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05:26:41

간선급행버스체계

중앙차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간선급행버스에 대한 내용은 간선급행버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벨기에 플란데런 공영 방송사의 옛 명칭에 대한 내용은 VRT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Guided Rapid Transit(GRT)에 대한 내용은 유도버스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목적3. 역사
3.1. 한국의 BRT3.2. 석유 기업의 도구화
4. 구성 요소
4.1. 기반 시설 및 차량
4.1.1. 버스 전용 주행로4.1.2. 교차로 통행우선권4.1.3. 정거장 시설4.1.4. 차량
4.2. 운영 및 커뮤니케이션
4.2.1. 노선 구성4.2.2. 차별화된 브랜딩4.2.3. 운영 컨트롤 센터
4.3. 도시 공간과의 연계
4.3.1. 환승체계 구축4.3.2. 보행 및 자전거 인프라 개선
4.4. 지역별 특성
4.4.1. 개발도상국의 경우4.4.2. 선진국의 경우
5. 특징
5.1. 장점
5.1.1. 저렴한 초기 투자 비용5.1.2. 높은 확장성5.1.3. 돌발 상황 대처 용이5.1.4. 경사 등판 능력5.1.5. 중전철 대비 접근성
5.2. 단점
5.2.1. 노면전차 대비 높은 장기 운영 비용5.2.2. 정치적 갈등에 취약5.2.3. 인근 개발 효과 미미5.2.4. 자가용 수요 전환의 어려움5.2.5. 대한민국 법 · 제도상의 문제5.2.6. 낮은 안정성5.2.7. 환경 오염5.2.8. 기타 문제점
6. 목록7. 여담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PESHAWAR BRT.jpg
파키스탄 페샤와르의 BRT. (2020년 개통)
ITDP의 BRT Standard에서 현존하는 BRT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시스템이다.[1] ITDP의 케이스 스터디 (pdf)
Bus Rapid Transit (BRT)

버스의 통행을 일반 차량과 분리하여 정시성과 수용량을 향상시킨 대중교통 시스템. 흔히 BRT라고 한다. 도시철도의 수송량에 비하면 수송량이 매우 적지만 저렴한 건설비로 LRT(Light Rail Transit; 경전철)에 준하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많은 도시에서 교통수요관리 대책으로 각광받고 있다. 노면전차, 무궤도전차와 비슷한 특징을 보인다.

국내 언중에서는 서울, 부산 등의 도시에 설치된 일반형 BRT를 중앙버스전용차로로 분리하여 부르는 경향이 있으나, 사실상의 간선급행버스체계 기술 표준을 제정한 ITDP(Institute for Transportation and Development Policy)는 서울시의 중앙버스전용차로를 BRT로 분류하여 BRT Standard 평가 체계에 따라 등급을 매긴 바 있으며, 지방자치단체 등 사업 추진 주체들의 공식 문건에서도 중앙버스전용차로를 '간선급행버스체계'로 지칭하고 있다.

2. 목적

파일:nacto.jpg
미국 NACTO[2]의 간선도로 대중교통 설계 가이드라인에서 발췌.
NACTO는 넓은 도심 간선도로를 분명한 위험 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자가용을 위한 차로를 대폭 축소하여
대중교통 뿐만 아니라 자전거와 보행자에게도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NACTO는 이 방식이 도시 전체의 교통 수준을 개선하고, 지역에 추가적 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다고 설명한다.

무작정 도심의 도로를 넓혀 도시 교통 문제를 해소하자던 60년대식 교통 정책은 자가용의 처참히 낮은 수용량 대비 공간 효율 문제를 간과했고, 치솟는 땅값 속에 비싼 돈을 들여 도로를 넓혀도 수많은 차량을 더 이상 수용할 수 없는 한계 상황에 맞닥뜨리게 되면서 도시들은 막대한 혼잡 비용에 시달리게 되었다. (2017년 한국 도시부 기준, 연간 22조 원)[3]

이처럼 21세기 들어 자가용 중심 교통 정책의 실패가 점차 명백해지자, 자가용 수요를 다른 수단으로 돌리기 위한 TDM( 교통수요관리) 개념이 도입되고, 보행자와 대중교통을 위한 공간을 밀어내며 과다하게 공급된 자가용 인프라를 감축하기 위해 BRT와 노면전차가 각광을 받게 되었다. 제 아무리 좋은 대중교통 시스템을 공급해도 승용차 이용의 불편이 수반되지 않으면 통행자의 실질적인 수단 선택 행태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없기 때문에, 현대 교통 정책의 방향은 적극적으로 자가용에 과도하게 배분된 도로 인프라의 비중을 정상화하여 자가용의 통행 속도를 낮추는 대신, 대중교통에 전용 공간을 배분해 대중교통의 통행 속도와 정시성을 보장하고, 재배분된 도로 공간을 보행, 자전거 이용 편의를 끌어 올리는 데 투자하는 방향으로 선회했다. 트램 및 BRT 설치, 도로 공급 축소, 주차장 공급 축소, 혼잡통행료 징수, 자전거 이용 활성화같은 정책들이 이런 맥락에서 나왔다.
교통수단 PPHPD
(인원/시간/방향)
초기 건설 비용
(km 당, 백만 GBP)
운영 비용
(승객/km 당, p(페니))
평균 속도
(km/h)
정시성 수준
자가용[A] 660 - - - 낮음
버스[B] 2,500 ~ 1 3.8 ~ 8.8 10 ~ 14 낮음
BRT[B] 4,000 1 ~ 2 2.5 ~ 5.8 15 ~ 22 보통
노면전차 (저규격)[B] 12,000 10 ~ 20 1 ~ 2.4 15 ~ 22 보통 ~ 좋음
노면전차 (고규격)[B] 18,000 15 ~ 45 1 ~ 2.4 18 ~ 40 좋음
중전철[B] 30,000 100 ~ 250 1.5 ~ 2.8 18 ~ 40 매우 좋음

운전자들은 흔히 좁고 막히는 길에 왜 자가용 차로를 없애고 BRT를 운영하냐며 비난하지만, 교통공학적으로는 오히려 길이 막히기 때문에 BRT를 설치하는 것으로 본다. 시내 주행 시, 자가용 차로는 이상적인 상황에서 (4현시 교차로 직진차로 기준) 한 차로의 수송 능력을 pphpd로 환산할 경우 660에 불과하나,[10] 같은 공간을 이용하는 BRT는 4,000 pphpd까지 수송이 가능하며, 더 높은 수요에서도 수송량이 높은 노면전차로의 빠른 전환이 용이하다.

3. 역사

파일:ottawatrw.jpg
오타와 Transitway의 Lees 정류장
(LRT 전환 이전)
파일:cfdln.jpg
LRT 전환 이후의 Tunney's Pasture 역
버스의 등장 이후 버스 전용 차로나 도로를 건설하는 방식은 20세기 중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었지만, 최초의 BRT는 1973년 운행을 시작한 캐나다 오타와의 Central Transitway를 시초로 본다. 이후 1983년 오타와는 고속화도로급 버스 전용 도로 네트워크를 추가로 건설하여 밀도가 극히 낮은 교외의 버스 노선들을 빠르게 도심으로 수송하는 Busway 모델의 대표적 사례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최초의 BRT인 Transitway는 높은 수요 수준으로 인한 운영 비용 부담을 견디지 못하고 2012년 도심 구간을 LRT로 전환하기로 결정했고, 2019년 LRT 운행이 시작되며 최초의 BRT였던 오타와의 Central Transitway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11]

1974년 개통한 브라질 쿠리치바의 Rede Integrada de Transporte는 현대 고규격 BRT의 표준을 정립한 시스템으로 여겨진다. 중앙버스전용차로, 사전 요금지불이 가능한 정류장, 우선신호체계, 지속 가능한 개발 정책, 환승 터미널[12]을 통한 지선버스와의 체계 통합 등 현대 BRT의 핵심적 요소를 정립했고, 서울을 포함해 다수의 도시에서 BRT의 모범 사례로 참고해 가고 있다. 그러나 많은 도시들이 참고해 간 고규격 BRT 노선인 Linha Verde(2009년 개통)는 실제 km당 630만 달러(약 76억 원) 수준의 건설비를 들였고, 이는 ITDP등 BRT의 장점을 홍보하는 측에서 제시한 km당 2~40억원 수준의 건설비와 상당한 거리가 있다.

1985년에는 지속 가능한 개발 모델을 개발도상국에 보급하기 위한 NGO인 ITDP(Institute for Transportation and Development Policy)가 설립되었다. 2007년 ITDP는 UNEP, 독일 GTZ, 휴렛 재단, 캐나다 YRT와 함께 현대 BRT 설계의 표준을 마련한 Bus Rapid Transit Planning Guide를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로 제작해 개발도상국의 BRT 보급에 노력하고 있다. ITDP는 그 외에도 BRT Standard 표준을 마련해 세계의 BRT 체계 수준을 평가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하고 있다.

3.1. 한국의 BRT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102589> 신교통형
BRT
세종특별자치시 BRT(바로타)
일반형
BRT
고양 BRT 청라-강서 BRT
청라국제도시 GRT 부산광역시 BRT
대구광역시 BRT 광주-나주 BRT
광주광역시 BRT 대전광역시 BRT
전주 BRT
Super
BRT
세종특별자치시 BRT(바로타)
실증사업
창원 S-BRT 인천 S-BRT
계양-대장 S-BRT 성남 S-BRT
}}}}}}}}} ||


한국에서는 1996년 1월 20일 서울 천호대로(신답로터리 - 아차산역사거리 구간)에 기본적인 형태의 BRT가 처음 설치[13]되었으며 이후 시내버스의 표정속도를 높이고 기본적인 BRT를 운영하기 위해 2004년 7월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이 추진한 2004년 서울 시내버스 개편 때부터 국내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다.[14] 다만 이때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된 도로를 경유하는 모든 노선을 중앙버스전용차로에 정차하도록 하였으나, 정류장부의 용량 초과로 인해 흔히 버스철이라 불리는 현상이 나타났다.

경기도의 경우 동탄신도시 조성 당시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설계했으며[15], 구리, 남양주, 하남, 고양, 평택에 BRT를 구축하면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되었다. 수도권 이외에는 2008년 광주 수완지구에 처음으로 개통되었다.[16] 대전에는 2011년 7월 1일에 도안대로와 도안동로에 처음으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시행되었다. 그리고 2013년 세종특별자치시에 한국 최초의 고규격 BRT인 바로타가 개통하였다.

3.2. 석유 기업의 도구화

환경친화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국에 BRT를 보급하기 위한 NGO들은 다수의 석유화학 관련 기업의 지원을 받고 있다. 2002년 영국 석유화학 기업 은 개발도상국의 교통 정책에 대한 영향력을 끼치기 위한 전략으로 자신들이 직접 나설 경우 신뢰도가 떨어져 보일 것을 우려해 WRI(세계자원기구)를 통해 750만 달러를 지원한 EMBARQ 프로그램을 출범, 단시간에 미국, 중국, 브라질, 인도, 멕시코, 터키 등 여러 국가에서 활동하며 개발도상국의 도시철도 건설 사업에 끼어들어 석유를 사용하는 BRT를 도시철도의 저렴한 대안으로 푸시하고 있으며, 이후 디젤 엔진을 생산하는 캐터필러와 버스 제조사인 볼보 등이 EMBARQ 프로그램의 스폰서로 추가되며 BRT를 ' 교통수요관리 대책'이 아닌 '철도의 친환경적 대안'으로 포장하기 위해 힘을 쓰고 있다.[D]

이들로 인해 도시철도를 대체하고 건설된 BRT들은 도시철도급 수송량을 처리하기 위해 과도한 수의 차량을 요구하여 전기버스, 수소버스와 같은 친환경 차량을 도입하기엔 비용 부담이 너무 막대하기 때문에 대다수는 디젤 엔진 버스를 초 단위 배차로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혼잡도와 나쁜 승차감, 낮은 서비스 수준으로 인해 자가용 수요 전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곧 자가용 이용자들의 정치적 압력으로 이어졌다. 특히 남미식 고규격 BRT는 주행로상에서 상당한 공간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해 북미와 유럽에서 유도 수요와 도시 환경 문제로 비판을 받으며 더 이상 추진하지 않는 도심 고속도로 신설 사업이 병행되는 경우가 많아 신흥국 도시들의 자가용 의존을 심화시키고 있다.[D]

이러한 방식은 과거부터 사용되어 온 전략으로, 60년대 미국에서 도심 고속도로 건설 사업이 주민들의 반대로 난항을 겪게 되면서 린든 행정부가 도시철도 건설 계획을 수립하려 하자, 1966년 미국 자동차 제조사들의 연합체인 AAMA(Americ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는 이를 저지하기 위해 고속도로상 버스전용차로를 통해 BRT를 만든다는 대안을 들고 나왔다.[19] 실제로 이에 따라 고속도로상의 버스 전용차로들이 여럿 건설되었으나, 낮은 집객 능력이나 고소득층의 버스 기피 등 버스 자체의 한계로 인해 대부분 예상한 만큼의 승객을 보지 못했다. 이는 미국의 사회적 특성을 봐야 하는데, 드넓은 교외 지대에 많이 거주하는 미국의 고소득층은 외부인을 매우 꺼리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대중교통에 대해 정작 다들 자가용을 가지고 있어서 이용하지도 않을 건데 외지인들만 끌어모으게 하고 사생활 침해와 치안 악화를 초래하게 된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경우가 많다.[20]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버스전용차로를 핑계로 건설된 도심 고속도로들은 AAMA의 구상대로 자가용 의존에 크게 기여했고, 건설된 버스전용차로는 운전자들의 정치적 압력에 못 이겨 대부분 자가용 차로로 바뀌어 사라졌다.[D]

BRT의 표준을 정립한 ITDP 역시 여기서 자유롭지 못해 2015년에는 자신들의 최고이사 자리에 EMBARQ의 전 최고 책임자를 앉혔고, 록펠러 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 1천만 달러에 달하는 기금을 운용하는 거대 기구로 성장했다. 흔히 순수 자선 재단으로만 생각하는 록펠러 재단의 이미지와 달리, ITDP에 지원금을 대고 있는 Rockefeller Foundation은 2016년에 화석 연료 기업에 대한 투자 중지를 선언한 RFF(Rockefeller family charity), RBF(Rockefeller Brothers Fund)와는 전혀 다른 재단으로, 앞의 둘보다 훨씬 큰 규모의 기금을 굴리며 현재까지 자산의 상당 부분을 엑손모빌 등 구 스탠다드 오일 출신 석유 기업의 주식으로 가지고 있는 재단이다.

구미 선진국에서는 Astroturfing[22]을 통해 시민단체로 위장해 철도건설의 비용을 걸고 넘어져 BRT를 푸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의 BRT 사례를 제시하며 BRT를 도시철도급 속달성과 정시성을 가진 교통수단으로 홍보하여 대중과 정치권 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의 지지를 얻고, 사업 추진 이후에는 정치적 압력 등 여러 이유를 들어 이러한 시설물들을 대부분 제거하도록 두는 방식(BRT Creep)이 주로 사용된다. 미국 연방 교통부가 야심차게 추진한 시범 사례인 클리블랜드의 Euclid Avenue BRT(現 HealthLine)부터 우선신호를 포기한 상태고, 도시철도급 시스템을 약속한 뒤 전용차로도 없는 급행 버스를 도입하거나, 신호등 앞의 짧은 버스 전용 차로에 BRT 이름을 붙이는 등 BRT의 용어 자체가 희석되어 가고 있다.[D] 이러한 BRT Creep의 대표적인 사례는 프레즈노로, 미국 공화당이 주도하는 시 의회에 의해 전용 차로, 굴절 버스, 수평 승하차, 전용 정류장, 10분 간격 운행, 차외개찰 등 모든 시설을 제거한 뒤 사실상 두 개의 출입문으로 승하차가 가능한 일반 버스 노선으로 변했다.

대중교통 사업에 우호적이던 시민사회 역시 Astroturfing의 풍파를 피할 수 없었고, 철도사업을 BRT로 대체하려는 단체들은 이후 BRT 사업의 많은 부분이 훼손당하는 것을 크게 신경쓰지 않거나, 오히려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 예로 코흐 형제를 포함한 다수의 로비스트들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는 우파 자유지상주의 싱크 탱크 Reason Foundation은 미국의 철도 사업마다 끼어들어 비용 문제를 걸고 넘어지며 BRT를 푸시하는 활동을 넘어 BRT-lite라는 개념을 주창, 전용 주행로조차 없는 단순 급행버스를 BRT로 포장하여 BRT의 사업성 확보 방안이라며 적극적으로 BRT 사업을 훼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D]

4. 구성 요소

BRT의 구성 요소들은 노면전차 설계에도 많은 부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아래의 내용이 기반하고 있는 ITDP의 Planning Guide에서도 이를 명시하고 있다.

4.1. 기반 시설 및 차량

4.1.1. 버스 전용 주행로

파일:laan van leidschenveen.png
네덜란드의 측면 양방향 전용차로.
트램과 버스가 주행로를 공유한다.

일반 차량의 영향을 받지 않고 버스의 빠른 통행과 정시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버스전용차로는 BRT의 핵심 시설로, 일반 차량으로 인한 운행 지장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한다. 노면전차를 갖춘 도시에서는 노면전차와 주행로를 공유할 수도 있다.

전용 차로에는 브랜드 컬러와 연계한 유색 포장을 갖추는 것이 추천된다. 열섬 효과 경감과 미관을 위해 타이어가 닿는 부분 사이 공간에 잔디를 식재할 수도 있다.

4.1.2. 교차로 통행우선권

우선신호, 교차로 입체교차, 기본적으로 좌회전 및 유턴 제한을 통해 교차로의 신호 사이클을 단순화하는 데서 시작하며, 배차간격이 6분 이상인 경우에는 교차로에서 바로 신호를 전환하는 Active TSP를 적용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초록불을 연장하거나 앞당기는 방식을 사용한다.

4.1.3. 정거장 시설

파일:1280px-Kasselský_obrubník,_Koleje_Strahov,_detail.jpg
밀착 정차 지원 연석
(Kassel Kerb)
파일:Lanzhou_BRT_station.jpg
중국 란저우의 BRT 섬식 승강장.
파일:Guangzhou_BRT_Turnstile.jpg
광저우 BRT의 개찰구
파일:monterrey2_Ecovia - Monterrey_(Source Movimet - Diego Malo).jpg
멕시코 몬테레이
현대자동차 양문형 저상버스
기존 도로상에 BRT를 설치할 때 정류장 공간 확보가 어려운 경우 ITDP의 Planning Guide에서는 중앙분리대 공간을 활용하거나, Passive TSP와 연계한 좌회전 차로의 삭제, 녹지 및 주차 공간 활용을 권장하며, 정류장 설치 후 주변 지역의 보행자와 자전거의 숫자가 늘어나므로 정류장 위치를 수요처와 떨어진 위치로 이전해서라도 자전거 도로나 인도 폭원을 줄이는 것을 피하도록 권고했다.

정류장은 교차로로 인한 운행 지장을 방지하기 위해 교차로와 충분한 이격 거리를 두는 mid-block에 설치하는 것이 권장된다. 교차로에 역이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앙버스전용차로 정류장은 수백 미터 가량 떨어져 있는 이유가 이 점 때문.

ITDP는 정류장 폭원으로 5m 이상을 요구하나, 국내 시설 기준은 3m만을 요구하고 있다. 상급 BRT인 세종특별자치시 BRT는 4m.

[clearfix]

4.1.4. 차량

수평 승하차를 위해 저상 플랫폼에는 저상버스를, 고상 플랫폼에는 특수 제작된 고상버스를 사용하는 식으로 승강장 높이와 맞는 차량을 사용해야 한다. 노선 구성 형태에 따라 전용 노선을 위주로 운행하는 경우 BRT 전용 차량을 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일반 버스 노선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 버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송량이 큰 시스템의 경우 운영 비용 절감을 위해 2~3모듈 굴절버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층버스는 승하차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BRT 시스템에서 전용 차량으로 사용하지 않는다.[31]

섬식 승강장을 사용하거나, 일방통행로상 Contra-flow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차량의 반대편에 출입문을 설치하거나, 양문형 차량을 사용해야 한다. 한국의 현대자동차는 이미 멕시코 몬테레이의 BRT에 양문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을 공급한 바 있다. 당연한 소리지만 양문형 차량으로 운행하는 노선의 경우 정류장 안내 후 내리는 출입문 위치도 안내한다.

4.2. 운영 및 커뮤니케이션

4.2.1. 노선 구성

파일:About-Us_LARGE_Page_Banner.jpg
파일:VIVA1.png
캐나다 YRT VIVA BRT의
전용 주행로와 정류장(위)
BRT 브랜드 디자인 체계를 적용한
VIVA BRT의 차량 실내(아래)
파일:mbta_april2019.png
미국 보스턴의 지하철 노선도.
회색 노선의 BRT를 지하철, 트램
동일한 위계로 취급하고 있다.

Active TSP(차량검지식 우선신호)의 적용과 정시성 유지를 위해 도시철도처럼 BRT 전용 노선으로만 운행하는 시스템( 로스앤젤레스, 보스턴, 벨파스트 등)이 권장되지만, 지역 상황에 따라 다수의 일반 버스 노선을 수용해 운행하는 노선 구성( 광저우, 서울, 부산)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과도하게 짧은 운행 시격으로 인해 Active TSP의 적용이 불가능하고, 정류장부의 용량초과로 정시성에 큰 페널티를 받게 된다. 때문에 광저우, 쿠리치바 등 해외 BRT들은 매우 긴 플랫폼과 추월 차로를 설치하고 노선별 정차 위치를 지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고양과 서울의 BRT가 극심한 정류장 용량 초과 문제를 겪고 있다.

4.2.2. 차별화된 브랜딩

물리적인 시설로 자연스럽게 대중에 차별화된 교통수단으로 브랜딩이 가능한 노면전차와 달리, BRT는 시스템 이미지를 일반 버스와 차별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자체적인 네이밍 및 디자인 체계를 구축하는 것과 더불어 노선 번호를 일반 버스와 같은 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도시철도와 같은 방식의 명명 체계를 도입하고, BRT 체계를 도시철도 노선도에 반영하고, 환승 동선 안내를 제공하는 등 도시철도에 준하는 시스템임을 어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국내 BRT들은 우수한 기반 시설을 구축하고도 이 부분을 크게 신경쓰지 않거나, 도색 차별화 정도로 가볍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으나, 해외 BRT들은 가로변 버스전용차로 수준의 시설에서도 브랜딩에 집중해 집객력을 향상하고 있다.

4.2.3. 운영 컨트롤 센터

도시철도와 비슷하게 운영 상의 돌발 상황에 대처하고, 차량 간격을 유지하는 등의 관제 기능을 담당하는 컨트롤 센터를 설치할 수 있다.

4.3. 도시 공간과의 연계

4.3.1. 환승체계 구축

간선철도, 도시철도, 트램, 지선버스 등 타 대중교통시설과의 편리한 환승을 위한 시설을 설계에 반영하고, 퍼스널 모빌리티, 자전거, 보행자 등 비자가용 수단과의 연계를 지원할 수 있는 물리적 시설(자전거 주차장 등)을 구축해야 한다.

자가용의 경우에는 주요 간선도로와 교차하는 정류장 인근에 P&R(환승 주차장)을 설치해 환승을 유도할 수 있다.

4.3.2. 보행 및 자전거 인프라 개선

BRT는 근본적으로 TDM 정책과 뗄 수 없는 관계인 만큼, 다양한 비자가용 교통수단을 이용한 접근을 유도하기 위해 주변의 도시 조직을 보행 중심으로 개선하고, 자전거 이용 인프라를 확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BRT 설치 이후 줄어들 자가용 통행과 그에 반해 증가할 보행자 및 자가용 통행, 장기적으로 이루어질 정류장 주변의 토지 이용 변화를 고려해 인도와 자전거 도로의 폭을 넓히는 것이 권장된다.

ITDP는 BRT Standard 평가 체계에서 노선 주변 자전거 인프라 구축의 정도를 평가 기준에 반영하고 있다.

4.4. 지역별 특성

4.4.1. 개발도상국의 경우

파일:trinary-road-spine.jpg
브라질 쿠리치바의 BRT. 도시 계획가 Jaime Lerner에 의해 1974년 만들어진 BRT 시스템으로, 총 6개 노선, 81 km의 길이에 하루 65만 명이 이용한다. 최대 PPHPD[32]는 20,500.

특유의 튜브형 정류장으로 대표되는 쿠리치바 BRT는 개찰구, 고상홈 및 특수 제작된 이중굴절버스, 추월 차로 등 본격적인 도시철도급 시설을 갖추고 있는 ITDP BRT Standard Gold 등급의 BRT이다. 180만 인구의 쿠리치바는 2000년대까지 도시철도 없이 이러한 고규격 BRT만으로 모든 대중교통 수요를 처리했다.

파일:gzbrt1.png
중국 광저우 BRT. 역시 ITDP BRT Standard의 Gold 등급을 받은 시스템으로, 고작 22.5km의 길이에 하루 100만 명을 수송한다. 첨두 시간대 PPHPD는 23,500에 달한다.

BRT 전용 노선을 위주로 운행하는 쿠리치바와 달리, 긴 플랫폼에 노선별 정차 구간을 지정하는 방식을 통해 31개 버스 노선을 수용하고 있다. 개발도상국형 고규격 BRT 모델의 좋은 예시이다. 너무 많은 수의 노선을 수용하는 방식의 부작용으로, 광저우 BRT는 ITDP Gold 등급의 고규격 BRT임에도 불구하고 러시 아워의 표정속도가 13.7 km/h에 불과하다.

이처럼 개발도상국에서는 열악한 재정과 금융 인프라로 인해 초기 투자 비용이 낮은 BRT를 도시철도의 저렴한 대안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아 도시철도급 수요를 처리하기 위한 고규격 BRT가 흔하다. 인건비 문제를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거의 모든 시스템에서 선진국에서 BRT의 경제적 수송력 한계로 여겨지는 4,000 PPHPD 이상을 수송하고 있고, 도시철도에 맞먹는 20,000 이상의 PPHPD를 가지는 경우도 흔하다. BRT 설계에 있어 가장 권위있다고 여겨지는 ITDP의 기관 목적부터가 개발도상국에 지속 가능한 개발 노하우를 보급하는 것이다보니 ITDP의 직접적인 기술 지원이 이루어진 시스템도 많고, ITDP의 BRT Planning Guide 역시 개발도상국에 맞춰져 있다는 점도 한 몫 했다.

이들 지역은 교육 수준이 낮아 대부분 개찰구와 함께 스크린도어를 이용한 운임 구역을 두는 방식을 사용하며, 유럽과 북미에서 흔히 사용되는 개방형 Proof-of-payment 방식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이들 지역은 BRT가 자가용 뿐만 아니라 제도권 밖의 사설 밴( 케냐의 Matatu 등) 따위의 교통수단과 경쟁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 매우 낮은 운임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일부 구간 특성상 멕시코시티 메트로부스 4호선과 7호선처럼 개찰구 없이 차내에서 운임을 지불하는 방법을 쓰는 곳도 있다.

일부 개발도상국 대도시에서는 짧은 중전철 노선 하나조차 짓지 못할 수준의 예산으로 도시 전체에 이중굴절버스와 다중 플랫폼을 가진 초 단위 배차의 BRT 네트워크를 구축, 중전철 도시철도망 수준의 수송량을 BRT로 처리하는 모델이 정착해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콜롬비아 보고타로, 하루 240만명이 이용하는 중전철급 수송량의 BRT 네트워크 114km를 도시 전체에 건설하는 데 든 비용이 같은 도시에서 27km 짜리 도시철도 한 개 노선[33]을 건설하는 데 예상된 비용의 절반에 불과했다. 보고타의 도시철도는 2009년 계획이 나온 뒤 2028년 완공이 점쳐질 정도로 진행이 지지부진한 반면, BRT 네트워크는 엔리케 페냘로자 시장 당선 후 프로젝트에 착수하여 단 3년만에 운행을 시작했다.

4.4.2. 선진국의 경우

파일:usp-heidelberglaan.jpg
네덜란드 위트레흐트의 BRT. 대중교통 전용 차로와 평범한 개방형 정류장을 설치하고 일반 버스 노선을 운행하여 시내버스 체계의 전반적 품질을 개선하는 저규격 BRT 모델은 선진국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위트레흐트는 도시 전체에 방사형의 BRT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에 따라 사진 속 아위트호프(Uithof) 지역에 버스 전용 도로를 설치했으나, 하루 2만 5천 명의 승객이 12번 노선을 이용하여 수송 능력 한계에 다다르자 BRT를 트램으로 전환하기로 결정, 2019년 트램 노선인 아위트호플라인(Uithoflijn)을 개통했다. 위트레흐트 문서의 해당 문단에서 트램 전환 이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BRT를 도시철도의 대체재로 보고 접근하는 개발도상국과 달리, 선진국에서는 인건비 문제로 BRT의 수송량 한계가 명확하여 교통수요관리(TDM)를 위해 최소한의 투자로 기존 버스 노선의 서비스 수준을 개선하는 차원으로 접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BRT는 수요가 낮은 축선을 중심으로 도입되어 4,000 PPHPD 이상의 수요에서는 장기적 운영 비용이 낮은 노면전차(LRT)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개발도상국에서 흔히 보이는 고상홈과 스크린도어를 갖춘 고규격 BRT는 도입된 사례가 없고 최소한의 시설 투자로 최대한의 효과를 얻기 위한 저규격 BRT(ITDP Bronze 등급 이하)가 주로 도입된다. 또한 교통수요관리와 도시 재생의 맥락에서 접근하는 경우가 많아 차별화된 브랜딩, 보행 환경 개선, 연선 토지 이용 효율화와 높은 품질의 공공 공간 구축과 같은 외부적인 측면도 비중있게 다루는 경향이 있다.

5. 특징

BRT의 장단점은 상당부분이 노면전차와 겹치므로 노면전차 문서에 나온다.

5.1. 장점

5.1.1. 저렴한 초기 투자 비용

버스와 전용차로, 우선신호 등 적은 투자로 트램과 일반 버스 사이 수준의 교통량 처리가 가능하여 초기 투자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공사 기간이 매우 짧고, 기존 버스 차량을 바로 사용할 수도 있어 이에 들어가는 비용도 상대적으로 절감이 가능하다. 저규격 BRT의 경우 건설 비용이 km 당 40억원 내외로, 경전철 중 가장 저렴한 노면전차(200억원/km)에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저렴한 편이다. 이 저렴함과 빠른 공사 기간, 그리고 유연한 차량 운용 가능성 덕분에 세종처럼 아예 도시를 처음 건설할 때부터 미리 BRT 설비를 다 갖춰두고 시작할 수도 있어 입주민들의 편의성이 극적으로 올라간다.[41]

투자 대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높은 편이어서 BRT는 낮은 수준의 시설으로도 증속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고규격 BRT가 아니라 중앙버스전용차로 수준만 되더라도 평균 속도가 3~5 ㎞/h정도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장점은 장거리 노선일수록 빛을 발한다. 대체제인 무궤도전차, 노면전차와는 달리 BRT는 일부 전용차로 및 시설을 제외하면 노선 거리에 따른 시설비용 증가가 없다시피 하다. 즉, 도심과 먼 거리의 외곽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의 수요가 발생한다면 비슷한 수용량인 노면전차와 무궤도전차를 제치고 BRT를 구축하는 게 훨씬 저렴하다. 다만, 이미 적절한 경로를 지나는 간선철도망을 활용할 수 있는 경우 오히려 간선철도 직통형 노면전차( Tram-Train)이 나을 수 있다.

5.1.2. 높은 확장성

확장성이 좋고, 노선의 변경이 매우 유연하기에 네트워크 효과를 극대화하기 좋다. 운행 중 노선 변경이 자유롭지 못한 경전철, 노면전차, 무궤도전차와 비교하면 노선 변경과 확장이 자유롭다. 또한 도심구간에서 여러 노선이 합류해서 직결하는 형태의 노선망을 구성하기도 용이하며, 이는 특히 저밀도로 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져 수송 밀도가 낮으면서도 빠르게 넓은 범위에 대중교통을 공급해줘야 하는 북미나 호주 등 신대륙 도시에 적합한 편이라 Busway 모델이 발달할 수 있었다.

시설소요가 적기 때문에 급격한 승하차 수요 변화에 따른 공급의 유연성이 매우 좋다. 일반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 차량 구입 부담이 크지 않아 수요가 많은 구간은 배차시간을 짧게 잡고 많은 차량을 투입할 수 있고, 수요가 적어지면 배차 대수를 낮춰 더욱 효율적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수요 증가로 열차(객차)를 더 만드는 데에는 수십억 원 이상의 돈과 수 개월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데에 비하면 비교적 유연하다.

BRT의 적정 수송량을 초과한 경우에도 가선을 설치하여 노면전차로 전환하기 수월함은 물론이고, 노면전차와 BRT가 주행로를 공유할 수도 있다. 실제로 유럽과 북미의 노면전차들은 대부분 Kassel Kerb 등 버스 정차를 위한 시설을 설치해 BRT를 겸한다. 실제로 인건비 문제로 BRT의 수송량 제약이 큰 선진국에서는 BRT를 트램 기반 LRT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위에도 나와있다싶이 창원시도 이러한 방식으로 트램을 추진하고 있다.

5.1.3. 돌발 상황 대처 용이

상대적으로 돌발 상황 시 대처가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저상 승강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승강장에서 벗어나 도로로 떨어진다 해도 금방 복귀할 수 있으며[42] 사고 또는 정비 시 주행 차로에서 벗어나는 게 상대적으로 쉽다.

5.1.4. 경사 등판 능력

철차륜 중전철에 비해 등판능력으로 인한 제약이 덜하다. 때문에 주요 교차지점만 입체화시키고 정류장은 일반도로와 동일층에 설치하는 등으로 접근성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급격한 경사를 소화할 수 있어서 사업비도 다소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세종특별자치시 BRT가 대표적으로, 최대 7%의 경사를 가진 지하차도 및 고가차도를 노선 곳곳에 설치해 표정속도와 정시성을 크게 높였다. 이 수준의 종단경사는 철차륜에서는 중전철보다 훨씬 가벼운 노면전차 차량으로만 가능하다.

5.1.5. 중전철 대비 접근성

BRT, 노면전차 등 모든 노면 교통 수단은 승객 입장에서 접근성이 매우 뛰어난 편이다. 도시철도는 지하/고가에 위치하거나, 선로 횡단 구조와 승강장 구조의 한계로 계단 등을 필히 사용해야 한다. 이는 승객 입장에서 큰 불편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환승저항을 불러와 대중교통간 연계를 저해하게 된다. 그러나 BRT는 대부분 일반 도로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므로(일반적으로 지상 1층), 횡단보도를 건너는 정도로 쉽게 이용이 가능하다.

다만 남미식 BRT와 같이 배차 간격이 극도로 짧고, 운임구역을 구분하는 고규격 BRT는 계단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도시철도에 비하면 계단 수가 적어 편리한 편.

5.2. 단점

5.2.1. 노면전차 대비 높은 장기 운영 비용

인건비가 비싼 한국 등 선진국에서는 BRT의 수송량의 한계가 명확하다. 일반적인 BRT 축선은 시간당 40회 정도를 보통 운행 한계로 보는 편이며, 한계를 초과해 버스를 투입하는 경우 역으로 표정속도 저하가 일어난다. 교통 신호를 능동적으로 컨트롤하는 고급 능동형 우선신호체계(Active TSP) 적용할 경우 방향별로 10회가 한계이다. 그러나 굴절버스 한 대의 수송량은 일반적으로 100명 내외이며, 이중굴절버스[43]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150~200명에 불과한데, 일반적인 노면전차 차량은 200~300명을 수송하고 병결 운행도 자유롭다. 따라서 같은 수요에서 노면전차에 비해 더 많은 수의 직원과 차량을 요구하며, 이 점 때문에 노면전차와의 초기 투자 비용 차이를 운영 비용으로 역전하는 경우도 선진국에서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PPHPD(시간당 방향별 최대 이용자) 5,400명을 넘는 수요는 경전철, 노면전차 등으로 대체하는 것이 권장되며, 실제로 오타와 등 BRT를 LRT로 전환하는 도시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한국의 경우 2010년대까지만 해도 버스 부문을 저임금 고강도 노동으로 끌고 가면서 이런 운영 비용에 대한 인식이 미약했으나, 2020년대 들어 지속적인 인건비 상향과 주 52시간제 등 근무여건 개선으로 점점 상황이 변해가고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법령 준수의 압력이 강한 수도권 지역에서는 기사 부족으로 운행에 차질을 빚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다.

또한 버스 자체의 가격은 저렴하나, 유지보수 측면의 장기적 비용을 무시할 수 없다. 버스는 동일 수송량에서 노면전차 대비 두 배 이상의 차량이 필요한데, 내연기관 버스의 교체 주기는 환경규제나 내구연한 등의 문제로 11.5년을 넘을 수 없어 30~40년 이상 사용이 가능한 노면전차 차량의 수명 주기동안 3회 이상 교체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노면전차(200명 정원) 차량의 가격은 40억원 내외인데, 일반적인 굴절버스(100명 정원)의 가격은 5억원 내외, 현대 일렉시티 굴절버스의 차량 가격은 9억원으로, 30년간 동일한 수송량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내연기관 버스 30억, 전기 버스 54억원이 필요해 인건비를 제외한 차량 가격만으로도 비용이 비슷하거나 더 비싸진다. 거기에 더해 정비 측면에서도 내연기관이 버스의 정비성은 전기구동계를 사용하는 노면전차나 무궤도전차에 비해서 부담이 된다.

5.2.2. 정치적 갈등에 취약

시설 투자의 하한선이 매우 낮다는 건 역으로 사업이 정치적으로 위태로울 때 사업에 칼질이 들어가거나, 개통 이후 수정이 가해지면 얼마든지 도색만 다른 급행버스 수준으로 떨어지기 쉽다는 걸 의미한다. 이렇게 실패한 BRT 사업들을 칭하는 BRT creep이란 용어도 있다. 전용차로 대신 일반 차로를 쓰고, 약속된 우선 신호와 차외개찰을 도입하지 않고, LRT급 역 시설 대신 일반 정류장을 쓰는 등 방법도 다양하다. 정치적 스펙트럼에 관계 없이 대중교통 투자가 표를 끌어모으는 한국과 달리, 보수 정치권이 대중교통 투자 반대와 기후변화 부정 아젠다를 대놓고 푸시하는 미국에서는 멀쩡히 추진되던 LRT 사업에 'BRT에 OO, XX 시설을 설치해서 LRT와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핑계를 대고 사업을 BRT로 전환한 뒤 예산을 확 깎아 그냥 급행버스를 만들어 버리는 정치적 트릭이 성행하고 있다.

국내에 도입된 BRT들도 대부분 이와 같은 현상을 널리 겪고 있으며, 대전 B1번처럼 개통한 뒤 전용차로를 단축하고, 전용차로 위반 단속을 유예[44]하거나 아예 청주 B3번, B7번처럼 처음부터 전용차로를 만들지 않은 채 개통하는 등의 일이 벌어지고 있다. 그리고 차외 개찰은 요금체계가 달라서 실현이 어렵다. 세종시 BRT 정류장의 경우 청주시, 대전시 버스도 운행중이므로 운임 체계가 전부 다른 통에 모든 바로타 노선들의 운임 체계를 하나로 통합하지 않는 한 차외 개찰을 할 수가 없다.

5.2.3. 인근 개발 효과 미미

노선 인근의 사업체 및 주민의 입장에서 BRT 노선의 변경 가능성은 투자에서 위험 요소로 여겨져 연선 개발(TOD)에 악영향을 끼친다. 1980년대 이후 신설된 시스템이 폐지된 사례가 없는 트램과 달리, BRT는 남악신도시, 타이중시, 델리, 충칭시 등 폐지된 사례가 수없이 존재하고, 정치적 영향에 의한 운영 수준의 변화가 가능해 장기적인 신뢰성과 서비스 수준을 담보할 수 없어 투자자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

또한 대중적 이미지와 선호도가 낮은 버스 교통이라는 낙인으로 인해 인근 지역의 토지 이용 변화와 개발을 이끌어내는 것이 비교적 어렵고, 부동산 가격 상승 효과 역시 철도 교통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이미 있던 BRT 주행로를 트램으로 전환한 도시들에서는 동일한 노선을 운행함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갑자기 인근 개발이 추진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세종시 역시 시스템이 정착하면서 BRT 시스템이 배치되어있는 한누리대로 일대를 역세권으로 보고 타 지역에 비해 지가가 높게 형성되고 있다. 문제는 이렇게 부동산 가격에 역세권 효과를 받자 세종 버스 B5와 같이 BRT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지역에서 민원을 넣어 굴곡 노선을 개설하면서까지 이를 부동산에 이용하려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

5.2.4. 자가용 수요 전환의 어려움

파일:35897246814_6461d37b2e_b.jpg
프랑스 메츠의 Mettis BRT 차량.
벨기에 Van Hool의 ExquiCity 24 차량으로,
트램과 유사한 외형을 갖기 위해
차륜 커버 등 여러 디자인 요소를 적용했다.
BRT는 철도 기반 시스템에 비해 부정적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자가용을 가진 중산층 이상의 계층에서 수요 전환이 어렵다는 문건이 다수 존재한다. BRT를 비롯한 TDM 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과도한 자가용 이용을 억제하는 데 있다는 걸 고려하면 치명적인 단점. 사람들은 전용 주행로를 갖춰 더 빠른 BRT보다 일반 노면 트램에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45] 델프트 공대의 연구에서는 신뢰성, 속도 등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에도 트램은 버스 기반 시스템에 비해 15%의 승객을 추가로 끌어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46] 한국에서도 트램이 추진되던 위례와 동탄에서 BRT로의 전환 논의가 나왔을 때의 정치적 반응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브랜딩 측면에서도 고정된 궤도 시설을 통해 비이용자들에게도 명확한 아이덴티티를 제공할 수 있어 도시철도 시스템의 일환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은 트램/LRT와 달리[47], BRT는 시설 수준에 관계 없이 버스 체계의 일부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북미 일부 도시들이 도시철도 노선도에 일부러 BRT를 표시하는 등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고심하는 상황. 많은 차량 제조사들에서는 BRT 전용 차량을 트램과 비슷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전면 시야각을 희생하면서까지 트램과 유사한 전두부 형상을 적용하고, 차량 바퀴에 커버를 씌우는 등 어떻게든 버스와 연결된 부정적 인식을 떨쳐 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한국에서는 버스 이용률이 원래부터 높은 지역에만 간선급행버스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업의 목적을 버스 이용객 편의성 향상에서 보는 경우도 있다.

[clearfix]

5.2.5. 대한민국 법 · 제도상의 문제

장거리 BRT가 고속화도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입석 금지, 안전벨트 의무화 등 요건이 꽤 까다로운 편이며 속도제한 역시 심하다. 이는 '적은 비용으로 많은 인원을 효율적으로 수송한다'는 BRT의 근본적인 장점을 훼손하게 된다. 특히 갑천도시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세종 BRT 대전 버스 B1이 이런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이 문제 때문에 궤도교통과의 수송력 격차가 더 크게 벌어지기도 한다.

5.2.6. 낮은 안정성

규정속도만 지키면 탈선할 일이 없는 궤도교통수단에 비해 안정성이 부족하다. 위에 제시된 국내 법제도상의 문제도 여기서 기인한다. 따라서 주행로 양 옆으로 버퍼를 두어야 하기 때문에 궤도 교통에 비해 더 많은 측면 공간을 차지하고, 터널이나 고가 구조물을 건설할 때에도 더 큰 규격의 시설을 요구한다. 또한 전/후륜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점 때문에 위급한 상황에 급정거 시 테일스윙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굴절버스의 경우 갑자기 차량이 접히며 대형 사고로 이어지기 쉬워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고무 타이어를 사용하는 구조적 한계로 저크 제어에 불리해 버스의 급가속/급정거를 방치하고 있는 일부 개발도상국들을 제외하면 시내 주행 시 노면전차에 비해 활용 가능한 가/감속 성능의 범위가 훨씬 좁아 동일한 시설 수준에서도 표정 속도가 더 낮게 나온다.

가장 심각한 건 BRT 차선을 다른 방법으로 도로교통에서 분리하기가 마땅치 않아 지하화를 해야 할 때인데, 지하차선에 약간의 커브만 있어도 버스와 벽 간의 충돌사고 확률이 크게 증가하여 버스가 속도를 늦출 수 밖에 없게 되고, 기사들의 운전 역시 피곤해지게 된다. 그래서 같은 시설 수준의 지하 터널이라도 버스의 표정속도는 열차보다 훨씬 느려지게 된다. 사실 지하 터널 자체가 저렴한 건설 비용이라는 BRT의 장점과 모순되는 것이라서 보통 이런 문제는 주로 대중교통에 대한 정치이념적인 외압이 있을 때 드러나는 것이긴 하다. 보스턴 지하철 실버 라인이 대표적인 예시. 시애틀의 급행버스 노선들은 정치적 문제와는 큰 상관이 없으나, 역시 경전철 LINK가 건설된 이후로는 지하 터널을 완전히 경전철에 넘기고 전부 지상으로 옮겨갔다.

몇몇 지역에서는 BRT 차로를 이용할 경우 쾌적한 주행을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BRT 차로를 이용하는 자전거 이용자들이 많아 주행 시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고규격 BRT가 주로 설치되는 개발도상국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만연해 있었으며, 사망 사고[48]가 난 사례까지 있다.사실상 자연사 심지어 자전거에 개를 묶어서 BRT 차로로 데리고 다니는 용자까지 있다.[49]

5.2.7. 환경 오염

버스는 매연과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교통수단이다. 버스가 승용차 수요를 흡수해 전체적인 매연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인다는 측면을 무시할 수는 없지만, 역시 대기오염 관리 면에서는 지하철이나 경전철, 노면전차가 백전백승이다. 특히 관리가 잘 안 된 노후 버스가 배출하는 매연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이 점은 특히 BRT의 지하화에 매우 불리한 문제다. 지하차도 내부에 정류장을 설치해 BRT를 지하화한다면 보다 접근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만한 지점이 상당히 많음에도 현재로서는 거의 활용을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세종 BRT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정류장은 이 때문에 지하차도의 지붕을 뚫어 반지하 형식으로 만들었다.

벨기에 플란데런 전 지역의 버스와 트램을 운영하는 공기업 De Lijn의 자료는 다음과 같다.
교통수단 CO2 배출량
(g/km/명, 평균 재차 인원 적용)
비고
승용차 127
승용차
(신형 차량)
100
승용차
(출퇴근 시)
143
하이브리드 승용차
(토요타 프리우스)
89 제조사 주장
전기 승용차 38 벨기에의 발전 방식 평균 적용
디젤 버스 75
하이브리드 버스 60 일반 디젤 버스 대비 연비 20% 향상 기준
굴절 버스 63
트램
(이론적)
23 벨기에의 발전 방식 평균 적용
트램
( 플란데런)
1 De Lijn 트램의 전력 공급은
100% 친환경 발전 방식으로 이루어짐
지하철 30.5 브뤼셀 STIB/MIVB 자료
간선철도 28 SNCB/NMBS 자료
자료: De Lijn
벨기에의 발전 방식은 원자력 60.4%, 천연가스 26.6%, 석탄 0.4%,
풍력 6.7%, 태양 4.2%, 수력 1.6%로 이루어짐
자료: CREG[50]

버스의 대기오염 문제는 내연기관 버스를 전기버스, 수소버스 등 친환경버스로 바꾼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타이어[51]와 브레이크 패드, 도로포장 등 도로재비산먼지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도시 대기 오염 문제와 중금속 배출 문제는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52] 국외에서는 연구에 따라 자동차 관련 오염원의 80 ~ 93%까지 보는 경우도 있을 정도이며, 국내 소스 중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는 국립환경과학원의 2016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보고서로, 해당 보고서에 의하면 초미세먼지 8,001 톤이 이러한 비배기가스 발생원[53]에서 발생되어 자동차 주행으로 발생하는 도로이동오염원(9,748 톤)과 맞먹는 수준을 보였다.

5.2.8. 기타 문제점

6.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간선급행버스체계/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간선급행버스체계/목록/대한민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여담

파일:버스전용차로.png
표지
파일:trafficRbus.svg 파일:trafficYbus.svg 파일:trafficGbus.svg
전용신호

8. 관련 문서



[1] 총점 97점. 멕시코 과달라하라 (93점), 브라질 쿠리치바 (92점, Linha Verde 한정), 중국 광저우 (91점), 콜롬비아 보고타 (89점)가 격차를 두고 그 뒤를 이었다. [2] National Association of City Transportation Officials [3] 한국교통연구원, 「국가 교통정책 평가지표 연구사업-교통혼잡비용(2017)」, 2019. [A] 국토해양부, 『도로용량편람』, 2013. [B] Integrated Transport: The Future of Light Rail and Modern Trams in the United Kingdom: Volume Ii. The Stationery Office, 2005. [B] [B] [B] [B] [10]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도로용량편람 기준, 대형 차량/진출입/좌, 우회전/버스정류장/주차 활동이 없다고 가정한 이상적 상태의 교차로의 포화교통류율(녹색신호 한 시간당 통과 승용차 수)은 2,200 pcphgpl로, 동등한 위계의 도로가 교차하는 일반적인 4현시 교차로를 지난다고 가정할 때 현시 당 pcphgpl의 25%밖에 사용할 수 없어 시간당 통과 가능 차량은 550대에 불과하다. 통근 시간대 차량은 평균 1.2명이 탑승하여 pphpd 환산 시 660. 실제 도로의 용량은 위에서 언급한 요인에 의해 더욱 낮아진다. 교차로의 특성과 교차하는 도로의 위계에 따른 신호 시간 차이에 의해 변동될 수는 있으나, 다른 영향 요소를 배제한 평균적인 4현시 신호를 지나는 상황에서는 pphpd를 660으로 본다. [11] Transitway 시스템 자체는 LRT로 대체되지 않은 일부 구간에 한해 여전히 남아 있다. [12] 350여 개 정류장 중 30개 정류장이 환승 터미널로 지정되어 있다. [13] 버스정류장이 없는 시스템은 경부고속도로(1995년 2월)가 최초이다. [14] 이명박은 버스개편 참조를 위해 브라질의 쿠리치바를 방문하기까지 할 정도로 열정을 보였다. [15] 이후 동탄 도시철도의 1공구 동탄1신도시 구간이 이 부지를 이용할 예정이다. [16] 다만 여러 문제로 인해 폐지되었다. [D] Ross, Benjamin. "Big Philanthropy Takes the Bus." Dissent, vol. 63 no. 3, 2016, p. 128-135. [D] [19] Wilbur Smith and Associates., &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1966). Transportation and parking for tomorrow's cities. [20] 덤으로, 이런 곳은 아주 폐쇄적인 주거 문화를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주택단지 입구에 차단봉을 설치하고 외부인을 전부 막기도 한다. 대중교통 뿐만이 아닌 우편 집배원과 같은 서비스도 외부인이라며 들여보내지 못하게 하기도 한다. [D] [22] 종교, 정치 단체나 기업 등 대형 집단이 자신들의 아젠다를 푸시하기 위해 풀뿌리 시민사회(Grass-root activism)로 위장하는 것을 말한다. AstroTurf는 인조잔디 브랜드 이름이다. The Guardian의 기사 [D] [D] [25] 경원선 회기역 구간이나 수도권 전철 1호선 용산역 ~ 신도림역 구간과 유사하다. [26] 다만 좌, 우회전 차로가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27] 전장 등 차량 규격이 한계를 초과해 국내법상 자동차 등록이 불가능하다. [28] 인구밀도가 낮은 국가에는 평면교차로 및 신호등이 있는 고속도로가 있는 등 한국의 국도급 고속도로도 많이 있다. [29] 지하 공간을 매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30] 세종 BRT는 개찰구를 사용하기로 계획되어 있으나 개별 지방자치단체가 각자의 버스 운임 체계를 사용하는 문제로 2022년 현재에도 도입하지 못하고 있다. 지금은 사라진 대만 타이중 BRT도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기는 했었다. 1년 밖에 운영되지 못하고 사라졌을 뿐. [31] 멕시코시티 메트로부스가 알렉산더 데니스 엔비로 500 2층 버스가 사례. 모두 7호선에 투입된다. 국내에서는 대전 버스 B1 현대 일렉시티 이층버스가 도입되었다. [32] Passengers per hour per direction, 각 방향별 시간당 승객수 [33] 2/3 가량을 고가와 지상 선로로 건설하는데도 이 정도다. [34] 다만 해당 노선들은 바로 밑에 신분당선, 2호선 지하철이 다니기 때문에 돈 없어서 짓는 지하철 대체 노선으로 보기는 어렵다. [35] 개발도상국 BRT와 달리 정차 위치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단일 플랫폼만을 사용하고 있어 플랫폼 용량이 훨씬 낮다. [36] 특히 도시철도와 유사한 높은 등급의 남미식 BRT를 경험한 사람들의 경우 더 그렇다. [37] 2023년부터 저상버스 도입이 의무화됨에 따라 머지않아 완전히 달성될 가능성이 높다. [38] 청라-강서 BRT가 일반 차량과 신호를 똑같이 공유하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었다. [39] 세종특별자치시 BRT의 경우 도입 초기에 온갖 시외/고속버스가 별 제한 없이 전용차로에 입선하는 등 난장판이었다. [40] 이름은 버스이지만 법적으로는 철도로 구분된다. [41] 세종은 입주 초기 일반 시내버스 차량을 운행했다. [42] 고상 승강장을 사용하는 남미 지역의 경우에도 다시 올라오기 쉽다던지, 혹은 정류장을 지키고 있는 경찰 등의 도움을 받아 다시 정류장으로 진입이 가능하다. 하다못해 길을 건너서 인도로 올라가도 되고. 그래서인지 역으로 불법 승차라던지 BRT 승강구에서 개찰구를 거치지 않고 바로 도로로 내려가는 비매너 행위가 꽤 발생한다. [43] 이쪽은 개별 차륜 출력 컨트롤이 가능해지는 비싼 전기 기반 동력계 - 직렬 하이브리드, 배터리, 연료전지, 트롤리 등 - 를 사용하지 않는 이상 안정성이 크게 떨어져 운행 시 제약이 크다. [44] 대전의 경우 BRT 도로를 이용하는 노선이 하나 뿐이라, 테크노밸리, 신탄진 등 갑천도시고속도로의 교통 수요처를 BRT로 연결하기 위한 근본적 대책에 소홀했던 행정적 무능 역시 한 몫 했다. [45] Hensher, D.A., Ho, C. & Mulley, C., "Identifying resident preferences for bus-based and rail-based investments as a complementary buy in perspective to inform project planning prioritisation"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46 (2015): 1-9. [46] Bunschoten, T., Molin, E. J. E., & van Nes, R., "Tram of bus: Bestaat de trambonus?" (2012, November): 1–15. [47] 안정화·김훈, 「신노면 대중교통시스템 도입에 관한 연구: 트램을 중심으로」,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총서』 2012-18 (2012): 23. [48] 링크된 기사는 멕시코시티 메트로부스 3호선에서 일어났으며, 역주행하던 자전거와 일어난 충돌 사고라고 한다. 해당 자전거 운전자는 즉사. [49] 주로 빠른 속력을 낼 수 있는 셰퍼드, 시베리안 허스키, 달마시안 등 대형견에 의해 시전된다. 사고가 날 경우 자전거 운전자는 물론 동반하던 반려견까지 끔살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려견 입장에서는 주인에 의해 강제로 BRT 차로로 들어온 거라 동물 학대로 링크된 것도 이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뒤에서 버스가 올 경우 데리고 다니던 개의 돌발행동으로 인해 대처할 시간이 늦어질 수도 있다. 이런 행위 또한 신교통형 BRT나 Super BRT급 시설에서 많이 일어난다. [50] Commissie voor de Regulering van de Elektriciteit en het Gas (CREG). (2017). Nota over de opvallende evoluties op de Belgische groothandelsmarkten voor elektriciteit en aardgas in 2016. [51] 고무차륜차량 기반 트램 등도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52] 비산먼지는 철도, 특히 자갈 도상의 철도에서도 발생하지만 버스나 자동차에 비할 바는 아니다. [53] 도로재비산먼지 + 비포장도로 비산먼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9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9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