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dc0d15>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
<colbgcolor=#ffd900> 소공동 | 소공동 | 북창동 | 태평로2가 | 의주로1가 | 충정로1가 | 서소문동 | 정동 | 남대문로2가 | 남대문로3가 | 남대문로4가 | 순화동 | 봉래동1가 | |||||
회현동 | 회현동1가 | 회현동2가 | 봉래동1가 | 봉래동2가 | 남창동 | 순화동 | 정동 | 남대문로3가 | 남대문로4가 | 남대문로5가 | 충무로1가 | |||||
명동 | 명동1가 | 명동2가 | 장교동 | 무교동 | 다동 | 삼각동 | 정동 | 남대문로3가 | 남대문로4가 | 남대문로5가 | 충무로1가 | 충무로2가 | 태평로1가 | 남산동1가 | 남산동2가 | 남산동3가 | 회현동1가 | 회현동2가 | 회현동3가 | 예장동 | |||||
필동 | 필동1가 | 필동2가 | 필동3가 | 주자동 | 남학동 | 충무로3가 | 충무로4가 | 충무로5가 | 예장동 | 장충동2가 | 묵정동 | |||||
장충동 | 장충동1가 | 장충동2가 | 묵정동 | |||||
광희동 |
광희동1가 | 광희동2가 | 인현동2가 | 구청 예관동 | 쌍림동 | 오장동 |
을지로6가 |
을지로7가 |
충무로4가 |
충무로5가
|
|||||
을지로동 | 을지로3가 | 을지로4가 | 을지로5가 | 주교동 | 방산동 | 입정동 | 산림동 | 초동 | 저동2가 | 인현동1가 | |||||
신당동 | 신당동 | 무학동 | 흥인동 | |||||
다산동 | 신당동 | |||||
약수동 | ||||||
청구동 | ||||||
신당5동 | ||||||
동화동 | ||||||
황학동 | 황학동 | |||||
중림동 | 중림동 | 의주로2가 | 만리동1가 | 만리동2가 | }}}}}}}}} |
중구의
법정동 신당동 新堂洞 | Sindang-dong |
|
<colbgcolor=#dc0d1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행정표준코드 | 1114016200 |
관할 행정동 |
|
면적 | 2.39㎢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동.법정동 신당동과 행정동 신당동이 있다.
법정동 신당동은 다산동, 동화동, 약수동, 청구동, 신당제5동, 행정동 신당동 등 6개의 행정동이 나누어 관할하며, 행정동 신당동은 법정동 신당동의 일부와 흥인동, 무학동 등 세 개의 법정동을 관할한다.
2. 관할 행정동
2.1. 신당동
중구의
행정동 신당동 新堂洞 | Sindang-dong |
|||
<colbgcolor=#dc0d1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010141 | ||
관할 법정동 | 신당동, 흥인동, 무학동 | ||
하위 행정구역 | 19통 98반 | ||
면적 | 0.55㎢ | ||
인구 | 7,394명[A] | ||
인구밀도 | 13,645.45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중구·성동구 을 | |
|
박성준 (재선) | ||
서울특별시의원 | 제1선거구 | |||
|
박영한 (초선) | ||
중구의원 | 가 선거구 | |||
|
손주하 (초선) | ||
|
윤판오 (재선) | }}}}}}}}} | |
행정복지센터 | 다산로33길 3 (신당동 300-6) | ||
신당동 주민센터 |
2.2. 다산동
중구의
행정동 다산동 茶山洞 | Dasan-dong |
|||
<colbgcolor=#dc0d1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010142 | ||
관할 법정동 | 신당동 | ||
하위 행정구역 | 20통 125반 | ||
면적 | 0.51㎢ | ||
인구 | 13,091명[A] | ||
인구밀도 | 26,280.39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중구·성동구 을 | |
|
박성준 (재선) | ||
서울특별시의원 | 제2선거구 | |||
|
옥재은 (초선) | ||
중구의원 | 다 선거구 | |||
|
길기영 (재선) | ||
|
조미정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동호로15길 50 (신당동 432-24) | ||
다산동 주민센터 |
2.3. 약수동
중구의
행정동 약수동 藥水洞 | Yaksu-dong |
|||
<colbgcolor=#dc0d1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010143 | ||
관할 법정동 | 신당동 | ||
하위 행정구역 | 31통 201반 | ||
면적 | 0.48㎢ | ||
인구 | 16,017명[A] | ||
인구밀도 | 33,920.83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중구·성동구 을 | |
|
박성준 (재선) | ||
서울특별시의원 | 제2선거구 | |||
|
옥재은 (초선) | ||
중구의원 | 라 선거구 | |||
|
송재천 (초선) | ||
|
허상욱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다산로 92 (신당동 366-15) | ||
약수동 주민센터 |
2.4. 청구동
중구의
행정동 청구동 靑丘洞 | Cheonggu-dong |
|||
<colbgcolor=#dc0d1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010144 | ||
관할 법정동 | 신당동 | ||
하위 행정구역 | 20통 165반 | ||
면적 | 0.34㎢ | ||
인구 | 12,847명[A] | ||
인구밀도 | 38,570.59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중구·성동구 을 | |
|
박성준 (재선) | ||
서울특별시의원 | 제2선거구 | |||
|
옥재은 (초선) | ||
중구의원 | 라 선거구 | |||
|
송재천 (초선) | ||
|
허상욱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청구로3길 55 (신당동 333-17) | ||
청구동 주민센터 |
2.5. 신당5동
중구의
행정동 신당제5동 新堂第五洞 | Sindang 5(o)-dong |
|||
<colbgcolor=#dc0d1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010053 | ||
관할 법정동 | 신당동 | ||
하위 행정구역 | 22통 136반 | ||
면적 | 0.39㎢ | ||
인구 | 10,104명[A] | ||
인구밀도 | 25,892.31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중구·성동구 을 | |
|
박성준 (재선) | ||
서울특별시의원 | 제1선거구 | |||
|
박영한 (초선) | ||
중구의원 | 나 선거구 | |||
|
소재권 (재선) | ||
|
이정미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다산로44길 85 (신당동 150-7) | ||
신당5동 주민센터 |
2.6. 동화동
중구의
행정동 동화동 東化洞 | Donghwa-dong |
|||
<colbgcolor=#dc0d15><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서울특별시 | ||
기초자치단체 | 중구 | ||
행정표준코드 | 3010145 | ||
관할 법정동 | 신당동 | ||
하위 행정구역 | 18통 118반 | ||
면적 | 0.26㎢ | ||
인구 | 9,877명[A] | ||
인구밀도 | 38,519.23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국회의원 | 중구·성동구 을 | |
|
박성준 (재선) | ||
서울특별시의원 | 제1선거구 | |||
|
박영한 (초선) | ||
중구의원 | 나 선거구 | |||
|
소재권 (재선) | ||
|
이정미 (초선) | }}}}}}}}} | |
행정복지센터 | 다산로36길 110 (신당동 850) | ||
동화동 주민센터 |
3. 주요 시설
3.1. 기관
3.2. 교육
3.2.1. 초등학교
3.2.2. 중학교
3.2.3. 고등학교
3.3. 주거
- (주)청구 신당 청구아파트 - 2001년 1월 입주.
- KCC건설 신당 KCC 스위첸 - 2019년 6월 입주.
- 선경건설 남산타운 - 1999년 5월 입주.
- 대림산업 e편한세상 청구 - 2011년 12월 입주.
- 대우건설 신당 푸르지오 - 2005년 12월 입주.
- 동아건설산업 약수 동아하이츠 - 1999년 7월 입주.
- 반도건설 신당 파인힐하나유보라 - 2019년 6월 입주.
- 삼성물산 신당 삼성아파트 - 1999년 12월 입주.
- 삼성물산 래미안 신당 하이베르 - 2011년 10월 입주.
- 현대건설 신당 현대아파트 - 1990년 8월 입주.
4. 교통
교통의 요지. 2호선, 3호선, 5호선, 6호선이 지나간다. 1호선 동묘앞 역도 가까우며, 2, 4, 5호선 환승역인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역시 도보 이용 가능한 (사실 중구에 있는 만큼, 교통은 좋을 수밖에 없다. 서울 정중앙이니, 중구에 마을버스 없는 이유가 다 있다.) 버스로는 남쪽으로는 압구정, 강남역, 고속터미널을 성수대교, 동호대교, 한남대교를 거쳐 지나가는 노선이 존재하며, 도심은 걸어서도 40분이면 갈 정도이며, 대다수 노선이 도심을 경유한다.4.1. 버스
4.1.1. 간선
4.1.2. 지선
4.1.3. 심야
4.1.4. 마을
4.2. 전철
신당동을 가로지르는 다산로를 따라 서울 지하철 6호선이 다닌다. 신당동 내에 위치한 역으로는 다음이 있다.5. 사건 사고
6. 출신 인물
- 구본창
- 김남근
- 김마리아(1903)
- 김영민(태사자)
- 류정란
- 박명환(약수동)
- 박병호(배우)
- 박지만
- 세빈(OMEGA X)
- 윤해영
- 이서진
- 이슬비(레이싱 모델)
- 이지혜
- 홍고고
- 홍진경
- 효진(약수동)
7. 여담
- 한국의 대표적 분식 메뉴로 유명한 고추장 떡볶이[8]가 이 동네에서 탄생했다. "고추장 비밀은 며느리도 몰라"라는 광고 멘트로 유명한 고 마복림 할머니가 1950년대 중반 신당동에서 노점을 열어 고추장 떡볶이를 만들어 판매한 것이 그 유명한 신당동 떡볶이의 시초다. 1970년대까지는 신당동의 명물로만 국한됐으나 당대 최고 인기 라디오 프로그램이던 MBC 라디오 임국희의 여성 살롱에 신당동 떡볶이가 소개된 이후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떡볶이의 메카가 됐다. 정확히는 신당역과 청구역의 중간 지점에 '신당동 떡볶이타운'이 있으며 여기에 마복림 할머니가 운영하던 원조 가게를 비롯해 할머니의 아들들이 나눠 차린 가게들도 있다.
- 지금이야 신당동하면 떡볶이로 유명하지만 과거에는 무당들이 모여 산 곳으로 유명했다. 조선 시대 광희문 밖으로 나온 망자들을 위해, 유족들은 무당들을 불러 굿을 하며 넋을 달랬다고 한다. 광희문 밖은 자연스럽게 하나둘씩 신당이 늘어나게 됐고, 이후 신당이 많다 하여 신당동(神堂洞)으로 불렸다. 이후 갑오개혁 때부터는 한자어가 신당동(新堂洞)으로 바뀌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박정희 전 대통령의 가족이 육군 7사단장 재임기인 1958년부터 1961년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으로 취임하기 전까지 신당동에 거주했다. 또 10.26 사건으로 박정희가 세상을 떠난 후 맏딸 박근혜 등 유족이 청와대에서 나온 직후 살던 곳이기도 하다. 과거 박정희 가족이 살았던 신당동 62-43 소재 집은 현재 국가등록문화재 412호로 지정돼 관리되고 있다.
- 박정희 전 대통령의 조카사위이자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도 신당동에 거주했다. 김종필 전 총리의 거주지는 청구동으로 잘 알려져 있고 김 전 총리와 가까이 지냈던 정치인들의 계파명도 청구동계다. 다만 위에 서술된 것처럼 청구동은 행정동이다. 따라서 법정동 기준으로 언급한다면 신당동에 살았다고 볼 수 있다. 공교롭게도 처삼촌 박정희도 한때 신당동 주민이었지만 두 사람이 신당동에서 같이 산 적은 없다.[9] 또 두 사람의 집간 실제 거리도 꽤 멀다.[10]
- 일제 강점기 연희동 지역과 더불어 새로 개발 되어 강남 개발 전까지 부촌이었다. 당시 이완용이 이사 왔으니...오늘날 그 흔적은 박정희 전 대통령 가옥에서 찾을 수 있는데 문화주택으로 불리던 당시 가옥들은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현재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위 기재 가옥을 제외하고는 대다수가 빌라로 바뀌거나 아파트로 재개발되었다.
- 신당동 떡볶이 타운 밑에는 신당천이 흐른다. 당초 떡볶이 골목 탄생 전 마복림 할머니가 장사를 시작할 시기에도 개천이 있었다. 청계천과 연결되나 복개공사로 그 흔적만 찾을 수 있다.
- 2020년대 들어 주변에 힙한 카페나 맛집이 많이 생겨 힙당동이라 불린다.
[A]
2024년 9월 주민등록인구
[A]
[A]
[A]
[A]
[A]
[7]
6호선 신당역 역사가 지번주소상 흥인동에 위치한 반면,
2호선 신당역은 지번주소상 황학동에 위치해 있다. 다만 2호선 역사가 황학동과 신당동의 경계에 위치한다.
[8]
떡볶이 문서에도 잘 나와있지만 떡볶이의 원조는 이것이 아니라 오래 전부터 궁중음식으로 전해지는 '간장 떡볶이'이고, 조리법도 다르다. 고추장 떡볶이가 등장한 것은
6.25 전쟁 이후다.
[9]
김종필의 부인인
박영옥 여사가 등기부상으로 청구동 자택에 들어온 시점이 1965년 5월인데 이 시점에 이미 박정희는 제5대 대통령으로서
청와대에 들어가 있었다.
[10]
박정희의 자택은 신당 래미안 하이베르 아파트 쪽이고 김종필의 자택은 약수역 부근이다. 직선거리로 900m, 길찾기로 검색하면 1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도보로는 20분 정도 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