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00:08:59

이바타 히로카즈

이바타 히로카즈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07주니치.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07

파일: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로고.svg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c7bc69 우승감독}}}
2023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2024 프리미어 12
은메달(감독)
2024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 일본프로야구
역대 유격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우에다 후지오
한큐군
스기우라 키요시
츄부닛폰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시라이시 카츠미
히로시마
히라이 마사아키
요미우리
히라이 마사아키
요미우리
히라이 사부로
요미우리
히로오카 타츠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코우노 아키테루
주니치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코바 타케시
히로시마
요시다 요시오
한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요시다 요시오
한신
이치에다 슈헤이
주니치
후지타 타이라
오사카
쿠로에 유키노부
요미우리
후지타 타이라
한신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후지타 타이라
한신
후지타 타이라
한신
미무라 토시유키
히로시마
후지타 타이라
한신
후지타 타이라
한신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미무라 토시유키
히로시마
미무라 토시유키
히로시마
코우노 카즈마사
요미우리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야마시타 다이스케
타이요
우노 마사루
주니치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우노 마사루
주니치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타카기 유타카
타이요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우노 마사루
주니치
이케야마 타카히로
야쿠르트
이케야마 타카히로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이케야마 타카히로
야쿠르트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이케야마 타카히로
야쿠르트
이케야마 타카히로
야쿠르트
카와이 마사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니오카 토모히로
요미우리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이바타 히로카즈
주니치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나카노 타쿠무
한신
키나미 세이야
한신
나가오카 히데키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레리 레인즈
한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코이케 켄지
난카이
코이케 켄지
난카이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코이케 켄지
난카이
코이케 켄지
난카이
오오시타 츠요시
토에이
사카모토 토시조
한큐
사카모토 토시조
한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사카모토 토시조
한큐
사카모토 토시조
한큐
오오하시 유타카
한큐
오오하시 유타카
한큐
오오하시 유타카
한큐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오오하시 유타카
한큐
오오하시 유타카
한큐
이시와타 시게루
킨테츠
마유미 아키노부
크라운라이터
이시와타 시게루
킨테츠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타카시로 노부히로
닛폰햄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유미오카 케이지로
한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미즈카미 요시오
롯데
타나카 유키오
닛폰햄
타나베 노리오
세이부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타나카 유키오
닛폰햄
오가와 히로후미
오릭스
타나베 노리오
세이부
히로세 테츠로
닛폰햄
히로세 테츠로
닛폰햄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타나카 유키오
닛폰햄
타나카 유키오
닛폰햄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카와사키 무네노리
다이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카와사키 무네노리
소프트뱅크
TSUYOSHI
롯데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스즈키 다이치
롯데
이마미야 켄타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시마 타쿠야
닛폰햄
스즈키 다이치
롯데
이마미야 켄타
소프트뱅크
겐다 소스케
세이부
겐다 소스케
세이부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겐다 소스케
세이부
겐다 소스케
세이부
이마미야 켄타
소프트뱅크
쿠레바야시 코타로
오릭스
이마미야 켄타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04~2009, 2012 NPB 센트럴 리그 유격수 부문 골든글러브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30><table bordercolor=#1C262D>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역대 대표팀
}}} ||
{{{#!wiki style="color:#1C262D;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00
시드니 올림픽
2003
아테네 올림픽 예선
2004
아테네 올림픽
2006
WBC
2007
베이징 올림픽 예선
오오다가키 고우즈우
2000
나카하타 키요시
2003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2004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오 사다하루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06
]]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호시노 센이치
[[김경문호/2007|
2007
]]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2008
베이징 올림픽
2009
WBC
2013
WBC
2015
프리미어 12
2017
WBC
호시노 센이치
[[2008 베이징 올림픽/야구|
2008
]]
하라 다쓰노리
2009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야마모토 코지
2009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고쿠보 히로키
2015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
2017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2017
APBC
2019
프리미어 12
2020
도쿄 올림픽
2023
WBC
2023
APBC
이나바 아츠노리
2017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2019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2020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쿠리야마 히데키
2023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이바타 히로카즈
2023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 ||

파일:일본프로야구선수회 로고.png 일반사단법인 일본프로야구선수회 역대 이사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rowcolor=#fff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야스무라 카즈오
1980~1985
오치아이 히로미츠
1985~1987
이시게 히로미치
1987~1989
오카다 아키노부
1989~1992
오카자키 카오루
1992~1993
<rowcolor=#fff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츠지 하츠히코
1993~1995
이토 아키미츠
1995~1998
카와이 마사히로
1998~2001
타츠나미 카즈요시
2001~2005
코쿠보 히로키
2005~2009
<rowcolor=#fff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이바타 히로카즈
2009~2013
히가시데 아키히로
2013~2015
오오시마 요헤이
2015~2019
마츠다 노부히로
2019~2021
마루 요시히로
2021~
}}}}}}}}} ||

}}} ||
파일:井端ジャパン.jpg
<colbgcolor=#1c262d><colcolor=#ffffff>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No.89
이바타 히로카즈
井端弘和 | Hirokazu Ibata
생년월일 1975년 5월 12일 ([age(1975-05-12)]세)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출신지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가와사키구
학력 호리코시 고등학교 - 아지아 대학
포지션 유격수[1]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97년 드래프트 5순위
소속팀 주니치 드래곤즈 (1998~2013)
요미우리 자이언츠 (2014~2015)
지도자 요미우리 자이언츠 1군 내야수비 및 주루코치 (2016~2018)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내야수비 및 주루코치 (2017~2021)
일본 야구 U-12 국가대표팀 감독 (2022~2023)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2] (2023~)

1. 개요2. 프로 입단 전까지3. 주니치 시절4. 요미우리 시절5. 지도자 시절6. 여담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선수이자 현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주니치 드래곤즈의 2000년대 초반 황금기를 이끌던 중심 선수 중 한 명이었다.

2. 프로 입단 전까지

중학생 시절까지는 투수로서 뛰고 있었으나, 노무라 카츠야가 직접 전화를 걸어서 유격수 전향을 권했고, 호리코시 고교에 들어가서는 완전히 유격수로 전환했다.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에도 출전했다. 다만 프로지명을 못 받고 아지아대학으로 갔고[3], 1997년 주니치 드래곤즈의 지명을 받고 주니치 선수가 되었다.

3. 주니치 시절

파일:이바타 히로카즈.jpg
1998년 입단하여 2001년까지는 백업 선수였다. 당시 주니치는 고정된 유격수가 없었는데, 원래 주전이던 토리고에 유스케[4]는 탈세 혐의가 적발되어 재판을 받느라 1998 시즌을 통째로 쉬어야 했고, 해태 타이거즈에서 영입한 이종범은 유격수 자리가 맞니 안 맞니 말이 많아서 결국 외야수로 전환하게 되었다. 덕분에 한신에서 트레이드로 영입한 쿠지 테루요시[5]가 유격수 주전으로 나섰다. 이바타보다 한 시즌 뒤에 입단한 후쿠도메 코스케도 원래 유격수 자원이었으나, 그 이종범보다도 유격수에 안 맞자 결국 후쿠도메도 이종범과 같이 외야수로 전환하게 되었다. 이 때까지는 아라키 마사히로 타츠나미 카즈요시 등도 번갈아가면서 유격수를 봤다.

2001년 유격수 주전 자리를 차지한 이바타는 그대로 13시즌 동안 주니치의 유격수 자리를 지켰다. 특히 아라키 마사히로와의 아라이바 콤비(アライバコンビ)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 수비력의 키스톤 콤비로 손꼽혔다. 2007년엔 주니치 드래곤즈 2007년 일본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수비도 수비지만 공격에서도 3할 타율, 잊을만 하면 뜬금포를 때릴 만한 장타력에 두자릿수 도루와 빈틈없는 작전 수행능력을 보여주며 전통적인 작전형 테이블세터로서는 최고의 모습을 보였다.[6] 공격 면에서는 니오카 토모히로, 나카지마 히로유키같은 파워히터 유격수들에 조금 밀렸지만, 공수 양면에서 고른 기량을 갖춘 당대 최고의 유격수로 꼽혔다.

2008 시즌 후 FA가 예정됐었지만 주니치와 5년 계약을 맺으며 팀에 잔류했다. 시즌 후 테레비 아사히 아나운서인 카와노 아키코와 결혼했다.

2009 시즌 괌에서 스프링캠프를 소화하던 도중 눈이 붓고 아픈 증상을 보여 진단을 받은 결과 "헤르페스성 각막염" 진단을 받았다. 이와 함께 아라키 마사히로가 다리 부상을 당하면서 이바타의 어깨 부상을 이유로 예정됐던 아라키와 포지션 스왑이 취소되었다. 하지만, 눈 문제에도 전 경기를 1번 타자로 출전하며 3할을 기록했다. 시즌 후 일본프로야구선수회 이사장으로 추대되어 2013년까지 지냈다.

2010 시즌에 계획대로 2루수로 전향했지만 상술할 눈병이 악화되며 시력이 악화되는 문제로 53경기 출전에 그쳤고 2000년 이후 규정타석, 6년 연속 골드글러브 수상 등이 전부 끊겼다.

2011 시즌엔 풀타임 2루수로 시즌을 보냈지만 0.250 미만의 타율과 0.551의 OPS를 기록하는 등 타격 면에서 최악의 시즌을 보냈다. 여기에 시즌 도중 눈 치료를 위해 쓰던 약이 도핑에 걸려서 곤욕을 치르는 등[7] 힘든 시즌을 보냈다. 그래도 시즌 중인 7월에 득남을 하는 기쁨을 누리기도 했다.

2012 시즌 들어서 신임 감독인 타카기 모리미치의 의항으로 다시 유격수로 복귀했고[8] 0.284의 타율을 기록하며 타격 침체를 회복했고 3년만에 골드글러브도 수상했다. 사실상 주니치에서의 마지막 불꽃이었다.

2013 시즌에는 WBC 일본 대표팀에 선발되어 맹타를 보여주면서 무려 대회 지명타자(!) 베스트 팀에 선정되었지만, 정작 시즌에 돌입하니 100경기 출전에 타/출/장/OPS .236 / .323 / .273 / .596에 그치자 주니치의 프런트와 오치아이 히로미츠[9] GM은 40%가 넘는 연봉 삭감을 제시했고, 이바타는 이에 불복하면서 시즌 후 마무리 캠프를 연일 불참하며 불화가 싹튼 끝에 2013년 11월 4일에 주니치 측에서 이바타의 퇴단을 먼저 발표하면서 주니치 퇴단 및 현역 연장을 선택했다. 그리고 이 여파로 주니치는 2019년까지 4456555의 비밀번호를 만들게 되었다.

4. 요미우리 시절

주니치에서 그야말로 토사구팽 당한 이바타가 향한 곳은 요미우리 자이언츠였다. 2013년 11월 26일, 요미우리와 계약 체결이 발표되었다. 이 시기에 둘째이자 장녀가 태어났다.

2014 시즌엔 대형 FA 이적생인 카타오카 야스유키와 주전 2루수 경쟁을 벌이고 유격수 사카모토 하야토의 백업도 맡는 등 나름 기회를 받으며 팀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함께했으나, 정작 클라이막스 시리즈에서는 팀이 완전히 망해버렸다. 그래도 이바타 본인은 2차전 선발 이와타 미노루 상대로 홈런을 치기도 하며 분전했다.

2015 시즌이자 현역 마지막이 된 시즌으로 2루수와 3루수는 물론 1루수로도 많이 출전하고 유격수 백업도 보는 등 내야 전 포지션을 돌며 98경기를 출전했다. 시즌 중인 6월에 둘째 딸이 태어났다. 시즌 후 타카하시 요시노부가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이바타에게 전화로 소식을 전했는데, 이에 이바타는 입단 동기인 타카하시보다 더 오래뛰고 싶지 않다는 이유를 들어 기자회견을 열고 은퇴를 선했다.

5. 지도자 시절

2015 시즌을 끝으로 은퇴한 이후 그대로 요미우리에 눌러앉아 코치를 하다가 2018년에 나와서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는 등 야구 평론가 및 유소년 야구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2022년부터 12세 이하 일본 대표팀 감독을 맡고있다.

2023년 9월, 차기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취임이 유력하다는 보도가 나왔고. # 10월 3일 일본 국가대표팀 감독에 취임했다고 기사가 나왔다. #

2023년 10월 4일, 일본 야구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이에따라 U-12 대표팀 감독은 자동으로 퇴임했고 성인 대표팀과 U-15 대표팀 감독을 겸임한다.

감독 취임 후 한달 후인 2023년 11월에 열리는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대회가 감독으로서 참가하는 첫 대회가 되었다. 그리고 결승전에서 한국 대표팀을 상대로 스코어 3:4 신승을 거두며 감독 데뷔를 하자마자 우승을 거두었다.

2024년 9월 27일 NPB로부터 2026년 WBC까지 계약 연장을 제안 받았고 이바타 히로카즈가 수락하였다.

이어진 2024 WBSC 프리미어 12에서도 전승을 달리며 손쉽게 결승 무대에 올랐지만 결승전에서 만난 대만에 4:0으로 영봉패를 당하면서 국제대회 연승 기록이 끊김과 동시에 대만의 첫 우승을 허용했다.

결승전의 패배는 어느정도 예견된 일이었는데 일본은 연승 가도를 달리는 와중에도 경기 운영 측면에서 이해가 잘 가지 않는 점이 곳곳에 산재해 있었고[10] 이것이 결국 타선의 저점과 함께 결승전에서 터지며 패배하게 되었다.

6. 여담


[1] 제일 많이 출전한 포지션 기준. 실제로는 내야 모든 포지션에 설 수 있었다. [2] 15세 이하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 겸임. [3] 대학 1년 후배로 아카호시 노리히로가 있다. [4] 치바 롯데 마린즈 2군 감독 [5] 쿠지 테루요시 & 세키카와 코이치 타이호 야스아키 & 야노 아키히로 트레이드. 1997 시즌 종료 후에 이뤄졌다. [6] 다만, 통산 도루 성공률은 62%로 그다지 좋지 못하다. [7] 7월 12일 경기 후 도핑 검사(소변 검사)에서 스테로이드계 금지약물인 프레드니솔론이 검출되었는데, 치료용으로 쓰는 거라 허가기간 내에 신청서를 제출하면 사용이 가능했으나 허가 기간이 5월 30일자로 끝난 걸 구단에서 잊어먹고 이바타에게 통보하지 않는 바람에 약을 계속 복용하다 도핑에 적발된 것. 이 때문에 구단의 과실이 큰 것으로 참작되어 이바타는 출장 정지 없이 가장 약한 징계인 견책 처분 및 시말서 제출로 끝났고 주니치 구단은 벌금 300만엔을 부과받았다. [8] 이바타가 2루수로 적응을 잘 못하는 편이었고 아라키의 어깨가 유격수를 보기엔 약했으며 결정적으로 이바타 본인이 유격수 복귀를 희망했다. [9] 이바타의 리즈시절 당시 감독이었다. [10] 과도한 번트 지시, 가비지 게임을 제외한 나머지 경기에서의 스타팅 라인업 고정, 극도로 늦추는 투수 교체 타이밍 등 [11] 메이테츠 가마고리선 가마고리쿄테이죠마에역 인근에 있다.