회의 홍성남
1982년 8월 6기 6차 전원회의 전병호· 김두남
1983년 6월 6기 7차 전원회의 안승학· 홍성룡· 김복신
1983년 12월 6기 8차 전원회의 김중린(강등)
1986년 2월 6기 11차 전원회의 홍시학· 홍성남(복귀)
1988년 11월 6기 14차 전원회의 한성룡· 홍성남(강등)
1990년 5월 6기 18차 전원회의 최태복· 김철만(복귀)· 최영림(강등, 복귀)
1992년 12월 6기 20차 전원회의 연형묵(강등)· 김달현· 김용순
1993년 12월 6기 21차 전원회의 양형섭(강등, 복귀)· 홍석형[2]
[2] 이후 정치국 후보위원 김철수가 보선되었으며 그가 송두율이라는 주장이 있음.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B, #BC0021 20%, #BC0021 80%, #9C001B);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3478,#C39335> 내각 제1부수상 1959년 1월 20일 직함 신설
김일 1959년 임명, 1962년, 1967년 유임
<rowcolor=#003478,#C39335> 내각 제2부수상 1970년 7월 11일 직함 신설
박성철 1970년 임명
<rowcolor=#003478,#C39335> 내각 부수상
1기
1948-1957
박헌영· 홍명희· 김책(1948)
허가이(1951)
최창익· 정일룡(1952)
최용건· 박의완(1953)
박창옥· 김일(1954)
정준택· 정일룡재임명(1956)
2기
1957-1962
김일· 홍명희· 정준택· 남일· 박의완· 정일룡(1957)
리주연(1958)
리종옥· 김광협(1960)
3기
1962-1967
김일· 김광협· 김창만· 정일룡· 리종옥· 리주연· 남일(1962)
최용진(1964)
고혁· 김창봉· 박성철(1966)
4기
1967-1972
김일· 김광협· 박성철· 김창봉· 리주연· 남일· 리종옥· 최용진· 정준택(1967)
김만금· 홍원길(1970)
최재우(1971)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B, #BC0021 20%, #BC0021 80%, #9C001B);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3478,#C39335> 정무원 제1부총리 1982년 8월 31일 직함 신설
강성산1982-1984[1] 연형묵 1985-1986 김윤혁 1986-1986 홍성남 1986-1987
1987년 10월 14일 직함 폐지, 부총리 겸 국가계획위원장으로 대체

[1] 1984-1985년 사이 남한 언론에서는 최영림이 제1부총리를 지냈다고 기록하고 있으나 북한 문헌에선 당시 제1부총리 직함을 사용하지 않았음.
<rowcolor=#003478,#C39335> 정무원 부총리
5기
1972-1977
정준택·박성철·김만금·홍원길·최재우·남일(1972)
리근모·정준기·홍성남·허담(1973)
김영주(1974)
공진태·연형묵(1975)
리종옥·계응태(1976)
6기
1977-1982
계응태·허담·정준기·강성산·공진태·김두영(1977)
강희원·로태석(1978)
김경련(1979)
조세웅·서관히(1980)
홍시학·김회일·홍성룡·최광·리근모재임명(1981)
7기
1982-1986
강성산·계응태·허담·홍성룡·홍시학·최재우·공진태·최광·김창주·김회일·김두영·김복신·정준기(1982)
김환·김영남(1983)
최영림·조세웅재임명·김복신재임명·김창주재임명(1984)
연형묵·안승학·현무광(1985)
홍성남재임명(1986)
8기
1986-1990
홍성남·김영남·김복신·정준기·김창주·김윤혁·최광·정준기(1986)
조세웅재임명(1988)
강희원재임명(1989)
9기
1990-1998
홍성남·강희원·김윤혁·김창주·장철·김영남·최영림·김복신·김환·김달현(1990.5)
홍시학재임명(1990.10)
공진태재임명(1994)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003478,#C39335>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정준택 박창옥 리종옥 림계철
<rowcolor=#003478,#C39335>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정준택 윤기복 최재우
<rowcolor=#003478,#C39335>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홍성남 홍성룡 로태석 공진태 홍성룡
<rowcolor=#003478,#C39335>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홍성남 박남기 홍성남 김달현 홍성남
<rowcolor=#003478,#C39335>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최영림 김달현 홍석형 박남기 김광린
<rowcolor=#003478,#C39335>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로두철 김일철 박정근
}}}}}}}}}
1. 개요2. 생애3. 참고문헌

1. 개요

북한의 정치인, 테크노크라트.

2. 생애

1913년 함경북도에서 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90년대 북한 자료가 대개 그렇듯이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1948년 조선로동당 함경북도 당위원회에서 간부과장을 지냈으며 1954년 청진제철소 지배인이 되었다. 1957년 4월, 2기 내각에서 국가계획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57년 9월, 기계공업성 부상에 임명되었으며 1958년 2월 13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정일룡의 뒤를 이어 신임 기계공업상에 임명되었다. 1958년 9월 7일, 김응기, 김응상, 리병남, 박문규, 박세창, 유철목, 정성언, 최재하와 함께 북한 창건 10주년 국기훈장 2급을 받았으며 받았다. 아마 중공업 부문에서 실적을 많이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1958년 11월, 류경수 장의위원을 지냈다. 1959년 3월, 김일성의 함흥시 현지지도를 수행하였다.

1960년 4월 4일, 기계공업성, 금속공업성, 동력화학공업성이 중공업위원회로 통폐합되면서 중공업위원회 부위원장에 임명되었으며 1960년 5월에는 교편을 잡고 김일성종합대학 물리학 교수로 일했다. 1961년 8월 김일성종합대학 교무부총장, 과학원 측지 및 지구물리학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임하다가 1961년 9월, 4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런데 무임소상에 임명되었는지 1961년 11월 11일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상'에서 해임된 기록이 있다. 1962년 4월 21일, 내각 제1사무국장에 임명되면서 다시 내각으로 돌아왔고, 1962년 10월, 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 내각 제1사무국장에 유임되었다. 1965년 8월, 강영창 장의위원을 지냈다. 1967년 11월, 4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및 내각 제1사무국장에 유임되었다. 1969년 1월, 김갑순 장의위원, 1969년 3월, 김태근 장의위원을 지냈다. 1970년 11월, 5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승진하였으며 1971년 3월 25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부수상에 임명되었다.

1972년 12월, 5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되는 한편 정무원 부총리 겸 국가계획위원장, 중앙인민위원회 위원에 임명되었다. 1973년 1월, 정준택 장의위원을 지냈다. 1973년 3월, 정치위원회 후보위원에 보선되었으며 1973년 9월 20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홍성남에게 국가계획위원장 자리를 물려주었다. 이후 대외경제사업부장로 이동한 것이 로동신문 보도에서 언급된다. 1976년 3월, 남일 장의위원, 1976년 5월, 홍원길 장의위원, 1976년 9월, 최용건 장의위원, 1980년 1월, 로태석 장의위원을 지낸 것을 봐서는 정무원 부총리로 남은 것으로 보인다. 1980년 10월, 6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후보위원에 선출되었다.

1982년 4월, 7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되는 한편 부총리 겸 기계공업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82년 4월, 김일성 칠순기념 김일성훈장을 받았다. 1982년 4월, 최현 장의위원, 1983년 1월, 강량욱 장의위원, 1983년 9월, 김일대 장의위원을 지냈다. 하지만 1983년 12월에 부총리에서 해임, 정치국 후보위원에서도 소환된 것으로 보이며 국가과학기술위원장으로 이임했다. 1985년 5월까지 재임하다가 해임되어 리자방에게 자리를 물려주었다. 1986년 11월, 8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재선되었으나 특별한 직책은 받지 못했다. 이후 1992년 9월 박사학위를 받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후 두문불출하였다.

2002년 1월, 기계공업상 재직 시절 김일성과의 일화를 다룬 "한점의 불꽃이 온 나라에 타번지도록"을 집필하였으며, 이후 사망하여 2004년 11월, 정무원 부총리 직함으로 애국렬사릉에 시신이 안장되었다. 이후 딱히 대단한 일을 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조선중앙통신은 "오랜 기간 국가경제기관의 중요한 직책에서 사업하면서 조선로동당의 사회주의경제건설로선을 옹호관철하는데 기여한 정무원 부총리였던 최재우"라고 나름대로 좋게 말해주었다.

3.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